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222U -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222U
KR20130004222U KR2020110011773U KR20110011773U KR20130004222U KR 20130004222 U KR20130004222 U KR 20130004222U KR 2020110011773 U KR2020110011773 U KR 2020110011773U KR 20110011773 U KR20110011773 U KR 20110011773U KR 20130004222 U KR20130004222 U KR 201300042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body
smartphone
case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머큐리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10011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222U/ko
Priority to CN2012200516990U priority patent/CN202679431U/zh
Publication of KR20130004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2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후측면과 전면을 덮도록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후측면과 둘레면 및 전면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측판(12)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패널(20)과, 상기 연결패널(20)의 외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을 덮어 가리는 덮개(30)가 구비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 및 전면을 덮어 가리므로써,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 및 전면을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덮개(30)를 열어 스마트폰(1) 전면의 조작스위치(3) 또는 터치스위치(3)를 눌러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SMART PHONE CASE HAVING COVER}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후측면과 전면을 동시에 덮도록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후측면과 둘레면 및 전면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이 간편하고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애플의 아이폰 및 삼성전자의 갤럭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스마트폰 중에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스마트폰은 사각 블록형태로 구성된 본체(1)의 전면에는 넓은 터치스크린(2)이 구비되고, 전면 하측에는 조작스위치(3)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전면의 조작스위치(3) 또는 터치스크린(2)을 눌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자는 티피유소재(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에 의한 엘라스토머(Elastomer; 탄성중합체)를 이용한 터치폰용 논슬립 보호케이스를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바가 있다(등록번호 10-0955029호). 그러나, 상기 특허권에 따른 보호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을 덮어 가리도록 구성되므로,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은 보호할 수 있으나, 스마트폰(1)의 전면에 구비되어 조그마한 충격에도 파손되기 쉬운 터치스크린(2)을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그리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고가의 스마트폰의 전면부를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스마트폰의 후측면과 둘레면 및 전면부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으면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배면판(11)과, 상기 배면판(11)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판(12)이 구비된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 측판(12)의 외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패널(20)과; 상기 연결패널(20)의 외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부을 덮어 가리는 덮개(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의 측면에는 덮개(30)가 케이스본체(10)의 전면을 덮어 가린 상태로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잠금수단(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패널(20)은 상기 측판(12)의 전후방향 중간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패널(20)의 단부에는 덮개(30)가 연결패널(20)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덮개(30)를 닫으면 상기 연결패널(20)이 라운드지도록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스마트폰(1)의 전면 모서리부에 걸리는 고정리브(14)가 내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41)와, 상기 돌기(41)의 외측면을 덮도록 덮개(30)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돌기(41)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패널(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측면과 덮개(30)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고정되는 자석 및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 둘레부와 상기 덮개(30)의 둘레부 형상과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 둘레부와 상기 덮개(30)의 둘레부를 따라 일체로 고정되어 상호 수밀하게 부착고정되는 한 쌍의 고무자석(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잠금수단(40)은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수단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판(12)의 전단부 내측 둘레면에는 스마트폰(1)의 전면 둘레부에 걸리는 걸림턱(13)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30)의 둘레부는 상기 케이스본체(10)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덮개(30)의 둘레부에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걸림턱(13)과 대응되는 평면부(31)가 형성되어져서, 덮개(30)를 덮으면 상기 걸림턱(13)과 평면부(31)가 상호 면접촉되어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사이의 틈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30)는 내부에 수용된 스마트폰(1)의 화면의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덮개(30)에는 스마트폰(1)에 구비된 조작스위치(3)에 대응되도록 누름부(32)가 추가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덮개(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32)를 눌러 조작스위치(3)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연결패널(20) 및 덮개(30)는 일체로 연결되도록 플랙시블한 합성수지를 사출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측판(12)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패널(20)과, 상기 연결패널(20)의 외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을 덮어 가리는 덮개(30)가 구비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 및 전면을 덮어 가리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 및 전면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덮개(30)를 