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127B1 -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 Google Patents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127B1
KR102087127B1 KR1020190111295A KR20190111295A KR102087127B1 KR 102087127 B1 KR102087127 B1 KR 102087127B1 KR 1020190111295 A KR1020190111295 A KR 1020190111295A KR 20190111295 A KR20190111295 A KR 20190111295A KR 102087127 B1 KR102087127 B1 KR 10208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layer
solar panel
tedlar
flexibility
t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봉
김철호
김태일
배진용
Original Assignee
(주)동신폴리켐
세종인터내셔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신폴리켐, 세종인터내셔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동신폴리켐
Priority to KR102019011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패널에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구조를 적층하여 내구성, 시공성, 안전성, 심미성을 높이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Solar panel with protective layer having the flexibility and toughness }
본 발명은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패널에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구조를 적층하여 내구성, 시공성, 안전성, 심미성을 높이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패널은 학문적으로 재료, 형태, 원리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재료에 따라서는 크게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화합물계 태양전지 그리고 유기물계 태양전지로 나누어지며, 형태에 따라서 결정형, 박막형, 그리고 적층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리에 따른 구분은 반도체의 pn접합으로 만든 반도체접합형과 염료감응형과 같은 광전기화학형으로 구분된다.
태양광 패널은 건물 외벽 또는 지붕 등 태양이 직접 내려 쬐는 외부 시설에 설치됨으로써 그 효율이 증대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외부환경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으로서, 종래에는 작은 선팽창계수, 우수한 가스 배리어성, 높은 광투과도, 높은 평탄도, 뛰어난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는 유리 기판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유리 기판은 충격에 약하여 잘 깨지고, 밀도가 높아서 무거우며,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의 설계 및 시공에 혐오감을 주는 단점이 있어, 상기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기판으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태양광 패널 보호필름으로 사용된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기판으로 대체할 경우, 태양광 패널 전체 무게가 가벼워지고 디자인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충격에 강하며 연속 공정으로 제조할 경우 유리 기판에 비해 경제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태양광 패널용 보호필름으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태양광 패널의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산소와 수증기 차단 특성, 자외선 안정성, 공정 온도 변화에 따른 기판의 뒤틀림 방지를 위한 작은 선팽창계수와 치수 안정성, 기존의 유리 기판에 사용되는 공정 기기와 호환성을 가지는 높은 기계적 강도, 에칭 공정에 견딜 수 있는 내화학성 또는 높은 광투과도 및 적은 복굴절률, 표면의 내스크레치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며, 특히 산소와 수증기 차단 특성, 자외선 안정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고기능성 폴리머 기재 필름(폴리머 필름과 폴리머-무기물 복합 필름 포함)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여러 층의 기능성 폴리머 기재 필름을 라미네이팅하여 상기 물성을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특히 BIPV System의 경우 불투명유리 형태, 단열재와 결합된 외장재의 형태, 지붕과 결합된 마감재의 형태, 블라인드 형태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BIPV System의 가장 큰 단점은 개보수가 어렵고 발전효율이 낮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창문형 태양광 패널의 경우 일반적인 태양광 패널보다 발전효율이 낮으며 창문파손 시 태양광 발전시스템 또한 함께 폐기를 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굴곡되어도 태양광 패널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보호필름의 성능저하를 방지하여 효율 및 수명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을 제공할 필요가 생겼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23019호 한국등록특허 제111271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35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태양광 패널 상부의 보호필름인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과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구조 등을 굴곡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적절히 복수개 적층함으로써 태양광 패널을 보호함과 동시에 심미성, 강인성, 경량성, 흡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에 적층되는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에 적층되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타면과, 폴리카보네이트 일면과 태양광 패널 사이와, 상기 태양광 패널과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가 삽입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일면과 태양광 패널 사이와, 상기 태양광 패널과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가 삽입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타면에 알루미늄 포일이 부착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일면과 태양광 패널 사이와, 상기 태양광 패널과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가 삽입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와 태양광 패널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가 삽입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타면에 알루미늄 포일이 부착된다.
