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003U - 친환경 매트 - Google Patents

친환경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003U
KR20130004003U KR2020110011486U KR20110011486U KR20130004003U KR 20130004003 U KR20130004003 U KR 20130004003U KR 2020110011486 U KR2020110011486 U KR 2020110011486U KR 20110011486 U KR20110011486 U KR 20110011486U KR 20130004003 U KR20130004003 U KR 201300040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olefin
bubble
coating layer
bubb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승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003U/ko
Publication of KR20130004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 매트에 관한 것으로, 기존 매트 제품 구조의 원사 파일부터 패드층까지 다양한 소재의 형태가 아닌 동일 계열 소재로 통일되도록,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과, 상기 기포층의 상부에 터프팅 방식으로 식모한 파일사와, 상기 기포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패드층과, 상기 패드층과 기포층을 열 융착으로 결합시키는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포층, 파일사, 패드층, 코팅층을 다양한 소재의 형태가 아닌 올레핀 계열로 통일함으로써 기존 제품과 동등한 물성을 가지면서 제품의 경량화, 제작비절감 및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매트{Green mat}
본 고안은 친환경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매트 제품 구조의 원사 파일부터 패드층까지 다양한 소재의 형태가 아닌 동일 계열 소재로 통일시킨 친환경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자동차바닥의 오염방지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매트는 일반적으로 나일론 원사를 파일사로 하는 라셀 및 터프팅 기대로 제직하고, 패드층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고무(styrene-butadiene-styrene,SBS) 소재로 이루어진 제품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때,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유독물질이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 매트와 같이 원사 혹은 패드 제품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원가가 높고 환경 관련 문제점이 있었으며, 장기 사용에 따른 처리시 폐기시 다양한 소재로 인해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 매트 제품 구조의 원사 파일부터 패드층까지 다양한 소재의 형태가 아닌 동일 계열 소재로 통일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과, 상기 기포층의 상부에 터프팅 방식으로 식모한 파일사와, 상기 기포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패드층과, 상기 패드층과 기포층을 열 융착으로 결합시키는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포층, 파일사, 패드층, 코팅층을 동일 계열 소재로 통일시킨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패드층과 코팅층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기포층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성중합물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파일사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기포층은, 평직 또는 능직으로 제직되되, 직물의 구조가 2/2 내지 5/5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된 기포층의 상부에 폴리올레핀 파일사를 입모하여 파일을 형성한 롤타입의 제1구조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폴리올레핀 코팅층을 필름 형상으로 압출하여 제1구조체의 기포층 하부면에 맞물리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권취된 폴리올레핀 패드층을 코팅층 하부면에 맞물리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기포층 하부면에 맞물린 코팅층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킨 후 냉각 롤러로 가압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친환경 매트는 매트를 이루는 패드층, 코팅층, 기포층, 파일사를 동일 계열 소재로 통일시켜, 기존 매트 제품 구조의 원사 파일부터 패드층까지 다양한 소재의 형태가 아닌 올레핀 계열로 통일함으로써 기존 제품과 동등한 물성을 가지면서 제품의 경량화, 제작비절감 및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친환경 매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친환경 매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이니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친환경 매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친환경 매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친환경 매트 100는 패드층 110, 코팅층 120, 기포층 130, 파일사 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패드층 110은 기존 나이론 소재의 원사 대비 비중이 낮은 폴리올레핀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패드층 110은 매트 100를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패드층 110의 상부에는 코팅층 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코팅층 120은 폴리올레핀 소재인 필름이다. 이때, 코팅층 120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등에 의해 파일이 쉽게 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 120은 열융착으로 패드층 110과 기포층 130, 파일사 140를 일체하는 역할을 하며 기포층 130의 조직구성의 특징에 따라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코팅층 120의 상부에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 130이 형성된다. 특히, 기포층 130은 종래의 EVA(Ethylene.Vinyl.Acetate) 또는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소재를 대체하여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성중합물 소재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포층 130은 파일사 140를 고정시키고, 외력에 대해 매트 100를 지탱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기포층 130은 평직 또는 능직으로 제직될 수 있다. 제직에 있어서, 2/2 내지 5/5인 형태임이 바람직한데, 1/1의 경우 조직의 밀도가 높아져 상기 코팅용 조성물이 패드층 110과 접촉하는 양이 적어져 기포층 130과 패드층 110의 결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조직의 밀도가 너무 낮으면 기포층 130이 파일사 140와의 교락력이 약해져 파일사 140가 탈락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기포층 130의 상부에는 파일사 140가 형성된다. 이러한, 파일사 140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파일사 140는 터프팅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프팅 방식은 기존의 라셀이나 모켓 방식에 비해 공정이 단순하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즉, 파일사 140는 폴리올레핀 부직포(Needle Punching)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소재 대비 원가절감, 경량화 및 환경이 개선된다.
결국, 본 고안의 친환경 매트 100는 매트를 이루는 패드층 110, 코팅층 120, 기포층 130, 파일사 140를 동일 계열 소재로 통일시켜, 기존 매트 제품 구조의 원사 파일부터 패드층까지 다양한 소재의 형태가 아닌 올레핀 계열로 통일함으로써 기존 제품과 동등한 물성을 가지면서 제품의 경량화, 제작비절감 및 재활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매트제조장치 200를 통해 친환경 매트 100를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된 기포층 130의 상부에 폴리올레핀 파일사 140를 입모하여 파일을 형성한 롤타입의 제1구조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S110, 폴리올레핀 코팅층 120을 필름 형상으로 압출하여 제1구조체의 기포층 130 하부면에 맞물리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S120, 권취된 폴리올레핀 패드층 110을 코팅층 120 하부면에 맞물리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S130, 상기 코팅층 120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킨 후 냉각 롤러로 가압하는 단계 S140를 통해 제조된다.
이하, 첨부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 매트 100 제조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폴리올레핀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된 기포층 130의 상부에 폴리올레핀 파일사 140를 입모한 제1구조체 210를 준비한 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제1구조체 210는 파일사 140가 아래로 향하게 공급된다. S110
또한, 제1구조체 210가 공급되는 방향 중간에는 폴리올레핀 코팅층 120을 필를 형상으로 압출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압출라인 220이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코팅층 120이 제1구조체 210의 하면에 맞물리게 압출 공급된다. S120
더불어, 권취된 폴리올레핀 패드층 110을 코팅층 120 하부면에 맞물리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S130
이처럼, 적층된 매트는 전기 히터와 같은 열공급수단 230을 통과한다. 이때 열 공급 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폴리올레핀 코팅층 120에 전달되고 코팅층 120이 흐르지 않을 정도로 용융시키는 역할을 한다. S140
이후, 용융된 코팅층 120을 포함하는 제1구조체 210를 냉각롤러 240 사이로 통과시켜 친환경 매트 100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친환경 매트 100는 권취기 260에 의해 권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친환경 매트
110 : 패드층 120 : 코팅층
130 : 기포층 140 : 파일사

