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701U - 창문용 단열 시트 - Google Patents

창문용 단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701U
KR20130005701U KR2020120002277U KR20120002277U KR20130005701U KR 20130005701 U KR20130005701 U KR 20130005701U KR 2020120002277 U KR2020120002277 U KR 2020120002277U KR 20120002277 U KR20120002277 U KR 20120002277U KR 20130005701 U KR20130005701 U KR 201300057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indow
heat
resin
insula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창
윤경일
류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공
Priority to KR2020120002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701U/ko
Publication of KR201300057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7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553/02Shock absorbing
    • B32B2553/026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건물의 창문 유리에 부착되어 열손실을 차단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가 개시된다. 개시된 단열 시트는, 창문의 유리에 부착되는 제1 필름과, 제1 필름과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필름과,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다수의 격벽과,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의 격벽에 의해 다수의 터널 형상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양단이 개방된 공기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창문용 단열 시트{Insulating sheet for window}
본 고안은 단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의 유리에 부착되어 열손실을 차단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에는 보온,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설치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건물에 설치된 창문을 통한 열손실이 건물 전체 열손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건물의 창문에 대해서는 보온, 단열 처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창문을 통한 열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문의 유리 표면에 점착 필름을 부착하거나 커튼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창문의 유리 표면에 점착 필름을 부착하는 것만으로는 창문을 통해 손실되는 열에너지를 차단하는데 충분하지 않고, 커튼의 경우 단순히 햇빛 차단의 기능은 기대할 수 있지만, 열손실의 차단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창문의 유리 표면에 부착하여 열손실을 차단하는 단열 시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열 시트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두 장의 필름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칸막이 필름을 끼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물을 사용하여 창문의 유리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단열 시트에 있어서, 공기층은 두 장의 필름과 칸막이 필름에 의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밀폐된 공간 내에 형성된다. 즉, 종래의 단열 시트는 두 장의 필름 사이에 일명 '뽁뽁이'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층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단열 시트에 있어서는, '뽁뽁이" 형상의 공기층이 외부의 압력과 접촉 등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단열 효과의 저하와 함께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단열 시트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만들어져도 그 구조상 난반사가 심해 투명도가 많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단열 시트는 창문의 유리를 통한 시야를 어느 정도 차단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유용하지만, 투명도를 유지하여 시야를 확보하여야 할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층이 파손될 위험성이 없고 시야의 차단 정도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창문용 단열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의 창문 유리에 부착되어 열손실을 차단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유리에 부착되는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다수의 격벽; 및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다수의 격벽에 의해 다수의 터널 형상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양단이 개방된 공기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필름, 제2 필름 및 격벽은 투명하고 유연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필름에는 친수성의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화합물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발열재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발열재는 탄화지르코늄과 카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발열 필름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발열필름은 폴리에틸렌 수지에 발열재로서 적외선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탄화지르코늄과 카본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름의 외측 표면에는 투명한 원적외선 반사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반사막은 Au 박막, Ag 박막 또는 Cu 박막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 박막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에 의하면, 건물의 창문에 부착 설치되어 창문을 통한 열손실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종래에 비해 난반사가 적어서 높은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투명도를 유지하여 창문을 통한 시야를 확보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투명도를 낮추어 시야를 차단할 수도 있어서, 시야의 차단 정도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용도에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에 있어서는, 두 장의 필름 사이에 긴 터널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층이 형성되고, 다수의 공기층 각각의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거나 접촉이 있더라도 공기층이 파손되지 않아서, 공기층의 파손에 기인한 단열 효과의 저하와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트(100)는, 창문의 유리에 부착되어 열손실을 차단하는 것으로, 두 장의 필름(110, 120)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14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장의 필름(110, 120)은 투명하고 유연한 판 형상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장의 필름(110, 120) 중 제1 필름(110)은 창문의 유리(10) 표면에 부착되고, 제2 필름(120)은 건물의 실내측에 위치하며, 제1 필름(110)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필름(110)과 제2 필름(120) 사이에는 다수의 격벽(130)이 형성되어 제1 필름과(110)과 제2 필름(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 상기 공기층(140)을 형성한다. 상기 다수의 격벽(130)도 투명하고 유연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격벽(130)은 제1 필름(110)과 제2 필름(120) 사이에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다수의 격벽(130)은 열융착에 의해 제1 필름(110)과 제2 필름(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층(140)은 제1 필름(110)과 제2 필름(1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격벽(130)에 의해 다수로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격벽(130)에 의해 구획된 공기층(140) 각각은 긴 터널 형상을 가지게 되고, 그 각각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100)는, 건물의 창문 유리(10)에 부착 설치되어 창문을 통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기본적인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100)는, 두 장의 필름(110, 120) 사이에 일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격벽(130)에 의해 구획된 터널 형상의 공기층(140)이 형성된 단순한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에 비해 난반사가 적어서 높은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도를 유지하여 창문을 통한 시야를 확보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투명도를 낮추어 시야를 차단할 수도 있다. 즉, 시야의 차단 정도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용도에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100)에 있어서는, 두 장의 필름(110, 120) 사이에 긴 터널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층(140)이 형성되고, 다수의 공기층(140) 각각의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거나 접촉이 있더라도 공기층(140)이 파손되지 않으므로, 공기층(140)의 파손에 기인한 단열 효과의 저하와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단열 시트(100)의 구성요소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필름(110), 제2 필름(120) 및 격벽(130)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로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친수성을 가지며 유연하고 투명한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가 적합하며,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가 바람직하다.
특히, 창문의 유리(10) 표면에 부착되는 제1 필름(110)에 있어서는, 창문 유리(10)에 대한 부착성을 더 높이기 위해, 폴리에틸렌 합성수지에 친수성의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화합물을 대략 2 ~ 10wt%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필름(110)에 친수성의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화합물을 첨가하면, 제 1필름(110)의 젖음성이 더욱 좋아져서 물에 의해 용이하게 유리(10)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 부착 시간도 보다 오래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필름(110)과 제2 필름(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발열재가 첨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필름(110)에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화합물이 첨가된 경우에는, 상기 발열재는 제2 필름(120)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발열재로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탄화지르코늄(ZrC)이나 카본(C) 또는 이들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필름(110) 또는 제2 필름(120)에 발열재를 첨가함으로써, 단열 시트(100) 자체가 적외선을 흡수하여 발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창문 유리(10)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며 단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발열재의 첨가량이 많으면 광투과율은 낮아지고 첨가량이 적을수록 광투과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발열재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단열 시트(110) 전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필름(110) 또는 제2 필름(120)에 발열재를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발열재가 함유된 별도의 필름을 준비한 후, 그 필름을 제1 필름(110) 또는 제2 필름(110)의 표면에 접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단열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트(100)는, 제2 필름(120)의 외측 표면, 즉 실내측 표면에 접착된 발열 필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 필름(150)은 제2 필름(120)의 내측 표면이나 제1 필름(110)의 내측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필름(150)은 폴리올레핀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 수지에 발열재로서 적외선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탄화지르코늄(ZrC)이나 카본(C) 또는 이들을 함께 첨가한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열 시트(100) 자체가 적외선을 흡수하여 발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창문 유리(10)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며 단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시트(100)는, 제2 필름(120)의 외측 표면, 즉 실내측 표면에 형성된 투명한 원적외선 반사막(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반사막(160)으로는 Au 박막, Ag 박막 또는 Cu 박막 등의 금속 박막이 사용될 수 있으나, 투명성 및 원적외선 영역에 대한 반사 성능이 우수한 Ag 박막이 바람직하다. 상기 Ag 박막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원적외선에 대한 반사능은 높아지지만, 그 대신 투명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Ag 박막은 원적외선에 대한 반사능을 위해 5nm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20n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두께 범위 내에서 Ag 박막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단열 시트(100) 전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 시트(100)의 실내측 표면에 원적외선 반사막(160)이 구비됨으로써, 실내측의 열을 실내쪽으로 반사할 수 있으므로, 창문을 통한 열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단열 시트(100)의 제2 필름(120)의 외측 표면에 발열 필름(150)과 원적외선 반사막(160)이 모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중에서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창문용 단열 시트 110...제1 필름
120...제2 필름 130...격벽
140...공기층 150...발열 필름
160...원적외선 반사막

