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482U -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482U
KR20130004482U KR2020120000273U KR20120000273U KR20130004482U KR 20130004482 U KR20130004482 U KR 20130004482U KR 2020120000273 U KR2020120000273 U KR 2020120000273U KR 20120000273 U KR20120000273 U KR 20120000273U KR 20130004482 U KR20130004482 U KR 201300044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al
spinous process
upper support
spinal spinous
cross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789Y1 (ko
Inventor
김종우
김종운
신찬수
최선각
주병준
이성희
호 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Priority to KR2020120000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8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8Devices comprising separate rigid parts, assembled in situ, to bear on each side of spinous processe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7Devices bearing against one or more spinous processes and also attached to another part of the spine;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1Implants for expanding or repairing the vertebral arch or wedged between laminae or pedicles; Too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극돌기의 좁아진 사이 간격을 확장시키기 위한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척추 극돌기 중 상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 상기 서로 인접하는 척추 극돌기 중 하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에 서로 이격배치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의 일측과 상기 상부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및 상기 가로대의 타측과 상기 하부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술 후에도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하중을 분산시켜 척추 극돌기 및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Device for spinous process}
본 고안은 척추 극돌기의 좁아진 사이 간격을 확장시키기 위한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척추는 복수의 척추체로 구성되고, 서로 인접한 척추체의 사이에는 디스크라고 일컫는 추간원판이 위치되어 척추를 유연하게 움직이게 하는 동시에 척추체가 곧게 펴질 수 있도록 지탱한다.
한편, 추간원판은 사람의 경우 통상 23개가 위치되며, 강한 탄력성과 팽창성을 가지는 섬유연골로 형성되고, 척추의 부위에 따라 그 크기 및 두께가 다르게 구성된다.
이러한 추간원판이 파손되면 서로 인접한 척추체의 사이에서 윤활작용을 상실하고 신경을 압박하여 요통을 유발한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이나 물리치료등으로 치료가 거의 되지 않기 때문에 수술로 금속나사못등으로 척추를 고정시켜왔었으나 척추를 싸고 있는 근육들을 많이 손상시키는 단점이 있어서 수술 후 회복기간이 길어 고령의 환자나 전신 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들에게는 시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9791호의 "척추 극돌기 확장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척추 극돌기 확장장치는 위, 아래로 인접하는 척추골의 극돌기들 사이에 끼워져 극돌기들 사이의 간격을 확장, 유지시켜 주는 척추 극돌기 확장장치로서; 상기 극돌기들의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상기 위, 아래쪽 극돌기들의 측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몸체의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한쌍의 날개와; 상기 몸체와 상기 날개를 결합시켜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한 구성의 종래의 척추 극돌기 확장장치는 몸체에 척추 극돌기를 고정시켜 척추 극돌기의 사이를 확장시키는 형태로 설치되어 척추의 근육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전신 상태가 나쁜 환자나 고령환자에게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척추 극돌기 확장장치는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신체에 설치 시, 신체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척추에 심한 압박이 발생할 때에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척추 극돌기가 파손되거나 척추 극돌기 확장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성력에 의해 서로 인접한 척추 극돌기를 지지하여 신체를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으며, 척추에 심한 압박이 발생한 경우에도 충격을 흡수하여 척추 극돌기의 파손 또는 척추 극돌기 확장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척추 극돌기 중 상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 상기 서로 인접하는 척추 극돌기 중 하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에 서로 이격배치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의 일측과 상기 상부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및 상기 가로대의 타측과 상기 하부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기 가로대의 사이 거리 보다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가로대의 사이 거리가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지지부의 끝단에서 상기 하부지지부의 끝단이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척추 극돌기에 설치 시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로 신체조직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척추 극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상부지지부의 상부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상부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척추 극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의 하부로 한 쌍이 이격되어 돌출되는 하부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끼움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과 상기 하부끼움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상부끼움부와 상기 하부끼움부로 삽입되는 상기 척추 극돌기를 지지하는 걸림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끼움부와 상기 하부끼움부에는 상기 척추 극돌기를 상기 상부끼움부와 상기 하부끼움부에 결합하기 위해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에는 상기 척추 극돌기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의 