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834U -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4834U KR20130004834U KR2020120000820U KR20120000820U KR20130004834U KR 20130004834 U KR20130004834 U KR 20130004834U KR 2020120000820 U KR2020120000820 U KR 2020120000820U KR 20120000820 U KR20120000820 U KR 20120000820U KR 20130004834 U KR20130004834 U KR 2013000483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member
- musical instrument
- music
- tripod
- instrument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10G7/005—Carrying cases for musical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02—Free-standing music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기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한 휴대용 가방의 내부에 악보대와 함께 삼각대를 동시에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수납된 악보대를 가방 또는 삼각대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주시 보면대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한층 더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악기와 악보대(200) 및 삼각대(300)를 함께 수용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다층 구조로서 내부에 악기와 악보대(200) 및 삼각대(300)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추고, 외부에 악보대(200)의 설치를 위한 돌출 구조물(112)을 구비하는 가방(100); 가방(100) 또는 삼각대(3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부재(230), 고정판부재(230)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악보를 지지하는 경사판부재(210), 및 고정판부재(230)에 대한 경사판부재(210)의 설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지지판부재(250)를 구비하는 악보대(200); 및 악보대(200)의 설치를 위한 헤드부(310)를 갖춘 삼각대(300)를 포함하는 악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악기와 악보대(200) 및 삼각대(300)를 함께 수용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다층 구조로서 내부에 악기와 악보대(200) 및 삼각대(300)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추고, 외부에 악보대(200)의 설치를 위한 돌출 구조물(112)을 구비하는 가방(100); 가방(100) 또는 삼각대(3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부재(230), 고정판부재(230)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악보를 지지하는 경사판부재(210), 및 고정판부재(230)에 대한 경사판부재(210)의 설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지지판부재(250)를 구비하는 악보대(200); 및 악보대(200)의 설치를 위한 헤드부(310)를 갖춘 삼각대(300)를 포함하는 악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가방의 내부에 악기와 함께 악보대 및 삼각대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주시 가방을 이용하여 악보대를 설치하여 악보를 지지할 수 있는 보면대로 활용하거나 또는 악보대를 삼각대에 대해 별도로 설치하여 보면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악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기의 휴대를 위한 가방은 내부에 악기를 수납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악기를 보호하고 필요시 운반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를 위해 가방은 연질 또는 경질의 외장재와 그 내부에 완충재 소재로서 악기를 보다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장재를 갖춤과 더불어 비교적 부피가 작은 다양한 종류의 소품류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도 함께 구비한다.
이 경우, 악기란 휴대 가능한 가방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적정의 부피를 가지는 것으로, 예컨대 바이올린이나 비올라 등의 현악기를 비롯하여 플루트, 클라리넷, 오보에와 같은 관악기 등 각종 다양한 종류의 운반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악기 모두를 의미한다.
그런데, 종래 악기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한 휴대용 가방은 연주시 악보를 설치하기 위한 보면대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반드시 악보의 설치를 위한 보면대를 별도로 소지하거나 또는 연주 장소에 별도로 구비된 보면대를 이용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즉, 통상의 악기류 보관용 가방의 경우에는 악기를 비롯한 작은 부피의 소품들을 수용하고 운반할 수 있는 기능만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연주에 필요한 악보를 담거나 악보를 세워 지지할 수 있는 보면대를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악기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한 휴대용 가방의 내부에 악보대와 함께 삼각대를 동시에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수납된 악보대를 가방 또는 삼각대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주시 보면대로서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한층 더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악기와 악보대 및 삼각대를 함께 수용하기 위한 악기 케이스로서,
개폐 가능한 다층 구조의 몸체로서 내부에 상기 악기와 악보대 및 삼각대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수용공간을 갖추고, 외부에 악보대의 설치를 위한 돌출 구조물을 구비하는 가방;
상기 가방 또는 상기 삼각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부재, 상기 고정판부재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악보를 지지하는 경사판부재, 및 상기 고정판부재에 대한 상기 경사판부재의 설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지지판부재를 구비하는 악보대; 및