상기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의해 제공된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충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소모하는 직류 부하;가 연결된다.
상기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의해 제공된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직류를 전송받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 연결되어 변환된 교류를 공급받아 소모하는 교류 부하;가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로부터 직류를 전송받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 연결되어 변환된 교류를 공급받아 소모하는 교류 부하;가 더 연결된다.
상기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의해 제공된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직류를 전송받아 교류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상기 인버터에 연결되어 변환된 교류를 공급받아 소모하는 교류 부하; 상기 배터리로부터 직류를 전송받아 다른 전압의 직류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에 연결되어 충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소모하는 직류 부하;가 연결된다.
상기 태양광 패널(20)은 모노 크리스탈 구조 또는 폴리 크리스탈 구조이다.
상기 제1보호층 또는 제2보호층은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으로 치환된다.
상기 제3보호층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이노머(inomer),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및 폴리 비닐 부티랄(PVB) 중에서 선택된 보호층으로 치환된다.
상기 제3보호층은,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으로 치환된다.
상기 제4보호층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으로 치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기존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의 내구성, 강인성, 유연성 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을 생산하기 위한 에너지 총 소요량이 유리대비 8~10% 만 소요되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태양광 패널 대비 다양한 색상을 사용할 수 있어 심미성이 있고, 복수개의 필름을 필요에 의해 선택하여 적층시킬 수 있어 생산성, 경제성, 시공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심미성이 있고, 강인성 및 유연성이 뛰어나 건축물 외장, 자동차 등의 유리창에 적용하여 외관을 형성하면서 태양광 전력까지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종류를 15가지로 나누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노 크리스탈 구조 및 폴리 크리스탈 구조를 갖는 태양광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강도를 측정한 실험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a, b는 본 발명의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차량 또는 건축물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은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사용예(LED 사용)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사용예(교류 부하 사용)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c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사용예(배터리를 이용한 엘이디와 인버터를 이용한 교류 부하 이용)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의 사용예(DC/AC, DC/DC를 통해 교류 부하와 직류 부하 이용)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곡성 폴리카보네이트(10)는 투명도, 색상, 엠보 방식 등에 의해 투명(10-1), 연그린, 브라운, 유백, 청색, 회색, 청그린, 은색, 투명안개엠보(10-15) 등으로 나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20)은 모노 크리스탈(Mono crystalline)과 폴리 크리스탈(Poly crystalline)로 나뉘며, 입사된 태양광의 전체 파장영역을 흡수하기 위하여, 중간층은 특정 파장대를 투과시키거나 반사시켜 에너지를 모으고 굴곡성을 가진다.
모노 크리스탈은 가격이 비싸지만 효율성이 좋고, 내구성이 좋다. 그리고 폴리 크리스탈의 경우 가격은 싸지만 효율성이 나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폴리카보네이트(10), 태양광 패널(20),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ETFE; 30),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40), 알루미늄 포일(50) 중 하나 이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1실시예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100-1)은 폴리카보네이트(10) 상측부에 태양광 패널(20)을 부착하고, 태양광 패널(20)의 상측부에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을 부착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20)을 폴리카보네이트(10)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이 양측에서 보호해주는 형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는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유일하게 투명성을 지니고 있으며, 내충격성, 내열성, 타 수지와의 상용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태양광 패널(20)을 덮는 폴리카보네이트(10)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에 벌집 구조 세공을 적용하여 구조상의 빈 공간을 줄여 재료를 절감시키고, 벌집 구조의 특성상 기존보다 높은 내구도 및 강도를 유지하며, 돔형 구조에서 일어나는 광산란을 통해 빛 반사를 줄이고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은 사용자가 특정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ETFE Film)을 선택 및 프린트 기능을 활용하여 특정 장소에 가장 알맞도록 광투과량 조절이 가능하고 매우 유연하여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10)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 필름으로 다양한 색상을 사용할 수 있어 심미성이 있고, 최소개의 필름을 선택하여 적층함으로서 경제성, 시공성 등이 뛰어나다.
