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193A -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193A
KR20130005193A KR1020110066628A KR20110066628A KR20130005193A KR 20130005193 A KR20130005193 A KR 20130005193A KR 1020110066628 A KR1020110066628 A KR 1020110066628A KR 20110066628 A KR20110066628 A KR 20110066628A KR 20130005193 A KR20130005193 A KR 20130005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ordinator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승
박승훈
배태한
원은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193A/ko
Priority to PCT/KR2012/005304 priority patent/WO2013005985A2/en
Priority to US14/125,751 priority patent/US9374842B2/en
Priority to EP12807394.7A priority patent/EP2730037A4/en
Publication of KR2013000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H04B5/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Abstract

사용자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무선 통신 장치 및 코디네이터(coordinator)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코디네이터에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코디네이터와의 프록시(proxy)를 위한 프록시 권한을 요청을 받아, 프록시 권한을 무선 통신 장치에 부여하는 단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탐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에 코디네이터 및 센서와의 연계를 위한 연계 정보를 요청하여,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코디네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 및 코디네이터 사이의 연계를 위한 연계 프록시를 요청하며, 요청에 대응하여 연계 프록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코디네이터에서,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와 연계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요청하며,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PROXY COMMUNICATION SYSTEM IN BAN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본 발명은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 또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운용이 가능한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의료 관련 분야와 관련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의료 관련 분야 관련 통신 시스템은 주로 환자가 착용하는, 환자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 및 센서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코디네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환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생체에 착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은 각각 환자로부터 출력되는 상이한 생체 신호를 검출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코디네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복수 개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처리하여 환자의 종합적인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의료 관련 분야 통신 시스템에서의 센서 및 코디네이터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환자 한 명에 대응하여 하나의 코디네이터가 구비되어야하는 비용적 문제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환자는 코디네이터로부터 유선으로 연결되는 센서를 생체에 부착함으로써 환자가 움직임의 제약을 받게 되며, 환자에 부착되는 센서의 수가 증가할수록 데이터 송수신에 요구되는 유선 케이블의 수도 따라서 증가하며 이에 따라 환자의 편의가 침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최근에 IEEE 802.15.4 Zigbee 또는 IEEE 802.15.6 Body Area Network(이하, BAN) 등의 의료 또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운용을 위한 표준 규격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이며, 상기의 표준 규격의 주파수대를 이용한 센서 및 코디네이터 사이의 무선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상술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BAN 환경에서 코디네이터 및 센서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록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한 사용자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무선 통신 장치 및 코디네이터(coordinator)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코디네이터와의 프록시(proxy)를 위한 프록시 권한을 요청을 받아, 상기 프록시 권한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탐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에 상기 코디네이터 및 상기 센서와의 연계를 위한 연계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코디네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 및 상기 코디네이터 사이의 연계 프록시를 위한 연계 프록시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계 프록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디네이터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연계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요청하며, 상기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한 사용자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무선 통신 장치 및 코디네이터(coordinator)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코디네이터와의 프록시(proxy)를 위한 프록시 권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프록시 권한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프록시 권한을 송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프록시 권한을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탐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코디네이터 및 상기 센서와의 연계를 위한 연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요청받는 제 3 통신부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제 3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코디네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 및 상기 코디네이터 사이의 연계 프록시를 위한 연계 프록시를 요청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계 프록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연계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3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 3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코디네이터 및 센서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무선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또한 코디네이터 및 센서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매개체 역할을 하는 무선통신 장치에게 코디네이터가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대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코디네이터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무선 통신 장치는 프록시로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간호원과 같은 환자의 건강을 확인하는 관리자가 프록시 장치를 소지하면서 각 환자들에게 접근하는 것으로 모든 환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용이하게 코디네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개별 환자마다 코디네이터가 구비될 필요 없이, 하나의 중앙 코디네이터가 프록시 장치를 통하여 개별 환자의 센서로부터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코디네이터 구비에 요구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AN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타이밍도,
도 3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
도 3b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 포맷,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
도 6b 및 6c는 도 6a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의 프레임 포맷,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AN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AN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코디네이터(110), 무선 통신 장치(120)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13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코디네이터(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1,132)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신호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처리하며,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 수단(111) 등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코디네이터(110)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다른 여타의 장치로 출력할 수도 있다.