상기 악보대와의 결합을 위한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경사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대해 길이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몸체부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펼쳐져 지면에 대해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삼각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에 의하면, 악기를 보관하고 운반하기 위한 가방의 내부에 악기와 함께 악보대 및 삼각대를 각각 독립된 수용공간내에 별도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악기를 보관하고 운반하고자 하는 가방 본연의 보호 기능을 구현함과 더불어 악보대와 삼각대를 함께 보관하고 운반함으로써 연주시 보면대로서 보다 적극적인 활용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스트랩 형태의 어깨끈을 휴대용 가방의 여러 위치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고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방을 운반함에 있어 한쪽 어깨에 국한하여 메거나 또는 배낭과 같은 형태로 양쪽 어깨에 가방의 하중을 분산시켜 멜 수 있으므로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가방의 외부에 엠블럼 형태로 마련된 돌출 구조물에 대해 악보대의 저면부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삼각대의 상단부에 직접적으로 악보대의 저면부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보면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주 상황에 따라 연주자의 눈높이에 맞춰 가방 또는 삼각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악보를 거치할 수 있으므로 보면대로서 그 활용의 범위를 보다 다양하게 넓힐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편의성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악보대의 경사판부재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어 외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펼쳐질 수 있는 연장판부재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악보대의 전체 면적을 보다 넓게 확장할 수 있고, 이에 선회식 스토퍼를 이용하여 경사판부재와 연장판부재의 전 부위에 걸쳐 펼쳐지는 악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폭이 넓은 악보에 대한 효과적인 지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악보대의 경사판부재는 고정판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절곡지지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지지판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판부재에 대한 경사판부재의 설치각도를 다단계로 세분화하여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주자는 자신의 시선 높이에 맞춰 경사판부재에 악보를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악보에 대한 가독성(可讀性)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에 해당하는 휴대용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가방의 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휴대용 가방의 내부에 악보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휴대용 가방의 내부에 삼각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휴대용 가방의 내부에 악기의 수납을 위해 형성된 수용공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악보대의 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악보대의 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악보대의 사용 상태로서 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악보대의 경사판부재에 대한 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악보대의 고정판부재에 대한 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악보대의 경사판부재에 있어 연장판부재의 수용 상태와 연장판부재의 전개 상태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악보대의 경사판부재에 있어 전면판부재와 배면판부재 사이의 공간에서 연장판부재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삼각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삼각대의 주요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삼각대의 헤드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경사조절용 조작핸들과 보스부의 가압홈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서, 휴대용 가방의 외부에 악보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서, 삼각대를 매개로 악보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가방의 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휴대용 가방의 내부에 악보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휴대용 가방의 내부에 삼각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휴대용 가방의 내부에 악기의 수납을 위해 형성된 수용공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악보대의 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악보대의 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악보대의 사용 상태로서 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악보대의 경사판부재에 대한 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악보대의 고정판부재에 대한 전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악보대의 경사판부재에 있어 연장판부재의 수용 상태와 연장판부재의 전개 상태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악보대의 경사판부재에 있어 전면판부재와 배면판부재 사이의 공간에서 