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028A -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028A
KR20130005028A KR1020110066333A KR20110066333A KR20130005028A KR 20130005028 A KR20130005028 A KR 20130005028A KR 1020110066333 A KR1020110066333 A KR 1020110066333A KR 20110066333 A KR20110066333 A KR 20110066333A KR 20130005028 A KR20130005028 A KR 2013000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gap
variable
blad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950B1 (ko
Inventor
김재식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금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금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9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2Apparatus having only parallel elements
    • B07B1/16Apparatus having only parallel elements the elements being movable and in other than rolle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선별 대상물 특히,고로 원료인 철광석을 일정한 입도나 크기로 선별하는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선별장치는 그 구성적인 일예로서, 선별 대상물이 투입 배출되는 장치 바디; 및,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에 선별부재의 수평 이동을 매개로 선별간극을 조정 가능토록 제공된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별 대상물 특히, 고로 원료인 철광석의 입도 선별을 원활하게 하면서, 그 선별 간극의 가변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크기의 입도 선별을 구현시키는 동시에, 특히 기존의 선별공간의 막힘을 방지시키어, 막힘에 따른 보수 유지나 부품 교체 등이 억제되어 궁극적으로 선별 조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선별장치{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대상물을 일정한 입도나 크기로 선별하는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 대상물 특히, 고로 원료인 철광석의 입도 선별을 원활하게 하면서, 그 선별 간극의 가변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크기의 입도 선별을 구현시키는 동시에, 특히 기존의 선별공간의 막힘을 방지시키어, 막힘에 따른 보수 유지나 부품 교체 등이 억제되어 궁극적으로 선별 조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고로 원료로 사용되는 광석은 여러 단계의 입도별 선별 조업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존에 알려진 고로 원료의 선별작업은 1차의 대립광 선별과 2차의 소립광 선별로 이루어 진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고로 원료의 선별은 통상 스크린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일정 크기의 메쉬가 형성되거나 일정 크기의 사각형태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부재를 진동을 가하면서 고로 원료를 통과시키어 선별을 구현하는 것이었다.
이때, 스크린부재의 사목(메쉬 또는 구멍)이 10mm 이상으로 형성시키면 대립광이 선별되고, 이를 통과한 광석은 사목이 4∼6mm인 스크린부재를 통과하면서 소립광으로 선별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대부분의 스크린부재를 이용하는 고로 원료인 광석의 선별은 사목이 쉽게 막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사목이 막히는 영역이 증대되면서 고로 광석의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음은 물론, 그 선별량도 점차 미비하여 여러번 선별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고, 이는 고로 원료의 선별 조업성이 매우 저하되는 것을 초래하는 것이다.
특히, 자주 사목이 막히기 때문에, 선별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고 막힌부분을 제거해야 하는 보수 유지작업이 주기적으로 이루어 지고, 이는 설비 가동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무엇 보다도, 기존의 스크린부재를 이용하는 고로 원료의 선별시, 사목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번의 선별 단계를 거쳐야 소립광 선별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사목 즉, 선별간극을 가변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하여, 최대 간극 형성시 막힘을 제거하고, 선별간극의 조정으로 원하는 입도의 고로 원료 선별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물론, 이하의 본 발명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장치는 고로 원료에만 그 적용이 국한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선별 대상물 특히, 고로 원료인 철광석의 입도 선별을 원활하게 하면서, 그 선별 간극의 가변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크기의 입도 선별을 구현시키는 동시에, 특히 기존의 선별공간의 막힘을 방지시키어, 막힘에 따른 보수 유지나 부품 교체 등이 억제되어 궁극적으로 선별 조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선별 대상물이 투입 배출되는 장치 바디; 및,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에 선별부재의 수평 이동을 매개로 선별간극을 조정 가능토록 제공된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은,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으로 소정간격으로 제공된 복수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선별간극의 가변 조정을 가능토록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상기 선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구동수단을 매개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인접한 하우징 사이의 선별간극을 조정 가능토록 제공되는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부재인 블레이드가 연계되는 구동수단은, 상기 장치 바디에 제공된 구동원과 연계되고 블레이드의 일측이 연결되는 이동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타측은 장치바디에 제공된 지지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아암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암 지지체에 소정 간격으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블레이드가 삽입 이동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원은, 장치 바디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와 연계되어 회전력을 이동력으로 전환하면서 상기 이동아암이 연결되는 감속기어부로 제공되고, 상기 구동원의 감속기어부는 단위 모터에 작동로드를 매개로 복수개가 연계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으로 상기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의 상측에 기준 선별간극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제2 선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선별수단은, 장치 바디의 폭방향으로 가변 선별간극 또는 기준 선별간극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파이프, 빔 또는 형강 구조물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장치 바디에 제공되는 진동 발생수단과 진동 완충수단;중 적어도 진동 발생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바디는 출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발생수단은 장치바디의 하부에 제공된 편심롤이 장착되는 롤장착부와, 상기 편심롤과 