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284B1 - 척추간 지지체 - Google Patents

척추간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284B1
KR100925284B1 KR1020090014138A KR20090014138A KR100925284B1 KR 100925284 B1 KR100925284 B1 KR 100925284B1 KR 1020090014138 A KR1020090014138 A KR 1020090014138A KR 20090014138 A KR20090014138 A KR 20090014138A KR 100925284 B1 KR100925284 B1 KR 10092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member
intervertebral
hole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식
김진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09001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5Devices with changeable shape, e.g. collapsible or having retractable arms to aid implantation;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8Devices comprising separate rigid parts, assembled in situ, to bear on each side of spinous processe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0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apophyseal or facet joints, i.e. between adjacent spinous or transverse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6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spr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002/448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comprising multiple adjacent spinal implants within the same intervertebral space or within the same vertebra, e.g. comprising two adjacent spinal implants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간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척추의 극상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극상돌기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척추간 지지체에 있어서, 극상 돌기의 각 측면에 배열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간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삽입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삽입부재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척추 수술 시 척추에 인접한 인대를 절단할 필요없이 극상돌기간에 단독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척추 내에서 원터치 형식으로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수술을 할 수 있는 척추간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두 척추의 극상돌기간에 삽입되어 상기 두 척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척추간 지지체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중앙에 지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두 극상돌기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제1 지지부재와, 판 형상으로 중앙에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지지홀에 대응하는 지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상기 두 극상돌기의 타측면에 위치되는 제2 지지부재와, 몸체 형상으로 양 측단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지지홀과 상응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간에 안착되는 삽입부재 및 핀 형상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삽입부재의 각 지지홀 및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삽입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제공한다.
척추, 극상돌기, 지지, 삽입, 고정

