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980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980A
KR20130004980A KR1020110066249A KR20110066249A KR20130004980A KR 20130004980 A KR20130004980 A KR 20130004980A KR 1020110066249 A KR1020110066249 A KR 1020110066249A KR 20110066249 A KR20110066249 A KR 20110066249A KR 20130004980 A KR20130004980 A KR 20130004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mode
mobile communication
incoming call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선
Original Assignee
이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선 filed Critical 이호선
Priority to KR102011006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980A/ko
Publication of KR2013000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지정된 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제1 지정시각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수신 전화가 착신되면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는 디스플레이부 및 현재 시각이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현재 시각이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한 경우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고,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된 이후의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정된 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단말기(특히, 스마트폰(SMART-PHONE))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전화기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이루어져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접근 가능하게 해주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가리킨다. 이러한 무선단말기의 이용분야는 휴대용 컴퓨터 기능, 전자수첩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등으로, 사용자의 계층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최근 들어 급속한 기술개발과 함께 무선단말기는 단순한 전화기의 역할을 넘어서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변화에 따라 무선단말기 제작 및 판매사는 무선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일반 유저 또한 상업적 또는 비상업적으로 무선단말기에서 지원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배포하고 있는 추세이다. 나아가 기존의 인터넷망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 또한 자체적으로 무선단말기에서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배포하고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중 무선단말기의 각종 기능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 있는 잠금 기능이 있다. 잠금 기능은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설정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필요에 의하여 잠금 기능을 설정하더라도 전화가 착신되면 무선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리거나 진동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통화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무선단말기의 전원을 꺼야만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정된 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제1 지정시각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수신 전화가 착신되면 상기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는 디스플레이부; 및 현재 시각이 상기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한 경우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된 이후의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현재 시각이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1 지정ㄴ시각에 도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된 이후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되는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단말기 잠금 모드인 경우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통신 인터페이스(102), 사용자 입력부(104), 디스플레이부(106), 메모리(108)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단말기 잠금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의 해제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 요청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04)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0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04)는 사용자로부터 제1 기준시각(基準時刻) 또는 제2 기준시각(基準時刻)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기준시각 및 제2 기준시각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시각이 오전 10시이고 제2 기준시각이 오후 8시라고 가정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110)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유지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04)는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104)는 단말기 잠금 모드를 유지하는 주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주기는 요일, 날짜, 또는 특정 시간대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04)는 단말기 잠금 모드로의 전환을 반복할 것인지 여부, 반복을 하는 경우 반복 횟수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6)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모리(108)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6)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가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알람 또는 단말기 잠금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알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6)는 배터리의 잔량 또는 소모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6)는 현재 시각에서 미리 저장된 지정 시각까지의 남은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각이 오전 12시이고, 지정 시각이 오후 2시인 경우, 2시간 남았음을 알리는 알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6)는 각종 알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8)에 저장된 학교 또는 학원의 등하교 시각에 대한 알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알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6)는 1시간마다 또는 정각마다 알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알람 기능은 메모리(108)에 미리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108)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다른 메모리에는 제1 기준시각 또는 제2 기준시각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08)에는 단말기 잠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08)에는 주소록이 저장될 수 있다. 주소록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연락처가 기록된다. 주소록에는 이름 또는 닉네임 및 상기 이름 또는 닉네임에 대응하여 전화번호가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08)에는 지정번호가 저장된다.
'지정번호'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가 단말기 잠금 모드인 경우에도 제어부(110)가 착신을 알리도록 미리 지정된 수신전화의 전화번호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01X-393X-383X'가 지정번호이고 '07X-373X-272X'가 지정번호가 아니라고 가정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가 단말기 잠금 모드인 상태에서 착신된 수신 전화의 전화번호가 '07X-373X-272X'이면,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지 않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한다. 반면에 수신 전화의 전화번호가 '01X-393X-383X'이면,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가 단말기 잠금 모드라 할지라도 벨소리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함으로써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릴 수 있다.
아래 표 1은 메모리(108)에 저장되는 주소록의 일 예를 나타낸다.
그룹 이름 전화번호 지정번호 여부
친구 김AA 01X-123X-456X0 지정번호 아님
친구 이BB 01X-789X-123X 지정번호 아님
회사(지정그룹) 박CC 04X-567X-890X 지정번호
회사(지정그룹) 윤DD 01X-234X-567X 지정번호
... ... ... ...