연장판부재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삼각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삼각대의 주요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삼각대의 헤드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경사조절용 조작핸들과 보스부의 가압홈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서, 휴대용 가방의 외부에 악보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서, 삼각대를 매개로 악보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악기는 휴대 가능한 가방에 보관되어 운반 가능한 형태로서 바이올린이나 비올라류의 현악기를 비롯하여 플루트와 클라리넷, 오보에류의 관악기 등 각종 다양한 종류의 휴대 가능한 부피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고, 상세한 설명을 뒷받침하는 도면에서는 바이올린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만을 한정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바이올린과 같은 한 종류의 악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기 케이스는 휴대용 가방(100)과 그 내부에 악기와 함께 보면대를 일체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보면대는 악보를 올려놓고 연주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악보대(200)와, 상기 악보대(200)를 지면에 세워 직립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삼각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악보대(200)는 삼각대(300)는 물론 휴대용 가방(100)과도 각각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보면대로서의 기능을 보다 폭 넓게 달성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각각 참조로 하면, 상기 휴대용 가방(100)은 개폐 가능한 장방형의 형태로서 상부몸체(110)와 중간몸체(130) 및 하부몸체(150)를 각각 층상으로 적층하여 구비하는 다층 구조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10)와 중간몸체(130) 및 하부몸체(150)는 각각 유연한 재질의 패브릭 소재 또는 수지류의 경화된 하드 구조물 등 기타 다양한 물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내부는 우레탄폼과 같은 완충성 소재인 충전제로서 악기는 물론 악보대(200)와 삼각대(300) 등의 다양한 소품류를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용공간을 개별적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가방(100)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악기를 포함한 내부에 수납된 여러 물품류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몸체(110)와 중간몸체(130)는 제1잠금수단(170)을 매개로 개폐 가능하고, 상기 중간몸체(130)와 하부몸체(150)는 제2잠금수단(180)을 매개로 개폐 가능한 형태로 각각 제작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잠금수단(170)과 제2잠금수단(180)은 지퍼류의 슬라이드 화스너(Slide Fastener)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가방(100)은 상부몸체(110)와 중간몸체(130) 및 하부몸체(150)에 대한 전부의 개방을 동시에 구속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제3잠금수단(1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잠금수단(190)은 벨크로테이프와 같이 상기 가방(100)의 전체 부위를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로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허가받은 자에 의한 개방만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보안 기능성을 갖춘 잠금장치로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상부몸체(110)는 중간몸체(130)를 덮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는 커버 형태의 구조물이면서 외측면 중앙부위에 상기 악보대(200)와의 착탈 가능한 조립을 위한 엠블럼 형태의 돌출 구조물(11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돌출 구조물(112)은 악보대(200)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38;도 9에 도시됨)과의 끼움방식의 결합을 위해 상단 외측면에 각각 부재의 폭을 외부로 연장하는 형태의 걸림단부(114)를 일체로 형성한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중간몸체(130)는 상부면에 악보대(200)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함과 더불어 그 측부에 다양한 소품류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용공간(S-1)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공간(S-1)은 내부에 수납된 소품류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탄성소재의 밴드부재(132)를 구비하는 데, 상기 밴드부재(132)는 중간몸체(130)의 수용공간에 대해 상기 악보대(200)를 구속하는 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몸체(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삼각대(300)와 활 등의 기타 소품류를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공간(S-2,3,4)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도 밴드부재는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하부몸체(150)는 내측면에 악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공간(S-5)과 그 측부에 소품류를 수납하고 덮개로서 이탈을 억제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수용공간(S-6)을 함께 마련하고, 길이방향과 폭방향 외측면에 각각 운반용 손잡이(152)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50)는 외측면 양단부에 각각 스트랩 형태의 어깨끈을 걸어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고리(154)를 구비함과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측 일단부 중앙부위를 비롯하여 이를 중심으로 타단부의 대향되는 외측면에도 각각 어깨끈 설치용 고리(154)를 