Claims (6)

  1. 건물의 창문 유리에 부착되어 열손실을 차단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유리에 부착되는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다수의 격벽; 및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다수의 격벽에 의해 다수의 터널 형상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양단이 개방된 공기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제2 필름 및 격벽은 투명하고 유연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imide) 수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이며, 상기 제1 필름에는 친수성의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화합물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발열재가 첨가되고, 상기 발열재는 탄화지르코늄과 카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과 제2 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발열 필름이 접착되고, 상기 발열필름은 폴리에틸렌 수지에 발열재로서 적외선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탄화지르코늄과 카본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외측 표면에는 투명한 원적외선 반사막이 형성되고, 상기 원적외선 반사막은 Au 박막, Ag 박막 또는 Cu 박막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단열 시트.
KR2020120002277U 2012-03-21 2012-03-21 창문용 단열 시트 KR201300057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77U KR20130005701U (ko) 2012-03-21 2012-03-21 창문용 단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77U KR20130005701U (ko) 2012-03-21 2012-03-21 창문용 단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01U true KR20130005701U (ko) 2013-10-01

Family

ID=5243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277U KR20130005701U (ko) 2012-03-21 2012-03-21 창문용 단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70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386A (ko) 2014-06-03 2015-12-11 문형근 다용도 시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386A (ko) 2014-06-03 2015-12-11 문형근 다용도 시트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3977C1 (ru) Простав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золяцион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AU601425B2 (en) Thermal wall element
JP5327923B2 (ja) デザイン層を備えた建物一体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0536704A (ja) 窓、ドア及びそれらのためのガラス組立体
KR102087127B1 (ko)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JP2010138659A (ja) 窓貼りシート
JP2009102182A (ja) 光制御ガラス
JP2006063662A (ja) 遮蔽部材
KR20130005701U (ko) 창문용 단열 시트
US9458662B2 (en) Energy-efficient fenestration assemblies
KR200489358Y1 (ko) 단열, 방음용 안전유리
US6351914B1 (en) Light-transmitting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
ES2528332T3 (es) Material de revestimiento de edificios aislante térmico y, preferentemente, también aislante acústico
US10632708B2 (en) Insulating film
KR101616496B1 (ko) 건축물의 다기능 보온단열재가 부착된 패널
US20180274292A1 (en) Solar Radiation Reflective and Infrared Radiation Emissive and Reflective Window Blinds
US20100006089A1 (en) Film element
KR20220074101A (ko) 수동 복사 냉각 필름 및 그의 용도
JP2009091818A (ja) 窓構造体
KR101021849B1 (ko) 이중 간봉구조가 구비된 3중 복층 유리
WO2005001214A1 (fr) Panneau transparent d'isolation thermique et de conservation de chaleur
KR101460887B1 (ko) 반사단열부재
US4138990A (en) Fibrous wall material for cell structures of solar energy collectors
JP5637238B2 (ja) 光制御シート及び建物
TWI625455B (zh) 多功能保溫片及架設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