Description

척추간 지지체{Intervertebral support}
본 발명은 척추간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척추의 극상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극상돌기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척추간 지지체에 있어서, 극상 돌기의 각 측면에 배열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간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삽입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삽입부재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척추 수술 시 척추에 인접한 인대를 절단할 필요없이 극상돌기간에 단독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척추 내에서 원터치 형식으로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수술을 할 수 있는 척추간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 협착증이란 인체의 노화로 인해 뼈, 인대 및 근육 등이 퇴화되어 척추간 간격이 좁아지거나 척추가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척추와 인접한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척추 협착증을 치료하기 위한 수술 방법으로는 손상된 척추의 디스크 를 제거하여 해당 척추 사이에 인공 보철물을 삽입함으로써 척추간 간격을 유지 및 고정하는 기술 또는 손상된 척추와 인접하는 신경 및 인대들을 제거하여 나사못으로 척추를 고정시키는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척추 수술 시, 신경이나 인대 등의 조직을 제거함으로써 인체에 많은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긴 수술 시간과 회복 기간이 요구됨에 따라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부담을 주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해당 척추의 극상돌기 사이에 삽입부재를 삽입하여 척추간 간격을 유지시키는 척추용 삽입부재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척추용 삽입부재는 두 척추의 극상돌기를 수용하는 두 개의 대향 노치를 갖는 스페이서와 두 극상돌기 및 상기 스페이서를 8자 형태로 묶음으로써 두 척추 및 스페이서를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척추간 삽입체는 두 극상돌기 사이에 안치되어 극상돌기간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두 척추가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시켜주기는 하나, 일몸체 형상으로 두 극상돌기 사이에 삽입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극상돌기에 근접하는 인대나 조직 등을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손상된 인대는 회복이 불가능하며, 삽입부재가 이탈되는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기술로는 서로 상호 결합하는 두 개의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극상돌기 사이에 삽입되는 척추간 삽입체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척추간 삽입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b)는 종래의 척추 간 삽입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척추간 삽입체는 두 극상돌기의 일측에 위치되어 중앙에 홈이 형성된 소켓부(11)가 구비되는 제1 고정부재(10)와, 두 극상돌기의 타측에 위치되어 중앙에 돌기 형상의 플러그부(21)가 구비되는 제2 고정부재(20)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척추간 삽입체는 두 극상돌기 사이에 먼저 삽입되는 제1 고정부재(10)의 소켓부(11)의 홈에 제2 고정부재(20)의 플러그부(21)의 돌기가 삽입되며, 생체적합적 아크릴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착 결합됨으로써 인대, 조직을 우회하여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인대나 조직의 손상을 줄이고, 생체 친화적으로 척추간 간격을 유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척추간 삽입체는 접착제를 통해 제1 및 제2 고정부재(10, 20)를 접착 결합시키는 바, 척추 수술 시 척추의 높이가 맞지 않아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10, 20)를 다시 분리하여 재결합해야하는 경우, 이미 접착 결합된 삽입부재를 깨거나 절단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뼈가 약한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에는 삽입부재를 파손할 시, 그 충격으로 인해 뼈가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척추의 극상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극상돌기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척추간 지지체에 있어서, 극상 돌기의 각 측면에 배열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간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삽입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삽입부재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척추 수술 시 척추에 인접한 인대를 절단할 필요없이 극상돌기간에 단독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척추 내에서 원터치 형식으로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수술을 할 수 있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두 척추의 극상돌기간에 삽입되어 상기 두 척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척추간 지지체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중앙에 지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두 극상돌기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제1 지지부재와, 판 형상으로 중앙에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지지홀에 대응하는 지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상기 두 극상돌기의 타측면에 위치되는 제2 지지부재와, 몸체 형상으로 양 측단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지지홀과 상응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간에 안착되는 삽입부재 및 핀 형상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 제 2 지지부재 및 삽입부재의 각 지지홀 및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삽입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는 극상 돌기의 각 측면에 배열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간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삽입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삽입부재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극상돌기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지지체를 삽입하기 위해 척추에 인접한 인대나 조직 등을 절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척추간 지지체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삽입부재가 고정부재를 통해 원터치로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효율적인 수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삽입부재를 통해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 체는 두 척추의 극상돌기의 각 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00) 및 상기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0)로 구성된다.
제1 지지부재(100)는 판 형상으로 중앙에 한 쌍의 지지홀(110)이 형성되며, 두 극상돌기의 일측면에 위치된다.
