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019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5019A KR20130005019A KR1020110066317A KR20110066317A KR20130005019A KR 20130005019 A KR20130005019 A KR 20130005019A KR 1020110066317 A KR1020110066317 A KR 1020110066317A KR 20110066317 A KR20110066317 A KR 20110066317A KR 20130005019 A KR20130005019 A KR 201300050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data
- setting
- information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1 시점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통신 링크를 통하여 송신한 후 제2 시점에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사용하는 통신 링크를 통하여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데이터에 포함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형성한 통신 링크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정값을 획득하여,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과거 특정 시점의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형성한 통신 링크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정값을 획득하여,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과거 특정 시점의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모바일 결제, 홈 네트워크 구현, 스카트 포스터, 버스 티케팅, 다른 전자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형성한 통신 링크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정값을 획득하여,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과거 특정 시점의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1 시점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통신 링크를 통하여 송신한 후 제2 시점에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사용하는 통신 링크를 통하여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데이터에 포함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과의 태깅(tagging)에 의하여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 스케쥴 정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아이콘의 배치 정보, 배경화면의 구성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시점에 획득한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설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설정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하여 획득한 핸드오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 1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과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한 제1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제2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과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한 제2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통신 링크는,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에 태깅(tagging)되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 스케쥴 정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아이콘의 배치 정보, 배경화면의 구성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점에 획득한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설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설정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제1,2 통신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획득한 핸드오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인터넷 모듈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제1,2 통신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형성한 통신 링크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정값을 획득하여,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과거 특정 시점의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도면이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의 상세 블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태깅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8 내지 도 11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업데이트 전후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업데이트 전후의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도면이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모듈의 상세 블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태깅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8 내지 도 11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업데이트 전후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업데이트 전후의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전용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와이파이 통신 모듈은 초고속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는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무선 접속 장치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러한 와이파이 통신 모듈(119)의 통신 범위는 기술 도입 초기에는 불과 10여 미터에 불과하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50~200m 정도까지로 증가하였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부(15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물리적으로 표시패널들이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가 힌지나 슬라이드로 체결된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에서, 제 1디스플레이부(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어느 한 바디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바디의 내부면이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와 분리된 디스플레이부로써, 이동 단말기 바디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2c와 같이 표시패널 내에서 논리적으로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들(100), 다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270),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및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8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9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백하울 라인들(backhaul lines)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들(270)에 연결된다. 상기 백하울 라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E1/T1, ATM, IP, PPP,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275)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기지국(270)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secto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또는 상기 기지국(270)으로부터 특정한 방사방향으로 조정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섹터는 다이버시티수신(diversity reception)용 안테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270)은 다수개의 주파수 할당들(frequency assignment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할당들은 특정 스펙트럼(예를들어, 1.25MHz, 5Mhz)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인터섹션(intersection)은 CDMA 채널로 칭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27)은 또한 기지국 트랜스시버 서브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으로 칭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제어기(27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270)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은 또한 "셀 사이트"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어진 기지국(270)의 개별적인 섹터들이 셀 사이트들로 일컬어질 수 있다.
지상파 DMB 송신기(295)는 상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이동단말기들(100)에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방송수신모듈(111)은 일반적으로 상기 DMB 송신기(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여러가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3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300)은 몇몇 또는 모든 이동단말기들(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두개의 위성들이 도시되었으나, 위치정보는 그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위성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타입의 위치추적기술(예를 들어, GPS 기술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몇몇 또는 모든 상기 GPS 위성들(300)은 별도로 또는 부가적으로 위성 DMB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중에, 상기 기지국들(270)은 여러개의 이동단말기들(100)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들(reverselink signals)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들(100)은 통화 중이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있거나, 그리고 다른 통신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데이타는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275)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75)는 콜 리소스 할당(call resource allocation)을 제공하며, 그리고 기지국들(270) 사이의 소프트 통화채널전환(soft handoffs)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포함하는 이동관리기능(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는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s, 28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상기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STN, 29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루팅 서비스들(routing services)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상기 퍼블릭스위칭텔레폰네트워크(29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차례로 상기 기지국들(270)을 제어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상기 이동단말기들(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4)의 상세 블락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NFC 통신 모듈(117), 블루투스 통신 모듈(1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관련된 초단거리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 기술(very short-range contactless data transfer technology)을 이용하여, 10cm이내(바람직하게는 4c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기술을 채택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리더(reader) 모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card emulation mode), 피어 투 피어 (peer to peer)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NFC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에 대해서는 향후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살펴 본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118)은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의 하나인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반경 10~100m안에 있는 장치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블루투스는 에릭슨럼尹갼틔IBM렝壙米도시바 등 5개 업체가 지난 98년에 결성한 블루투스 스페셜 그룹(SIG:Special Interest Group)에서 공동 개발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킹 기술이다.
