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243U -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243U
KR20130004243U KR2020110011794U KR20110011794U KR20130004243U KR 20130004243 U KR20130004243 U KR 20130004243U KR 2020110011794 U KR2020110011794 U KR 2020110011794U KR 20110011794 U KR20110011794 U KR 20110011794U KR 20130004243 U KR20130004243 U KR 20130004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portable
jaw
fix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2020110011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243U/ko
Publication of KR20130004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2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tact with sorbent bodies, e.g. absorbent mould; by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이 삽입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턱이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입되며 하단에 상기 제1돌출턱에 걸리는 제1걸림턱과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턱이 형성된 하부관체 및 상기 하부관체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되며 하단에 상기 제2돌출턱에 걸리는 제2걸림턱과 내주면에 환형띠가 형성된 상부관체를 포함하는 우산고정부; 상기 환형띠의 상단에 고정되며, 다수개의 고정날개가 우산의 외측을 고정하는 탄성 고정부재; 상기 탄성 고정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절첩 주름을 가지고 상하로 신축되는 주름관;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부로 갈수록 원통형인 우산고정부에 우산을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어 우천시 우산을 사용하고 난 뒤 우산을 보관해야 할 때 일회용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우산고정부에 넣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비닐봉지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본 고안은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우산을 사용할 경우, 우산보관 비닐을 사용하지 않고도 우산의 길이에 상관없이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 시 비를 피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사용 후에는 빗물이 젖어 있어 이를 휴대한 상태로 건물 내부를 출입하게 되면 건물의 바닥에 빗물이 흘러서 고이게 되므로 건물 내부가 지저분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일회용 비닐을 씌워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이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우산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며 다단으로 절첩되는 커버통으로 이루어진 우산커버를 구비하여서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우산커버는 우산결합부가 형성되는 우산결합통이 우산의 전개시 절첩되는 커버통의 절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산의 절첩시 씌워지지 않은 상태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어, 이단 절첩우산과 같이 휴대의 용이성을 위하여 길이를 짧게 한 우산에 적용하여 사용하게 되면 우산의 길이가 길어져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천시 우산을 사용하고 난 뒤, 받침부, 우산고정부 및 주름관에 우산을 삽입하여 보관함으로써, 일회용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그 사용량을 줄여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받침부, 우산고정부 및 주름관을 서로 축소시키고, 우산의 손잡이에 구비된 덮개와 결합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악세서리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우산의 휴대가 편리하고, 우산을 사용 후 용이하게 덮개와 결합부재를 해체하여 받침부와 우산고정부를 펼치고, 주름관을 신장시켜 다양한 우산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 의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는, 우산이 삽입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턱이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입되며 하단에 상기 제1돌출턱에 걸리는 제1걸림턱과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턱이 형성된 하부관체 및 상기 하부관체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되며 하단에 상기 제2돌출턱에 걸리는 제2걸림턱과 내주면에 환형띠가 형성된 상부관체를 포함하는 우산고정부; 상기 환형띠의 상단에 고정되며, 다수개의 고정날개가 우산의 외측을 고정하는 탄성 고정부재; 상기 탄성 고정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절첩 주름을 가지고 상하로 신축되는 주름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름관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우산의 손잡이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하측면에 흡착판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에 의해 지면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우천시 우산을 사용하고 난 뒤, 받침부, 우산고정부 및 주름관에 우산을 삽입하여 보관함으로써, 일회용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그 사용량을 줄여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부, 우산고정부 및 주름관을 서로 축소시키고, 우산의 손잡이에 구비된 덮개와 결합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악세서리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우산의 휴대가 편리하고, 우산을 사용 후 용이하게 덮개와 결합부재를 해체하여 받침부와 우산고정부를 펼치고, 주름관을 신장시켜 다양한 우산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우산의 손잡이에 장착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에 짧은 우산을 삽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에 장우산을 삽입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는 받침부(110), 우산고정부(120), 탄성 고정부재(130), 주름관(14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부(110)는 우산(200)이 삽입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턱(111)이 형성된다.
