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674U -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 Google Patents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674U
KR20130004674U KR2020130005738U KR20130005738U KR20130004674U KR 20130004674 U KR20130004674 U KR 20130004674U KR 2020130005738 U KR2020130005738 U KR 2020130005738U KR 20130005738 U KR20130005738 U KR 20130005738U KR 20130004674 U KR20130004674 U KR 201300046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hole
working tub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화엽
Original Assignee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보림 filed Critical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5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674U/ko
Publication of KR20130004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674U/ko
Priority to KR2020130010365U priority patent/KR201400003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1/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manually-opera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5/00Extinguishers essentially of the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5/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power-drive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은 등짐분무기(100)에 있어서, 분사건(105)은 후미에 호스연결부(111)가 장착된 본체(112)와, 상기 본체(112)에 조립되어 전 후진되며 선단에 분사노즐(113)과 손잡이(114)를 가진 내부 작동관(11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12)의 후미에 장착된 호스연결부(111) 내부에는 구멍(116)을 개폐시키는 볼(117)을 삽입하고, 내부 작동관(115)의 후미에 장착된 피스톤(119)에도 단차지게 구멍(120)(120')을 천공하여 큰 구멍(120') 내에 볼(117')을 삽입시키며, 내부 작동관(115)의 후미 일 측에 구멍(121)을 천공하며, 본체(112)에 내부 피스톤(119)을 삽입시킨 뒤 내부 작동관(115)이 안정적으로 출몰되게 함과 동시에 본체(112)와 결합되는 캡(122)을 체결함으로서 본체(112)와 내부 작동관(115) 사이에 물이나 약제 등의 유체가 유입되는 공간(123)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으로 약재나 물을 분사할 수 있음은 물론 수동으로도 연속분사할 수 있어 산불진화과정에서 더욱 효과적이고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산림과 인명의 보호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른다.

Description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Portable automatic and hand sprayer}
본 고안은 산불진압 후 잔불 진화시 충전 배터리가 소모되어 펌프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탱크 내에 들어있는 방화수(물 또는 액상의 소화약제)를 수동으로도 손쉽게 분사하여 잔불진화를 할 수 있게 한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심지에서 일어나는 불은 소방차를 이용하지만 산에 불이 났을 경우에는 소방차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헬기와 진압요원의 힘으로만 산불을 진화하게 된다.
즉, 큰불은 소방용 헬기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진압하고, 타다 남은 잔불은 진화요원들이 투입되어 2차적으로 진화작업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산불은 큰 불길을 잡고난 후 뒷불, 즉 잔불정리가 가장 중요한데, 만약에 잔불정리를 확실하게 하지 않으면 남아있던 불씨가 되살아 재발되게 되어 다시 큰불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잔불정리를 하는 진압대원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장비는 물통을 등에 메고 그 물통속의 물을 분사건으로 분사하는 등짐펌프로서, 진압대원들이 칼퀴로 잔불이 있는 부분을 뒤집으면서 불씨가 남아있으면 등짐펌프에 충전된 물을 분사건을 통하여 분사함으로서 불씨를 완전 제거하게 된다.
일반적인 분사장치의 구성은 내부에 물이나 액체 상태로 약품 등이 수납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하측에 동력박스가 구비되어 내부에 배터리와 펌프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되어 있는 약품 등을 분사시켜주는 분사건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별도의 멜빵을 이용하여 분무장치를 등에 메어 사용 하고 있다.
따라서 잔불 진화시 불씨가 남아있는 쪽으로 분사건을 향하고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충전 배터리에 의해 펌프가 작동하여 약재나 물이 분사되어 불씨를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등짐펌프는 충전 배터리에 의해 펌프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자동분사를 할 수 있어 매우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따르지만, 산불 진화 작업 중 배터리가 소모되면 물이나 약재를 분사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에 큰 장애가 따르게 된다.