별도로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하부몸체(15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운반용 손잡이(152)를 이용하여 휴대용 가방(100)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하부몸체(150)의 외측면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고리를 이용하여 일자형 스트랩을 설치함으로써 휴대용 가방(100)을 한쪽 어깨에 메거나, 상기 하부몸체(150)의 배면측 일단부의 중앙에 위치한 고리(154)와 타단부의 좌/우 외측면 양쪽에 위치한 고리(154)를 이용하여 브이(V)자 형태의 스트랩을 설치함으로써 휴대용 가방(100)을 배낭과 같은 형태로 멘 상태에서 운반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2를 각각 참조로 하면, 상기 악보대(200)는 경사판부재(210)와 고정판부재(230) 및 지지판부재(250)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판부재(210)는 고정판부재(230)와 힌지 구조물(270)을 매개로 결합되어 선회방식으로 접철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악보류를 올려놓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판부재(230)는 휴대용 가방(100) 또는 삼각대(300)와의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악보대(20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지지판부재(250)는 고정판부재(230)에 대한 경사판부재(210)의 경사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경사판부재(210)는 전방에 악보를 올려놓는 좌판 형태의 전면판부재(212), 상기 전면판부재(212)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부재(250)의 설치를 위한 배면판부재(214), 및 상기 전면판부재(212)와 배면판부재(214) 사이의 공간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어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연장판부재(216)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판부재(216)는 전면판부재(212)의 좌/우 양측방향으로 수납 및 전개되는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전면판부재(212)에 대해 상방향으로 동일한 형태로 수납 및 전개되는 방식의 별도의 연장판부재(도시안됨)를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전면판부재(212)는 하단부에 악보를 올려놓기 위해 외부로 돌출된 안착단(212a)을 형성하고, 악보의 지지를 위해 중앙에 위치한 설치단부를 중심으로 대략 90도 정도의 각도를 두고 상호 이격되게 절곡된 자유단부를 가지고서 상기 전면판부재(212)의 좌/우측 양단부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소재의 선회식 스토퍼(218)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선회식 스토퍼(218)는 중앙에 위치한 설치단부를 중심으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두고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자유단부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면판부재(212)에 대해 연장판부재(216)가 외부로 펼쳐질 경우 설치점을 중심으로 대략 바깥쪽 90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면판부재(212)와 연장판부재(216)의 전 부위에 걸쳐 넓게 펼쳐져 지지되는 폭이 넓은 악보에 대한 효과적인 지지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선회식 스토퍼(218)는 전면판부재(212)와 배면판부재(214)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연장판부재(216)가 수납될 경우에는 원래의 상태인 내측 90도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면판부재(212)에 한정하여 안착된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악보에 대한 통상적인 지지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을 참조로 하면,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배면판부재(214)는 상기 지지판부재(250)의 일단부를 힌지결합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부재(250)의 수납을 위한 제1수용홈(220)과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절곡지지부(236)의 수납을 위한 제2수용홈(222)을 각각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배면판부재(214)는 상단부에 상기 전면판부재(212)의 선단부 보다 작은 크기로서 내측으로 단차진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개폐용 단차홈(214a)을 형성하는 바, 상기 단차홈(214a)은 고정판부재(230)에 대해 경사판부재(210)를 선회시킬 때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돕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배면판부재(214)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연장판부재(216)의 전개시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돕기 위해 연장판부재(216)에 대해 내측으로 대략 반달형상으로 절개된 형태의 오목홈(214b)도 함께 형성한다.
도 11을 참조로 하면,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연장판부재(216)는 상기 전면판부재(212)와 배면판부재(214) 사이의 공간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어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부재(212)와 배면판부재(214)에 대해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출몰식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롯홀(224)을 구비한다. 