연계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완충수단은, 장치 바디의 외곽에 제공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장치 바디의 외측에 장착된 브라켓트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완충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선별 대상물은 고로에 투입되는 원료로 제공되어, 고로 원료 선별장치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별 대상물 특히, 고로 원료인 철광석의 입도 선별을 원활하게 하면서, 그 선별 간극의 가변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다양한 크기의 입도 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최대 선별간극 형성시 자동적으로 막힘이 해소되어 막힘에 따른 보수 유지나 부품 교체 등이 억제되어 궁극적으로 선별 조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고로 원료의 선별시 비용절감이나 조업 시간을 크게 단축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선별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 선별장치에서 제2 선별수단을 기준으로 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본 발명 선별장치에서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을 기준으로 한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에서 제2 선별수단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서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장치에서 블레이드를 매개로 한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에서 선별수단들을 통한 선별 대상물(고로 원료)의 기분 선별과 가변 선별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을 도시한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의 구동수단을 도시한 요부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는 본 발명 선별장치를 고로에 투입되는 원료인 광석(철광석)의 선별을 수행하는 광석 선별장치(1)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선별 대상물을 고로 광석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별 대상물이 본 발명 장치에서 고로 광석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로 광석 선별장치(1)는 그 구성 일예로서 크게, 고로 광석이 투입되고 선별후 배출되는, 예컨대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형태의 철판 구조물인 장치 바디(10) 및, 상기 장치 바디(10)의 내측에,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선별부재의 수평 이동을 매개로 선별간극(도 9의 'G' 참조)을 조정 가능토록 제공된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로 광석 선별장치(1)는,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을 통하여, 다음에 도 9에서 설명하는 선별간극(G)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를 통한 다양한 입도(크기)의 광석 선별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선별간극(G)을 최대한 크게 하는 경우에는 누적된 미세 입도의 광석들이 제거되거나 막힘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로 광석 선별장치(1)는, 상기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에 더하여, 상기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의 상부에 제공되는 다른 선별수단 즉, 기준 선별간극(도 9의 T)을 형성하여 1차적으로 기준이 되는 입도의 광석을 선별하는 제2의 선별수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 장치는 기본적으로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을 포함하고, 추기로 필요시 상기 제2의 선별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의 장치바디(10)는 별도의 부호로 구분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철판의 용접과 빔이나 파이프 또는 형강 구조물을 조립하여 내부가 비어있어 상기 제2 선별수단(70)과 그 하측으로 간극가변형 선별수단(3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다음, 도 2. 도 3 및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선별수단(70)에 대하여 살펴본다.
즉,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의 선별수단(70)은 도 9와 같이 선별간극(T)이 일정하게 고정된 것으로서, 장치바디(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대략 3개의 빔 구조물(76)의 상측에 반원형의 오목한 지지홈(미부호)들이 형성된 가로대(74)의 상부에 파이프 구조물의 제2 선별수단(70)들이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도면에서는 제2 선별수단(70)을 가변되지 않는 고정의 기준 선별간극(T)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파이프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파이프, 내부가 비어있는 빔 구조물(76과 같은 형태) 또는 삼각, L자 등의 형강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고로 광석이 충돌하여 부서지거나 각이 형성되어 있으면 막힘이 쉽게 발생되므로 외면이 원형인 파이프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선별수단(70)은 그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간격의 기준 선별간극(도 9의 'T')을 형성하기 때문에, 1차적으로 과도하게 입도(크기)가 광석을 선별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선별수단(70)의 기준 선별간극(T)을 대립광 선별 기준인 10mm 이상으로 하면, 대립광 선별을 구현하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 장치는 상기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을 소립광 선별에 해당하는 4-6mm의 간극을 갖도록 조정하면, 본 발명 장치 하나를 통하여 대립광과 소립광 선별을 구현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 장치는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선별수단(70)은 과도하게 입도가 커서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의 선별부재(50) 즉, 가변 선별간극(G)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블레이드의 파손을 미리 제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2,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고로 광석 선별장치의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을 도시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은,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 바디(10)의 내측으로 소정간격(S)으로 제공된 복수의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에 선별간극(G)의 가변 조정을 가능토록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선별부재(5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부재(50)는, 상기 하우징(40)에 구동수단(60)을 매개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하우징(40) 사이에서 선별간극(G)을 조정 가능토록 제공하는 블레이드(간극 조정판)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별부재를 블레이드(50)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은, 앞에서 설명한 제2 선별수단(70)과 같이, 파이프,빔이나 형강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이나 모서리가 지지않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블레이드의 이동을 보상하는 원형 파이프이다.