표 1을 참조하면, 김AA와 이BB의 전화번호는 지정번호가 아니고, 박CC와 윤DD의 전화번호는 지정번호이다. 김AA와 이BB는 '친구' 그룹에 포함되어 있고, 박CC와 윤DD는 '회사(지정그룹)' 그룹에 포함되어 있다. 즉, 표 1의 '회사' 그룹은 지정그룹으로서, '회사' 그룹에 포함된 전화번호들은 모두 지정번호들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주소록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의 그룹들 중에서 특정 그룹을 지정그룹으로 지정함으로써 상기 지정그룹에 포함된 전화번호들을 모두 지정번호로 결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지정번호 또는 지정그룹의 결정은 사용자 입력부(104)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한다. '단말기 잠금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잠금(locked) 상태를 유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이다. 동작 모드가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단말기 잠금 모드 동안에는 사용자 입력부(10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현재 시각이 제1 기준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시각이 제1 기준시각에 도달하면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한다. 단말기 잠금 모드인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현재 시각이 제2 기준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시각이 제2 기준시각에 도달하면, 제어부(110)는 단말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시각은 등교 시각이고, 제2 기준시각은 하교 시각일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등교 시각부터 하교 시각까지의 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자동적으로 잠금(Lock)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잠금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가 단말기 잠금 모드로 유지되고 있을 때,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착신되는 수신 전화를 알릴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 잠금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110)는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 즉 지정번호 이외의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지 않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번호가 '010-3837-38XX'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단말기 잠금 모드 상태인 경우, 제어부(110)는 착신된 수신 전화의 전화번호가 '010-3837-38XX'인 경우에만 벨소리, 진동 등의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잠금 모드가 해제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에 착신된 수신 전화들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6)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의 형태로 구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제어부(110)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현재 시각이 제1 기준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현재 시각이 제1 기준시각에 도달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현재 시각이 제2 기준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제2 기준시각에 도달한 경우 단말기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단말기 잠금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지정번호를 가진 수신 전화가 착신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단말기 잠금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지정번호 이외의 전화번호를 가진 수신 전화의 착신은 알리지 않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110)는 현재 시각이 제1 기준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즉 제1 주기마다 현재 시각이 제1 기준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2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제1 기준시각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202:아니오), 제어부(110)는 별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단계 S202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제1 기준시각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주기마다 단계 S202의 동작을 반복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202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각이 제1 기준시각에 도달한 경우(S202:예),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한다(S204).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즉 제1 기준시각부터 제2 기준시간까지의 시간 동안 단말기 잠금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유지한다(S206).
제어부(110)는 현재 시각이 제2 기준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8). 제2 기준시각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208:아니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유지한다(S206). 반면에 제2 기준시각에 도달한 경우(S208:예), 제어부(110)는 단말기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S21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가 단말기 잠금 모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유지한다(S220).
단말기 잠금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신 전화가 착신되면(S222), 제어부(110)는 단계 S222의 수신 전화의 전화번호가 지정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4). 단계 S224의 판단결과 지정번호가 아닌 경우(S224:아니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지 않는다(S228)
반면에 단계 S224의 판단결과 지정번호인 경우(S224:예),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린다(S226).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단말기 잠금 모드인 경우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도 4a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단말기 잠금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06)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Screen)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에서의 단말기 잠금 모드는 '수업 시간 잠금'으로서, 단말기 잠금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은 '08:30~17:30'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 입력부(104)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단말기 잠금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을 입력받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단말기 잠금 모드를 설정할 때에 사용자 입력부(10)를 통하여 단말기 잠금 모드의 이름 또는 종류를 입력받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106)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를 수행할 때에 도 4a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b는 단말기 잠금 모드인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지정번호의 수신전화가 착신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06)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b의 단말기 잠금 모드는 도 4a와 마찬가지로 '수업시간 잠금'이다. 도 4b에서 지정번호의 이름은 '엄마'이고 지정번호는 '01X-88X-888X'이다. 단말기 잠금 모드인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지정번호로 수신 전화가 착신되는 경우에만 디스플레이부(106)는 수신 전화의 이름 및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수신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벨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릴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이동통신 단말기 102: 통신 인터페이스
104: 사용자 입력부 106: 디스플레이부
108: 메모리 110: 제어부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제1 지정시각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수신 전화가 착신되면 상기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는 디스플레이부; 및
    현재 시각이 상기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한 경우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된 이후의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지정시각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2 지정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2 지정시각에 도달한 경우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지정시각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지정시각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2 지정시각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정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된 이후의 수신 전화의 전화번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번호인 경우, 상기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현재 시각이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된 이후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착신되는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지정시각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2 지정시각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2 지정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제2 지정시각에 도달한 경우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잠금 모드로 전환된 이후의 수신 전화의 전화번호가 미리 저장된 지정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지정번호인 경우, 상기 수신 전화의 착신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110066249A 2011-07-05 2011-07-0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30004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249A KR20130004980A (ko) 2011-07-05 2011-07-0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249A KR20130004980A (ko) 2011-07-05 2011-07-0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980A true KR20130004980A (ko) 2013-01-15

Family

ID=4783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249A KR20130004980A (ko) 2011-07-05 2011-07-0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9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78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a user profile to a caller identifier
US914359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act list in order of priority levels
US2008020022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limit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827159A (zh) 一种事件提醒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451080B2 (en) Terminal communications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02713820A (zh) 一种操作界面管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30225139A1 (en) Cooperative tablet computer and mobile communicator
CN101867646A (zh) 一种实现快速通讯的方法及移动终端
JP2010232811A (ja) 輻輳時の規制情報表示方法、および、規制情報表示システム
CN104012067A (zh) 用于选择性地激活多个订户标识模块的方法和装置
CN104917875A (zh) 一种未处理信息的提醒方法及装置
EP3634037B1 (en) Communication method, wearable device, server and system
JP2003008738A (ja) 移動体端末
CN103200334A (zh) 移动终端的外来事件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2694922A (zh) 一种移动通讯设备的来电提醒方法
KR20130004980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9010678A (ja) アドレス管理システム
JP2010263537A (ja) 移動通信端末装置、通信制限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憶装置、通信制限方法および電話帳の更新方法
JP5504436B2 (ja) 情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5827856A (zh) 一种呼叫方法和终端
KR100776305B1 (ko)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 제어 방법
KR100710637B1 (ko) 전화번호 갱신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6558138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履歴管理プログラム
KR20070078304A (ko) 가변 시야각 lcd를 이용하여 사생활 보호 서비스를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N104065826A (zh) 一种终端及数据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