KR20130005842A -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42A
KR20130005842A KR1020110067483A KR20110067483A KR20130005842A KR 20130005842 A KR20130005842 A KR 20130005842A KR 1020110067483 A KR1020110067483 A KR 1020110067483A KR 20110067483 A KR20110067483 A KR 20110067483A KR 20130005842 A KR20130005842 A KR 20130005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ifting
formwork
start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911B1 (ko
Inventor
김원철
Original Assignee
김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철 filed Critical 김원철
Priority to KR102011006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9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는 인양되는 거푸집 패널에 연결되는 스타터와, 상기 스타터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의 하단부에 조립될 수 있도록 그 선단부에 조립브라켓트가 설치된 제2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거푸집 시공시 타워크레인과 같은 공동시설물의 사용을 줄여 공동시설물의 사용을 억제함으로써 전체시공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벽체 거푸집을 작업 위치에 신속하게 인양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줌과 아울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건축물 시공층의 직하부층 구조물 강도와 상관없이 인양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 거푸집 시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Lifting-Rail Assembly for constructing Gangform}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거푸집 시공을 위한 인양 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 거푸집을 작업 위치에 신속하게 인양설치함과 아울러 직하부층 구조물의 강도와 상관없이 인양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 거푸집 시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된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각각의 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층의 내부작업을 위하여 여러 종류의 건축자재를 크레인과 같은 공동설비를 이용하여 상부층으로 인양하면서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거푸집등의 자재를 이용하여 바닥면과 기본 기둥을 형성하며 각층을 시공하고 이 후 비계, 동바리, 발판, 서포트등의 자재를 이용하여 각층의 벽면분할 및 덕트작업등과 같은 내부작업과 마감자재를 이용하여 건물의 마감작업을 진행한다.
여기서, 사용된 자재들은 윗층으로 인양하여 동일한 작업을 연속하여 진행하는데, 이때 자재의 인양은 통상적으로 타워크레인과 같은 공동으로 사용되는 건축시설을 이용하게 된다.
즉,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해당 층에는 벽체 거푸집을 구축하기 위한 각종 자재가 인양되어야 하는 바, 거푸집 패널 등과 같은 건축자재를 정리하여 인양장치에 올린 후, 상기 인양장치를 타워크레인과 같은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시공층으로 인양하고 하차시켜 그 자재를 사용하여 벽체 거푸집을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축공사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타워크레인과 같은 시설물의 사용비중이 높아짐으로 인하여 전체 건축공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는 공기의 지연에 의한 비용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건축 자재를 시공층에 인양하는 경우 그 인양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시공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고, 상기와 같이 시공층에 자재를 인양하는 경우 그 직하부층 구조물의 강도를 살펴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상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건축 자재 인양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벽체 거푸집을 작업 위치에 신속하게 인양설치함과 아울러 직하부층 구조물의 강도와 상관없이 인양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 거푸집 시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된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양되는 거푸집 패널에 연결되는 스타터와, 상기 스타터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의 하단부에 조립될 수 있도록 그 선단부에 조립브라켓트가 설치된 제2 레일을 포함하여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타터와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은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ㄷ'자 형강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은 그 내측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인양로드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타터의 하부에 레일 통과용 개구부 거푸집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레일은 그 내측에 스페이서 롤러장치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페이서 롤러장치는 건축물의 벽체에 접촉되어 레일의 인양을 가이드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수용하는 롤러 가이드 및, 상기 롤러 가이드를 상기 제1 레일에 고정되도록 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롤러의 배면에 롤러 위치조절용 볼트가 설치되어 롤러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에 의하면, 건축물의 거푸집 시공시 타워크레인과 같은 공동시설물의 사용을 줄여 공동시설물의 사용을 억제함으로써 전체시공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벽체 거푸집을 작업 위치에 신속하게 인양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줌과 아울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건축물 시공층의 직하부층 구조물 강도와 상관없이 인양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 거푸집 