이때, 받침부(110)는 하측면에 흡착판(미도시)이 형성되고, 흡착판에 의해 지면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110)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우산(200)이 삽입될 때, 우산(200)의 하부가 점점 좁아지는 받침부(110)의 하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10) 하측면에 흡착판이 형성됨으로써, 우산고정부(120)에 우산(200)을 삽입하여 흡착판으로 우산꽂이(100)를 지면에 고정시켰을 때, 우산(200)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 우산고정부(120)가 쓰러지지 않고 지면에 지지시킬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우산고정부(120)가 쓰러져 우산고정부(120)에 모이게 되는 물이 바닥으로 흐르지 않도록 지면에 지지됨으로 물기 청소를 하지 않아 관리가 용이하다.
우산고정부(120)는 하부관체(124)와 상부관체(122)를 포함한다.
하부관체(124)는 받침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받침부(110)가 내입되며 하단에 제1돌출턱(111)에 걸리는 제1걸림턱(113)과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턱(115)이 형성된다.
즉, 하부관체(124)의 내부로 받침부(110)가 내입되어 축소되고, 펼쳐질 수 있다. 하부관체(124)와 받침부(110)가 서로 펼쳐질 때는, 제1돌출턱(111)에 제1걸림턱(113)이 걸리면서 서로 분리는 되지 않는다.
상부관체(122)는 하부관체(124)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되며 하단에 제2돌출턱(115)에 걸리는 제2걸림턱(114)과 내주면에 환형띠가 형성된다.
즉, 상부관체(122)의 내부로 하부관체(124)가 내입되며 축소되고, 펼쳐질 수 있다. 상부관체(122)와 하부관체(124)가 서로 펼쳐질 때는, 제2돌출턱(115)에 제2걸림턱(114)이 걸리면서 서로 분리는 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를 우산의 손잡이에 장착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부(110)가 하부관체(124)로 내입되고, 하부관체(124)가 상부관체(122)로 내입되어 우산꽂이(100)가 최대한 축소될 수 있다.
탄성 고정부재(130)는 환형띠의 상단에 고정되며, 다수개의 고정날개(132)가 우산(200)의 외측을 고정한다.
탄성 고정부재(130)는 우산고정부(120)에 우산(200)을 꽂을 때 우산(200)이 흔들리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우산(200)의 크기는 각기 다르기 때문에 작은 우산(200)과 큰 우산(200)의 구분없이 투입구에 우산(200)을 꽂아 질 수 있도록 투입구의 입구에 유연한 재질이면서 탄성력을 지닌 다수개의 고정날개(132)가 형성된다.
투입구의 크기는 일정하고 부채꼴 모양인 다수의 고정날개(132)가 투입구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날개(132)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큰 우산(200)과 작은 우산(200)의 구분없이 우산(200)을 투입구에 꽂으면 고정날개(132)는 꽂아지는 우산(200)과 함께 투입구 내부로 휘면서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날개(132)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되어 우산(200)을 감싸면서 고정시킨다. 이로써, 우산(200)의 크기에 상관없이 투입구에 꽂을 수 있으며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주름관(140)은 탄성 고정부재(130)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절첩 주름을 가지고 상하로 신축된다.
또한, 주름관(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부(110), 하부관체(124) 및 상부관체(122)가 축소될 때, 함께 축소되어 우산꽂이(100)가 최대한 축소될 수 있어, 사용자가 우산꽂이(100)를 휴대하기 용이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에 짧은 우산을 삽입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에 장우산을 삽입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우산(200)의 길이가 짧은 우산(200)이면, 절첩 주름을 축소시켜 우산(200)을 모두 덮을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우산(200)의 길이가 긴 우산(200)이면, 절첩 주름을 신장시켜 우산(200)을 모두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100)는 우산(200)의 크기에 따라 절첩 주름을 자유자재로 신축시키며 우산(200)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우산(200)을 꽂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100)는 결합부재(150) 및 덮개(160)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재(150)는 주름관(140) 상단에 결합된다.