코디네이터(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록시 장치인 무선 통신 장치(120)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코디네이터(110)는 무선 통신 장치(120)와 일반적인 cellular 통신, Wi-fi(wirelee-fidelity) 통신, Blue-tooth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다양한 종류의 공지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코디네이터(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1,132)들과도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코디네이터(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1,132)와 바람직하게는 NFC 통신 또는 BAN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코디네이터(110)와 무선 통신 장치(120) 또는 코디네이터와 센서들(131,132) 사이의 통신의 종류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프록시 장치의 일종일 수 있으며 센서들(131,132)과 코디네이터(110) 사이의 페어링(paring)을 대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장치(120)는, 코디네이터(110)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131,132) 및 코디네이터(110)와의 프록시를 위한 프록시 권한을 요청할 수 있으며, 코디네이터(110)로부터 프록시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120)는, 센서들(131,132)을 착용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부여받은 프록시 권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1,132)를 탐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기설정된 통신 방식, 예를 들어 NFC 등에 기초한 인쿼리(inquery) 패킷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며, 이에 대응하여 센서(131,132)가 송신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방식을 통하여 무선 통신 장치(120) 주변의 센서들을 탐색하여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인쿼리 패킷은 무선 통신 장치(120) 및 센서들(131,132) 사이에 설정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설정된 통신 방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탐색된 센서들(131,132)과 각각 페어링(paring)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와 각각의 센서(131,132) 사이의 통신 방식 종류는 동일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와 각각의 센서(131,132) 사이의 통신 방식의 종류가 동일한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20)는 시계열적으로 하나의 센서와 우선적으로 페어링을 형성하며, 차후에 다른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와 각각의 센서(131,132) 사이의 통신 방식의 종류가 상이한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20)는 동시간에 각각의 센서(131,132)와 페어링을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20)는 탐색된 센서들 전부와 페어링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탐색된 센서들 중 일부와만 페어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상술한 바에 따라 센서들(131,132)과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으며, 페어링이 형성되면 각각의 센서들(131,132)에 순차적 또는 동시에 코디네이터(110) 및 센서 각각(131,132)와의 연계를 위한 연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들(131,132)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연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계 정보는 센서들(131,132) 각각의 정보 또는 무선 통신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계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120)는 코디네이터(110)에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131,132) 및 코디네이터(110) 사이의 연계를 위한 연계 프록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에 대응하는 연계 프록시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계 프록시는 무선 통신 장치(120)의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각각의 센서들(131,132)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계 프록시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센서(131,132)는 사용자의 생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생체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131,132)는 수신되는 생체 신호를 통신을 수행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된 데이터를 코디네이터(110) 또는 무선 통신 장치(12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131,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20)와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의 요청에 따라 연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센서(131,132)는 코디네이터(110)로부터, 센서(131,132)와 코디네이터(110) 사이의 연계가 형성되었다는 연계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센서(131,132)는 코디네이터(110)로부터 데이터 송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데이터 송신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코디네이터(1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디네이터(110)는 무선 통신 장치(120) 또는 센서들(131,132)과 각각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무선 통신 장치(120)와 같은 프록시 장치가 통신 시스템에 개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BAN 환경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 예들과 관련한 동작을 타이밍도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타이밍도이다. 도 2의 통신 시스템은 코디네이터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가 하나의 센서를 탐색하여 발견한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는 프록시 권한을 코디네이터에 요청할 수 있다(S201). 여기에서 프록시 권한이란 코디네이터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무선 통신 장치가 대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권한 부여를 받은 무선 통신 장치는 코디네이터와 센서간 접속 작업을 대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이와 관련한 데이터 필드 등과 관련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코디네이터는 수신한 프록시 권한 요청에 대응하여 프록시 권한을 무선 통신 장치에 부여할 수 있다(S202).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한 프록시 권한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센서를 착용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S203). 사용자 식별자는 추후에 각각의 센서를 착용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정보에 관한 RFID 태그 또는 RF 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수신한 RF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는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자 생성 과정과 관련하여 제한이 없음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센서를 탐색하여 발견할 수 있다(S204). 무선 통신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에 위치하는 센서를 탐색하기 위하여 인쿼리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응답 패킷 등을 확인하여 무선 통신 장치 주변에 위치하는 센서를 발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NFC와 같은 초근접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센서를 탐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발견된 센서에 대하여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S205). 여기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발견된 센서 전부에 대하여 페어링을 형성할 수도 있고, 센서 선택에 대한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견된 센서 일부와 페어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센서에 대하여 코디네이터 및 센서와의 연계(association)를 위한 연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06). 여기에서 연계 정보는 MAC 헤더, 센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데이터 필드 등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센서는 예를 들어 IEEE 802.15.4 Zigbee 통신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통신 모듈을 디스에이블(disabled) 상태로 유지하다, 연계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인에이블(enabled)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코디네이터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센서는 수신한 연계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연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207).