사이에 연결부가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척추 극돌기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시술 후에도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구성되어 척추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척추에 심한 압박이 발생한 경우,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가 고정된 척추 극돌기의 파손 및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가 척추 극돌기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는 척추 극돌기(200)간 즉, 서로 인접하는 척추 극돌기(200)의 사이에 삽입되어 척추 극돌기(200)의 사이 간격을 확장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도 5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는 상부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상부지지부(110)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200) 중 상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부지지부(110)는 상부끼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끼움부(11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지지부(110)의 상면에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형태로 상부지지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끼움부(11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부끼움부(111)의 사이에 척추 극돌기(200)가 삽입되는 형태로 척추 극돌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끼움부(111)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한 쌍의 상부끼움부(111)의 사이에 삽입된 척추 극돌기(200)가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톱니(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걸림톱니(115)는 상부끼움부(111)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톱니(115)는 한 쌍의 상부끼움부(111)의 서로 대향되는 면 즉, 상부끼움부(111)의 외면에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끼움부(111)에는 각 상부끼움부(111)를 관통하는 관통공(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통공(113)으로는 상부끼움부(111)에 척추 극돌기(200)를 결합할 수 있는 예컨대,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는 하부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하부지지부(130)는 상부지지부(110)와 서로 이격되어 서로 인접한 척추 극돌기(200) 중 하부에 위치한 척추 극돌기(200) 즉, 상부지지부(110)에 지지되는 척추 극돌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지지부(130)는 하부끼움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끼움부(1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지지부(130)의 저면에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형태로 하부지지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끼움부(1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하부끼움부(131)의 사이에 척추 극돌기(200)가 삽입되는 형태로 척추 극돌기(2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끼움부(131)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한 쌍의 하부끼움부(131)의 사이에 삽입된 척추 극돌기(200)가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톱니(1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걸림톱니(135)는 하부끼움부(131)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톱니(135)는 한 쌍의 하부끼움부(131)의 서로 대향되는 면 즉, 하부끼움부(131)의 외면에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끼움부(131)에는 각 하부끼움부(131)를 관통하는 관통공(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통공(133)으로는 하부끼움부(131)에 척추 극돌기(200)를 결합할 수 있는 예컨대,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지지부(130)는 상부지지부(110)와 상,하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는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부(150)는 상부지지부(110)와 하부지지부(130)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부지지부(110)와 하부지지부(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50)는 가로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153)는 막대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지지부(110)와 하부지지부(13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부지지부(110)와 하부지지부(130)와 유사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50)는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연결부(151)는 가로대(153)의 일단과 상부지지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151)는 가로대(153)의 일단이 위치되는 부분의 상부지지부(110)의 끝단과 가로대(153)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51)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척추 극돌기(200)간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상부지지부(110)의 끝단에서 가로대(153)와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152)는 제1 연결부(151)가 상부지지부(110)와 연결되는 가로대(153)의 반대방향의 끝단을 즉, 가로대(153)의 타단을 하부지지부(130)의 끝단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가로대(153)는 하부지지부(130)와 가로대(153)의 사이 거리(d2)보다 상부지지부(110)와 가로대(153)의 사이 거리(d1)가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가로대(153)가 상부지지부(110)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제1 연결부(151)로 연결된 가로대(153)와 상부지지부(110)보다 제2 연결부(152)로 연결된 가로대(153)와 하부지지부(130)의 사이에 탄성력이 더 크게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부지지부(110)의 끝단에는 상부지지부(110)의 끝단과 동일한 위치의 하부지지부(130)의 끝단을 향해 하향 형성되는 걸림방지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방지부(119)는 상부지지부(110)의 끝단 중 제1 연결부(151)가 연결되는 반대방향의 끝단, 더 구체적으로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척추 극돌기(200)에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된 끝단에 구비되어 상부지지부(110)와 가로대(153)의 전방을 막을 수 있다.