제2 지지부재(200)는 제1 지지부재(100)와 동일한 판 형상으로, 중앙에 제1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홀(110)에 대응하는 한 쌍의 지지홀(210)이 형성되어, 제1 지지부재(100)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두 극상돌기의 타측면에 위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는 두 극상돌기의 양 측면을 충분히 수용하여 두 척추를 지지할 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부재(300)는 몸체 형상으로 두 극상돌기의 상면 또는 하면과 닿는 면적이 넓도록 형성되며, 양 측단에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홀(110, 210)에 상응하는 한 쌍의 삽입홀(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재(300)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 간에 삽입 안착됨으로써 두 척추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삽입부재(300)의 전반부에는 탄성력을 갖도록 갈고리 형상의 탄성부(3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여 척추에 무리를 주지않기 위함이다.
고정부재(400)는 핀 형상으로,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의 각 지지홀(110, 210) 및 삽입홀(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재(400)는 일단에는 머리부(410)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머리부(410)로부터 연장되어 요홈(420)에 의해 분할되는 다수의 조임편(4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임편(430)의 끝단에는 걸림돌기(4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다수의 조임편(430)은 요홈(420)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탄성의 재질로 구성되어 지며, 조임편(43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440)는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의 각 지지홀(110, 210) 및 삽입홀(31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테이퍼(Taper)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의 각 지지홀(110, 210)과 삽입부재(300)의 삽입홀(310)은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재(400) 역시 상기 각 지지홀(110, 210) 및 삽입홀(310)에 상응하도록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의 각 지지홀(110, 210) 및 삽입홀(310)에 원터치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를 고정시킨다.
이때,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의 결합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는 제1 지지부재(100)와 삽입부재(300)가 고정부재(400)를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제2 지지부재(200)는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를 해당 두 척추의 극상돌기 사이에 삽입할 시, 척추에 인접한 인대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100)와 삽입부재(300)의 각 지지홀(110) 및 삽입홀(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100)와 삽입부재(300)를 결합시키고 있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부재(40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440)는 제1 지지부재(100)에 형성된 지지홀(110)에 삽입될 시, 지지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테이퍼진 부분의 전단부가 지지홀(110)의 내부로 슬라이드되고, 이로 인해 다수의 조임편(430)이 요홈으로 오므려지게 된다.
이렇게 오므려진 고정부재(400)의 조임편(430)은 제1 지지부재(100)의 지지홀(110)을 관통하여 삽입부재(300)에 형성된 삽입홀(310)에 삽입되어 지고, 삽입홀(310)의 출구측을 관통할 시 다시 팽창되어 원상복귀되어 진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400)를 통해 결합된 제1 지지부재(100)와 삽입부재(300)는 척추 내에 삽입되어 두 극상돌기의 일측면에 위치되어 지며, 그 뒤를 이 어 제2 지지부재(200)가 두 극상돌기의 타측면으로 삽입되어 위치되어 진다.
이후, 고정부재(400)는 제2 지지부재(200)에 형성된 지지홀(210)을 관통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가 서로 결합되어 진다.
이때, 제2 지지부재(200)의 지지홀(210)을 관통한 고정부재(400)는 테이퍼진 걸림돌기(440)의 후단부를 통해 제2 지지부재(200)가 고정부재(4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의 결합을 고정시켜 준다.
한편, 척추 수술 시 척추간의 높낮이의 조정으로 인해 척추간 지지체를 척추 내에서 이탈시켜 재삽입해야 하는 경우, 고정부재(400)는 외부 압력을 통해 걸림돌기(440)가 요홈으로 오므려져 조임편(430)이 제2 지지부재(200)의 지지홀(210)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결합된 제1 지지부재(100) 및 삽입부재(300)와 제2 지지부재(200)는 다시 척추 내에 삽입되기 전의 초기상태로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삽입부재(300)는 고정부재(400)를 통해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가 두 극상돌기(500)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는 해당 척추의 두 극상돌기(500)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척추간 지지체의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는 두 극상돌기(500)의 각 측면에 위치되어 두 극상돌기(500)가 서로 평행하도록 양 측면을 지탱해주고 있으며, 삽입부재(300)는 두 극상돌기(500) 사이에 개재되되 삽입부재(300)의 탄성부(320)가 척추의 후궁측에 안착되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때, 삽입부재의 탄성부(320)는 갈고리 형상으로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척추간에 화살표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갈고리 부분이 수축 및 이완하면서 상기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척추간 지지체는 극상돌기간(500)의 간격 및 위치를 유지하는 동시에,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도 흡수함으로써 환자의 움직임에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는 극상돌기(500)의 각 측면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500)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00)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와 삽입부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와 삽입부재(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0)로 구성되어, 척추 내에 단독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척추 수술 시 척추에 인접한 인대나 조직 등을 절단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부재(100, 200)와 삽입부재(300)가 고정부재(400)를 통해 원터치로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효율적인 수술을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을 갖도록 탄성부(320)가 형성된 삽입부재(300)를 통해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환자의 움직임이 보다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척추간 지지체의 분리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척추간 지지체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지지체가 두 극상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고정부재 11 : 소켓부
20 : 제2 고정부재 21 : 플러그부
100 : 제1 지지부재 110, 210 : 지지홀
200 : 제2 지지부재 300 : 삽입부재
310 : 삽입홀 320 : 탄성부
400 : 고정부재 410 : 머리부
420 : 요홈 430 : 조임편
440 : 걸림돌기 500 : 극상돌기