도 5에 도시된 블락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4)의 일예일 뿐이며, 그 구성은 필수적 구성이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구성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상기 제어부(180)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18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gyro)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커서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커서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콜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카드 형식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카드 슬롯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다른 전자 기기와 복수의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 환경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NFC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시스템 환경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므로, 상기 시스템 환경은 도 6에 도시된 구성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통신 링크 형성 특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통신 링크 형성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만이 간략 도시되었다.
도 6에서 상기 시스템 환경은 이동 단말기들(100, 200, 및 300)로 구현되었으나, 본 문서에서 언급하는 전자 기기들(100, 200, 및 300)은 NFC 통신을 지원하는 임의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기기들(100, 200, 및 300)은 NFC 통신을 지원하는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으나, 프린터, TV, DTV, 컴퓨터, 오디오 장치 등의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이하 NFC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는 NFC 전자 기기로 호칭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기술의 일종인 NFC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다른 전자 기기들(200 및 300)과 NFC 링크를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NFC 통신 기술 이외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들(200 및 300)과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 NFC 통신 모듈(117), 블루투스 통신 모듈(118),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119)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내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NFC 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와 NFC 링크(NFC link)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은 NFC 포럼 디바이스 (NFC Forum device)를 말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NFC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통신 범위(NFC communication range) 내에서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의 NFC 통신 모듈과 태깅(tagging)을 통하여, NFC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은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의 NFC 통신 모듈과 다양한 모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양한 모드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리더 모드,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이 상기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은 카드, 다시 말해 태그(tag)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의 NFC 통신 모듈은 리더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NFC 통신 모듈(117)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이 상기 리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은 리더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은 에뮬레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의 NFC 통신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이 상기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NFC 통신 모듈(117)과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의 NFC 통신 모듈은 서로 데이터를 교환(exchange)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의 모드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의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라 세팅(setting)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와 상기 NFC 통신 모듈(117)을 통하여 NFC 링크를 형성한 이후,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와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118)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119)을 통하여 NFC 링크와 다른 종류의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NFC 통신 링크가 끊어지더라도 블루투스 통신 링크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와 데이터 통신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NFC 링크를 형성한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가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계속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다른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핸드오버(handover)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NFC 통신 링크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링크, 와이파이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링크, WiGig(Wireless Gigabit) 통신 링크 등의 다양한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다른 전자기기(200 및 3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전자기기(200 및 300)는 제어부, NFC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핸드오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와 NFC 링크를 형성하고, 그 후 다른 통신 링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전자 기기(200 및 300) 사이의 NFC 태깅(tagging)을 통하여 쉽게 NFC 링크를 형성한 이후, NFC 링크 보다 원거리 및/또는 고용량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대체 통신 링크로 통신 수단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핸드오버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시스템 환경을 참조하기로 한다. 단,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특정 환경이나 특정 기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다른 전자 기기(200)와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일예를 나타낸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통신 링크 형성 과정을 살펴 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S110). 상기 S110 단계에 앞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는 제1 통신수단을 통하여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에 포함된 NFC 통신 모듈(220)에 대한 태깅을 통하여 NFC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NFC 링크가 형성된 상태에서 NFC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로 핸드오버 요청을 위한 메시지 예를 들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는 현재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 간에 형성된 NFC 링크를 통하여 다른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을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핸드오버 요청자(handover requester)의 지위를 가지고,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는 핸드오버 선택자(handover selector)의 지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요청자는 다른 NFC 전자기기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핸드오버 프로토콜을 개시하는 기기를 말하고, 상기 핸드오버 선택자는 수신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구성하여 응답하는 NFC 기기를 말할 수 있다.