무선 통신 장치는 센서로부터 연계 정보를 수신하면(S207), 생성된 사용자 식별자를 센서로 송신할 수 있다(S208). 센서는 수신한 사용자 식별자를 센서 내에 구비되는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한 센서는 무선 통신 장치로 Acknowlegment message(응답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209).
한편, 센서가 특별한 추가 저장 매체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센서는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한 이후, 추후에 데이터를 코디네이터에 송신하는 때에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디네이터가 센서가 어느 사용자에 장착되었는지를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코디네이터에, 코디네이터 및 센서 사이의 연계에 관한 연계 프록시를 요청할 수 있다(S210). 한편, 도 2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가 하나의 센서와 페어링된 경우에 대하여서 도시되어 있지만, 무선 통신 장치는 두 개 이상의 센서와 페어링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그룹 연계 프록시를 요청할 수 있다(S210). 여기에서 연계 프록시는,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센서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계 프록시의 데이터 필드 및 더욱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코디네이터는 연계 프록시에 대한 응답을 무선 통신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S211). 코디네이터는 연계 프록시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으며, 코디네이터와 센서 사이의 연계가 형성될 수 있다.
코디네이터는 센서에 소정의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212). 여기에서 데이터는 센서가 사용자의 생체로부터 수집한 생체 신호 또는 기설정된 방식으로 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 필드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센서는 코디네이터의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코디네이터로 송신할 수 있다(S213). 또는 센서가 코디네이터가 데이터 전송 요청을 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 정보를 코디네이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는 발견된 센서에 대하여 페어링을 대행하는 프록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가 장착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이다. 한편, 도 2와 관련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하도록 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코디네이터에 연계 프록시 권한을 요청할 수 있으며(S301), 코디네이터는 이에 대응하여 연계 프록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S302).
도 3b는 연계 프록시 권한 커맨드 프레임의 구조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 프록시 권한 커맨드 프레임은 MAC 헤더(MAC Header, 이하 MHR) 및 MAC 페이로드(MAC Payload)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MHR은 헤더이며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field),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 field), 어드레싱(Addressing field), Auxiliary Security Header를 포함하며, MAC 페이로드(Payload)는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Command frame identifier)와, 커맨드 프레임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한다.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에는 연계 프록시 권한 실행 지시자(Association Proxy Authority request identifier) 혹은 연계 프록시 권한 부여(혹은 응답) 지시자(Association Proxy Authority response identifier)를 포함한다.
프레임 제어 필드는 프레임의 종류, 보안 사용 여부, 프레임 버전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시퀀스 넘버는 프레임 전송 순서를 나타내며 어드레싱 필드는 송수신 기기의 PAN(Personal Area Network) ID 및 기기의 주소를 나타낸다. Auxiliary ecurity 필드는 프레임이 어떤 방법에 의해 보안이 이루어졌는지를 알려 준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에서 코디네이터로 연계 프록시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S301, S401, S501, S601, S701)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연계 프록시 권한 요청과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는 도 3b의 MHR 필드의 어드레싱 필드(addressing filed) 내의 소스 어드레스 필드(source address field)(미도시)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코디네이터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연계 프록시 권한 부여를 포함하여 송신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에 프록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S302, S402, S502, S602, S702).
도 3c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계 프록시 권한 프레임이 연계 프록시 권한 부여 지시자 포함하여 동작할 때의 메시지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 권한 상태는 프록시 권한 요청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지시하며, 어드레스 풀은 무선 통신 장치가 센서에게 송신하는 어드레스 정보이다. 리저브드 필드는 향후의 추가적인 사용을 위하여 할당된다.