물론,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하우징(40)은 실제로는 장치바디의 내측에 장치바디의 폭방형과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전후방으로 다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바디(10)에 제공된 가로대(42)상의 빔 구조물(46)사이에 제공되는 반원형의 홈들이 구비된 지지대(42)상에 조밀하게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40)들 사이의 간격(도 9의 'S')는 본 발명 장치를 통하여 형성할 수 있는 최대 간극(G)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을 통한 최대 간극은 상기 하우징간 간격과 같아지는 것이다.
이때, 도 7, 도 8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50)는 그 일측은 서로 연결되고 타측은 절개되어 단위 블레이드 간 간격(D)은 사실상 하우징(40)간 간격에 대응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인 하우징(40)에는도 9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50)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개구부(40a)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개구부는 하우징의 파이프를 따라 상기 블레이드 보다는 약간 큰 높이의 신장된 슬릿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40)들은 지지체(65)인 지지파이프를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가 소정간격(S)으로 용접 또는 도면에서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은 볼팅 체결 구조로 지지파이프에 직각으로 연결 제공될 수 있다.
결국,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50)의 이동에 따라 인접 하우징(40)간 간격 즉, 선별간극(G)이 조정되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50)의 모서리부분은 라운딩하게 형성시키어 하우징 사이에서 막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는 상기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은 단위 하우징(40)과 블레이드(50)를 이동아암(64)들을 연결하여 3개의 세트로 조립할 수 있고, 이들을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바디의 폭방향으로 배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아암(64)은, 하우징(40)이 외연에 소정 간격으로 용접이나 기타 볼팅 구조로 연결되는 아암 지지체(65)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와 같은 아암 지지체(65)는 원형 파이프로서, 지지블록(67)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지지블록(67)은 도 4에서 별도 부호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치바디의 폭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배치되고, 도 6과 같이 빔구조물(46)사이의 가로대(42)상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은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아암 지지체(65)의 외연에 용접하는 경우 열로서 변형이 발생되므로, 별도의 보호커버에 용접하고, 이를 아암 지지체에 고정되거나 브라켓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아암(64)의 양단에는 이동아암들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절곡된 연결단(64a)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동아암(64)에 슬릿(미부호)이 형성되어 블레이드(50)가 일체로 된 일측단부(50a)가 삽입 고정되고, 블레이드의 절개된 타측은 반대측의 지지체(66) 즉, 도 10c와 같이 파이프에 절개된 부분에 삽입되어 블레이드의 이동시 지지될 수 있다.
또는, 도 11과 같이, 상기 블레이드(50)의 일측의 절개된 분리된 부분(50b)들이 이동 아암(54)상에 순차로 볼팅으로 고정되고, 타측의 블레이드(50)가 일체로 된 일체형 단부(50a)가 지지체(66)의 파이프에 삽입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도 11의 경우 이동아암에 슬릿을 가공하지 않고 볼팅으로 블레이드 단부(50b)들이 고정되기 때문에, 이동아암 가공을 제거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즉, 도 10과 도 11의 블레이드의 아암 지지체(65)와 지지체(66) 지지구조는 블레이드의 이동아암 이동시 일체로 이동하여, 도 9와 같이 블레이드와 하우징사이의 선별간극(G)의 가변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도 2, 도 4 및 도 8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블레이드가 연결 고정된 이동아암(64)의 전진 및 후진 이동 즉, 블레이드의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60)을 도시하고 있다.