Claims (6)

  1.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과,
    상기 기포층의 상부에 터프팅 방식으로 식모한 파일사와,
    상기 기포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패드층과,
    상기 패드층과 기포층을 열 융착으로 결합시키는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포층, 파일사, 패드층, 코팅층을 동일 계열 소재로 통일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층과 코팅층은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층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과 폴리에틸렌의 혼성중합물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층은,
    평직 또는 능직으로 제직되되, 직물의 구조가 2/2 내지 5/5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매트.
  6. 폴리올레핀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된 기포층의 상부에 폴리올레핀 파일사를 입모하여 파일을 형성한 롤타입의 제1구조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폴리올레핀 코팅층을 필름 형상으로 압출하여 제1구조체의 기포층 하부면에 맞물리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권취된 폴리올레핀 패드층을 코팅층 하부면에 맞물리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기포층 하부면에 맞물린 코팅층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킨 후 냉각 롤러로 가압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친환경 매트.
KR2020110011486U 2011-12-23 2011-12-23 친환경 매트 KR201300040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86U KR20130004003U (ko) 2011-12-23 2011-12-23 친환경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86U KR20130004003U (ko) 2011-12-23 2011-12-23 친환경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03U true KR20130004003U (ko) 2013-07-03

Family

ID=5242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86U KR20130004003U (ko) 2011-12-23 2011-12-23 친환경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0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036A (ko) * 2022-05-09 2023-11-16 박성우 파일사를 이용하여 패턴이 형성되는 자동차 내장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036A (ko) * 2022-05-09 2023-11-16 박성우 파일사를 이용하여 패턴이 형성되는 자동차 내장재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401B1 (ko) 인조잔디 매트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 매트
KR101969340B1 (ko) 자동차 부품
KR101147009B1 (ko) 인발 강도가 향상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5926947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体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内装材
US20100260966A1 (en) Dimensionally-Stabilized Cushioned Carpet Tile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101911899B1 (ko) 리사이클성과 경량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복합기재 및 그를 이용한 제품
KR20130078103A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09385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재활용 방법
KR101401674B1 (ko) 자동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바닥재
JP5366132B2 (ja)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の裏加工方法及びその裏加工方法で製造された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
US20220388436A1 (en) Noise attenuating trim part for a vehicle
KR20130004003U (ko) 친환경 매트
KR20130078104A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6889438B2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531220A (ja) ビニル床材用の担体材料
JP2016193121A (ja) クッションタイル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25179A (ja) 保護マット
JP5650930B2 (ja) 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8202A (ja) 防水性及び通気性のあるカーペット
KR101673120B1 (ko) 친환경 복합 방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수 구조체
JP4319660B2 (ja) 3層構造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725780B2 (ja) 車載用カーペット
JP2016159036A (ja) タイル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14103A (ja) クッションタイルカーペット
EP3058129B1 (en) Vinyl floor cov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