한편, IEEE 802.15.4에서 규정하는 프레임 포맷(frame format)을 이용하여 상기 연계 프록시 권한 요청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IEEE802.15.4의 프레임 포맷은 연계 요청 커맨드(association request command) 필드, 연계 프록시 권한 요청 필드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도 3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계 요청 커맨드는 MHR 필드(MHR field),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command frame identifier), 캐퍼빌리티 정보(capability information)를 포함하고, 연계 프록시 요청 지시자를 연계 프록시 권한 요청(association proxy authority request) 필드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연계 프록시 권한을 부여받은 이후,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S303), 무선 통신 장치 주변의 센서를 탐색하여 발견할 수 있다(S304). 도 3a의 실시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센서, 두 개의 센서가 발견되는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및 제 2 센서 이외의 추가적으로 센서를 더 발견할 수도 있다. 관리자는 발견된 추가 센서가 해당 사용자에 부착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등에 외부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발견된 센서를 페어링 과정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S305). 한편, 무선 통신 장치는 각각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에 해당하는 센서는 해당 사용자에 장착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페어링 과정에서 배제시킬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발견된 두 개의 센서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페어링 작업 및 연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는 우선적으로 제 1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며, 차후에 제 2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센서와의 페어링 및 제 2 센서와의 페어링은 동일한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이한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두 페어링 형성이 상이한 통신 규격에 기초하는 경우에는, 두 페어링 형성은 동시에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센서에 연계 동작을 위한 연계 정보를 요청한다(S306).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센서에 연계 정보 요청 프레임(association information request frame)을 송신함으로써 연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는 연계 정보를 요청함과 동시에 코디네이터의 정보, 예를 들어 코디네이터가 사용하는 채널 등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프록시 권한을 부여받는 단계(S302)에서 수신한 어드레스 풀 중 하나의 주소를 선택하여 송신할 수 있다.
도 3e는 연계 정보 요청 메시지(S307, S314, S407, S412, S506, S510, S606, S617, S707, S717)의 프레임 포맷의 개념도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 정보 요청 메시지는 MHR 필드(MHR fields),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command frame identifier), 어드레스(address), 리저브드 필드(reserved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MHR 필드는 MAC 헤더이며, 코디네이터로부터 수신한 MHR 필드 내용의 복사된 형태일 수 있다.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는 MAC 커맨드의 종류를 지시하며, 여기에서는 연계 정보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어드레스는 코디네이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센서가 사용할 주소일 수 있다. 리저브드 필드는 향후 사용을 위하여 할당된 부분일 수 있다.
제 1 센서는 연계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연계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S308). 제 1 센서는 연계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한 이후, 통신 모듈을 인에이블(enable)하여 최종적으로 코디네이터로부터 연계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제 1 센서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연계 응답 수신을 대기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의 기설정된 시간은 관리자의 행동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연계 대기 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제 1 센서는 연계 정보 응답 프레임(association information request frame)을 전송함으로써 연계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계 정보 응답 프레임은 센서 식별자(device ID), 센서 정보(device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계 정보 응답 메시지(S308, S408, S413, S507, S511, S607, S618, S708, S718)의 데이터 프레임 포맷이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 정보 응답 메시지는 MHR 필드(MHR fields),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command frame identifier), 센서 식별자(device ID), 캐퍼빌리티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및 리저브드 필드(reserved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MHR 필드는 MAC 헤더이며,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는 MAC 커맨드의 종류를 지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연계 정보 응답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센서 식별자는 코디네이터에 송신되는 제 1 센서의 센서 식별자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캐퍼빌리티 정보는 센서의 정보, 예를 들어 시리얼 넘버, 형태, 배터리 타입 등의 정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캐퍼빌리티 정보와 관련하여, 코디네이터에 개별 센서에 대한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캐퍼빌리티 정보는 단순히 시리얼 넘버 등의 센서 식별을 위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디네이터에 개별 센서에 대한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는 캐퍼빌리티 정보는 상술한 시리얼 넘버, 형태, 배터리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리저브드 필드는 향후 사용을 위하여 할당될 수 있다.
도 3g는 본 발명의 비교 예로 IEEE 802.15.4의 캐퍼빌리티 정보 필드 포맷(capability information field format)을 도시한다.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퍼빌리티 정보는 장치 타입(device type), 배터리 여부(power source) 등을 지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센서로부터 연계 정보를 수신하면(S308), 생성한 사용자 식별자를 제 1 센서로 송신할 수 있다(S309). 여기에서 제 1 센서는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도록 한다.
제 1 센서는 수신 유무를 애크 프레임(acknowledgment frame)을 송신하여 무선 통신 장치에게 알린다(S310).