열어 스마트폰(1) 전면의 조작스위치(3) 또는 터치스위치(3)를 눌러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모습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외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패널(20)과, 상기 연결패널(20)의 외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을 덮어 가리는 덮개(3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의 측면에 구비되며 덮개(30)가 케이스본체(10)의 전면을 덮어 가린 상태로 고정하는 잠금수단(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본체(10)와 연결패널(20) 및 덮개(30)는 일체로 연결되도록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등과 같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를 사출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료, 즉 플라스틱, 가죽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0)와 연결패널(20) 및 덮개(30)가 각각 별개로 제작된 후 서로 연결되어지거나 또는 연결패널(20)과 덮개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후 별개로 제작된 케이스본체(10)와 연결되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본체(10)는 배면판(11)과, 상기 배면판(11)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판(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12)의 전단부 내측 둘레면에는 스마트폰(1)의 전면 둘레부에 걸리는 걸림턱(1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안착된 스마트폰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스마트폰(1)의 전면 모서리부에 걸리는 고정리브(14)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본체(10)에 스마트폰(1)을 결합하면 스마트폰(1) 모서리부분이 상기 고정리브(14)에 걸려 스마트폰(1)이 케이스본체(1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리브(14)는 얇은 패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모서리부분에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역시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연결패널(20)은 측방향 폭은 좁고 상하방향으로는 긴 얇은 패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측판(12)의 전후방향 중간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덮개(30)가 케이스본체(10)에 정확하게 덮혀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덮개(30)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패널(20)의 단부에서 연결패널(20)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덮개(30)를 닫으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패널(20)이 라운드지도록 구부러지면서 덮개(30)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연결패널(20)은 얇고 긴 패널형상으로 케이스본체(10)의 우측부에 위치되어 덮개(30)가 우측으로 개폐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케이스본체(10)의 다른 위치에서 연결패널(20)을 통해서 덮개(30)가 장착되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가 케이스본체(10)의 좌측부에 위치되어 개폐되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 케이스본체(10)의 좌측에서 덮개(30)부와 연결하는 연결패널(20)은 커버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스마트폰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볼륨조절부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볼륨조절부에 대응되는 위치가 관통되어지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0)의 둘레부는 상기 케이스본체(10)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둘레부에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걸림턱(13)과 대응되는 평면부(31)가 형성된다. 상기 평면부(31)는 상기 덮개(30)의 둘레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덮개(30)를 덮으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3)과 평면부(31)가 상호 면접촉되어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사이의 틈이 밀폐된다.
또한, 상기 덮개(30)에는 스마트폰(1)에 구비된 조작스위치(3, 예를 들어 홈버튼)에 대응되도록 누름부(32)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32)는 상기 덮개(30)에서 상기 조작스위치(3)에 대응되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성형하여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조작스위치(3)를 누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조작스위치(3)를 누를 때 조작감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다른 잠금수단(4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41)와, 상기 덮개(30)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돌기(41)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패널(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41)와 고정패널(42)은 상기 케이스본체(10) 및 덮개(30)와 동일한 플랙시블한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를 제작할 때 일체로 사출성형 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료 및 방식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널(42)은 상기 돌기(41)의 외측면을 덮도록 상기 덮개(30)의 측면에서 케이스본체(10) 쪽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42)은 상기 고정패널(42)의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0)를 닫으면 상기 돌기(41)가 고정패널(42)의 결합홈(42)에 맞물려 덮개(3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며,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덮개(30)를 열고자 할 때는 상기 고정패널(42)의 단부를 소정의 힘으로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결합홈(42)과 돌기(41)의 결합이 해제되어 덮개(30)를 열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41)와 결합홈(42)은 각각 케이스본체(10) 및 덮개(30)의 측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위치에서의 사용 및 다른 형상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와 결합홈은 각각 케이스본체와 덮개의 측면 전체에 볼록부와 요홈부의 형상으로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측판(12)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패널(20)과, 상기 연결패널(20)의 외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을 덮어 가리는 덮개(30)가 구비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 및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 및 전면부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덮개(30)를 열어 스마트폰(1) 전면의 조작스위치(3) 또는 터치스위치(3)를 눌러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패널(20)은 상기 측판(12)의 전후방향 중간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30)는 상기 연결패널(20)의 단부에서 연결패널(20)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패널(20)의 