즉, 이동아암(64)은 이동수단(60)의 구동원(62)인 감속기어부와 연계되고, 감속 기어부의 구동원은 장치바디를 따라 대략 6개가 배치되고, 이중 3개의 단위 감속기어부의 구동원(62)은, 도 1과 같이 하나의 단위 모터(66)들과 연계되어 구동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와 같이, 모터(66)가 구동되면 모터와 연계된 조인트부재(70)가 구동원(62)인 감속기어부와 연결되고, 이들 감속기어부사이는 작동로드(68)들이 커플링 구조로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도 2, 도 8 및 도 12와 같이, 도 1의 단위 모터(66)가 구동되면 그 구동방향에 따라 감속기어부의 구동원(62)은 가동되어 감속기어부의 전,후진 작동축(미부호)는 커플링(61)을 매개로 베어링블록(63)으로 지지되는 이동아암들중 장치바디측에 배치되는 이동아암(64)과 연결된다.
결국, 모터의 회전력은 구동원(62)의 감속기어부에서 전,후진 이동력으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이동아암(64)은 모터 회전 방향과 감속기어부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장치바디의 전면에서 볼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도 9와 같이 블레이드(50)가 하우징에서 이동하는 폭에 따라, 블레이드와 하우징 사이의 선별간극(G)이 조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블레이드(50)와 인접 하우징(40)사이의 선별간극(G)은 고로 광석이 선별 대상물인 경우 5-16mm 일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선별간극은 고로 광석의 입도를 고로 조업 환경이나 광석 투입 스케줄에 따라 적정한 스케줄을 갖고 선별하면 될 것이다.
다음,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장치바디(10)는 출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정되는 동시에, 상기 장치 바디(10)에 제공되는 진동 발생수단(9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동시에,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바디(10)의 적당한 지점 예를 들어, 사방으로 장치바디의 선별을 위한 진동시 이를 흡수하는 진동 완충수단(11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동 완충수단(110)은, 상기 장치 바디(10)의 외곽으로 전후 및 좌우측 사방에 제공된 지면에서 수직 설치된 수직 프레임(112)과 장치바디(110)의 외면에 고정된 브라켓트부재(114)사이에 설치된 완충 스프링(116)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바디(10)가 상기 진동발생수단(90)을 통하여 진동하면 그 진동력은 상기 완충 스프링(116)에서 흡수하고, 따라서 장치 바디는 수직 프레임상에 탄력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진동 발생수단(90)은 장치바디(10)의 하부에 제공된 롤 장착부(94)에 설치되는 편심롤(92)을 회전 구동부(96)를 통하여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정도의 진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구동부(96)는 도 3과 같이, 지면에 제공된 구동모터(96a)와 상기 구동모터(96a)가 구동체인(96d)을 연결되는 베어링블록(96b)으로 지지되는 회전축(96c)이 상기 편심롤(92)과 연계되어 가동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회전력에 따라 본 발명 선별장치(1)는 편심롤의 돌출 편심부가 회전하면서 장치바디(10)의 저면에 충돌하여 선별에 적당한 진동을 인가시키고, 이때 완충수단(110)의 코일스프링(116)은 이를 흡수하여 장치 바디와 수직 프레임간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선별장치 10....장치 바디
30....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 40.... 하우징
50.... 선별부재(블레이드) 60.... 구동수단
62.... 구동원(감속기어부) 64.... 이동아암
65,66.... 지지체 68.... 작동로드
70.... 제2 선별수단 90.... 진동 발생수단
110.... 진동 완충수단

Claims (11)

  1. 선별 대상물이 투입 배출되는 장치 바디(10); 및,
    상기 장치 바디(10)의 내측에 선별부재의 수평 이동을 매개로 선별간극(G)을 조정 가능토록 제공된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30)은,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으로 소정간격(S)으로 제공된 복수의 하우징(40); 및,
    상기 하우징(40)에 선별간극(G)의 가변 조정을 가능토록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상기 선별부재(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50)는, 상기 하우징(40)에 구동수단(60)을 매개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인접한 하우징 사이의 선별간극을 조정 가능토록 제공되는 블레이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50)인 블레이드가 연계되는 구동수단(60)은, 상기 장치 바디(10)에 제공된 구동원(62)과 연계되고 블레이드의 일측이 연결되는 이동아암(64)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타측은 장치바디에 제공된 지지체(66)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이동아암(64)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암 지지체(65)에 소정 간격(S)으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40)에는 블레이드가 삽입 이동되는 개구부(4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62)은, 장치 바디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66)와 연계되어 회전력을 이동력으로 전환하면서 상기 이동아암(64)이 연결되는 감속기어부로 제공되고, 상기 구동원(62)의 감속기어부는 단위 모터에 작동로드(68)를 매개로 복수개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으로 상기 간극 가변형 선별수단의 상측에 기준 선별간극(T)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제2 선별수단(7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 또는 상기 제2 선별수단(70)는, 장치 바디의 폭방향으로 가변 선별간극(G) 또는 기준 선별간극(T)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파이프, 빔 또는 형강 구조물중 하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바디(10)에 제공되는 진동 발생수단(90)과 진동 완충수단(110);
