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508A - Steel slab structure and deck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ound - Google Patents

Steel slab structure and deck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508A
KR20130003508A KR1020110064914A KR20110064914A KR20130003508A KR 20130003508 A KR20130003508 A KR 20130003508A KR 1020110064914 A KR1020110064914 A KR 1020110064914A KR 20110064914 A KR20110064914 A KR 20110064914A KR 20130003508 A KR20130003508 A KR 2013000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ructure
block
vegetation block
veget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은
이재홍
안남식
권준범
이기학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6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508A/en
Publication of KR2013000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Abstract

PURPOSE: A steel slab structure and a bottom structure for artificial vegetation with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a vegetation block and a finishing block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teel slab structure from moving. CONSTITUTION: A bottom structure(200) for artificial vegetation with a steel slab structure comprises a steel slab structure(100), a vegetation block(210), and a finishing block(230). The steel slab structure comprises a top surface(110), a groove portion(130), and position fixing portions(150). The groov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The position fix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top surface and fix the position of the vegetation block or the finishing block. The vegetation block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teel slab structure, and plants are planted thereon. The finishing block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teel slab structure where the vegetation block does not exist and finishes the steel slab structure.

Description

강상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STEEL SLAB STRUCTURE AND DECK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OUND}STEEL SLAB STRUCTURE AND DECK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OUND}

본 발명은 강상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식생블록 및 마감블록의 이동을 제한하고, 식생블록의 배수와 통기를 원활하게 하는 강상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late structure and a bottom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eenery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detachably installed, and to facilitate the drainage and aeration of the vegetation block; It relates to an artificial greenery bottom plat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도심에는 대형 구조물, 주자창, 육교, 교량 터널 등의 입체구조물이 건립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들은 편리하고 동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대형 입체구조물에 조경을 적용하여 도심지를 녹화시키고자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the city center, three-dimensional structures such as large structures, runner windows, overpasses, and bridge tunnels are being built. These structures create a convenient and dynamic urban environment. Recently, efforts have been actively made to record urban areas by applying landscaping to such large three-dimensional structures.

예를 들어, 조형육교는 도심의 교차로 등에 기존의 육교와 녹지공원을 혼합한 이른바 '하늘공원' 개념으로 관심을 끌고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기술과 첨단 건축기술이 접목되어 미래형 생태도시를 위한 입체공간으로서 주목받고 있다.For example, the plastic bridge is attracting attention with the so-called 'sky park' concept that combines the existing viaducts and green parks at the intersections of the city centers, and recently, it is a three-dimensional space for a futuristic eco-city by combining eco-friendly technology and advanced building technology.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이러한 조형육교는 건설기술 측면에서는 경량화, 슬림화, 급속시공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상태이므로,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조형육교용 바닥판의 기본 구조로서 중량이 가볍고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는 강구조(steel structure) 시스템이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다.Since the need for light weight, slimness, and rapid construction is great in terms of construction technology, such a modeling bridge is lightweight as a basic structure of a floor board for molding bridges, and can be manufactured in the factory and assembled in the field. Steel structure systems are proposed as an alternative.

이와 같이, 대형 구조물, 주차장, 육교, 교량 등의 구조물에 채용되는 강구조 바닥판은 복수의 거더 사이에 올려진 강상판(鋼床板)을 기본 구조로 한다. 도 1에는 통상의 강상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eel structure bottom plate employed in structures such as large structures, parking lots, overpasses, bridges, and the like has a basic structure of steel plate raised between a plurality of girders.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teel pla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강상판(10)은 상면을 형성하는 데크 플레이트(11)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강상판의 구조적 성능을 보강하는 다수의 U형 리브(13)가 용접 접합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11) 상부는 포장층으로 마감된다. 특히 상기 강상판 구조가 육교나 교량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장층은 통상적으로 아스팔트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a typical steel plate 10 is welded and joined to a deck plate 11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U-shaped ribs 13 to reinforc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teel plate at a lower portion of the deck plate. The deck plate 11 is finished with a packaging layer. In particular, when the steel plate structure is used for overpass, bridge, etc., the pavement layer is usually made of asphalt or the like.

이러한 강상판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바닥판에 비하여 중량이 가볍고, 바닥판 제작이 공장에서 이루어지므로 품질이 우수하며, 현장 조립이 간편하고 바닥판 시공 후 콘크리트 타설 등의 습식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상판 구조는 상대적으로 바닥판의 두께를 낮추어 미관상으로도 유리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최근 그 활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The steel plate structure is lighter in weight than the reinforced concrete floor plate, and because the floor plate is manufactured at the factory, the quality is excellent. It is easy to assemble on-site and does not require wet process such as concrete pouring after the floor plate construction. The effect which can shorte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steel plate structure has recently increased interest in its utilization because it can lower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to obtain an excellent effect such as aesthetically advantageous.

한편, 조형육교 등의 입체구조물에 인공녹화가 적용되는 경우에 입체구조물의 강상판 상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패널 또는 마감패널 등의 시설물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rtificial greening is applied to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such as a plastic bridge, facilities such as a vegetation panel or a finishing panel,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re installed on the steel plat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그런데, 이때 상기 강상판에 식생패널이나 마감패널을 설치하는 과정이나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식생패널이나 마감패널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상기 강상판 상에서 이동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ition of the vegetation panel or the finishing panel is not fixed and moves on the top plate while the vegetation panel or the finishing panel is installed on the top plate.