상기 배면판부재(214)는 상기 슬롯홀(224) 내부에 끼워져 상기 전면판부재(212)와 배면판부재(214)에 대해 상기 배면판부재(214)의 완전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가이드용 보스(226)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슬롯홀(224)은 상기 연장판부재(216)의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용 보스(226)도 슬롯홀(224)의 형성 위치와 전개 위치에 각각 맞춰 구비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연장판부재(216)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단부에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턱(228)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배면판부재(214)는 상기 돌출턱(228)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역시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229)을 일체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돌출턱(228)과 걸림턱(229)의 형성 위치는 상기 전면판부재(212)와 배면판부재(214)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연장판부재(216)가 수납 위치로 수용될 때 상기 돌출턱(228)이 상기 걸림턱(229)을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부위로 설정됨으로써, 상기 연장판부재(216)가 전면판부재(212)와 배면판부재(214) 사이의 공간 내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로 하면, 상기 고정판부재(230)는 상기 지지판부재(250)와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설치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면판부재(232), 상기 전면판부재(232)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가방(100)의 돌출 구조물(112) 또는 상기 삼각대(300)의 헤드부(310)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악보대(200)의 설치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배면판부재(23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전면판부재(232)는 상기 지지판부재(250)와의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고정판부재(230)에 대한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설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용 절곡지지부(23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절곡지지부(236)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부재(21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구조물(270)을 향해 대략 90도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지지판부재(250)의 하단측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지지부(252)와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배면판부재(234)는 상기 휴대용 가방(100)의 돌출 구조물(112)과의 착탈 가능한 조립을 위한 부재를 국부적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삽입홈(238)을 구비하는 바, 상기 삽입홈(238)은 상기 돌출 구조물(112)의 걸림단부(114)와의 상호 걸림작용을 통한 이탈의 억제를 위해 삽입홈(238)의 폭을 보다 좁게 설정하는 형태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연장리브(24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가방(100)의 상부몸체(110)에 구비된 상기 돌출 구조물(112)의 걸림단부(114)와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배면판부재(234)에 형성된 삽입홈(238)의 연장리브(240) 사이의 착탈 가능한 결합관계는 도 17에 도시된 단면부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면판부재(234)는 만곡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상기 휴대용 가방(100)의 상부몸체(110)에 조립시 상기 상부몸체(110)와의 결합을 보다 긴밀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배면판부재(214)의 만곡진 곡률은 상기 휴대용 가방(100)의 상부몸체(110)의 볼록한 형태의 외측면과 같은 수준의 오목한 형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전면판부재(232)는 배면에 상기 삽입홈(238)과의 대응부위에서 외부로 돌출된 결합지지용 돌출리브(242)를 일체로 형성하는 바, 상기 돌출리브(242)는 상기 삽입홈(238)에 상기 휴대용 가방(100)의 상부몸체(110) 외부에 구비된 돌출 구조물(112)의 결합시, 상기 돌출 구조물(112)의 상부면과의 밀착에 따른 가압 작용을 통해 돌출 구조물(112)에 대한 보다 향상된 조립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된 단면부위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전면판부재(232)와 배면판부재(234)는 좌/우측 양단부에 각각 상기 경사판부재(210)에 대해 내측으로 반달형상으로 오목하게 절개되어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파지를 돕기 위한 오목홈(230a)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어, 상기 고정판부재(230)는 상기 휴대용 가방(100) 또는 삼각대(300)에 대해 선택적으로 설치된 다음 상기 고정판부재(230)에 대한 경사판부재(210)의 각도 조절시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파지를 도울 수 있게 된다.
도 8과 도 9를 각각 참조로 하면, 상기 지지판부재(250)는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배면판부재(214)에 형성된 제1수용홈(220)에 수납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부재(250)의 하단측 걸림지지부(252)는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전면판부재(232)에 형성된 다수의 절곡지지부(236) 중 어느 하나의 절곡지지부(236)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판부재(230)에 대한 경사판부재(210)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재(250)는 상부에 부재의 일부를 제거한 오목한 형태의 절개부(254)를 일체로 형성하는 바, 상기 절개부(254)는 고정판부재(230)에 대해 상기 경사판부재(210)가 접힐 경우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배면판부재(214)에 형성된 제2수용홈(222)과 함께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전면판부재(232)에 형성된 다수의 절곡지지부(236)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악보대(200)의 전체 두께를 보다 콤팩트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6을 각각 참조로 하면, 상기 삼각대(300)는 상기 악보대(200)와의 결합을 위한 헤드부(310), 상기 헤드부(310)의 하부를 경사각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하는 몸체부(330), 및 상기 몸체부(330)의 하부에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는 다수의 다리부(350)를 구비한다.