즉, 핸드오버 요청자(i.e.핸드오버 요청 기기)와 핸드오버 선택자(i.e. 핸드오버 선택 기기)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느냐 또는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전송하느냐에 따라 정해지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전송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핸드오버 선택자가 되고,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가 핸드오버 요청자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다른 통신 모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블루투스와 와이파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에 이용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통신 기술에는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우선순위가 높은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에 관한 정보를 앞쪽에 기재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에 대한 정보를 뒤쪽에 기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참고하면, Wi-Fi 통신 모듈에 대한 정보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에 정보보다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다른 전자 기기(200)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는 NFC 링크를 통하여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의 일 예로서,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통신 모듈에 무엇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에 포함된 통신 모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에 포함된 통신 모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의 제어부(210)는 상기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118)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119)이 포함되어 있음을 판단한 다음,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에 포함된 블루투스 통신 모듈(230)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24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로부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230)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240)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에 포함된 통신 모듈들과의 통신 링크를 형성한 다음,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20).
예컨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와의 NFC 통신 링크를 블루투스 통신 링크로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와의 블루투스 패어링(pairing)이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와의 통신 링크를 NFC 통신 링크에서 블루투스 통신 링크로 전환하여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간의 통신 링크가 NFC 통신 링크에서 블루투스 통신 링크로 핸드오버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가 더 이상 도 7에 도시된 NFC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고, NFC 링크 보다 더 빠른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 근처로 가져와서,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와 태킹을 함으로써, NFC 링크를 형성하고, 핸드오버 프로토콜을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 링크로 통신 수단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NFC 통신 범위 밖으로 가지고 나가더라도, 스마트 폰과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는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계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와의 NFC 통신 링크를 와이파이 통신 링크로 변경하기 위하여 다른 전자 기기(200)와의 와이파이 통신 링크 형성 과정을 수행한 다음, 형성된 와이파이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NFC 통신 링크보다 더 빠른 데이터 송수신 속도로 NFC 통신 범위 밖에서도 상기 다른 전자 기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NFC 통신 링크로부터 변경 가능한 통신 링크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통신 링크 중 선택된 통신 링크에 대해서만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통신 링크 모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가 복수의 통신 링크 중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통신 링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NFC 디바이스에 태깅되면 이동 단말기의 설치정 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다른 디바이스에 태깅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를 진행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는, NFC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 및/또는 NFC 통신이 가능한 태그(tag) 등일 수 있다.
태깅은, 다른 단말(200)에 이동 단말기(100)를 일정 거리 이상 가깝게 접근시키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단말(200)에 근접시켜 태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단말(200)은, NFC 통신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또는 NFC 통신이 가능한 태그(tag)일 수 있다.
태킹이 이루어지면, 근거리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와 NFC 기능이 있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태그의 사이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사용한 통신 링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통신 링크가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NFC 통신 링크가 형성되면, 이를 통하여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인증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에 태킹되어 근거리 통신 링크가 형성되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100)를 다른 단말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정보, 이동 단말기(100)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적절한 디바이스 인가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기능을 사용할 것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핸드오버 기능은, 형성된 근거리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획득한 다른 통신링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wi-fi 등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핸드오버 기능을 사용하면, NFC 외의 다른 통신수단으로의 접속을 NFC 태깅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핸드오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형성된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설정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에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가에 대한 정보,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에 대한 정보,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스케쥴에 대한 정보,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케쥴에 대한 정보,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에 대한 정보 등일 수 있다.
