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574A -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574A
KR20100102574A KR1020100085483A KR20100085483A KR20100102574A KR 20100102574 A KR20100102574 A KR 20100102574A KR 1020100085483 A KR1020100085483 A KR 1020100085483A KR 20100085483 A KR20100085483 A KR 20100085483A KR 20100102574 A KR20100102574 A KR 20100102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reinforcement
iron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300B1 (ko
Inventor
박해종
Original Assignee
박해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종 filed Critical 박해종
Priority to KR102010008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3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 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제조방법에 있어서, 철판(100)에 지지대(600)를 용접결합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600)에 보강대(200)를 결합편(300) 및 체결수단(400)을 사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 후 고철처리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제작을 표준화 하여 제작이 간단하며, 철판 보강대를 필요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위치 변경이 용이하므로 사용상 편리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PRODUCT METHOD OF PRE-FABRICATED MOLD}
본 발명은 건설 및 토목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것으로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271524호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건축 분야에서는 건축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 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거푸집은 축조하여야 할 건축물의 종류 및 높이에 따라 여러 형태의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의 프레임(2)과 앵글(3)은 철제로 제조되기 때문에 부식되는 문제점과 그 중량에 의한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2)에는 간격대 홈(2b)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프레임(2)의 테두리 면으로부터 돌출된 융기부(6)가 프레임(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프레임(2)의 전체 테두리를 따라서 요(凹)자 형(단면에서 보았을 때) 부분, 즉 도1에 도면 부호 5로 도시한 요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거푸집(1)을 연속 체결하게 되면 어느 한 거푸집의 프레임(2)의 요부(5)와 인접하는 다른 거푸집의 프레임(2)의 요부(5)가 서로 맞닿아서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위에서부터 그 공간 안으로 미경화 콘크리트(또는 생콘크리트)가 침입하여 경화되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간격대 홈(2b) 사이의 틈을 통해서도 상기 요부(2)에 의해 형성된 공간 안으로 미경화 콘크리트가 침입하여 경화된다. 특히, 건축 구조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거푸집의 2개의 간격대 홈(2b)이 형성하는 틈을 통해서 요부(5) 안으로 더 많은 생콘크리트가 침입해서 그곳에 더 많은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번호 20-043577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층아파트나 다층 건물과 같은 대형 건물의 외벽을 시공할 경우, 최근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및 단순화하여, 한 번에 설치 및 해체하는 시스템 거푸집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시스템 거푸집으로 갱폼과 유로폼(Euro Form)을 들 수 있다.
즉, 외벽의 내부 거푸집으로 유로폼을 적용하고, 외벽의 외부 거푸집으로 갱폼을 적용하여, 이들 사이에 배근공사를 함과 아울러, 이들을 폼 타이(Form Tie)와 같은 연결수단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연결한 다음, 상기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외벽을 시공하게 된다. 그리고, 외벽의 양생이 완료되면, 갱폼과 유로폼을 해체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갱폼은, 소정의 면적을 가진 철판과, 상기 철판을 저면을 보강하는 갱폼 프레임(Gang Fram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갱폼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 후크(Crane Hook), 작업자가 거푸집 외부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케이지(Cage),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대, 작업자가 상기 케이지의 공간을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작업발판 등이 갱폼의 외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갱폼의 예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583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갱폼은 일정 면적을 갖는 철판(1)과; 상기 철판(1)의 전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 고정되는 수 개의 제 1 보강봉(2)과; 2개가 한쌍이 되어 상기 제 1 보강봉(2)의 상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 고정되는 수 개의 제 2 보강봉(3)과; 상기 제 2 보강봉(3)의 상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용접 고정되는 수 개의 제 3 보강봉(4)으로 구성된 건축용 