시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양 레일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 레일 조립체에 거푸집 패널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양 레일 조립체의 스타터에 레일 통과용 개구부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양 레일 조립체의 제1 레일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 레일 조립체의 제1 레일에 설치된 스페이서 롤러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가 거푸집 패널을 인양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1)는 크게 스타터(10)와 제1 레일(20) 및 제2 레일(30)로 이루어져 거푸집 패널(2)에 연결설치됨으로써 거푸집 패널(2)을 벽체의 시공층에 인양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의 스타터(10)는 시공층으로 인양되는 상기 거푸집 패널(2)과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제1 레일(20)은 상기 스타터(10)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 제2 레일(30)은 상기 제1 레일(20)의 하단부에 조립될 수 있도록 그 선단부에 조립브라켓트(31)가 설치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인양 레일 조립체(1)는 상기 스타터(10)를 거푸집 패널(2)에 연결한 다음, 상기 제1 레일(20)을 상기 스타터(10) 하단에 조립하고, 상기 제2 레일(30)의 조립브라켓트(31)를 상기 제1 레일(20)의 하단부에 삽입하여 체결수단으로 조립함으로써 제1 레일(20)에 제2 레일(30)을 조립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거푸집 패널(2)에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를 조립한 후,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의 하부에서 별도의 인양 추진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 패널(2)이 상승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거푸집 패널(2)을 시공층에 인양하여 벽체 거푸집 시공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를 구성하는 상기 스타터(10)와 제1 레일(20) 및 제2 레일(30)은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ㄷ'자 형강(10a, 20a, 30a)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레일(20)과 제2 레일(30)은 그 내측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인양로드(20b, 30b)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양로드(20b, 30b)는 인양유닛의 스트로크(stroke)를 고려하여 그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의 스타터(10) 구조를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스타터(10)는 2개의 'ㄷ'자 형강(10a)이 연결된 것으로 스타터(10)의 하부에 레일 통과용 개구부 거푸집(40)이 설치되며, 상기 스타터(10)는 강축/약축 방향으로의 횡력에 지지가 가능한 단면재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가 상방향으로 인양되어야 하는 때문에 건축물의 슬라브에 레일 통과용 개구부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는 상기 스타터(10)의 하부에 레일 통과용 개구부 거푸집(40)이 설치됨으로써 슬라브 작업시 개구부 거푸집(40)에 의해 슬라브에 레일 통과용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타터(10)는 거푸집 패널(2)에 부착되며 전도 및 횡변형에 저항하는 부재이고, 최초 시공시 거푸집의 임시 거치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제1 레일(20)과의 강접을 통하여 휨 모멘트와 축력을 전달하고, 상기 개구부 거푸집(40)을 통해 레일 통과용 개구부의 경제적인 시공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통과용 개구부 거푸집(40)은 코너부위의 응력집중 방지를 위한 곡면/헌치 처리되고, 탈형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으로 시공되며, 상기 개구부 거푸집(40) 접촉면의 재질은 고무, 코르크 등 변형을 허용하는 재질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의 제1 레일(20)을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레일(20)은 상기 스타터(10)와 연결되고, 건축물의 상부 슬라브 직하부에 볼팅되어 전후좌우 변형을 억제하며, 경화가 진행되지 않은 콘크리트 벽면과 레일과의 마찰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일(20)은 그 내측에 스페이서 롤러장치(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스페이서 롤러장치(50)를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스페이서 롤러장치(50)는 건축물의 벽체에 접촉되어 레일의 인양을 가이드하는 롤러(51)와, 상기 롤러(51)를 수용하는 롤러 가이드(52) 및, 상기 롤러 가이드(52)를 상기 제1 레일(20)에 고정되도록 하는 하우징(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51)의 배면에 롤러 위치조절용 볼트(54)가 설치되어 롤러(51)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여 상승시 레일과 벽체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1)를 이용하여 벽체(3)를 보강하는 구조의 경우, 건축물의 벽체 거푸집은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미세조정을 수행하면서 기 시공된 벽체(3)에 고정되는 바,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를 기 시공된 벽체(3)에 접촉 고정함으로써 시공하는 벽체(3)의 골조를 보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벽체 거푸집의 작용하중은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를 따라 아랫층으로 전이되고,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는 벽체(3)에 접촉되어 버트리스(부벽)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 거푸집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우선 최초의 시공층 상부에 올려진 상기 거푸집 패널(2)에 상기 스타터(10)를 연결하고, 상기 스타터(10) 하단에 상기 제1 레일(20)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레일(20) 하단에 상기 제2 레일(30)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 전체를 시공층으로 인양함으로써 상기 거푸집 패널(2)이 시공층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별도의 인양 추진수단을 통해 인양된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는 그 하부에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슬라브 바닥에 안정되게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기 시공된 벽체(3)에 상기 인양 레일 조립체(1)를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1)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 거푸집을 시공함으로써 거푸집 패널(2)을 빠른 인양이 가능하고, 거푸집 시공시 초기 셋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된 상태로 거푸집 패널(2)을 시공층으로 인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인양 레일 조립체 2 : 거푸집 패널