폭을 최대한 좁게 구성할 수 있으면서도 덮개(30)를 닫을 때 연결패널(20)에 의해 덮개(30)를 닫는 것을 방해받지 않을 뿐 아니라, 덮개(30)를 닫으면 상기 연결패널(20)이 라운드지도록 구부러져 덮개(30)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어, 상기 잠금수단(40)의 잠금을 해제하여 덮개(30)를 열 때 연결패널(20)의 탄성에 의해 덮개(30)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되므로, 덮개(30)를 여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덮개(30)에는 스마트폰(1)에 구비된 조작스위치(3)에 대응되는 위치에 누름부(3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조작스위치(3)를 누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조작스위치(3)를 누를 때 조작감이 확실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덮개(30)는 내부에 수용된 스마트폰(1)의 화면의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스마트폰(1)의 전면 모서리부에 걸리는 고정리브(14)가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스마트폰(1)이 케이스본체(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측판(12)의 전단부 내측 둘레면에는 스마트폰(1)의 전면 둘레부에 걸리는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30)의 둘레부는 상기 케이스본체(10) 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덮개(30)의 둘레부에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걸림턱(13)과 대응되는 평면부(31)가 형성되어, 덮개(30)를 덮으면 상기 걸림턱(13)과 평면부(31)가 상호 면접촉되어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사이의 틈이 밀폐된다. 따라서, 빗물 등이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스마트폰(1)에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41)와, 상기 돌기(41)의 외측면을 덮도록 덮개(30)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돌기(41)가 결합되는 결합홈(42)이 형성된 고정패널(42)로 구성되므로, 덮개(30)를 닫으면 상기 돌기(41)가 결합홈(42)에 맞물려 덮개(30)가 열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고정패널(42)을 외측으로 당겨 손쉽게 고정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고정패널(42)이 덮개(30)에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고정패널(42)을 외측으로 젖히면 고정패널(42)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덮개(30)가 열리는 방향으로 밀려 덮개(30)를 더욱 손쉽게 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잠금수단(40)은 케이스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41)와, 상기 덮개(3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41)와 결합되는 고정패널(42)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수단(40)은 케이스본체(10)의 측면과 덮개(30)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자기력에 의해 상호 부착고정되는 자석 및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과 자성체는 상기 돌기(41)의 위치와 상기 고정패널(42)의 결합홈(42)의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패널(42)의 구조를 삭제하고, 케이스본체(10)의 전면 둘레부와 상기 덮개(30)의 둘레부에 각각 자석과 자성체를 매입하여, 덮개(30)를 닫으면 자석과 자성체가 상호 부착되어, 덮개(30)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과 자성체는 각각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둘레부와 덮개(30)의 둘레부 네모서리에 장착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개수 및 다른 위치에의 부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 둘레부와 상기 덮개(30)의 둘레부를 따라 고정된 한 쌍의 고무자석(4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무자석(43)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 둘레부와 상기 덮개(30)의 둘레부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형의 링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자석(43)은 상기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를 사출형성할 때 금형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상기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무자석(43)은 고무나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에 자석 파우더를 섞어 성형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는 덮개(30)를 덮으면 상기 고무자석(43)이 상호 수밀하게 부착고정되어,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 사이의 틈을 통해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잠금수단(40)은 전술한 한쌍의 고무자석(43)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무자석(43)과 전술한 돌기(41)와 고정패널(42)의 구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잠금수단(40)은 스냅단추(똑딱이단추) 또는 벨크로 또는 고리 등과 같이 다양하게 공지된 모든 체결수단이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시한 모습이다. 즉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스본체(10)의 좌측부에 덮개(3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지며, 이때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패널(20)은 스마트폰의 볼륨조절부에 대응되는 위치가 관통되어지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돌기(41)와 결합홈(42)은 각각 케이스본체(10) 및 덮개(30)의 측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선호되어진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돌기(41')는 덮개(30')의 측면 전체에 볼록한 돌기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돌기(41')에 대응되는 결합홈(42')은 케이스본체(10')의 측면 전체에서 오목한 요홈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패널(20')은 서로 별개로 제작되어 각각 결합되어지거나 또는 연결패널(20')과 덮개(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후 별개로 제작된 케이스본체(10')와 연결되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패널(20')은 일측단부는 케이스본체에 부착되어지고 타측단부는 덮개에 부착되어지고, 중간부는 덮개가 개방될때는 분리되어지고 덮개가 닫혀질때는 케이스본체에 결속되어지도록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20')은 스마트폰의 볼륨조절부에 대응되는 위치가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어지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볼륨조절부에 대응되는 위치가 관통되어지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고안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1 : 스마트폰 10 : 케이스본체
20 : 연결패널 30 : 덮개
40 : 잠금수단

Claims (14)

  1. 배면판(11)과, 상기 배면판(11)의 둘레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판(12)이 구비된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스마트폰(1)의 후측면과 둘레면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케이스본체(10) 측판(12)의 외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패널(20)과;