갱폼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강봉(3)의 일정 위치를 절단하여 긴측의 본체(10)와 짧은 측의 분리체(20)로 분리하되, 상기 본체(10) 측의 긴 제 2 보강봉(31) 절단 부위 저부의 철판(1)과 그 상면부에는 각각 제 2 보강봉 결합용 지그(5)와 제 3 보강봉(4)이 절반쯤 겹쳐지게 하여 용접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갱폼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면, 철판에 의하여 외벽면이 매끈하기 때문에 별도의 마감이 필요없고, 공사현장의 작업환경이 깨끗하며, 재래식 합판 거푸집 등에 의해 시공할 경우보다 시공이 빠르고 작업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예컨대 평철판을 갱폼에 적용하여 건물의 외벽을 시공할 경우, 건물의 외벽면이 평탄하게 나타나고, 또한 요철 철판을 갱폼에 적용하여 건물의 외벽을 시공할 경우에는, 건물의 외벽면에 상기 요철 철판에 형성된 요철리브(Rib)의 형상에 따른 단순한 줄무늬가 나타나게 되는데, 평탄한 외벽면을 가지는 건물이나 단순한 줄무늬가 나타나는 외벽을 가지는 건물의 경우, 미적 외관과 주위 환경과의 조화 등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그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인 실용신안 등록번호20-0342284호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과 각형파이프로 제작되는 갱폼은 건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외벽 즉, 전, 후, 좌, 우측 벽면 각각의 전체 폭에 맞추어 제작되어 집크레인(Jib crane)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상승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건축물의 외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구성함에 있어 내측 거푸집은 유로폼으로, 외측 거푸집은 갱폼으로 구성하여 외벽을 구축하는 건축공법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유로폼(1)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직사각 형상의 철판과 그 철판의 이면에 테두리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가 긴 양측 테두리의 외측에는 후렛타이(3)를 끼워줄 수 있는 끼움홈(11)이 하나 이상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사방의 테두리에는 웨지핀(12)을 끼워줄 수 있는 조립 구멍(13)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조립구멍은 후렛타이(3)가 끼워지는 끼움홈(11) 부위에 반드시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 우 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진 양측 유로폼(1)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11)으로 후렛타이(3)를 삽입시킨 다음 웨지핀(12)으로 양측 유로폼(1)과 그 사이에 삽입된 후렛타이(12)를 결속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상,하,좌,우로 연속해서 조립되는 각 유로폼(1)들은 사방 테두리에 형성된 조립구멍(13)을 통해 끼워지는 웨지핀에 의해 튼튼하게 결속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 갱폼(2)은 1.5~3mm 정도의 두께로 된 철판(21)과, 그 일측면에 다수개씩의 가로바(22)와 세로바(23)가 격자상으로 용접되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한 가로바 및 세로바는 갱폼(2)이 유로폼(1)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마주하고 있는 상태로 설치된 것을 기준할 때 유로폼(1)의 반대측 즉, 갱폼(2)의 외측면에 용접되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가로바(22)의 경우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각기 하나씩 용접되어 있으며, 세로바(23)의 경우에는 2개가 한쌍을 이루는 구조로서 다수쌍이 좌,우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용접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갱폼(2)에는 후렛타이(3)를 관통시킬 수 있는 원형구멍(24)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뚫어져 있는데, 상기한 원형구멍(24)들은 각 쌍을 이루고 있는 2개의 세로바(23)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갱폼(2)의 철판(21)과 각 쌍의 세로바(23) 사이에 후렛타이(3)의 단부를 체결 및 지지할 수 있는 체결부재(4)를 고정 설치하는 구조로서 유로폼(1)과 갱폼(2)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을 후렛타이(3)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갱폼에 있어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시키기 위한 철판은 대략 1.5~3mm 두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철판 일면(외측면)에 각형파이프로 된 가로목과 세로목을 격자상으로 용접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또한 철판에는 유로폼과의 체결을 위해 형성되는 구멍은 통상 드릴을 사용하여 뚫게 되므로 철판에 형성되는 구멍은 드릴의 단면적과 같은 형상인 원형으로 뚫어질 수밖에 없다. 그중 하나는 외벽용 및 합벽용 거푸집은 거푸집을 철판과 보강대로 형성하되, 철판에 보강대를 용접하여 전체를 제작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들은 대부분의 거푸집이 사용 후 재사용 빈도가 낮아 고철처리 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따라서 재사용률이 낮고, 제작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후 고철처리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제작을 표준화하여 제작이 간단하며, 철판 보강대를 필요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위치 변경이 용이하므로 사용상 편리한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 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제조방법에 있어서, 철판(100)에 지지대(600)를 용접결합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600)에 보강대(200)를 결합편(300) 및 체결수단(400)을 사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 후 고철처리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제작을 표준화 하여 제작이 간단하며, 철판 보강대를 필요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위치 변경이 용이하므로 사용상 편리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로폼 거푸집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갱폼 거푸집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갱폼 거푸집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거푸집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배면도
