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060U - 외장형 배터리 - Google Patents

외장형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060U
KR20130004060U KR2020110011555U KR20110011555U KR20130004060U KR 20130004060 U KR20130004060 U KR 20130004060U KR 2020110011555 U KR2020110011555 U KR 2020110011555U KR 20110011555 U KR20110011555 U KR 20110011555U KR 20130004060 U KR20130004060 U KR 201300040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ans
external battery
battery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987Y1 (ko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제이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98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9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장형 배터리의 하우징부에 결합부를 형성한 후, 서랍식으로 개폐되는 거치수단을 결합함으로써 거치 기능을 겸한 외장형 배터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외장형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장형 배터리에 있어서, 셀 조립체와; 상기 셀조립체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결합되어 서랍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 거치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결합부에는 적어도 1개소 이상의 탄성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탄성 돌기에 대해, 상기 거치 수단의 베이스의 상면에 상기 각각의 탄성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홈을 각각의 탄성 돌기에 대해 적어도 2개소 이상 구비하되, 그 중 1개는 상기 거치 수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었을 때 각각의 탄성 돌기가 그에 대응하도록 구비하고 또 1개는 상기 거치 수단을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빼낼 때 더 이상 빠지지 않도록 하는 멈춤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외장형 배터리는 배터리의 기본 기능인 전력 공급원으로서의 기능 외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거치대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해당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외장형 배터리{ External Battery }
본 고안은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이 충전용 배터리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조전원으로 사용되는 외장형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 전원으로서 외부 기기로의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 외에 거치대 기능을 겸하여 구비하는 외장형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와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휴대용이라는 특성에 따라, 이들 기기는 외부 전원이 없는 곳이나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 내부에 건전지 또는 2차 전지를 내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TV 시청이나 인터넷 사용과 같이 이들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될 경우, 내장된 전원 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우선적으로, 내장할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는 방안이다. 그러나 용량을 늘리려면, 배터리의 외형과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다시 제품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휴대용 제품으로서 중요시되는 특성인 얇고 가벼워야 하는 특성과 상충한다는 이유로 인해 현실적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다른 대안으로는, 얇고 가벼우면서도 전기에너지를 충분히 저장하는 배터리를 개발하여 내장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를 위해 신소재 전지와 관련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경제성 및 휴대 편리성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는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근본적 접근 방법들이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없는 상황에서 내장 배터리의 용량 부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것이 외장형 배터리이다. 외장형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에 비해 외형이나 무게에 제약을 덜 받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다양한 용량으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한편,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TV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 해당 기기를 어딘가에 거치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거치대가 이미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보급되고 있는 거치대들은 부피도 크고 무거워서 휴대가 불편할 뿐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거치대 외에 보조 전원용 외장형 배터리를 동시에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더 큰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외장형 배터리의 하우징부에 결합부를 형성한 후, 서랍식으로 개폐되는 거치수단을 결합함으로써 거치 기능을 겸한 외장형 배터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외장형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장형 배터리에 있어서, 셀 조립체와; 상기 셀조립체를 수납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저면에 구비된 안내 홈에 삽입되고, 상기 안내 홈을 따라 일정 구간을 서랍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 거치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저면에는 적어도 1개소 이상의 탄성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탄성 돌기에 대해, 상기 거치대의 베이스의 상면에 상기 각각의 탄성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홈을 각각의 탄성 돌기에 대해 적어도 2개소 이상 구비하되, 그 중 1개는 상기 거치 수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었을 때 각각의 탄성돌기가 그에 대응하도록 구비하고 또 1개는 상기 거치 수단을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빼낼 때 더 이상 빠지지 않도록 하는 멈춤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외장형 배터리는 배터리의 기본 기능인 전력 공급원으로서의 기능 외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되어, 거치대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해당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배터리의 휴대 상태에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배터리의 휴대 상태에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배터리의 거치 상태에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배터리의 거치 기능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배터리의 휴대 상태에서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배터리의 휴대 상태에서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110)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정면 사시도이다. 