제2실시예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100-2)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의 타면과, 폴리카보네이트(10) 일면과 태양광 패널(20) 사이와, 상기 태양광 패널(20)과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가 삽입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의 일면과 타면은 내열성, 내한성, 내후성으로 넓은 온도 범위에서 견디는 재료이며, 자기소화성(난연)의 특성으로 불길이 발생해도 번지지 않고 꺼지는 특성이 있고, 일반 유리에 비해 중량이 거의 절반으로 가벼워 시공이 수월하며 유연성이 뛰어나다.
상기 태양광 패널(20)의 중간층은 투명도전물질, 예를 들면 산화아연(Zinc oxide)에 알루미늄(Al) 또는 갈륨(Ga)을 도핑하여 사용한다. 산화아연에 도핑된 알루미늄 또는 갈륨의 도핑농도에 따라 투과 및 산란하는 파장대역이 다르게 된다.
상기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은 유리의 한계를 극복한 초경량 친환경소재로 비닐 소재의 특성상 매우 가볍고, 유연하고, 일광 투사율이 높으며 내구성과 녹는점이 높고 일광 투과율이 높아 조명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이며,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한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은 태양광 패널의 수명을 길게 유지하기 위한 필수소재로 태양전지 셀의 전 후면에 위치하여 태양전지 셀의 파손을 막는 완충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가 폴리카보네이트(10)의 타면과, 폴리카보네이트(10) 일면과 태양광 패널(20) 사이와, 상기 태양광 패널(20)과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 사이에 삽입되어 자기소화성(난연)의 특성으로 불길이 발생해도 번지지 않고 꺼지는 특성이 발현되도록 보호하고, 태양전지 셀의 파손을 막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100-3)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 일면과 태양광 패널(20) 사이와, 상기 태양광 패널(20)과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가 삽입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의 타면에 알루미늄 포일(50)이 부착된다.
상기 태양광 패널(20)의 산화아연에 도핑된 알루미늄(Al) 또는 갈륨(Ga)의 농도가 낮을수록 장파장 대역의 빛을 투과하고, 알루미늄(Al) 또는 갈륨(Ga)의 농도가 높을수록 단파장 대역의 빛을 투과한다.
상기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은 기본적으로 비닐소재이기 때문에 매우 가볍다. 유리에 비해 하부 철골 및 골조의 부담을 덜어주면서 270ㅀC의 용융점에서 용융되어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은 매우 가볍고 유연하여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며 초경량이라 하부 철골 및 골조의 부담을 덜어준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은 VA(Vinyle Acetate)의 함량에 따라 그 특성이 많이 다른데,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20) 용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는 VA의 함량이 약 28~33% 가량이며, -(CH2-CH2)6.14-(CH2-CHA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알루미늄 포일(50)은 태양광을 재귀반사시켜 태양광 패널(20)로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태양광 패널(20)의 장파장 대역의 빛과, 알루미늄(Al) 또는 갈륨(Ga)의 농도에 따른 단파장 대역의 투과된 빛을 다시 반사시킬 수 있다.
또는 알루미늄 포일(50)은 대략 0.4 mm의 두께로도 열전도율이 다른 금속 보다 좋아 열전도층을 형성하여 태양광 패널(20)의 고온화를 차단하여 안정화시키고 완충역할도 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100-4)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 일면과 태양광 패널(20) 사이와, 상기 태양광 패널(20)과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가 삽입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는 뛰어난 내충격성으로 유리의 250배의 충격강도를 가지며, 유리처럼 맑고 투명하여 82-92%의 빛을 투과시키며, 안료 첨가 등의 방법으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여 및 투과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20)은 모노 크리스탈(Mono crystalline)과 폴리 크리스탈(Poly crystalline)로 나뉘며, 입사된 태양광의 전체 파장영역을 흡수하기 위하여, 중간층은 특정 파장대를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키는 성질을 가진다.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은 화학적 손상 및 거친 바람에도 잘 견딜 만큼 내구성이 강하고 2~3중 구조로 사용될 경우 내부의 중요한 단열재 역할을 해준다.