한편, 수동식 등짐분무기로서 가방 형태로 구비되며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본체와, 본체와 호스로 연결되어 본체 내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분사하기 위한 분사용 건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는데, 상기 분사용 건은 관체 형태의 본체와, 상기 분사건 본체에 안테나식으로 끼워져 조립되며 선단에 분사노즐과 손잡이가 장착된 내부 작동관, 그리고 상기 내부 작동관 후미에 장착되어 본체의 내부에서 전 후진되면서 물을 펌핑하는 피스톤, 그리고 본체 후미에 장착된 잠금밸브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수동식 등짐 펌프는 물을 분사하기 위해 내부 작동관의 손잡이를 잡아 전진시킬 때는 본체에 들어있는 물이 분사용 건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손잡이를 후진시키면 물이 분사되는 것으로서 펌프로서의 작용을 하는 분사용 건 자체가 손잡이를 후진시킬 때만 물이 분사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분사되지 못하고 간헐적분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잔불진화에 이루 말할 수 없는 어려움이 따랐고 힘도 많이 드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
한편, 종래 널리 사용되는 등짐분무기에 대해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몸체(10)내에 피스톤(40)이 왕복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피스톤로드(50)의 연장단부에는 잠금밸브(60)가 설치되며, 잠금밸브(60) 일 측에는 물통(미도시)과 연결된 호스(미도시)가 끼워지는 결합부(61)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로드(50)는 관형으로 중앙에는 공기의 유동과 물의 흐름을 위한 통로(51)가 피스톤(40)을 관통하도록 하되 상기 피스톤로드(50)의 내면 선단에는 단턱부(52)를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40)과 단턱부(52)사이에 볼(53)을 내장되게 한다.
그리고 펌프몸체(10)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노즐공(21)이 형성된 노즐본체(20)가 결합되고, 상기 노즐본체(20)에는 물이 여러 방향으로 확산되거나 일 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캡(3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손으로 잠금밸브(60)를 손잡이 대용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는 펌프몸체(10)를 잡은 상태에서 피스톤(40)을 후진시켰다가 전진시키면 물통속의 물이 호스를 통해 피스톤로드(50)의 통로(51)를 타고 노즐본체(20)의 노즐공(21)을 통해 물이 발사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나 이는 피스톤이 당겨질 때만 간헐적으로 분사가 이루어짐으로 잔불 진화시 힘이 많이 들고 안정성이 떨어져 진화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전원으로 펌프를 동작시켜 자동으로 소화시킬 수 있고, 배터리가 소모되어 자동 분사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동으로 분사건을 펌핑시켜 잔불을 소화할 수 있게 함으로서 어떤 상황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자동 및 수동 겸용 등짐분무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방전시 내부작동관의 손잡이를 당길 때는 물론 밀 때도 약재나 물이 분사되게 함으로서 연속적인 분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수동식으로도 신속하게 잔불진압이 가능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내부에 방화수(물 또는 액체 상태의 약품)가 수납되는 탱크(101)와, 상기 탱크(101)의 하측에 내부에 배터리(102)와 펌프(103)가 각각 설치된 동력박스(104)가 구비되고, 상기 펌프(103)와 연결되어 탱크(101)에 수납되어 있는 약품 등을 분사시켜주는 분사건(105)으로 이루어져 멜빵을 이용하여 등에 멜 수 있게 되어 있는 등짐분무기(100)에 있어서,
상기 분사건(105)은 후미에 호스연결부(111)가 장착된 본체(112)와, 상기 본체(112)에 조립되어 전 후진되며 선단에 분사노즐(113)과 손잡이(114)를 가진 내부 작동관(11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12)는 후미에 장착된 호스연결부(111) 내부에 구멍(116)을 개폐시키는 작용을 하는 볼(117)을 삽입하여 핀(118)으로 제어하고, 본체(112) 후미 외주면에는 손잡이(124)가 구비되며, 내부 작동관(115)은 피스톤(119)에 단차지게 구멍(120)(120')을 천공하여 큰 구멍(120') 내에 볼(117')을 삽입시킨 뒤, 볼(117')이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큰 구멍(120')을 가로질러 핀(118')을 끼워 제어하고, 내부 작동관(115)의 후미 양측에 구멍(121)을 천공하며, 캡(122)으로 본체(112)와 내부 작동관(115)을 조립시킴으로서 본체(112)와 내부 작동관(115) 사이에 피스톤(119)의 전후진에 따라 공간 크기가 가변되는 공간(123)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산불 진화과정에서 잔불 진화시 충전된 배터리(102)에 의해 탱크(101) 내부에 들어있는 물이나 약제를 자동으로 분사하여 산불을 진압하고, 산불 진화과정에서 배터리(102)가 소모되거나 방전되면 한손으로 본체(112) 후미의 손잡이(123)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내부 작동관(115)에 구비된 손잡이(114)를 잡아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손잡이(114)를 당길 때는 물론 밀 때도 물이나 약제가 연속 분사되어 잔불진화를 매우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자동 및 수동을 겸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따르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안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예시도로서,
도 7은 내부 작동관의 손잡이를 밀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손잡이를 당길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임.