여기서, 외장형 배터리의 휴대 상태라 함은 거치 수단(200)이 하우징부(100)에 밀착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외장형 배터리는 하우징부(100)와 거치 수단(200) 그리고 셀 조립체(300)의 세 가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셀 조립체(300)는 충전이 가능한 전지 다발(310)과 제어 회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지 다발(31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전지를 상호 직병렬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전압과 용량이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 1 개의 공칭 전압이 3.7V[볼트]이고, 용량이 2600mAh[밀리암페어아워]인 리튬 이온 셀 여섯 개를 두 개씩 직렬로 결합하여 세 묶음을 만든 다음, 각 묶음을 병렬로 결합할 경우, 출력 전압이 7.4V이고, 용량이 7800mAh의 배터리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직병렬 조합을 함에 있어서, 직렬로 결합된 각 묶음의 출력 전압은 반드시 동일한 상태로 조합이 이루어져야 함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라면 누구에게나 공지된 기술이다.
또, 상기 제어 회로(미도시)는 리튬 이온 셀로 배터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리튬 이온 셀의 상태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서 소정의 보호 회로와; 상기 전지 다발(310)의 전압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으로 변환시켜서 제1 출력 단자(330) 및 제2 출력 단자(340)로 각각 공급하는 전압 변환 회로; 별도의 충전기로부터 입력 단자(3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지를 충전시켜주는 충전 회로; 충전 및 방전 상태를 제어하고 표시해주는 충방전 제어 회로; 그리고 외부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 또는 중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조작 스위치(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셀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수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하우징부는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전방 하우징; 그리고 조작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본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셀 조립체를 안전하게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 요소들은 얼마든지 통합 또는 분리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인 거치대 기능을 겸하는 외장형 배터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거치 수단(200)이 서랍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우징부(100)에 구비된 결합부(121)에 결합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4 및 도 5를 도시한 바,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12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 수단(200)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120)의 저면에는 결합부(121)가 하부 하우징(120)과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121)의 좌우측에는 제 1 안내 홈(123)과 제 2 안내 홈(124)이 구비되고 또한 내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탄성 돌기(122, 122')가 구비된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 수단(200)은 'ㄱ' 자 형태를 취하며 베이스(220)와 지지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베이스(220)의 좌우측에는 제 1 안내 돌기(221)와 제 2 안내 돌기(222)가 구비되고 내측 일면에는 상기 탄성 돌기(122, 122')에 대응하도록 배열된 제 1 걸림 홈(223, 223')과 제 2 걸림 홈(224, 224')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각각의 탄성 돌기(122, 122')에 대해, 상기 거치 수단(200)의 베이스(220)의 상면에 상기 각각의 탄성 돌기(122, 122')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홈(223, 223', 224, 224')을 각각의 탄성 돌기(122, 122')에 대해 적어도 2개소 이상 구비하되, 그 중 제 2 걸림 홈(224, 224')은 상기 거치 수단(200)이 상기 하부 하우징(120)의 격벽(125)부에 밀착되었을 때 각각의 탄성돌기(122, 122')가 그에 대응하도록 구비하고, 또, 제 1 걸림 홈(223, 223')은 상기 거치 수단(200)을 상기 하부 하우징(120)으로부터 빼낼 때 더 이상 빠지지 않도록 하는 멈춤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추가로 구비되는 걸림 홈들은 상기 제1 걸림 홈과 상기 제2 걸림 홈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거치 수단을 거치하고자하는 제품의 두께 또는 거치 각도에 따라 개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배터리의 거치 상태에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배터리의 거치 기능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외장형 배터리의 거치 상태라 함은 거치 수단(200)이 하우징부(100)로부터 부분적으로 인출되어 거치대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고안의 외장형 배터리를 거치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거치 수단(200)을 하부 하우징(120)으로부터 적당한 간격 만큼 빼내어 거치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상태로 한 후, 도 7과 같이 거치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거치하면 되는 것이다. 거치대로서의 활용을 종료한 후에는, 다시 상기 거치 수단의 지지판(210)을 상기 하부 하우징(120)의 격벽(125)에 밀착시킴으써 휴대에 편리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 사상 역시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하우징부
110 : 상부 하우징
120 : 하부 하우징
121 : 결합부
122, 122' : 탄성 돌기
123 : 제1 안내 홈
124 : 제2 안내 홈
125 : 격벽
130 : 전방 하우징
140 : 조작 버튼
200 : 거치 수단
210 : 지지판
220 : 베이스
221 : 제1 안내 돌기
222 : 제2 안내 돌기
223, 223' : 제1 걸림 홈
224, 224' : 제2 걸림 홈
225 : 손잡이 턱
300 : 셀 조립체
310 : 셀
320 : 입력 단자
330 : 제1 출력 단자
340 : 제2 출력 단자
350 : 조작 스위치