또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은 태양광 패널(20)의 양측에 붙어 일체화되는 것으로, 습기 침투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태양전지 패널(20)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노 크리스탈 또는 폴리 크리스탈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패널(20)이 충격을 받을 경우 양측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가 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과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20)과 융복합한 제품으로써, 유연성, 내구성, 내후성에 적합하여 곡면시공이 용이하고 화재에 안전한 태양광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100-5)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의 하측부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와 태양광 패널(20)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은 태양광 패널의 수명을 길게 유지하기 위한 필수소재로 태양전지 셀의 전 후면에 위치하여 태양전지 셀의 파손을 막는 완충재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10)와 태양광 패널(20) 사이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을 삽입하여 폴리카보네이트(10)의 심미성과 태양전지 셀의 파손을 막는 내구성을 동시에 살릴 수 있다.
제6실시예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100-6)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의 타면에 알루미늄 포일(50)이 부착된다.
상기 알루미늄 포일(50)은 태양광을 재귀반사시켜 태양광 패널(20)로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알루미늄 포일(50)은 열전도율이 다른 금속 보다 좋아 열전도층을 형성하여 태양광 패널(20)의 고온화를 차단하여 안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포일(50)의 재귀반사되는 태양광을 용이하게 이용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20) 셀의 전면에 다각형 구조(예 : 벌집 구조)의 패턴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패턴의 밀집화를 통해 전자의 수집 거리를 최소화하여 효율을 개선시킨 태양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 설명하는 재료는 상기 태양광 패널(20)과 일체로 또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6과 같이 또는 단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이노머(inomer),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및 폴리 비닐 부티랄(PVB)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20)은 모노 크리스탈 또는 폴리 크리스탈 구조로서,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 대신 100g/㎡/day 이상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 대신 20g/㎡/day 내지 50g/㎡/day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 밀봉재로는 10g/㎡/day 이하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새로 적용되는 이노머(inomer)는 1g/㎡/day 이하의 수분 투과율(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을 갖고, 폴리올레핀(polyolefin)은 5g/㎡/day 이하의 수분 투과율을 가지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는 대략 20g/㎡/day 내지 40g/㎡/day의 수분 투과율을 갖고, 폴리 비닐 부티랄(PVB)은 30g/㎡/day 내지 50g/㎡/day의 수분 투과율을 가지며,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은 150g/㎡/day 이상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다.
상기 태양광 패널(20)의 후면 시트로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노 크리스탈 또는 폴리 크리스탈 구조의 태양광 패널(20)의 후방측은 테드라/폴리에스테르/EVA(Tedlar/Polyester/EVA,"TPE")를 포함하고, TPE에서, 테드라는 환경에 대해 보호하는 최외곽층이고, 폴리에스테르는 추가적인 전기 분리를 제공하며, EVA는 인캡슐런트로 링크된 얇은 층이다.
또한 모노 크리스탈 구조 또는 폴리 크리스탈 구조의 태양광 패널(20)의 후방 시트로 이용하기 위한 TPE의 대안은 예를 들면, 테드라/폴리에스테르/테드라("TPT")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노 크리스탈 또는 폴리 크리탈 구조의 태양광 패널(20)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폴리 비닐 부티랄(PVB),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이노머(inomer) 중에서 선택된 재료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 대신 100g/㎡/day 이상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20g/㎡/day 내지 50g/㎡/day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 밀봉재로는 10g/㎡/day 이하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polyolefin),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는,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알루미늄 포일(50) 대신 100g/㎡/day 이상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20g/㎡/day 내지 50g/㎡/day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 밀봉재로는 10g/㎡/day 이하의 수분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polyolefin),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는,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10);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에 적층되는 태양광 패널(20); 상기 태양광 패널(20)에 적층되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은 적어도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세테이트 수지, 캐스팅 수지,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함유할 수도 있다.