본 고안은 산불이 발생했을 때 먼저 헬기 등으로서 큰 불을 진화한 뒤 산불진화요원들이 잔불을 진화할 때 사용하는 등짐분무기로서, 특히, 배터리(102)에 의한 자동분사는 물론, 배터리(102)가 방전되어 펌프(103)가 작동되지 않을 때는 분사건(105) 자체가 펌프로서의 작용을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배터리(102)의 충전 여부에 관계없이 어떤 상황에서도 항상 산불 진화작업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방화수(물 또는 액체 상태의 소화약제)가 수납되는 탱크(101)와, 상기 탱크(101)의 하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배터리(102)와 펌프(103), 그리고 펌프(103)를 제어하는 회로부(106)가 설치된 동력박스(104), 상기 펌프(103)와 호스(h)로 연결되어 탱크(101)에 수납되어 있는 방화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된 분사건으로 이루어진 등짐분무기(100)에 있어서,
분사건(105)은 후미에 호스연결부(111)가 연결 장착된 본체(112)와, 상기 본체(112)에 조립되어 전 후진되며 선단에 분사노즐(113)과 손잡이(114)가, 그리고 후미에 피스톤이 구비된 내부 작동관(1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2)는 호스연결부(111) 내부에 수압에 의해 구멍(116)을 개폐시키는 볼(117)을 삽입 설치한 뒤, 상기 볼(117)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큰 구멍을 가로질러 핀(118)을 삽입 설치하고, 본체(112) 후미 외주면에는 한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손잡이(124)를 구비한다.
또, 내부 작동관(115)은 후미의 피스톤(119)에 단차지게 구멍(120)(120')을 천공하여 큰 구멍(120') 내에 볼(117')을 삽입시킨 뒤, 볼(117')이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큰 구멍(120')을 가로질러 핀(118')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119)의 앞쪽, 즉, 내부 작동관(115)의 후미 양측에 구멍(121)을 천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체(112)와 내부 작동관(115)을 조립하여 분사건(105)을 구성할 때는 먼저, 내부작동관(115) 끝에 일체로 조립 구성된 피스톤(119)을 삽입시킨 뒤 본체(112)와 내부 작동관(115)이 연결 조립되도록 캡(122)을 체결하면 조립 완성된다.
위와 같이 분사건(105)이 조립되면, 본체(112)와 내부작동관(115) 사이에 공간(123)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공간(123)은 손잡이(114)에 의해 내부작동관(115)이 전 후진 될 때 공간의 크기가 변화되게 된다.
또한, 호스연결부(111)의 단차진 구멍(116) 내부에 삽입된 볼(117)이나 피스톤(119)의 구멍(120')에 삽입 설치된 볼(117')은 손잡이(114)로 내부작동관(115)을 전 후진시킬 때 서로 반대로 작동하면서 연속분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작동관(115)을 밀게 되면 공간(123)이 줄어들면서 공간(123)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방화수가 구멍(121)을 통해 내부작동관(115) 내부로 강제 유입되며, 이때 유입되는 방화수의 수압에 볼(117')이 후진되어 구멍(120)을 막게 됨으로서 수압이 분사노즐(113) 쪽으로만 작용하게 되어 고압으로 분사되게 되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114)로 내부작동관(115)을 당기게 되면, 본체(112) 내부에 꽉 차있던 방화수가 후진하는 피스톤(119)에 의해 역류수압이 작용하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볼(117)이 구멍(116)을 막게 됨과 동시에 방화수의 수압이 피스톤(119)에 형성된 작은 구멍(120)을 통해 볼(117')을 밀면서 본체(112) 내부의 방화수가 내부작동관(115)으로 강제 유입되면서 일부는 분사노즐(113)을 통해 외부로 분사 또는 분무되고, 일부는 구멍(121)을 통해 공간(123)으로 유입 저장되게 됨으로서 손잡이(114)를 밀 때도 또 당길 때도 방화수가 분사됨으로서 방화수가 끊김 없이 연속 분사되어 잔불 등을 안정적으로 진화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은 호스연결부(111)와 피스톤(119)에 구멍(116)과 구멍(120)(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116)과 구멍(120)(120')에는 볼(117)과 볼(117')가 삽입되어 손잡이(114)로서 내부 작동관(115)를 밀고 당길 때 서로 반대로 작동하면서 방화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됨으로서 배터리(102)가 소모되어 수작업으로 방화수를 분사하고자 할 때 연속분사가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100 : 등짐분무기 101 : 탱크 102 : 배터리
103 : 펌프 104 : 동력박스 105 : 분사건
111 : 호스연결부 112 : 본체 113 : 분사노즐
114 : 손잡이 115 : 내부 작동관 116 : 구멍