무선 통신 장치는 상술한 제 1 센서와의 페어링 및 연계 작업을 제 2 센서에 대하여 동일하게 반복할 수 있다(S311 내지 S317).
무선 통신 장치는 제 1 및 제 2 센서와 코디네이터와의 연계를 위한 연계 프록시를 코디네이터에 요청할 수 있다(S318). 여기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두 개의 센서에 대한 연계 프록시를 요청함에 따라, 이를 그룹 연계 프록시라고도 명명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그룹 연계 프록시 요청 커맨드 프레임(group association proxy request command frame)을 코디네이터에 송신함에 따라서, 그룹 연계 프록시를 코디네이터에 송신할 수 있다. 그룹 연계 프록시는 무선 통신 장치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센서 식별자 리스트, 캐퍼빌리티 정보 리스트(capability information lis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h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연계 프록시 요청 메시지(S318, S416, S512, S610, S621, S709, S719)의 데이터 프레임 포맷이다.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연계 프록시 요청 메시지는 MHR 필드(MHR fields),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command frame identifier) 및 연계 정보(association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MHR 필드는 MAC 헤더이며, 무선 통신 장치 식별자 정보가 소스 어드레스 필드(source address field)로 송신된다.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는 MAC 커맨드의 종류를 지시하며, 여기에서는 그룹 연계 요청 지시자(group assocation request identifier)를 포함한다. 연계 정보는 MAC 커맨드의 페이로드(payload) 부분으로 사용자 식별자(User ID), 센서 식별자 리스트(Device ID list), 캐퍼빌리티 정보 리스트(Capability Information list) 및 리저브드 필드(reserved fields)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식별자 리스트는 페어링된 센서들의 리스트이다. 추가적으로 캐퍼빌리티 정보 리스트는 각 센서들의 부가 정보(예로, 장치 타입(device type), 배터리 여부(power source) 등)를 포함한다.
코디네이터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의 그룹 연계 프록시 요청에 대응하여 그룹 연계 프록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S319). 코디네이터는 그룹 연계 프록시 응답 커맨드 프레임(group association proxy response command frame)을 송신함으로써, 그룹 연계 프록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도 3i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연계 프록시 응답 메시지(s319, s417, s513, s611, s622, s710, s720)의 프레임 포맷이다.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연계 프록시 응답 커맨드 프레임은 MHR 필드(MHR fields),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command frame identifier), 연계 상태(association status) 및 리저브드 필드(reserved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MHR 필드는 MAC 헤더이며, 커맨드 프레임 식별자는 MAC 커맨드의 종류를 지시하며, 여기에서는 그룹 연계 프록시 응답 지시자를 포함한다. 연계 상태는 연계 요청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지시하며, 리저브드 필드는 향후 사용을 위하여 할당될 수 있다.
코디네이터는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 각각에 대하여 연계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S320,S321). 코디네이터로부터 연계 응답을 수신하면 코디네이터와 각각의 센서는 연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센서는 코디네이터로부터의 데이터 요청(S322,S324)에 대응하여,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323,S325). 또는 코디네이터가 데이터 전송 요청을 하지 않더라도, 센서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된 정보를 코디네이터로 보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이다. 도 4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도 3a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유사하다. 다만, 도 4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도 3a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는 상이하게, 무선 통신 장치가 센서 탐색 및 발견(S404)하여,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S405)를 최초 1회만 수행할 수 있다.
도 3a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 1 및 제 2 센서를 탐색하여 발견하는 과정을 2회(S304,S311) 수행하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4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센서 탐색 및 발견을 1회 수행하여(S404) 제1 및 제 2 센서를 발견할 수도 있다.
도 4의 여타의 단계들(S401 내지 S403 및 S406 내지 S423)의 구성은 도 3a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타의 단계들(S401 내지 S403 및 S406 내지 S42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이다. 도 5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센서는 도 3a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센서와는 대조적으로,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5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장치는 도 3a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제 1 및 제 2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고(S505,S509), 연계 정보를 요청하고(S506,S510) 이에 대응하여 연계 정보를 수신하며(S507,S511), 추가적으로 사용자 식별자를 제 1 및 제 2 서버에 제공하지는 않는다.