설정정보는,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설정정보는, 이를 송신받은 NFC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NFC 디바이스가, 그 정보를 다른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해당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저장된 설정정보는, 필요한 시점에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을 복구하거나, 과거의 설정 내용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를 업데이트 한 이후 업데이트 전에 설치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설치하고 싶을 경우에, NFC 다바이스를 통하여 저장한 설정정보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wifi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 및 획득한 wifi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wifi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S70)가 진행될 수 있다.
wifi 접속정보는, wifi 통신을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접속정보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이용하여 특정 wifi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를 통하여 특정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80) 및 접속한 서버로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90)가 진행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2)을 사용하여 wifi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이를 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에 접속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설정정보를 송신받은 서버는, 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다른 디바이스에 태깅(S110)되면, 근거리 통신 링크를 형성(S120)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인증(S130)되면, 핸드오버 기능을 사용할 것인가 여부를 판단(S140)할 수 있다.
형성된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50) 및 획득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배경화면 등을 변경하는 단계(S160)가 진행될 수 있다.
설정정보는, NFC 통신을 통하여 과거의 특정시점에 NFC 디바이스 등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설정정보는, 과거의 특정 시점의 설정으로 되돌아가거나, 현재의 설정에 과거 특정 시점의 설정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정보를 저장한 이후 이동 단말기(100)를 업데이트 한 경우에,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세팅값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NFC 통신을 통하여 저장했던 설정정보를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기능을 사용(S140)하는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wifi 접속정보를 획득(S210)할 수 있다. 획득한 wifi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서버에 접속(S220)하고, 접속한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획득(S230)할 수 있다. 획득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배경화면 등을 변경(S240)할 수 있다.
도 12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태깅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NFC 디바이스(200)와 태깅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NFC 디바이스(200)의 일정한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태깅은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NFC 디바이스(200)에 태깅되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가 NFC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된 정보는, NFC 디바이스(200) 내부의 메모리 및/또는 외부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는, 태깅된 상태에서 NFC 저장메뉴(SB)를 선택하는 경우에 NFC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태깅하여 근거리 통신 링크가 형성된 상태에서, NFC 저장메뉴(SB)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가 NFC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은 도 8 내지 도 11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와 NFC 디바이스(200) 사이에서 설정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NFC 디바이스(200)에 태깅(S10)되면, 근거리 통신 링크가 형성(S20)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인증정보(S32) 및 설정정보(S50)가 송신될 수 있다. 설정정보(S50)를 송신받은 NFC 디바이스(200)는 설정정보를 저장(S52)할 수 있다.
설정정보를 송신받아 저장한 이후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업데이트 동작을 수행하는 등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NFC 디바이스(200)에 태깅(S110)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태깅이 수행되면, 근거리 통신 링크가 형성(S120) 된 후 이동 단말기(100)의 인증정보가 NFC 디바이스(200)로 송신(S132)될 수 있다.
인증정보를 송신받은 NFC 디바이스(200)는, 그 인증정보에 대응된 설정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그 이동 단말기(100)가 과거에 NFC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송신한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설정정보를 전송받으면,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배경화면 등을 변경하는 단계(S160)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과거 특정 시점의 설정을 현재의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모듈(도 1의 114)을 사용하여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하여 특정한 데이터 포맷을 따르는 데이터가 전송될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은 NFC 규격을 따르는 통신이며, 특정한 데이터 포맷은 NDEF 규격을 따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데이터 포맷은 다양한 레코드(record)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MB 필드(field)는, NDEF 메시지의 시작지점임을 알리는 플래그(flag)일 수 있다.
ME 필드는, NDEF 메시지의 끝지점임을 알리는 플래그일 수 있다.
CF 필드는, 청크(chunked)된 페이로드(payload)의 특정 지점을 지시하는 플레그(flag)일 수 있다.
SR 필드는, 페이로드가 0 내지 255 바이트(byte)일 경우에 설정되는 플래그일 수 있다.
IL 필드는, ID LENGTH와 ID 필드(field)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일 수 있다.