도 7은 도 4의 측면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식 거푸집의 사진
도 10은 본 발명 조립식 거푸집 제조공정도
본 발명은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 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제조방법에 있어서, 철판(100)에 지지대(600)를 용접결합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600)에 보강대(200)를 결합편(300) 및 체결수단(400)을 사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대(200) 2개마다 결합편(300) 1개를 결합하되, 결합편(300)의 중간부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체결수단(400)이 지지대(600)에 보강대(200)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400)을 이용한 체결방법은 볼트너트 결합 또는 핀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600) 및 보강대(200)는 롤포밍방법에 의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유로폼 거푸집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갱폼 거푸집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갱폼 거푸집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거푸집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배면도, 도 7은 도 4의 측면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식 거푸집의 사진, 도 10은 본 발명 조립식 거푸집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은 콘크리트면에 맞닿는 철판과, 상기 철판 뒷면에 결합되어 철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 뒷면에 결합되는 보강대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대는 철판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볼트너트, 핀 등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상기 보강대는 위에서 본 단면형상이 ‘
Figure pat00001
’이며, 철판 뒷면에 길게 배치되게 길이가 채널형상으로 롤포밍방법에 의해 길게 제작된 것이다. 롤포밍방법은 일렬로 나란히 순차적으로 배치된 여러 조의 성형 로울러에 연속으로 철판을 통과해서 순차로 요구하는 형상으로 성형가공을 함으로써 처음의 평판에서 요구하는 단면형상으로 점차적으로 완성하는 공정을 말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강대 역시 평판 철판을 여러 조의 성형 로울러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목적하는 ‘
Figure pat00002
’단면의 채널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롤포밍방법은 연속공정이므로 제조경비 및 시간이 절감되고, 치수의 정확성이 확보되며, 또한 철판을 냉간가공으로 연속적이고 점차적인 공정으로 성형하므로, 금속결정구조가 유지되어 완제품인 보강대가 견고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거푸집의 보강대 단면이 ‘
Figure pat00003
’이므로, 단면계수가 크며, 따라서 강성이 커서 잘 휘거나 변형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보강대 두 개를 지지대 뒷면에 결합편에 의해 평행으로 고정설치한다. 상기 보강대를 지지대에 고정하는 결합편은 그 위에서 본 단면이 ‘
Figure pat00004
’ 형상, ‘
Figure pat00005
’형상, ‘
Figure pat00006
’형상, 또는 ‘
Figure pat00007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강대를 지지대 뒷면에 볼트너트, 핀 등에 의해 결합시키므로 상기 결합편 및 두 개의 보강대가 각각 지지대에서 용이하게 지지 및 착탈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두 개의 보강대와 결합편을 지지대 상에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보강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강도상 요구되는 철판 상의 보강대의 정확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특히 ‘
Figure pat00008
’형상의 결합편은 양끝단이 지지대의 채널 홈속에 삽입함으로써 설사 체결수단인 볼트가 부러지거나 하더라도 결합편의 양끝단이 지지대의 채널 홈속에 결합되어 있어서 보강대를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지지대 역시 보강대와 마찬가지로 롤포밍 방법에 의해 ‘
Figure pat00009
’단면형상의 채널 형상으로 제작한다. 상기 지지대는 철판 뒷면에 용접하여 결합한다. 그러므로 결합편 상면에 볼트의 볼트머리부가 위치하고 지지대의 채널 홈에 너트가 위치하여 고정되거나, 결합편 상면에 너트가 위치하고 지지대의 채널 홈에 볼트의 볼트머리부가 위치하여 고정되거나, 너트가 양쪽에 있는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볼트 양쪽의 너트부가 각각 결합편 상면과 지지대의 채널 홈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대에 보강대를 결합시킨다. 너트에는 와셔를 사용하여 결합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는 결합편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지지대와 보강대를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지지대 단면형상은 강도보강을 위하여 가운데 힘살부를 형성한 것으로 ‘