117, 117' : 볼 118, 118' : 핀 119 : 피스톤
120,120',121 : 구멍 122 : 캡 123 :공간

Claims (1)

  1. 내부에 방화수(물 또는 액체 상태의 약제)가 수납되는 탱크(101)와, 상기 탱크(101)의 하측에 내부에 배터리(102)와 펌프(103)가 각각 설치된 동력박스(104)가 구비되고, 상기 펌프(103)와 연결되어 탱크(101)에 수납되어 있는 약품 등을 분사시켜주는 분사건으로 이루어져 멜빵을 이용하여 등에 멜 수 있게 되어 있는 등짐분무기(100)에 있어서,
    상기 분사건(105)은 후미에 호스연결부(111)가 장착된 본체(112)와, 상기 본체(112)에 조립되어 전 후진되며 선단에 분사노즐(113)과 손잡이(114)를 가진 내부 작동관(115)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112)의 후미에 장착된 호스연결부(111) 내부 구멍(116)에는 볼(117)을 삽입하여 핀(118)으로 제어하고, 내부 작동관(115)의 후미에 장착되는 피스톤(119)에 단차지게 구멍(120)(120')을 천공하여 큰 구멍(120') 내에 볼(117')을 삽입시킨 뒤, 볼(117')이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큰 구멍(120')을 가로질러 핀(118')을 끼워 제어하며, 내부 작동관(115)의 후미 양측에 구멍(121)을 천공하여, 캡(122)으로 본체(112)에 내부 작동관(115)을 조립시킨 상태에서 손잡이(114)를 밀거나 당길 때 가변되는 공간(123)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 겸용 등짐 분무기.
KR2020130005738U 2013-07-10 2013-07-10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KR20130004674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738U KR20130004674U (ko) 2013-07-10 2013-07-10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KR2020130010365U KR20140000397U (ko) 2013-07-10 2013-12-11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738U KR20130004674U (ko) 2013-07-10 2013-07-10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74U true KR20130004674U (ko) 2013-07-31

Family

ID=513575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738U KR20130004674U (ko) 2013-07-10 2013-07-10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KR2020130010365U KR20140000397U (ko) 2013-07-10 2013-12-11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365U KR20140000397U (ko) 2013-07-10 2013-12-11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3000467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340B1 (ko) * 2020-08-03 2021-03-11 주식회사 보림 배낭 이동식 동력 분무기
EP4062979A1 (en) * 2021-03-18 2022-09-28 Adolfo Cristanini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397U (ko)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26803U (zh) 一种抛投式灭火器
KR20130004674U (ko) 산불진화용 자동 및 수동겸용 등짐 분무기
KR102031240B1 (ko) 화재 진압용 피어싱 장치
KR102234900B1 (ko)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ES2600385A1 (es) Aparato para combatir incendios
KR20200103432A (ko) 다기능 진화기
JP2013063128A (ja) 消火装置
KR102205276B1 (ko) 2차 발포가 가능한 소화기구
KR200408329Y1 (ko) 갈퀴의 탈착이 가능한 자동등짐펌프
TWI535472B (zh) Fire extinguisher intake structure
CN208448474U (zh) 一种室内用简易高效灭火器
RU135925U1 (ru) Переносной ранцевый огнетушитель
KR100736121B1 (ko) 양방향분사형 최루가스분사진압봉
CN220899371U (zh) 一种打火鞭
KR100728254B1 (ko) 간이용 소화장치
RU2625088C1 (ru) Перекатываемая емкость лесного пожарного агрегата
KR200327656Y1 (ko) 산불진화용 살수펌프
JP3400654B2 (ja) 消火用手動式ポンプ
JPS6344061Y2 (ko)
KR200228139Y1 (ko) 산불진화용 등짐펌프
KR200494484Y1 (ko) 산불진화용 등짐펌프
KR900001195Y1 (ko) 산불진화장비와 살수펌프를 휴대 가능한 진화수 배낭
KR200258501Y1 (ko) 등짐살수기
KR100549290B1 (ko) 산불진화용 살수펌프
CN211621796U (zh) 一种便于收纳消防用具的消防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