적용예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100)에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150)를 통해 연결된 충전기(200)와 다시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250)를 통해 연결된 배터리(300)의 연결된 스위치(340)가 온(on)되면 엘이디(502)가 작동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100)에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150)를 통해 연결된 충전기(200)와 다시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250)를 통해 연결된 배터리(300)와 상기 배터리(300)의 직류(DC)를 전송받아 교류(DC)로 변환하는 인버터(401)에 교류 부하(501)가 연결되어 사용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100)에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150)를 통해 연결된 충전기(200)와 다시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250)를 통해 연결된 배터리(300)와 상기 배터리(300)의 직류를 전송받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401)를 통해 교류 부하(501)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300)에 연결된 스위치(340)가 온 상태가 되면 작동하는 엘이디(502)가 연결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100)과 충전기(200)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300)의 직류를 전송받아 교류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컨버터(401)와 직류를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거나, 안정화하기 위해 직류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컨버터(402)에 각각 교류 부하(501)와 직류 부하(502)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 태양광 패널(20),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 알루미늄 포일(50) 등의 접착 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내열성능 및 방열성능을 갖는 아크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도입하여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 태양광 패널(20),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을 부착시켜 접착층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접착제는 열전도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포일 등과 같은 소재와 접착력이 우수하여 견고한 접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자외선(UV)에 대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하드코팅과 자외선(UV) 차단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 실시예의 제1보호층 또는 제2보호층은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으로 치환된다.
상기 제2 내지 제5 실시예의 제3보호층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이노머(inomer),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및 폴리 비닐 부티랄(PVB) 중에서 선택된 보호층으로 치환된다.
상기 제2 내지 제5 실시예의 제3보호층은,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으로 치환된다.
상기 제3 실시예와 제6 실시예의 제4보호층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으로 치환된다.
10 : 폴리카보네이트
20 : 태양광 패널
30 :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40 :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50 : 알루미늄 포일
100 :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150, 250 :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
200 : 충전기
300 : 배터리
401 : 인버터, 교류/직류 컨버터
402 : 직류/직류 컨버터
501 : 교류 부하
502 : 직류 부하

Claims (15)

  1. 폴리카보네이트(10)를 포함하는 제1보호층;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에 적층되는 태양광 패널(20);
    상기 태양광 패널(20)에 적층되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을 포함하는 제2보호층;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 일면과 태양광 패널(20) 사이에 삽입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를 포함하는 제3-1보호층;
    상기 태양광 패널(20)과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 사이에 삽입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를 포함하는 제3-2보호층;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의 타면에 적층되는 알루미늄 포일(50), 폴리올레핀(polyolefin),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중 하나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제4보호층;을 포함하되,
    상기 태양광 패널(20)을 덮는 폴리카보네이트(10)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에 벌집 구조 세공을 적용하여 구조상의 빈 공간을 줄이고, 상기 벌집 구조에 따라 일정치의 내구도 및 강도를 유지하며, 돔형 구조에서 일어나는 광산란을 통해 빛 반사를 줄이고 흡수율이 일정치로 상승되며,
    상기 알루미늄 포일(50)의 재귀반사되는 태양광을 용이하게 이용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20) 셀의 전면에 벌집 구조를 포함하는 다각형 구조의 패턴을 형성하여, 패턴의 밀집화를 통해 전자의 수집 거리를 일정치로 하고,