    중 적어도 진동 발생수단(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바디는 출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수단(90)은 장치바디의 하부에 제공된 편심롤(92)이 장착되는 롤장착부(94)와, 상기 편심롤과 연계되는 회전 구동부(96)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완충수단(110)은, 장치 바디의 외곽에 제공된 수직 프레임(112)과 상기 장치 바디의 외측에 장착된 브라켓트부재(114)사이에 제공되는 완충 스프링(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선별장치.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대상물은 고로에 투입되는 원료로 제공되어, 고로 원료 선별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KR1020110066333A 2011-07-05 2011-07-05 선별장치 KR10127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333A KR101277950B1 (ko) 2011-07-05 2011-07-05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333A KR101277950B1 (ko) 2011-07-05 2011-07-05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28A true KR20130005028A (ko) 2013-01-15
KR101277950B1 KR101277950B1 (ko) 2013-07-05

Family

ID=4783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333A KR101277950B1 (ko) 2011-07-05 2011-07-05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617A (ko)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수리 장치
KR102053394B1 (ko) * 2018-12-14 2019-12-09 주식회사 대성제이테크 석탄을 포함하는 광물 선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261B1 (ko) * 2016-05-18 2017-10-10 주식회사 판엔지니어링 캔 처리 장치
KR102133184B1 (ko) * 2019-08-16 2020-07-13 임상재 목재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KR102133185B1 (ko) * 2020-02-21 2020-07-21 임상재 파쇄물의 선별 및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목재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242A (ja) * 1991-10-02 1993-04-20 Nkk Corp 篩目可変篩
DE4317830A1 (de) * 1993-05-28 1994-12-01 Braun Ernst Klassierungsrost
KR100804988B1 (ko) 2001-11-02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 경사도 조정장치
KR100878843B1 (ko) 2008-01-02 2009-01-15 주식회사 이지엠 스크린 교체가 용이한 진동스크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617A (ko)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수리 장치
KR102053394B1 (ko) * 2018-12-14 2019-12-09 주식회사 대성제이테크 석탄을 포함하는 광물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950B1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950B1 (ko) 선별장치
EP0699109B1 (en) Vibrating screen
CN110178463A (zh) 一种用于土地平整的平整装置
CN109014290A (zh) 一种耐磨性建筑材料加工用钻孔装置
CN107115925B (zh) 一种集样品破碎与筛选于一体的装置
CN103444371A (zh) 油菜脱粒机
CN209697434U (zh) 一种土木工程多层分类筛沙机
CN209318142U (zh) 一种便于调节筛板振幅的振动筛
CN105363517A (zh) 一种粉末涂料粉碎机
CA3032518C (en) Vibratory classifiers
CN105363545A (zh) 一种粉末涂料粉碎机
CN210816160U (zh) 一种电缆料的筛分装置
JP7093051B2 (ja) 切削装置
CN107053384A (zh) 一种具有自清洁排屑功能的红木家具切割装置
CN218309169U (zh) 一种稀油润滑振源的环保振动筛
CN104325516A (zh) 新型竹木板切割机结构
CN109203035A (zh) 水果切丁机
CN105414018B (zh) 一种多功能振动式玉米粒筛选装置
KR101340565B1 (ko) 그리즐리 선별기
WO1986005125A1 (en) Method and appratus for breaking into parts of a certain size and screening a bulk material
CN213650921U (zh) 均匀出料的振动放矿机
JP2010075795A (ja) 振動式篩装置および自走式篩機
CN210973100U (zh) 一种振动给料机
CN87108367A (zh) 颚式破碎装置
CN107866370B (zh) 减震效果好的建筑用沙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