즉, 걸림방지부(119)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를 설치 시 상부지지부(110)와 가로대(153)의 전방을 막아 상부지지부(110)와 가로대(153)의 사이로 신체조직이 삽입되어 제1 연결부(151)에 걸림으로써,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용이하게 척추 극돌기(200)로 진입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부지지부(110)의 끝단과 하부지지부(130)의 끝단 더 구체적으로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된 상부지지부(110)의 끝단과 하부지지부(130)의 끝단 부분에는 이탈방지돌기(117,13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이탈방지돌기(117,137)는 상부지지부(110)의 끝단 부분 중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지지부(130)의 끝단 부분 중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돌기(117,137)는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는 상부지지부(110)의 상부로는 한 쌍의 상부끼움부(111)가 구비되고, 상부지지부(110)와 서로 이격된 하부지지부(130)의 하부로는 한 쌍의 하부끼움부(131)가 구비된다.
이때, 한 쌍의 상부끼움부(111)와 한 쌍의 하부끼움부(131)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걸림톱니(115,135)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부끼움부(111)와 한 쌍의 하부끼움부(131)의 각각에는 척추 극돌기(200)와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관통공(113,1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척추 극돌기(200)로 삽입되는 방향의 상부지지부(110)의 끝단과 하부지지부(130)의 끝단에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척추 극돌기(200)에서 용이하게 이탈방지를 하는 이탈방지돌기(117,137)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서로 이격된 상부지지부(110)와 하부지지부(130)의 사이에는 연결부(150)로 연결되어 상부지지부(110)와 하부지지부(130)가 연결부(15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연결부(150)는 상부지지부(110)와 하부지지부(130)의 사이에 상부지지부(110) 및 하부지지부(130)와 나란하게 가로대(153)가 위치하며, 가로대(153)의 일단에는 제1 연결부(151)가 가로대(153)와 상부지지부(110)를 연결하고, 가로대(153)의 타단에는 제2 연결부(152)가 하부지지부(130)와 가로대(153)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제1 연결부(151)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의 가로대(153)에 위치되고, 제2 연결부(152)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삽입되는 방향의 가로대(153)에 위치된다.
또한, 상부지지부(110)에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끝단에 하부지지부(130)를 향해 돌출되어 가로대(153)와 상부지지부(110)의 사이로 신체조직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부(119)가 구비된다.
여기서,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은 모든 구성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구성된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삽입될 신체의 부분을 절개하고,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걸림방지부(119)가 위치된 상태로 신체에 삽입된다.
신체에 삽입된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는 상부지지부(110)에 구비된 상부끼움부(111)의 사이로 서로 인접한 척추 극돌기(200) 중 상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200)가 삽입되며, 하부지지부(130)에 구비된 하부끼움부(131)의 사이로는 서로 인접한 척추 극돌기(200) 중 하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200)가 삽입되는 형태로 척추 극돌기(20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척추 극돌기(200)는 연결부(150)로 연결된 상부지지부(110) 및 하부지지부(130)가 서로 인접한 척추 극돌기(200)를 지지함으로써, 공간이 협소해진 척추 극돌기(200)의 사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끼움부(111) 및 하부끼움부(131)에 삽입된 척추 극돌기(20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공(113,13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형태로 상부지지부(110) 및 하부지지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는 가로대(153)의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제1 연결부(151)와 제2 연결부(152)에 의해 상부지지부(110) 및 하부지지부(130)가 연결되기 때문에 척추의 극돌기가 형성된 전방 또는 그 반대방향인 전방으로 움직임을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척추를 압박하는 힘을 연결부(150)에서 분산시켜 척추에 큰힘이 작용할 경우, 척추 극돌기(200)의 파손 및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100)의 구성 전체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제작단가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110: 상부지지부
111: 상부끼움부 113,133: 관통공
115,135: 걸림톱니 117,137: 이탈방지돌기
119: 걸림방지부 130: 하부지지부
131: 하부끼움부 150: 연결부
151: 제1 연결부 152: 제2 연결부
153: 가로대 200: 척추 극돌기

Claims (7)

  1. 서로 인접하는 척추 극돌기 중 상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