    상기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은 사용자가 특정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ETFE Film)을 선택 및 프린트 기능을 활용하여 특정 장소에 따라 광투과량을 조절하고 유연성이 있어 복수개의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20)의 산화아연에 도핑된 알루미늄(Al) 또는 갈륨(Ga)의 농도가 일정치 이하로 하여 장파장 대역의 빛을 투과하거나, 알루미늄(Al) 또는 갈륨(Ga)의 농도를 일정치로 하여 단파장 대역의 빛을 투과하도록 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10)는 내충격성으로 82% 내지 92%의 빛을 투과시키기 위해 안료 첨가의 방법으로 복수개 색상을 구현하거나, 투과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과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특성을 이용하여 유연성, 내구성, 내후성에 적합하여 곡면시공이 용이하고,
    상기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은 화학적 손상 및 일정치의 풍량을 갖는 바람에 대한 내구성이 있고, 2~3중 구조로 단열재 역할을 하며,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40)은 전체 100중량부에서 VA의 함량이 28~33중량부이며, -(CH2-CH2)6.14-(CH2-CHAc)-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1보호층 또는 제3-2보호층은 폴리카보네이트(10)의 타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보호층은 폴리카보네이트(10) 일면과 태양광 패널(20) 사이와, 상기 태양광 패널(20)과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30)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1보호층 또는 제3-2보호층은 폴리 비닐 부티랄(PV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1보호층 또는 제3-2보호층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또는 이노머(inom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보호층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의해 제공된 전력을 배터리(300)에 충전시키는 충전기(200);
    상기 충전기(200)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충전되는 배터리(300);
    상기 배터리(300)에 연결되어 충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소모하는 직류 부하(50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의해 제공된 전력을 배터리(300)에 충전시키는 충전기(200);
    상기 충전기(200)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충전되는 배터리(300);
    상기 배터리(300)로부터 직류를 전송받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401);
    상기 인버터(401)에 연결되어 변환된 교류를 공급받아 소모하는 교류 부하(501);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300)로부터 직류를 전송받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401);
    상기 인버터(401)에 연결되어 변환된 교류를 공급받아 소모하는 교류 부하(501);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에 의해 제공된 전력을 배터리(300)에 충전시키는 충전기(200);
    상기 충전기(200)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충전되는 배터리(300);
    상기 배터리(300)로부터 직류를 전송받아 교류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컨버터(401);
    상기 교류/직류 컨버터(401)에 연결되어 변환된 교류를 공급받아 소모하는 교류 부하(501);
    상기 배터리(300)로부터 직류를 전송받아 다른 전압의 직류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컨버터(402);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402)에 연결되어 충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소모하는 직류 부하(50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20)은 모노 크리스탈 구조 또는 폴리 크리스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 또는 제2보호층은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13.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1보호층 또는 제3-2보호층은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14.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1보호층 또는 제3-2보호층은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15.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보호층은 폴리 비닐 부티랄(PVB),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 티피티(TPT; Tedlar/PET/Tedlar), 티피이(TPE; Tedlar/PET/EVA), 티에이티(TAT; Tedlar/Al foil/Tedlar), 티피에이티(TPAT; Tedlar/PET/Al foil/Tedalr), 티피오티(TPOT; Tedlar/PET/Oxide/Tedlar), 페이에피(PAP; PEN/Al foil/PET) 또는 피이티(Polyester) 중 하나의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KR1020190111295A 2019-09-09 2019-09-09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KR10208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95A KR102087127B1 (ko) 2019-09-09 2019-09-09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95A KR102087127B1 (ko) 2019-09-09 2019-09-09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127B1 true KR102087127B1 (ko) 2020-03-10

Family