TNF 필드는, Type Name Format의 약자로서 TYPE 필드에 속한 각 항목의 값을 포함한다.
TNF 필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3 bit 정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NF 필드에 0x01이 할당되어 있으면, NFC Forum well-known type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되는 NDEF에는, TNF 필드에는 0x04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즉, NFC Forum external type 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TYPE LENGTH 필드는, TYPE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ID LENGTH 필드는, ID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PAYLOAD LENGTH 필드는, PAYLOAD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PAYLOAD LENGTH 필드는 SR 플레그와 관계될 수 있다. 즉, SR이 설정된 경우에는 PAYLOAD LENGTH는 1개가 존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4개가 존재할 수 있다. PAYLOAD LENGHT가 0인 경우라면, PAYLOA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TYPE 필드는, payload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되는 NDEF에는, TYPE 필드에 urn:nfc:ext:lge.com:PPC와 같은 값을 할당하여 PPC(parental control) type이라는 점을 나타낼 수 있다.
ID 필드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레퍼런스(reference)의 지시자 값(identifier value)일 수 있다. middle record chunk와 terminating record chunk에는 ID 필드가 없지만, 다른 레코드는 ID 필드가 있을 수 있다.
PAYLOAD 필드는,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PAYLOAD 필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PPC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0x01부터 0x05까지의 값 중 하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각 값은, NFC 통신을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의 연령을 의미할 수 있다. PAYLOAD 필드에 연령 정보 외에 성별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는, 다른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NFC 디바이스(200)와의 태깅 동작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송신(S50)할 수 있다. 설정정보를 송신받은 NFC 디바이스(200)는, 설정정보를 저장(S52)할 수 있다.
NFC 디바이스(200)는 설정정보를 서버(S)로 송신(S310)할 수 있다. 즉, NFC 디바이스(200)가 설정정보를, 그 디바이스가 아닌 외부의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설정정보를 송신받은 서버(S)는, 설정정보를 다른 단말기(300)로 송신(S320)할 수 있다. 설정정보를 송신받은 다른 단말기(3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값을 그 다른 단말기(300)에 적용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단말기(300)는, 직접 NFC 디바이스(200)에 태깅(S330)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서버(S)를 통하여 설정정보를 송신받는 경로가 아닌, NFC 디바이스(200)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단말기(30)가 NFC 디바이스(200)에 태깅되면, 설정정보가 NFC 디바이스(200)로부터 다른 단말기(300)로 송신(S340)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업데이트 전후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송신받은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아이콘 등을 재배치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배경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수 있다. 배경화면에는 A, B, C, D 아이콘 및/또는 위젯(widget)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는 명확히 표시될 수 없으나, 배경화면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색상 등이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배경화면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한 사진 내지 그림이 적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한 설정값은, 설정정보로 가공되어 NFC 디바이스(200)에 송신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한 시점에 업데이트 등이 이루어지며 배경화면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를 구동하는 OS는 사용자의 선택 및/또는 제조사의 정책에 따라서 일정 시점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OS가 업데이트되면,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하였던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16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배경화면이, 도 16의 (b)에 도시한 것고 같은 배경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그에게 최적화된 배경화면인 도 16의 (a)로 되돌아가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설치하는 등 일련의 조작을 수행해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기존에 저장해놓은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값을 손쉽게 되돌릴 수 있다.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NFC 디바이스(200)에 대한 태깅 동작을 통하여 설정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설정정보에 따라서 배경화면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전에 설치되었던 A, B, C, D 아이콘 및/또는 위젯이나, 배경화면의 색상, 배경화면의 그림 및/또는 사진으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설정정보에 기초한 변경을 수행함에 있어서, 업데이트하며 추가된 내용을 반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하며 E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에, 그 내용을 반영하여 배경화면을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업데이트 전후의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업데이트 전과 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업데이트 전에는 제1 데이터그룹(G1)의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100)에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데이터그룹(G1)은, NFC 디바이스(200)와의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특정 시점에 NFC 디바이스(200)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업데이트 후에는 제2 데이터그룹(G2)의 데이터가 이동 단말기(100)에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제2 데이터그룹(G2)은, 제1 데이터그룹(G1)과 일부는 중첩되고 일부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업데이트 후에, 사용자는 업데이트 전에 저장하였던 제1 데이터그룹(G1)의 데이터를 NFC 디바이스(200)와의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불러올 수 있다.