상기 삼각대(300)의 헤드부(310)는 상기 악보대(200)의 고정판부재(230) 중 배면판부재(234)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38)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가방(100)의 상부몸체(110)에 구비된 돌출 구조물(11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310)는 상기 악보대(200)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38)과의 끼움방식의 결합을 위해 상단 외측면에 각각 부재의 폭을 외부로 연장하는 형태의 걸림단부(312)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310)는 하단부에 상기 몸체부(330)와의 경사각도 조절을 위해 중실의 원통형 보스부(314)를 구비하는 바, 상기 보스부(314)는 상기 몸체부(330)의 측면에서 나사결합되는 경사조절용 조작핸들(332)의 자유단부에 의한 가압을 통해 상기 몸체부(330)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스부(314)는 중앙에 오목한 형태의 가압홈(316)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330)에 대해 경사조절용 조작핸들(332)을 체결시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조절용 조작핸들(332)의 자유단부는 상기 보스부(314)의 가압홈(316)에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몸체부(330)에 대한 상기 헤드부(310)의 경사 각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를 참조로 하면, 상기 삼각대(300)의 몸체부(330)는 상부에 상기 헤드부(310)의 보스부(314)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몸체부(330)의 직경방향을 따라 길게 트인 형태의 절개부(334)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삼각대(300)의 헤드부(310)는 상기 몸체부(330)의 절개부(334)를 통해 적정의 범위로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경사조절용 조작핸들(332)에 의한 체결은 상기 몸체부(330)에 대한 헤드부(310)의 설치각도를 특정 위치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삼각대(300)의 다리부(350)는 통상적인 형태로서 그 길이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다단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가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다리부(350)는 길이조절용 조작핸들(352)을 다수의 부위로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는 휴대용 가방(100)의 내부에 악기와 악보대(200) 및 삼각대(300)를 모두 수납할 수 있으므로, 도 17과 도 1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 악보대(200)를 휴대용 가방(100)의 상부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 악보를 올려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삼각대(300)의 상단부에 악보대(200)를 설치하여 별도의 보면대로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용 가방(100)은 외측면에 구비된 어깨끈 설치용 고리(154)를 이용하여 스트랩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가방(100)을 한쪽 어깨에 국한하여 메거나 배낭 형태로 양쪽 어깨 모두를 이용하여 뒤로 메어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악보대(200)의 경우에는 경사판부재(210)의 전면판부재(212)와 배면판부재(214) 사이의 공간에서 좌/우측 양단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출몰되는 연장판부재(216)를 매개로 폭이 넓은 악보를 한 번에 펼쳐볼 수 있으므로 악보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때 선회식 스토퍼(218)는 전면판부재(212)의 설치부위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대략 90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전면판부재(212)와 연장판부재(216)에 걸쳐 넓게 펼쳐지는 악보의 전 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지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판부재(216)는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배면판부재(214)의 양단부에 형성된 단차홈(214a)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고정판부재(230)에 대해 경사판부재(210)를 펼침에 있어 배면판부재(214)의 상단부에 형성된 오목홈(214b) 및/또는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좌/우측 양단부에 형성된 오목홈(230a)을 이용하여 경사판부재(210)의 파지를 위한 부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가방 110-상부몸체
112-돌출구조물 114-걸림단부
130-중간몸체 132-밴드부재
150-하부몸체 152-손잡이
154-고리 170-제1잠금수단
180-제2잠금수단 190-제3잠금수단
200-악보대 210-경사판부재
212-전면판부재 214-배면판부재
216-연장판부재 218-스토퍼
220-제1수용홈 222-제2수용홈
224-슬롯홀 226-보스
228-돌출턱 229-걸림턱
230-고정판부재 232-전면판부재
234-배면판부재 236-절곡지지부
238-삽입홈 240-연장리브
242-돌출리브 250-지지판부재
252-걸림지지부 254-절개부
300-삼각대 310-헤드부
312-걸림단부 314-보스부
316-가압홈 330-몸체부
332-경사조절용 조작핸들 334-절개부
350-다리부 352-길이조절용 조작핸들
112-돌출구조물 114-걸림단부
130-중간몸체 132-밴드부재
150-하부몸체 152-손잡이
154-고리 170-제1잠금수단
180-제2잠금수단 190-제3잠금수단
200-악보대 210-경사판부재
212-전면판부재 214-배면판부재
216-연장판부재 218-스토퍼
220-제1수용홈 222-제2수용홈
224-슬롯홀 226-보스
228-돌출턱 229-걸림턱
230-고정판부재 232-전면판부재
234-배면판부재 236-절곡지지부
238-삽입홈 240-연장리브
242-돌출리브 250-지지판부재
252-걸림지지부 254-절개부
300-삼각대 310-헤드부
312-걸림단부 314-보스부
316-가압홈 330-몸체부
332-경사조절용 조작핸들 334-절개부
350-다리부 352-길이조절용 조작핸들
Claims (20)
- 악기와 악보대(200) 및 삼각대(300)를 함께 수용하기 위한 악기 케이스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다층 구조로서 내부에 상기 악기와 악보대(200) 및 삼각대(300)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추고, 외부에 상기 악보대(200)의 설치를 위한 돌출 구조물(112)을 구비하는 가방(100);