ID=6980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295A KR102087127B1 (ko) 2019-09-09 2019-09-09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1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199B1 (ko) * 2020-10-30 2022-02-28 주식회사 영농과학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온실 하우스
KR20220023036A (ko) * 2020-08-20 2022-03-02 세종인터내셔널주식회사 다양한 패턴의 유리 표면 기술을 적용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패널
KR20220149274A (ko) * 2021-04-30 2022-11-08 이세현 저온 저압 큐어링 공정을 이용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모듈
KR20240048222A (ko) 2022-10-06 2024-04-15 알파시스템창호(주) 내화 성능을 갖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모듈용 창틀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573A (ko) 2007-07-03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외장용 태양전지 모듈
JP2010074057A (ja) * 2008-09-22 2010-04-02 Toppa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裏面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112712B1 (ko) 2010-09-27 2012-02-22 김민혁 태양광 반사층을 구비한 태양광발전용 모듈
JP2014045162A (ja) * 2012-08-24 2014-03-13 Du Pont Kk 金属支持体を有す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70127245A (ko) * 2016-05-11 2017-11-21 그레이스이엔지(주) 가정용 이동가능 다목적 태양광 충전장치
KR20190023019A (ko) 2017-08-25 2019-03-07 쏠라테크(주) 저온 저압 큐어링 공정을 이용한 경량 비아이피브이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573A (ko) 2007-07-03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외장용 태양전지 모듈
JP2010074057A (ja) * 2008-09-22 2010-04-02 Toppa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裏面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112712B1 (ko) 2010-09-27 2012-02-22 김민혁 태양광 반사층을 구비한 태양광발전용 모듈
JP2014045162A (ja) * 2012-08-24 2014-03-13 Du Pont Kk 金属支持体を有す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70127245A (ko) * 2016-05-11 2017-11-21 그레이스이엔지(주) 가정용 이동가능 다목적 태양광 충전장치
KR20190023019A (ko) 2017-08-25 2019-03-07 쏠라테크(주) 저온 저압 큐어링 공정을 이용한 경량 비아이피브이 모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36A (ko) * 2020-08-20 2022-03-02 세종인터내셔널주식회사 다양한 패턴의 유리 표면 기술을 적용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패널
KR102515867B1 (ko) * 2020-08-20 2023-03-30 세종인터내셔널주식회사 다양한 패턴의 유리 표면 기술을 적용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패널
KR102368199B1 (ko) * 2020-10-30 2022-02-28 주식회사 영농과학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온실 하우스
KR20220149274A (ko) * 2021-04-30 2022-11-08 이세현 저온 저압 큐어링 공정을 이용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모듈
KR102620224B1 (ko) 2021-04-30 2024-01-03 이세현 저온 저압 큐어링 공정을 이용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모듈
KR20240048222A (ko) 2022-10-06 2024-04-15 알파시스템창호(주) 내화 성능을 갖는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모듈용 창틀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127B1 (ko) 보호층을 구비하고 굴곡성과 강인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US6822157B2 (en) Thin film solar battery module
JP5327923B2 (ja) デザイン層を備えた建物一体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2515867B1 (ko) 다양한 패턴의 유리 표면 기술을 적용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패널
KR102360087B1 (ko) 컬러필름 적용 태양광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5105A (ko) 광기전 모듈 및 라미네이트
KR102255573B1 (ko) 시인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모듈
US20140137939A1 (en) Solar-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6328741A (zh) 一种高效高强度太阳能电池双玻组件
EP2693101B1 (en) Solar lighting system
US20160336470A1 (en) Solar cell module
US20140209167A1 (en) Solar cell module
CN102891019A (zh) 光电转换元件模块和建筑结构
JPWO2014126065A1 (ja) ガラスパネル
JP5245695B2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
JP521230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3203533B1 (en) A laminated thermally insulating photovoltaic module
CN107195715A (zh) 太阳能光伏组件及建筑幕墙
JP2003110128A (ja) 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665938U (zh) 一种新型中空夹层玻璃太阳能组件
TW201909547A (zh) 太陽能模組
JP2013089749A (ja) フレームレス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220445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2102587A (ja) 太陽電池一体型屋根材
KR101616131B1 (ko) 태양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