도 5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코디네이터는 그룹 연계 프록시를 요청받는 단계(S512)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센서 식별자 리스트 및 사용자 식별자를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여타의 단계들(S501 내지 S511 및 S513 내지 S517)의 구성은 도 3a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타의 단계들(S501 내지 S511 및 S513 내지 S517)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6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이다. 도 6a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도 3a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유사하다. 다만, 도 6a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프록시 권한 부여 시에 Address Poll을 제공하지 않고, 따라서 무선통신 장치가 제 1 센서에게 연계 정보 요청을 할 때 Addess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가 제 1 센서와 페어링 형성(S605) 및 연계 작업(S606,607)을 종료한 이후 바로 코디네이터와 제 1 센서의 연계가 형성(S610,611)되어 코디네이터 및 제 1 센서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S613,S614)된다. 상기의 데이터 송수신은 센서들과 페어링이 종료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코디네이터가 제 1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이 종료되면, 제 2 센서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페어링 형성(S616)되며, 연계 작업(S617,S618) 및 연계 형성(S621,S622)과 데이터 송수신(S624,S625)이 수행된다.
한편 도 6a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연계 프록시를 요청하는 과정(S610,S621)에서 그룹 연계 프록시가 아닌 단일 연계 프록시를 요청하며, 이에 따라 연계 프록시에는 센서 정보 리스트가 아닌 단일 센서 정보, 예를 들어 제 1 센서 정보 또는 제 2 센서 정보만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일 연계 프록시 응답 시 센서가 사용할 어드레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6b는 도 3e와 대조적으로, address 영역을 포함하지 않으며, 도 6c는 도 3i와 대조적으로 추가적으로 address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과 관련한 타이밍도이다. 도 7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센서는 도 6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 1 및 제 2 센서와는 대조적으로,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7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장치는 도 6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제 1 및 제 2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고(S706,S716), 연계 정보를 요청하고(S707,S717) 이에 대응하여 연계 정보를 수신하며(S708,S718), 추가적으로 사용자 식별자를 제 1 및 제 2 센서에 제공하지는 않는다.
도 7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코디네이터는 개별 연계 프록시를 요청받는 단계(S709,S719)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센서 식별자 리스트 및 사용자 식별자를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여타의 단계들의 구성은 도 3a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타의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6과 도 7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도 4와 도 5에 의한 제어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가 연계 정보를 요청하는 시점에서 코디네이터에서 센서가 이용할 어드레스를 송신하지 않으며, 연계 응답(S612, S622, S710, S720) 시에 어드레스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의 여타의 단계들(S602, S606, S612, S702, S707, S711을 제외한 단계들)의 구성은 도 3a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타의 단계들(S602, S606, S612, S702, S707, S711을 제외한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디네이터(800)는 저장부(810), 제어부(820), 표시부(830) 및 통신부(840)를 포함하며, 통신부(841)는 제 1, 2 및 n 통신 모듈(841,842,843)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850)는 통신부(851), 제어부(852), 저장부(853), 표시부(85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860)는 통신부(861), 제어부(862), 저장부(863), 표시부(864) 및 센서부(86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코디네이터(8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서는 "제 1"이라는 접두어를 추가하며, 무선 통신 장치(85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서는 "제 2"라는 접두어를 추가하며, 센서(86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서는 "제 3"이라는 접두어를 추가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840)는 무선 통신 장치(85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서(860) 및 코디네이터(800)와의 프록시(proxy)를 위한 프록시 권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 1 통신부(840) 각각의 통신 모듈(841,842,843)은 각각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1 제어부(820)는 프록시 권한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프록시 권한을 송신하도록 제 1 통신부(840)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810)는 프록시 권한 요청 데이터 또는 추가적으로 수신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 또는 센서 정보 또는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정보를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810)는 또한 코디네이터(800)의 동작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각종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810)는 RAM, ROM 또는 EEPROM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830)는 제어부(820)로부터 처리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로 하여금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으며, 시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제 2 통신부(851)는 프록시 권한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852)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탐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도록 제 2 통신부(85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853)는 코디네이터로부터 프록시 권한 부여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복수의 생성된 사용자 식별자, 무선 통신 장치(850)의 고유 식별자, 차후에 센서(860)로 송신하기 위하여 생성하는 연계 정보 요청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동작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각종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코디네이터와 동기되어 각각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정보를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할수 있다. 저장부(810)는 RAM, ROM 또는 EEPROM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854)는 제어부(852)로부터 처리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로 하여금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으며, 시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제 3 통신부(861)는 코디네이터(800) 및 센서(860)와의 연계를 위한 연계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850)로부터 요청받을 수 있다.