    상기 서로 인접하는 척추 극돌기 중 하부에 위치되는 척추 극돌기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에 서로 이격배치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의 일측과 상기 상부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및 상기 가로대의 타측과 상기 하부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기 가로대의 사이 거리 보다 상기 상부지지대와 상기 가로대의 사이 거리가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지지부의 끝단에서 상기 하부지지부의 끝단이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척추 극돌기에 설치 시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로 신체조직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척추 극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상부지지부의 상부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상부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척추 극돌기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의 하부로 한 쌍이 이격되어 돌출되는 하부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끼움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과 상기 하부끼움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상부끼움부와 상기 하부끼움부로 삽입되는 상기 척추 극돌기를 지지하는 걸림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끼움부와 상기 하부끼움부에는
    상기 척추 극돌기를 상기 상부끼움부와 상기 하부끼움부에 결합하기 위해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에는
    상기 척추 극돌기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KR2020120000273U 2012-01-11 2012-01-11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KR200468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73U KR200468789Y1 (ko) 2012-01-11 2012-01-11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73U KR200468789Y1 (ko) 2012-01-11 2012-01-11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482U true KR20130004482U (ko) 2013-07-19
KR200468789Y1 KR200468789Y1 (ko) 2013-09-04

Family

ID=5135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273U KR200468789Y1 (ko) 2012-01-11 2012-01-11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147A1 (ko)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극돌기간 융합형 임플란트
WO2016064148A1 (ko)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솔고바이오메탈 극돌기간 다이나믹 임플란트
KR20160132679A (ko) * 2015-05-11 2016-11-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요추부 극돌기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38B1 (ko) 2014-04-24 2014-09-26 김현성 경피적 최소 침습 추간체 인공 디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7688B2 (en) 2005-06-13 2010-11-23 Globus Medical Spinous process spacer
KR101066324B1 (ko) 2011-04-06 2011-09-20 유창화 척추 극돌기 간격 유지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147A1 (ko)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극돌기간 융합형 임플란트
WO2016064148A1 (ko)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솔고바이오메탈 극돌기간 다이나믹 임플란트
KR20160047002A (ko) * 2014-10-20 2016-05-02 주식회사 앤트테크놀로지 극돌기간 다이나믹 임플란트
KR20160047000A (ko) * 2014-10-20 2016-05-02 주식회사 앤트테크놀로지 극돌기간 융합형 임플란트
JP2017531522A (ja) * 2014-10-20 2017-10-26 ソルコ バイオ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棘突起間ダイナミックインプラント
US20170325965A1 (en) * 2014-10-20 2017-11-16 Hyeun-Sung Kim Interspinous dynamic implant
US10182918B2 (en) 2014-10-20 2019-01-22 Solco Biomedical Co., Ltd. Interspinous dynamic implant
KR20160132679A (ko) * 2015-05-11 2016-11-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요추부 극돌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789Y1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9061C (en) Elastic stabilization system for vertebral columns
KR200468789Y1 (ko) 척추 극돌기간 확장장치
KR101136427B1 (ko) 경추체간 유합 기기
US5275599A (en) Biocompression external fixator for osteosynthesis
JP6760953B2 (ja) 椎弓形成術用スペーサ
KR101331429B1 (ko) 걸쇠식 경추고정장치
JP5735056B2 (ja) 自己テンション部を有する頸椎固定装置
KR20200072143A (ko) 삽입형 경추체간 자립 케이지
KR100954574B1 (ko) 척추간 삽입체
CN105193483A (zh) 骨科用外固定支架装置
KR101333657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EP3383294A1 (en) Occipital-cervical fixation equipment
KR101121667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CN210931762U (zh) 一种骨科接骨板
CN211485171U (zh) 一种防止躁动病人活动的固定装置
CN110537968A (zh) 一种骨科接骨板
KR200440871Y1 (ko) 운동성이 보존되는 척추 고정장치
EP1764051B1 (en) Plate structure for fracture fixation
KR100925284B1 (ko) 척추간 지지체
KR101120413B1 (ko) 척추로드의 설치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척추고정나사
TWM551472U (zh) 脊椎撐開裝置
CN111557722A (zh) 一种弹性微动锁定接骨板
CN209884302U (zh) 一种安全性能高的椎板固定板
CN104510522B (zh) 棘突固定器
CN208573804U (zh) 脊椎撑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