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484Y1 - 휴대용 보면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보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484Y1
KR200462484Y1 KR2020090014459U KR20090014459U KR200462484Y1 KR 200462484 Y1 KR200462484 Y1 KR 200462484Y1 KR 2020090014459 U KR2020090014459 U KR 2020090014459U KR 20090014459 U KR20090014459 U KR 20090014459U KR 200462484 Y1 KR200462484 Y1 KR 200462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main body
portable music
edge
edg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765U (ko
Inventor
유지운
Original Assignee
티비테크애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테크애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비테크애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8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7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4Not free-standing music stan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보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악보 또는 책을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일정 각도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바닥에 접하는 제1가장자리면; 상기 제1가장자리면에서 상기 일정 각도로 상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악보 또는 책이 거치되는 책거치면; 상기 책거치면에서 하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책거치면을 상기 제1가장자리면에서 상기 일정각도로 유지되게 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에서 상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본체부에 타측 모서리에 형성되며 바닥에 접하는 제2가장자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장자리면 및 제2가장자리면의 하면에는 각각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악보, 책, 보면대

Description

휴대용 보면대{Portable music stand}
본 고안은 휴대용 보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면대는 사용자가 악보 또는 책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올려놓는 기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보면대는 재질이 나무 또는 금속이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 이동 및 휴대성이 낮다.
또한 기대만큼 부피를 줄일 수 없어 보관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동 및 휴대성 역시 낮다.
따라서, 연주자들이 이동 시 경량이며,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보면대 및 상기 휴대용 보면대를 포함하는 악기 케이스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자들은 경량이며,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보면대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량이며,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보면대의 제공을 일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악보 또는 책을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일정 각도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면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바닥에 접하는 제1가장자리면; 상기 제1가장자리면에서 상기 일정 각도로 상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악보 또는 책이 거치되는 책거치면; 상기 책거치면에서 하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책거치면을 상기 제1가장자리면에서 상기 일정각도로 유지되게 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에서 상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본체부에 타측 모서리에 형성되며 바닥에 접하는 제2가장자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면 및 제2가장자리면의 하면에는 각각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바닥부와 수직을 이루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가장자리면 또는 제2가장자리면 상부에 미끄러짐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들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들이 상기 제2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일정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본체부를 수납하는 수납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면대는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고안의 휴대용 보면대에 의하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경량이며,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고안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1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200)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모양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조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100)는, 본체부(200), 바닥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바닥에 접하는 제1가장자리면(202), 상기 제1가장자리면(202)에서 일정 각도로 상방으로 절곡되고 악보 또는 책이 거치되는 책거치면(204), 상기 책거치면(204)에서 하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책거치면(204)을 상기 제1가장자리면(202)에서 일정각도로 유지되게 하는 지지면(206) 및 상기 지지면(206)에서 상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본체부(200)의 타측 모서리에 형성되며 바닥에 접하는 제2가장자리면(20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책거치면(204) 및 상기 지지면(206)은 상기 각 제1 및 제2가장자리면들(202, 208)로 부터 절곡되어 솟아오른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본체부(200)의 책거치면(204) 및 지지면(206)에는 바닥부(300)와 수직을 이루는 홈(2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홈(212)은 악보 또는 책을 펼쳐 거치 했을 때 상기 악보 또는 책의 돌출된 모서리가 인입되는 곳으로 악보 또는 책을 거치 했을 때 상기 악보 또는 책의 중심이 잘 잡히게 해 주어 기울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의 제1가장자리면(202) 또는 제2가장자리면(208) 상부에 미끄러짐 방지부재(2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미끄러짐 방지부재(214)는 악보 또는 책을 거치 했을 때 상기 악보 또는 책이 미끄러져 휴대용 보면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이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홈(212) 및 미끄러짐 방지부재(214)는 악보 또는 책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감 있게 악보 또는 책을 볼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의 제1가장자리면(202) 및 제2가장자리면(208) 하면에는 각각 일정 각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200)를 바닥부(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고정부재(2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210)는 예컨대 벨크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1고정부재(210)는 똑딱이 단추, 지퍼, 자석 등 고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모든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닥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의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바닥부(300)는 상면에 배치된 다수 개의 제2고정부재(3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제2고정부재(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일랜드 타입으로 산개 배치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100)와 같이, 제2고정부재(310a)가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바 형태로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300)의 제2고정부재(310, 310a)는 상기 본체부(200)의 제1고정부재(210)와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200)를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이 수행된다.
한편, 제2고정부재(310, 310a)의 재질은 전술한 상기 본체부(200)의 제1고정부재(2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1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보면대(100)의 바닥부(300)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재(310b)를 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재(310b)를 상기 바닥부(300)의 상면 전체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재(210)들이 제2고정부재(310b)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본체부(200)의 제1가장자리면(202), 책거치면(204), 지지면(206) 및 제2가장자리면(208)의 상호간의 일정 각도가 가변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200)를 바닥부(300)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결합할 수 있어 사용하는 사람 또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악보 또는 책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1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보면대(100)의 바닥부(300a)는 일측이 개방된 수납구(3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바닥부(300a) 상면에 본체부(200)를 고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300a)의 수납구(312)는 상기 본체부(200)를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어 휴대용 보면대(100)를 악기가방 또는 가방에 넣지 않고도 손쉽게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휴대용 보면대(100)를 수납할 수 없는 조건의 악기 연주자, 또는 간편한 이동이 요구될 시 수납,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보면대(100)는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보면대(100)의 재질은 예를 들어 섬유, 두께가 두꺼운 종이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휴대용 보면대(100)는 접거나 말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경량이기 때문에 이동이 쉬워, 휴대용으로서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100) 및 상기 휴대용 보면대(100)를 포함하는 악기 케이스(40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 케이스(400)는 악기가 수납되는 케이스부(402) 및 악기 수납부 외면 일정부분에 휴대용 보면대(100) 및 악보를 수납할 수 있는 또 다른 수납부(40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보면대(100)는 악기 케이스(402) 일정부분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6실시예와 같이 상기 악기 케이스(402) 외면 일정부분에 구비된 수납부(404)는 악보, 책 및 휴대용 보면대(100)가 수납되는 수납부베이스(404a)와 수납부베이스(404a)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는 수납부커버(404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악기 케이스(402)는 상기 수납부베이스(404a) 상면에 본체부(200)를 고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재(310c)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310c)는 상기 본체부(200)를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수납부베이스(404a)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휴대용 보면대(100)는 악기 케이스(402)에 일정부분에 거치하여 사용 할 수 있고, 본체부(200)를 악기 케이스(402) 외면 일정부분에 구비된 수납부(404)의 수납부베이스(404a) 상면에 고정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의 조립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의 바닥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보면대를 포함하는 악기 케이스의 사시도.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보면대
200 : 본체부 300, 300a : 바닥부
202 : 제1가장자리면 310, 310a, 310b, 310c : 제2고정부재
204 : 책거치면 312 : 수납구
206 : 지지면 400 : 악기 케이스
208 : 제2가장자리면 402 : 케이스부
210 : 제1고정부재 404a : 수납부베이스
212 : 홈 404b : 수납부커버
214 : 미끄럼 방지부재 404 : 수납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악보 또는 책을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일정 각도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바닥에 접하는 제1가장자리면;
    상기 제1가장자리면에서 상기 일정 각도로 상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악보 또는 책이 거치되는 책거치면;
    상기 책거치면에서 하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책거치면을 상기 제1가장자리면에서 상기 일정각도로 유지되게 하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에서 상방으로 절곡되고 상기 본체부에 타측 모서리에 형성되며 바닥에 접하는 제2가장자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장자리면 및 제2가장자리면의 하면에는 각각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면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바닥부와 수직을 이루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면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가장자리면 또는 제2가장자리면 상부에 미끄러짐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면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들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면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들이 상기 제2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일정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면대.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본체부를 수납하는 수납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면대.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면대는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면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20090014459U 2009-11-06 2009-11-06 휴대용 보면대 KR200462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59U KR200462484Y1 (ko) 2009-11-06 2009-11-06 휴대용 보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59U KR200462484Y1 (ko) 2009-11-06 2009-11-06 휴대용 보면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009U Division KR200462485Y1 (ko) 2012-02-09 2012-02-09 휴대용 보면대를 포함하는 악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65U KR20110004765U (ko) 2011-05-13
KR200462484Y1 true KR200462484Y1 (ko) 2012-09-12