Claims (4)

  1. 삭제
  2. 두 척추의 극상돌기간에 삽입되어 상기 두 척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척추간 지지체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중앙에 지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두 극상돌기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제1 지지부재;
    판 형상으로 중앙에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지지홀에 대응하는 지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상기 두 극상돌기의 타측면에 위치되는 제2 지지부재;
    몸체 형상으로 양 측단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지지홀과 상응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극상돌기간에 안착되며, 전반부에는 탄성력을 갖도록 갈고리 형상의 탄성부가 형성되는 삽입부재; 및
    핀 형상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삽입부재의 각 지지홀 및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삽입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간 지지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요홈에 의해 분할되는 다수의 조임편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편의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삽입부재의 각 지지홀 및 삽입홀에 원터치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간 지지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다수의 조임편이 오므려질 수 있도록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간 지지체.
KR1020090014138A 2009-02-20 2009-02-20 척추간 지지체 KR10092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138A KR100925284B1 (ko) 2009-02-20 2009-02-20 척추간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138A KR100925284B1 (ko) 2009-02-20 2009-02-20 척추간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284B1 true KR100925284B1 (ko) 2009-11-05

Family

ID=4156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138A KR100925284B1 (ko) 2009-02-20 2009-02-20 척추간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38B1 (ko) 2014-04-24 2014-09-26 김현성 경피적 최소 침습 추간체 인공 디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1506A (ko) * 1997-10-27 2001-04-16 추후제출 척추 신연 삽입물
KR20010031505A (ko) * 1997-10-27 2001-04-16 추후제출 척추 신연 삽입물
KR20060047969A (ko) * 2004-05-17 2006-05-18 (주)우리들척추건강 척추간 삽입체
US7238204B2 (en) 2000-07-12 2007-07-03 Abbott Spine Shock-absorbing intervertebral impl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1506A (ko) * 1997-10-27 2001-04-16 추후제출 척추 신연 삽입물
KR20010031505A (ko) * 1997-10-27 2001-04-16 추후제출 척추 신연 삽입물
US7238204B2 (en) 2000-07-12 2007-07-03 Abbott Spine Shock-absorbing intervertebral implant
KR20060047969A (ko) * 2004-05-17 2006-05-18 (주)우리들척추건강 척추간 삽입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38B1 (ko) 2014-04-24 2014-09-26 김현성 경피적 최소 침습 추간체 인공 디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62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US20110307010A1 (en) Interspinous device and method of implanting
JP6760953B2 (ja) 椎弓形成術用スペーサ
EP1887953A1 (en) Implant for spinal stabilization and its method of use
JP2010538752A (ja) 棘状突起間スペーサ
CA2537761A1 (en) Method for the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ies using rod-plates anterior system
CN104039274A (zh) 节段棘突锚固件系统及使用方法
US11596447B2 (en) Bone anchor with deployable purchase element
KR100850323B1 (ko) 척추간 삽입체
KR101795513B1 (ko) 케이지 디바이스
KR101066324B1 (ko) 척추 극돌기 간격 유지장치
KR100954574B1 (ko) 척추간 삽입체
KR100925284B1 (ko) 척추간 지지체
KR101333657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KR101121667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KR101398889B1 (ko) 추간판 탈출을 방지하는 추간체 유합 보형재
KR100650208B1 (ko) 척추고정장치
KR101470969B1 (ko) 인접 추골 고정수단 구비형 케이지
KR100495227B1 (ko) 척추 간격 유지기
KR101342571B1 (ko)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KR20080002714U (ko) 척추 삽입물
KR100620115B1 (ko) 척추간 삽입체
KR101269627B1 (ko) 척추 극돌기 고정장치
KR100545059B1 (ko) 척추용 확장기
KR101373287B1 (ko) 척추체 극돌기간 스페이서 이식 시술용 의료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