제 3 제어부(862)는 연계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연계 정보를 무선 통신 장치(850)로 송신하도록 제 3 통신부(861)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865)는 사용자의 생체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데이터 송신에 적당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863)는 센서부(86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 장치(85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 2 제어부(852)는, 코디네이터(800)에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860) 및 코디네이터(800) 사이의 연계 프록시를 위한 연계 프록시를 요청하도록 제 2 통신부(851)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851)는, 요청에 대응하여 연계 프록시를 수신하며, 제 1 제어부(820)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860)와 연계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제 1 통신부(84)를 제어할 수 있다.
제 3 제어부(862)는,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 3 통신부(86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서(8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는 저장부(86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제어부(852)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860)에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도록 제 2 통신부(85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제어부(852)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주변에 배치되는 RF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 제어부(852)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페어링을 형성하도록 제 2 통신부(8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제어부(852)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이 동일한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 각각의 상기 페어링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제 2 통신부(8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연계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860)의 식별자 및 센서(860)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860)의 정보는, 센서(860)의 시리얼 넘버, 형태 및 배터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코디네이터(800)가 센서(860)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면, 연계 정보는 센서(860)의 식별자만을 포함할 수 있다. 코디네이터(800)가 센서(860)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지 않으면 제 1 제어부(820)는,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한 센서(860)의 식별자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 제어부(852)는, 탐색된 센서(860) 중 일부의 센서에 대하여서만 페어링을 형성하도록 제 2 통신부(8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제어부(852)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일부의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852)는, 탐색된 센서(86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일부의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부(852)는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센서들에 대하여서만 페어링을 형성하도록 제 2 통신부(851)를 제어할 수 있다.
연계 프록시는 무선 통신 장치(850)의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및 탐색된 센서(860) 각각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852)는, 프록시 권한 요청 데이터와 함께 무선 통신 장치(850)의 식별자를 송신하도록 제 2 통신부(85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852)는, 연계 정보와 함께 코디네이터(800)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도록 제 2 통신부(85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코디네이터(800)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된 센서(86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주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코디네이터 120 : 무선 통신 장치
131,132 : 센서 800 : 코디네이터
810 : 저장부 820 : 제어부
830 : 표시부 840 : 통신부
850 : 무선 통신 장치 860 : 센서

Claims (35)

  1. 사용자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무선 통신 장치 및 코디네이터(coordinator)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코디네이터와의 프록시(proxy)를 위한 프록시 권한을 요청을 받아, 상기 프록시 권한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탐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에 상기 코디네이터 및 상기 센서와의 연계를 위한 연계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코디네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 및 상기 코디네이터 사이의 연계를 위한 연계 프록시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계 프록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디네이터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연계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요청하며, 상기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에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에 배치되는 RF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이 동일한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 각각의 상기 페어링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정보는 상기 센서의 식별자 및 상기 센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정보는,
    상기 센서의 시리얼 넘버, 형태 및 배터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가 상기 센서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면,
    상기 연계 정보는 상기 센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가 상기 센서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연계 프록시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코디네이터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한 상기 센서의 식별자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된 센서 중 일부의 센서에 대하여서만 페어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센서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센서는, 상기 탐색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프록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탐색된 센서 각각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코디네이터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주소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사용자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무선 통신 장치 및 코디네이터(coordinator)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코디네이터와의 프록시(proxy)를 위한 프록시 권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프록시 권한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프록시 권한을 송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프록시 권한을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탐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페어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코디네이터 및 상기 센서와의 연계를 위한 연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요청받는 제 3 통신부;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제 3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코디네이터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 및 상기 코디네이터 사이의 연계를 위한 연계 프록시를 요청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연계 프록시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와 연계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3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 3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 각각이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에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주변에 배치되는 RF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가 이용하는 통신 방식이 동일한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 각각의 상기 페어링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정보는 상기 센서의 식별자 및 상기 센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정보는,