상기 가방(100) 또는 상기 삼각대(3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부재(230), 상기 고정판부재(230)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악보를 지지하는 경사판부재(210), 및 상기 고정판부재(230)에 대한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설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지지판부재(250)를 구비하는 악보대(200); 및
상기 악보대(200)의 설치를 위한 헤드부(310)를 갖춘 삼각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방(100)은 상부몸체(110)와 중간몸체(130) 및 하부몸체(150)로 이루어지고, 외부에 운반용 손잡이(152)와 어깨끈의 설치를 위한 고리(154)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상부몸체(110)와 중간몸체(130) 및 하부몸체(150)는 각각 잠금수단을 매개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상부몸체(110)와 중간몸체(130) 사이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1잠금수단(170)과, 상기 중간몸체(130)와 하부몸체(150) 사이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2잠금수단(180), 및 상기 상부몸체(110)와 중간몸체(130) 및 하부몸체(150)에 대한 전부의 개방을 동시에 구속 가능하게 하는 제3잠금수단(19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물(112)은 상기 가방(100)의 외측면에서 상기 악보대(200)와의 착탈 가능한 끼움 조립을 위해 상단부 외측면에서 폭방향으로 부재의 길이를 연장하는 걸림단부(1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보대(200)의 경사판부재(210)는 악보를 올려놓는 전면판부재(212), 상기 전면판부재(212)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부재(250)의 설치를 위한 배면판부재(214), 및 상기 전면판부재(212)와 상기 배면판부재(214) 사이의 공간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어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연장판부재(2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전면판부재(212)는 하단부에 악보를 올려놓기 위해 외부로 돌출된 안착단(212a)을 형성하고, 중앙의 설치단부를 중심으로 90도의 각도로 상호 이격되게 절곡된 자유단부를 가지고서 상기 전면판부재(212)의 좌/우측 양단부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2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연장판부재(216)는 상기 전면판부재(212)와 상기 배면판부재(214) 사이에서 출몰식 이동방향을 따라 슬롯홀(224)을 형성하고, 상기 배면판부재(214)는 상기 슬롯홀(224) 내부에 끼워져 상기 연장판부재(216)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상기 배면판부재(214)에 대한 상기 연장판부재(216)의 완전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가이드용 보스(2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연장판부재(216)는 내측 단부에 외부를 향한 돌출턱(228)을 형성하고, 상기 배면판부재(214)는 연장판부재(216)의 수납 고정을 위해 상기 돌출턱(228)과 대응하는 부위에 외부를 향해 돌출된 걸림턱(22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배면판부재(214)는 상단부에 상기 전면판부재(212)에 대해 내측으로 단차지게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홈(214a)과, 좌/우측 양단부에 각각 상기 연장판부재(216)에 대해 내측으로 반달형상으로 절개된 오목홈(214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재(230)는 상기 경사판부재(2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용 절곡지지부(236)를 구비하는 전면판부재(232), 상기 전면판부재(232)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방(100)의 돌출 구조물(112) 또는 상기 삼각대(300)의 헤드부(310)와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위해 절개된 형태의 삽입홈(238)을 갖춘 배면판부재(2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배면판부재(234)는 상기 가방(100)의 상부몸체(110)의 볼록한 형태의 외측면과 보다 긴밀한 결합을 위해 오목한 형태의 만곡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38)은 상기 돌출 구조물(112)과의 상호 걸림작용을 통한 이탈의 억제를 위해 상기 삽입홈(238)의 폭을 보다 좁게 설정하는 연장리브(2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전면판부재(232)는 배면에 상기 삽입홈(238)과의 대응부위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 구조물(112)과의 보다 긴밀하게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지지용 돌출리브(24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전면판부재(232)와 배면판부재(234)는 좌/우측 양단부에 각각 상기 경사판부재(210)에 대해 내측으로 반달형상으로 절개된 오목홈(230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부재(210)는 배면에 상기 지지판부재(250)의 수납을 위한 제1수용홈(220)과 상기 고정판부재(230)의 절곡지지부(236)의 수납을 위한 제2수용홈(22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재(250)는 상기 제1수용홈(220)에 수납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제2수용홈(222)과 함께 상기 절곡지지부(236)를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254)를 형성하며, 하단부에 상기 절곡지지부(236)와의 결합을 위해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지지부(25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300)는 상기 헤드부(310)의 하부를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하는 몸체부(330), 상기 몸체부(330)의 하부에 길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는 다수의 다리부(350), 및 상기 몸체부(330)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헤드부(3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용 