Claims (2)

  1.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장형 배터리에 있어서, 셀 조립체(300)와; 상기 셀조립체(300)를 수납하는 하우징부(100)와; 상기 하우징부(100)에 구비된 결합부(121)에 결합되어 서랍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 거치 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배터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수단은 'ㄱ'자 형의 형태를 가지며 지지판(210)과 베이스(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부(100)에 형성된 결합부(121)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탄성 돌기를 구비하고, 베이스(220)의 좌우측에는 제 1 안내 돌기(221)와 제 2 안내 돌기(222)가 구비되고 내측 일면에는 상기 탄성 돌기(122, 122')에 대응하도록 배열된 제 1 걸림 홈(223, 223')과 제 2 걸림 홈(224, 22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배터리
KR2020110011555U 2011-12-26 2011-12-26 외장형 배터리 KR200468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55U KR200468987Y1 (ko) 2011-12-26 2011-12-26 외장형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55U KR200468987Y1 (ko) 2011-12-26 2011-12-26 외장형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60U true KR20130004060U (ko) 2013-07-04
KR200468987Y1 KR200468987Y1 (ko) 2013-09-12

Family

ID=5139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555U KR200468987Y1 (ko) 2011-12-26 2011-12-26 외장형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9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55B1 (ko) * 2020-11-03 2022-03-14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형 로봇을 위한 늘어짐 방지 회전형 와이어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638B1 (ko) * 2000-08-16 2002-05-30 윤종용 입력 장치가 구비된 단말기의 하우징
KR101163705B1 (ko) * 2009-10-26 2012-07-09 권영훈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755B1 (ko) * 2020-11-03 2022-03-14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형 로봇을 위한 늘어짐 방지 회전형 와이어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987Y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5282B2 (en) Mobile charger
JP2019068552A (ja) 可搬型充電給電装置
EP2653053A1 (en) Solar powered cases
JP2009504125A (ja) 二次電池を二次電池によって充電する可動式充電器
CN114156984B (zh) 一种通用移动电源
CN202474891U (zh) 扩充式移动电源装置
CN204834708U (zh) 一种可维护多变模块式锂离子电池箱
KR200468987Y1 (ko) 외장형 배터리
US20140167690A1 (en) Wireless charging battery module and charging structure of the same
KR200478882Y1 (ko)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용 파워팩
JP6071091B2 (ja) カメラのトップフラッシュランプ
CN2884548Y (zh) 具有滑轨的便携式电池包
CN101087070A (zh) 可将机械能转换成电能的电池装置
KR101181131B1 (ko) 전기 기기 케이스
JP3128013U (ja) 充電器
CN203312858U (zh) 带消毒装置的便携式移动电源
US20160044146A1 (en) Solar Integrated Mobile and Electronic Devices with Backside Solar Panels
KR20220077643A (ko) 휴대용 멀티 파워뱅크
JP3166091U (ja) 充電器
KR2017009289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JP3125314U (ja) 充電器
CN212163633U (zh) 一种蓝牙耳机收纳装置
CN205377323U (zh) 一种组合式移动电源
WO2013044465A1 (zh) 携带式太阳能充电器
CN219740373U (zh) 一种新型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