Family

ID=4707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459U KR200462484Y1 (ko) 2009-11-06 2009-11-06 휴대용 보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76Y1 (ko) * 2012-02-02 2014-07-31 조용찬 보면대를 갖춘 악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358Y1 (ko) * 2001-02-08 2001-07-03 황성덕 악기가방
JP2006243585A (ja) 2005-03-07 2006-09-14 Yamaha Corp 譜面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358Y1 (ko) * 2001-02-08 2001-07-03 황성덕 악기가방
JP2006243585A (ja) 2005-03-07 2006-09-14 Yamaha Corp 譜面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765U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7403C2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подставка для книги
USD533175S1 (en) Instrument holder
US5377946A (en) Combined bed tray and book holder
US5624096A (en) Book support apparatus
KR200462484Y1 (ko) 휴대용 보면대
KR200462485Y1 (ko) 휴대용 보면대를 포함하는 악기 케이스
CA2425461C (en) Support device for displaying individual books or similar items
EP0862775A1 (en) Collapsible stand
US11778081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080197261A1 (en) Bedreader
US20090050770A1 (en) Collapsible bathroom caddy
CA2361065C (en) Bookholder and support device
CN211779986U (zh) 折叠式支撑架
JP2008119148A (ja) テーブル
JP3213181U (ja) 長尺物ホルダ
JP2020027226A (ja) 落下防止カバー
KR200337103Y1 (ko) 잡지꽂이
KR101651036B1 (ko) 독서대 겸용 파일 케이스
JP4133015B2 (ja) スクリーン
CN220709643U (zh) 键盘腕托
JP5618303B2 (ja) ブッククリップ装置
JP2011172725A (ja) 書見台
KR200360091Y1 (ko) 다이어리용 필기구 고정장치
JPH08164171A (ja) 病院ベッド用の書物およびテレビ保持具
JP2007098159A (ja) 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