조작핸들(3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30)는 상기 헤드부(3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부에 직경방향을 따라 트인 형태의 절개부(33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10)는 상기 악보대(200)의 고정판부재(230) 중 배면판부재(234)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38)과의 결합을 위해 상단 외측면에 각각 부재의 폭을 외부로 연장하는 형태의 걸림단부(312)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상기 몸체부(330)와의 경사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절개부(334) 내에 수용되는 원통형 보스부(314)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314)는 중앙에 상기 경사조절용 조작핸들(332)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는 오목한 형태의 가압홈(31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820U KR200473776Y1 (ko) | 2012-02-02 | 2012-02-02 |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PCT/KR2013/000718 WO2013115545A1 (ko) | 2012-02-02 | 2013-01-29 |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820U KR200473776Y1 (ko) | 2012-02-02 | 2012-02-02 |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4834U true KR20130004834U (ko) | 2013-08-12 |
KR200473776Y1 KR200473776Y1 (ko) | 2014-07-31 |
Family
ID=4890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0820U KR200473776Y1 (ko) | 2012-02-02 | 2012-02-02 |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776Y1 (ko) |
WO (1) | WO201311554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0577B1 (ko) | 2019-06-21 | 2021-05-11 | 이예하 | 보면대를 구비한 악기케이스 |
KR102124741B1 (ko) | 2020-02-26 | 2020-06-18 | 김남섭 | 악기 거치대가 구비된 악기 케이스 |
CN111564148A (zh) * | 2020-06-25 | 2020-08-21 | 许昌学院 | 一种多功能乐器手提箱 |
KR102377566B1 (ko) | 2020-08-21 | 2022-03-22 | 김원창 | 악보 수납이 가능한 휴대용 바이올린 케이스 |
CN113823249B (zh) * | 2021-09-18 | 2023-07-04 | 黄淮学院 | 一种带乐谱架与乐器支架的琴盒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71933A (en) * | 1981-08-21 | 1984-09-18 | Nelson Donald R | Music stand |
KR200153834Y1 (ko) * | 1996-07-19 | 1999-08-02 | 전주범 | 디지탈 피아노의 악보 받침대 결합장치 |
KR19980020932U (ko) * | 1996-10-17 | 1998-07-15 | 김광호 | 휴대용 작업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
JP4655688B2 (ja) * | 2005-03-07 | 2011-03-23 | ヤマハ株式会社 | 譜面台装置 |
KR200451421Y1 (ko) * | 2008-09-17 | 2010-12-14 | 조용찬 | 보면대 기능을 구비한 악기 케이스 |
KR101028070B1 (ko) * | 2009-04-23 | 2011-04-08 | 마정민 | 삼각대가 구비된 카메라용 배낭 |
KR200462484Y1 (ko) * | 2009-11-06 | 2012-09-12 | 티비테크애드 주식회사 | 휴대용 보면대 |
-
2012
- 2012-02-02 KR KR2020120000820U patent/KR200473776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1-29 WO PCT/KR2013/000718 patent/WO201311554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115545A1 (ko) | 2013-08-08 |
KR200473776Y1 (ko) | 2014-07-31 |
WO2013115545A9 (ko) | 2013-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3776Y1 (ko) |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 |
US6462260B2 (en) | Combination carrying case and stand for musical instruments | |
US8038042B2 (en) | Backpack | |
US7777110B2 (en) | Instrument stand | |
US8251269B2 (en) | Carrying device | |
US7819247B2 (en) | Combined laptop case and laptop stand | |
US20060037987A1 (en) | Notebook computer suitcase for a user using as a desk | |
US9029674B2 (en) | Foldable musical keyboard player | |
US10037749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ollapsible stand for a stringed instrument | |
US20230243462A1 (en) |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ttachments | |
JP2016090997A (ja) | バイオリン又はビオラ用の調整式及び折り畳み式の肩当て | |
KR200451421Y1 (ko) | 보면대 기능을 구비한 악기 케이스 | |
US7243667B2 (en) | Crutch bag | |
US20160133239A1 (en) | Instrument carrying case | |
KR200445794Y1 (ko) |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가방 | |
US7649131B1 (en) | Wind instrument stand | |
KR20030067629A (ko) | 악보수납공간이 마련된 휴대용 악기케이스 | |
KR200363813Y1 (ko) | 독서대가 구비된 파일케이스 | |
JP4656020B2 (ja) | 譜面立て | |
KR101860556B1 (ko) | 필통을 갖는 독서대 | |
KR20140057722A (ko) | 현악기 케이스 | |
WO2018039811A1 (es) | Dispositivo para la sujeción de instrumentos musicales | |
KR20180064173A (ko) | 책상 겸용 노트북 가방 | |
KR200495532Y1 (ko) | 악기 케이스 | |
US20050230588A1 (en) | Hanging device for suit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