3 : 벽체 10 : 스타터
10a : 형강 20 : 제1 레일
20a : 형강 20b : 인양로드
30 : 제2 레일 30a : 형강
30b : 인양로드 31 : 조립브라켓트
40 : 개구부 거푸집 50 : 스페이서 롤러장치
51 : 롤러 52 : 롤러 가이드
53 : 하우징 54 : 롤러 위치조절용 볼트

Claims (7)

  1. 인양되는 거푸집 패널에 연결되는 스타터;와
    상기 스타터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의 하단부에 조립될 수 있도록 그 선단부에 조립브라켓트가 설치된 제2 레일;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와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은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ㄷ'자 형강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은 그 내측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인양로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의 하부에 레일 통과용 개구부 거푸집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은 그 내측에 스페이서 롤러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롤러장치는 건축물의 벽체에 접촉되어 레일의 인양을 가이드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수용하는 롤러 가이드 및, 상기 롤러 가이드를 상기 제1 레일에 고정되도록 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배면에 롤러 위치조절용 볼트가 설치되어 롤러의 전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KR1020110067483A 2011-07-07 2011-07-07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KR10130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83A KR101300911B1 (ko) 2011-07-07 2011-07-07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83A KR101300911B1 (ko) 2011-07-07 2011-07-07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42A true KR20130005842A (ko) 2013-01-16
KR101300911B1 KR101300911B1 (ko) 2013-08-27

Family

ID=4783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483A KR101300911B1 (ko) 2011-07-07 2011-07-07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9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28B1 (ko) 2018-05-24 2019-07-17 (주)샘스트로닉 무침 주사기
WO2020046046A1 (ko) * 2018-08-31 2020-03-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KR20210063914A (ko) * 2019-11-25 2021-06-0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00B1 (ko) * 2007-07-19 2008-05-26 미진정공(주) 갱폼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28B1 (ko) 2018-05-24 2019-07-17 (주)샘스트로닉 무침 주사기
WO2020046046A1 (ko) * 2018-08-31 2020-03-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KR20200025766A (ko) * 2018-08-31 2020-03-1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KR20210063914A (ko) * 2019-11-25 2021-06-0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911B1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15706B (zh) 提升电梯井道模系统及用于电梯井道现浇墙体施工的方法
KR200436856Y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CN106884541B (zh) 剪力墙内预留插筋的定位组件、定位装置及定位方法
JP201952600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床システム、および建築方法
KR101300911B1 (ko)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JP2007092313A (ja) Pc波形鋼板ウエブ箱桁の構築方法
KR101451877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US10494815B2 (en) Adjustable dap assembly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KR20100123231A (ko)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슬라이드형 보시공용 판넬
KR20110023039A (ko) 수직패널의 변위가 가능한 보 거푸집용 지지어셈블리
KR20110002260U (ko) 서포터의 사용성이 개선된 보 거푸집용 지지어셈블리
CN210195229U (zh) 一种装配式建筑桁架梁与可拆卸时木模板组合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20100004374U (ko)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JP2016044470A (ja) 仮設柱の設置方法
CN216340893U (zh) 一种预制叠合板支撑体系
KR101413726B1 (ko) 보 거푸집용 팀버 연결장치
RU131773U1 (ru) Опалубка для бетонирования перекрытия
KR102330671B1 (ko) 마그네틱이 결합된 멍에재를 갖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1071647B1 (ko) 재사용 지지앵글을 이용한 철골합성 거더
KR20100102574A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JP2008150820A (ja) 壁コンクリート、壁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壁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JP6381096B2 (ja) 建設用構造体、架台及びタービン発電機設備、並びに建設用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