Figure pat00010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대 뒷면에 보강대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지지대와 직각으로 결합함으로써, 지지대 및 보강대에 의한 강성이 크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철판 하부에 별도의 소위 까치발(500)을 설치하고, 상기 까치발에 지지대를 용접하고, 지지대에 보강대를 결합함으로써, 층고에 따라 순차적으로 갱폼 거푸집을 설치할 시, 까치발에 의해 수평, 수직을 맞추고 거푸집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 후 고철처리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제작을 표준화하여 제작이 간단하며, 철판 보강대를 필요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위치 변경이 용이하므로 사용상 편리하게 된다.
100 : 철판 200 : 보강대
300 : 결합편 400 : 체결수단
500 : 까치발 600 : 지지대

Claims (4)

  1.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 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제조방법에 있어서, 철판(100)에 지지대(600)를 용접결합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600)에 보강대(200)를 결합편(300) 및 체결수단(400)을 사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200) 2개 마다 결합편(300) 1개를 결합하되, 결합편(300)의 중간부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체결수단(400)이 지지대(600)에 보강대(200)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00)을 이용한 체결방법은 볼트너트 결합 또는 핀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600) 및 보강대(200)는 롤포밍방법에 의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KR1020100085483A 2010-09-01 2010-09-01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KR101202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483A KR101202300B1 (ko) 2010-09-01 2010-09-01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483A KR101202300B1 (ko) 2010-09-01 2010-09-01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574A true KR20100102574A (ko) 2010-09-24
KR101202300B1 KR101202300B1 (ko) 2012-11-16

Family

ID=4300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483A KR101202300B1 (ko) 2010-09-01 2010-09-01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458A (zh) * 2014-06-16 2014-10-08 宝鸡市第一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剪力墙企口钢大模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338B1 (ko) 2016-07-13 2017-02-28 영진정공 주식회사 레이저 가공시스템을 활용한 갱폼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5324U (ko) 1976-05-20 1977-11-25
KR200303750Y1 (ko) * 2002-11-07 2003-02-11 박상목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100971183B1 (ko) * 2009-03-09 2010-07-20 주식회사 거성산업 갱폼용 고정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458A (zh) * 2014-06-16 2014-10-08 宝鸡市第一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剪力墙企口钢大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300B1 (ko) 201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8118C (en) Spatial light steel frame concrete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RU2548627C2 (ru) Сталь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образной составной балки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20130043324A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DK2630306T3 (en) Assemblable disposable FOR CONSTRUCTION OF MODULAR formwork FOR PRODUCTION OF CONCRETE FOUNDATION
KR101420203B1 (ko)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1202300B1 (ko) 조립식 거푸집 제조방법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1346019B1 (ko) 휨성능이 향상된 강합성 보의 시공방법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100889338B1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KR101311207B1 (ko) 철골 철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WO2015051551A1 (zh) 一种建筑物及其施工方法
JP2015101873A (ja) スラブ内の型枠支持部材
KR100361047B1 (ko) 건축물 구축용 거푸집
KR101140627B1 (ko) 콘크리트 건물의 건축공법
KR20180012535A (ko) 각도조절용 타이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KR100557334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101705264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JP3174000U (ja) プレキャストしたスパン梁構造
KR200425809Y1 (ko) 메움부재를 구비한 슬라브용 골조시스템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JP2013057167A (ja) 補強スラブ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