덮개(160)는 우산(200)의 손잡이에 연결되고, 결합부재(15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덮개(160)는 결합부재(150)와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자성에 의한 탈부착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100)는 주름관(140)을 축소시키고, 받침부(110), 하부관체(124) 및 상부관체(122)를 서로 내입시켜 축소시킨 다음, 우산(200)의 손잡이에 연결된 덮개(160)에 결합부재(150)를 결합하면 우산꽂이(100)를 휴대용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100)는 받침부(110), 하부관체(124), 상부관체(122) 및 주름관(140)의 어느 하나 이상의 내주면에 물흡수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물흡수재는 실리카겔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겔은 황산과 규산나륨의 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는 튼튼한 그물조직의 규산입자로, 표면적이 매우 넓어 물이나 알코올 등을 흡수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 제습제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받침부(110), 하부관체(124), 상부관체(122) 및 주름관(140)의 어느 하나 이상의 내주면에 실리카겔을 부착하여, 우산(200)의 물기를 흡수하여 우산(200)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100) 사용자는 우천시 우산(200)을 사용 후, 실내에 들어설 때 덮개(160)와 결합부재(150)를 탈착시켜 우산꽂이(100)에 우산(200)을 삽입하며, 우산(200) 길이에 따라 주름관(140)을 신장시킨다. 그리고 우산(200)은 탄성 고정부재(130)에 의해 우산(200) 고정부에 삽입된 채 고정되어 보관되고, 빗물은 물흡수재에 흡수된다. 또한, 받침부(110)에 형성된 흡착판을 실내의 지면에 부착하여 우산꽂이(100)를 세워 보관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우산꽂이 110: 받침부
111: 제1 돌출턱 113: 제1 걸림턱
114: 제2 걸림턱 115: 제2 돌출턱
120: 우산고정부 122: 상부관체
124: 하부관체 130: 탄성 고정부재
132: 고정날개 140: 주름관
150: 결합부재 160: 덮개
200: 우산

Claims (3)

  1. 우산이 삽입되며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턱이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입되며 하단에 상기 제1돌출턱에 걸리는 제1걸림턱과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턱이 형성된 하부관체 및 상기 하부관체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되며 하단에 상기 제2돌출턱에 걸리는 제2걸림턱과 내주면에 환형띠가 형성된 상부관체를 포함하는 우산고정부;
    상기 환형띠의 상단에 고정되며, 다수개의 고정날개가 우산의 외측을 고정하는 탄성 고정부재;
    상기 탄성 고정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절첩 주름을 가지고 상하로 신축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우산의 손잡이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하측면에 흡착판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에 의해 지면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KR2020110011794U 2011-12-30 2011-12-30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KR201300042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94U KR20130004243U (ko) 2011-12-30 2011-12-30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94U KR20130004243U (ko) 2011-12-30 2011-12-30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43U true KR20130004243U (ko) 2013-07-10

Family

ID=5368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794U KR20130004243U (ko) 2011-12-30 2011-12-30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24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480B1 (ko) * 2019-11-06 2021-05-14 이종길 빗물받이 기능을 갖는 우산받침대
KR102583991B1 (ko) * 2022-06-16 2023-09-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우산스탠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480B1 (ko) * 2019-11-06 2021-05-14 이종길 빗물받이 기능을 갖는 우산받침대
KR102583991B1 (ko) * 2022-06-16 2023-09-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우산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2067A (en) Refuse collection device
US9499999B2 (en) Car roof tent
TWI454609B (zh) Shielding device
WO2008122149A1 (fr) Dispositif de support supérieur
US20090223545A1 (en) Umbrella system with support for internal storage of cover and external sliding ribs and stretchers
US20140202512A1 (en) Retractable pole assembly for a foldable tent
US20120014796A1 (en) Kite fan blade
US9775416B2 (en) Umbrella device
US20190069654A1 (en) Reverse folding umbrella
KR20130004243U (ko) 이동식 휴대용 우산꽂이
CN104013348A (zh) 马桶
CN101820792A (zh) 包括手柄壳和伸缩管支撑的袖珍口袋伞
JP2007319624A (ja) 物干カバー
KR20130002997U (ko) 차량 내 우산꽂이
CN203898180U (zh) 马桶
KR20110049565A (ko) 자동 접이식 우산
TWM522603U (zh) 自動多折反收傘
CN210988608U (zh) 一种折叠式雨伞
CN210783196U (zh) 一种可立式雨伞
TWM257666U (en) Improved design of fixed, multi-fold automatic umbrella
KR200323561Y1 (ko) 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CN210988607U (zh) 防雨水滴淋的折叠雨伞
CN213898383U (zh) 一种新型车顶帐篷
CN102302262A (zh) 雨水自集式雨伞
CN210276197U (zh) 一种可增大伞布面积的雨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