    상기 센서의 시리얼 넘버, 형태 및 배터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가 상기 센서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면,
    상기 연계 정보는 상기 센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가 상기 센서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한 상기 센서의 식별자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센서 중 일부의 센서에 대하여서만 페어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의 센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의 센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프록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탐색된 센서 각각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프록시 권한 요청 데이터와 함께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연계 정보와 함께 상기 코디네이터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탐색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주소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어부는,
    통신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통신부를 디스에이블(disabled) 상태에서 인에이블(enabled)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10066628A 2011-07-05 2011-07-05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05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628A KR20130005193A (ko) 2011-07-05 2011-07-05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2/005304 WO2013005985A2 (en) 2011-07-05 2012-07-04 Proxy communication system and proxy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ing method in ban environment
US14/125,751 US9374842B2 (en) 2011-07-05 2012-07-04 Proxy communication system and proxy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ing method in BAN environment
EP12807394.7A EP2730037A4 (en) 2011-07-05 2012-07-04 PROX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XY COMMUNICATION SYSTEM IN A BAN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628A KR20130005193A (ko) 2011-07-05 2011-07-05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93A true KR20130005193A (ko) 2013-01-15

Family

ID=4743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628A KR20130005193A (ko) 2011-07-05 2011-07-05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74842B2 (ko)
EP (1) EP2730037A4 (ko)
KR (1) KR20130005193A (ko)
WO (1) WO201300598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788A (ko) * 2011-11-08 201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96072A1 (zh) * 2013-12-25 2015-07-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建立协同通信的方法、装置及系统
CN104202805B (zh) * 2014-09-22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通信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09075873B (zh) * 2016-05-11 2021-07-13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全双工体耦合通信的方法和装置
EP3669563B1 (en) * 2017-08-14 2023-10-04 Kone Corporation Deployment of a device to a local network hosted by a host device
FR3139017A1 (fr) 2022-08-26 2024-03-01 Axone Industries Dispositif de pliage de plats épais jusque 100 mm de large pour obtenir un angle fermé à 30° et un très faible rayon de courbu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35508A1 (en) 2004-09-08 2006-03-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cure pair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KR100643323B1 (ko) 2005-02-03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그비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방법을사용하는 코디네이터 및 디바이스
US8618930B2 (en) * 2005-03-11 2013-12-31 Aframe Digital, Inc. Mobile wireless customizable health and condition monitor
DE502006005173D1 (de) 2006-02-22 2009-12-03 Tempratec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brennen eines Brennstoffes
EP2226002B1 (en) * 2009-03-04 2012-01-18 Fujitsu Limited Improvements to body area networks
EP2227046B1 (en) * 2009-03-04 2015-07-29 Fujitsu Limited Improvements to body area networks
EP2227065B1 (en) * 2009-03-04 2015-02-18 Fujitsu Limited Improvements to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US8405502B2 (en) * 2009-06-10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Identification and connectivity gateway wristband for hospital and medical applications
US9000914B2 (en) * 2010-03-15 2015-04-07 Welch Allyn, Inc. Personal area network pairing
US8391792B2 (en) * 2011-02-03 2013-03-05 Cardo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d-hoc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heads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06673A1 (en) 2014-04-17
US9374842B2 (en) 2016-06-21
WO2013005985A3 (en) 2013-04-04
EP2730037A4 (en) 2014-12-03
WO2013005985A2 (en) 2013-01-10
EP2730037A2 (en)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6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based on distance between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KR20130050788A (ko)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05193A (ko) Ban 환경에서의 프록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33812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165904B2 (ja) 無線接続を自動的に確立する方法、同方法を用いる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用の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
KR101795679B1 (ko) 액세스 포인트 개시 이웃 리포트 요청
WO201611484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ocal control through intermediate device
Somani et al. Zigbee: A low power wireless technology for industrial applications
US8437320B2 (en) Wireless LAN access point
US92073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mobile device
KR101281180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QoS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1214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server controlled device wakeup
CN108886685B (zh) 一种终端匹配方法、装置
US105608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device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KR20140135889A (ko) 단말간 통신을 위한 탐색 방법 및 장치
JP2007533175A (ja)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セキュアなデータ転送を提供する方法
CN103997731A (zh) 智能识别蓝牙低功耗设备的方法及系统
CN105721422A (zh) 支持设施终端控制的方法及装置
JP2013243427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7135146A (ja) 無線lan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lan通信方法
CN113099440A (zh) 网络配置方法、装置、设备和系统
CN104205888B (zh) 用于通过表达聚集进行基站辅助式对等方发现的方法和装置
KR20130042456A (ko)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을 위한 커넥션 아이디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05109901A (ja) 無線lan装置
CA2558045A1 (en) Pagers over a wirele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