    상기 연결패널(20)의 외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부을 덮어 가리는 덮개(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의 측면에는 덮개(30)가 케이스본체(10)의 전면을 덮어 가린 상태로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잠금수단(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개구부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스마트폰(1)의 전면 모서리부에 걸리는 고정리브(14)가 내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널(20)은 상기 측판(12)의 전후방향 중간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널(20)의 단부에는 덮개(30)가 연결패널(20)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덮개(30)를 닫으면 상기 연결패널(20)이 라운드지도록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41)와, 상기 돌기(41)의 외측면을 덮도록 덮개(30)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돌기(41)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패널(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측면과 덮개(30)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고정되는 자석 및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과 자성체는 각각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둘레부와 덮개(30)의 둘레부 네모서리에 장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 둘레부와 상기 덮개(30)의 둘레부 형상과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전면 둘레부와 상기 덮개(30)의 둘레부를 따라 일체로 고정되어 상호 수밀하게 부착고정되는 한 쌍의 고무자석(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은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수단 또는 고리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의 돌기(41)는 덮개(30)의 측면 전체에 볼록한 돌기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돌기(41)에 대응되는 결합홈(42)은 케이스본체(10)의 측면 전체에서 오목한 요홈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2)의 전단부 내측 둘레면에는 스마트폰(1)의 전면 둘레부에 걸리는 걸림턱(13)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30)의 둘레부는 상기 케이스본체(10)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덮개(30)의 둘레부에는 상기 케이스본체(10)의 걸림턱(13)과 대응되는 평면부(31)가 형성되어져서, 덮개(30)를 덮으면 상기 걸림턱(13)과 평면부(31)가 상호 면접촉되어 케이스본체(10)와 덮개(30)사이의 틈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12.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는 내부에 수용된 스마트폰(1)의 화면의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에는 스마트폰(1)에 구비된 조작스위치(3)에 대응되도록 누름부(32)가 추가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덮개(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32)를 눌러 조작스위치(3)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는 케이스본체(10)의 좌측부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좌측에서 덮개(30)부와 연결하는 연결패널(20)은 스마트폰의 볼륨조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홀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0110011773U 2011-12-29 2011-12-29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3000422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73U KR20130004222U (ko) 2011-12-29 2011-12-29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N2012200516990U CN202679431U (zh) 2011-12-29 2012-02-16 带保护壳的智能手机外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73U KR20130004222U (ko) 2011-12-29 2011-12-29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22U true KR20130004222U (ko) 2013-07-09

Family

ID=4750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773U KR20130004222U (ko) 2011-12-29 2011-12-29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04222U (ko)
CN (1) CN2026794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05Y1 (ko) * 2014-05-02 2015-01-15 장은영 휴대폰용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7107A (zh) * 2013-07-05 2013-10-09 顾金娥 触摸屏手机用保护壳
CN103338286A (zh) * 2013-07-05 2013-10-02 顾金娥 防盗手机保护壳
CN103479024A (zh) * 2013-08-06 2014-01-01 李永建 一种智能手机保护套
TW201519732A (zh) * 2013-11-01 2015-05-16 Aevoe Inc 可攜式行動裝置之保護裝置
CN104869192B (zh) 2015-05-06 2018-10-26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7592392A (zh) * 2017-08-03 2018-01-16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保护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05Y1 (ko) * 2014-05-02 2015-01-15 장은영 휴대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679431U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4222U (ko) 커버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US9980544B2 (en) Water resistant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997815B (zh) 按钮开关
US9403631B2 (en) Waterproof hermetically-sealed electronic product protection device
US10694630B2 (en)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creen
EP2405407B1 (en) Portable device having a simple waterproof structure
US20130126533A1 (en) Water resistant buoyant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030972B1 (ko) 차량용 트렁크의 방수형 스위치
US20200069015A1 (en) Water resistant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10086296A (ko) 휴대폰 케이스
KR101560790B1 (ko) 스마트폰 방수 케이스
KR200478820Y1 (ko) 휴대폰 케이스
JP2016194198A (ja) 環状部材の固定構造及び電子キー
JP5653321B2 (ja) 保護カ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CN209965499U (zh) 磁吸防水袋
KR200473933Y1 (ko) 케이스커버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용기기 보호케이스
KR20160011527A (ko) 휴대 기기용 보호 케이스
CN107305990B (zh) 电子装置的门盖
CN206004047U (zh) 一种卡扣式开关插座盒
CN204189665U (zh) 开关盒防水外壳
CN204928912U (zh) 一种防水手机壳
KR200463129Y1 (ko) 용기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N204155788U (zh) 家电开关托架的挡水结构
KR200453081Y1 (ko) 호환 사용이 가능한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