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하여 불러온 제1 데이터그룹(G1)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데이터그룹(G1, G2)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배경화면 등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제1,2 데이터그룹(G1, G2)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획득한 설정정보의 획득 및 설치 과정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NFC 디바이스(200)로부터 설정정보를 획득하고 있음을 알리는 제1 팝업창(P1)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팝업창(P1)에는, 설정정보의 송신상태를 진행바 표시 및/또는 퍼센트 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송신받은 설정정보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변경하고 있음을 제2 팝업창(P2)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에는,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설정정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 스케쥴 정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아이콘의 배치에 대한 정보, 배경화면에 대한 정보,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값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설정정보 중에서 어떤 데이터를 선택할 것인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설정정보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과거에 특정 시점에 수회에 걸쳐 NFC 디바이스(200)에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정보를 저장한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복수의 설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그 중에서 어떤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용할 것인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제3 팝업창(P3)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팝업창(P3)에는, 복수 개의 설정정보가 존재함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설정정보가 언제 저장된 데이터인가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18)
-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1 시점에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통신 링크를 통하여 송신한 후 제2 시점에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사용하는 통신 링크를 통하여 획득하여, 상기 획득한 데이터에 포함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과의 태깅(tagging)에 의하여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 스케쥴 정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아이콘의 배치 정보, 배경화면의 구성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시점에 획득한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설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설정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하여 획득한 핸드오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형성된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과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한 제1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제2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과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한 제2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통신 링크는,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에 태깅(tagging)되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 스케쥴 정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아이콘의 배치 정보, 배경화면의 구성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점에 획득한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선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설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이 서로 다른 경우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점의 설정과 상기 제2 시점의 설정을 결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제1,2 통신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획득한 핸드오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인터넷 모듈을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제1,2 통신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317A KR20130005019A (ko) | 2011-07-05 | 2011-07-05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317A KR20130005019A (ko) | 2011-07-05 | 2011-07-05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019A true KR20130005019A (ko) | 2013-01-15 |
Family
ID=4783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6317A KR20130005019A (ko) | 2011-07-05 | 2011-07-05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501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3376B1 (ko) * | 2013-03-15 | 2013-07-08 | (주)지란지교소프트 | 단말의 사용자 환경 공유 방법 및 시스템 |
KR20140100202A (ko) * | 2013-02-06 | 2014-08-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WO2014160952A1 (en) * | 2013-03-29 | 2014-10-02 | Intel Corporation | Multi-radio wireless flash drive using nfc |
-
2011
- 2011-07-05 KR KR1020110066317A patent/KR201300050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0202A (ko) * | 2013-02-06 | 2014-08-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KR101283376B1 (ko) * | 2013-03-15 | 2013-07-08 | (주)지란지교소프트 | 단말의 사용자 환경 공유 방법 및 시스템 |
WO2014160952A1 (en) * | 2013-03-29 | 2014-10-02 | Intel Corporation | Multi-radio wireless flash drive using nfc |
US9537535B2 (en) | 2013-03-29 | 2017-01-03 | Intel Corporation | Multi-radio wireless flash drive using NFC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85462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9313315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tagging different NFC tags | |
KR101760911B1 (ko) | 이동 단말기 | |
US8886213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424210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20133777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40009851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101781072B1 (ko) |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712666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 |
KR2013000501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003005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 | |
KR2012012481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
KR20130012225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26992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 |
KR20150027613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2013001987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43260B1 (ko) | 전자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101587213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wlan 애드혹 연결 방법 | |
KR101690599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방법 | |
KR101633324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단말기 제어방법 | |
KR20120055865A (ko) | 이동 단말기 | |
US20110314110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951475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26481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10519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표시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