한편, 상기 식생패널이 입체구조물 즉 인공지반 상에 설치됨으로써 배수와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getation panel is installed o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at is, the artificial ground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drainage and aeration is not made smooth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강상판 구조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식생블록과 마감블록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강상판 구조체 및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p plate structure and artificial green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op plate structur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식생블록의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인공녹화를 위해 식재되는 식물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강상판 구조체 및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p plate structure and a bottom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eenery to facilitate the drainage and aeration of the vegetation block, thereby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plants planted for artificial green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면;과, 상기 상면에 하나 이상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골을 형성하여 구비된 홈부;와, 상기 상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 또는 홈부에 적층되는 식생블록 또는 마감블록이 끼워짐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강상판 구조체를 제공한다.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and one or mo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provided with a groove formed by forming a bone in one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e upper surface Or it provides a steel plate structure comprising a; fixing the position to be fixed by inserting the vegetation block or the finishing block laminated to the groov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홈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sition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groov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ove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상기 식생블록의 배수와 통기가 가능하도록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groove portion may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 to allow the drainage and ventilation of the vegetation block.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내측면이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는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블록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식생블록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groove portion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of which the inner surface faces upward,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vegetation block by fitting the vegetation block.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강상판 구조체;와, 상기 강상판 구조체의 상부에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적층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블록;과, 상기 강상판 구조체의 상부에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적층되며, 상기 식생블록이 적층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안착되어 상기 강상판 구조체를 마감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는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aspect, the upper plate structure; and the vegetation block is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structure so that the movement is limited, the plant is plant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structure Laminated to be limited to the movement by the position fixing, it is seated on a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vegetation block is laminated to provide a bottom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eenery comprising a; finishing block for closing the top plate structu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블록과 상기 마감블록은 상기 강상판 구조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l plate structur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블록은, 식생토가 충전되는 프레임;과, 상기 위치고정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고정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vegetation block may include a frame filled with vegetation soil; and a first fixed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to be fitted into the position fixing part.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내측면이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식생블록은, 상기 관통구에 끼워져 이동이 제한되도록 바닥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 고정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preferably, the groove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ner surface facing upward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vegetation block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to limit movement. It may include a fixed protrus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블록은 상기 홈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vegetation block may include a drain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so that drainage is made to the groov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블록은 상기 강상판 구조체 상에서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위치고정부에 끼워지는 제3 고정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finishing block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fixed protrusion that is fitted to the position fixing portion to limit the movement on the steel plate structure.

이와 같은 본 발명인 강상판 구조체 및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에 의하면, 식생블록과 마감블록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설치되어 식생블록과 마감블록을 재배치하거나 식재를 변경하는 등 인공녹화를 재시공하는 경우에 블록의 해체 및 설치를 위한 비용과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eel plate structure and artificial greening bottom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ment of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is easily installed to reconstruct the artificial greenery such as repositioning or changing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of the block The cost and time for dismantling and installation can be saved.

또한, 강상판 구조체에 위치고정부와 관통구가 형성됨으로써 강상판 구조체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식생블록과 마감블록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part and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steel plate structure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teel plate structure.

그리고, 홈부에 관통구가 형성됨으로써 식생블록의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해지게 되므로 인공녹화를 위해 식재되는 식물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고, 식생블록의 배수 및 통기를 위한 별도의 시설이 불필요하게 되어 인공녹화를 위한 시설비나 운영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groove part, the drainage and aeration of the vegetation block is smooth, so that the management of the plant planted for artificial greening can be facilitated, and a separate facility for the drainage and aeration of the vegetation block becomes unnecessary. Reduction of facility cost and operation cost for artificial greenery can be achieved.

도 1은 종래의 강상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상판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상판 구조체의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생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식생블록의 저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el plate struct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tificial green bottom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vegetation block shown in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강상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First,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steel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rtificial green plat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explai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상판 구조체(100)에 대해 살펴본다.First,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상판 구조체(100)는, 상면(110)과, 상기 상면에 하나 이상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골을 형성하여 구비된 홈부(130)와, 상기 상면(110)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110) 또는 홈부(130)에 적층되는 식생블록(210) 또는 마감블록(230)이 끼워짐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110, one or mo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the groove portion 130 provided by forming a valley in one direction And a position fixing part form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110 to fix the position by inserting the vegetation block 210 or the finishing block 230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110 or the groove 130. And 150.

본 발명에 따른 강상판 구조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구조인 편평한 강상판의 하부에 상기 홈부(130)(예를 들어, U형 리브)를 용접 결합하는 구조와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평판형의 기준면이 되는 상면(110)의 일부에 홈부(130)가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Steel plat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tructure that welds the groove 130 (for example, U-shaped rib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at steel plate is a convent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the groove portion 130 may be manufactured to be connected to a part of the upper surface 110 which is a flat reference surface.

그리고, 상기 홈부(130)에 형성된 골 전체를 커버플레이트 등으로 모두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인공녹화를 위한 식생블록 등을 설치하여, 강상판을 구조적으로 보강함과 동시에 조경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stead of closing all of the bones formed in the groove 130 with a cover plate or the like, a part is provided with a vegetation block for artificial greening, to structurally reinforce the steel plate and to secure a space for landscaping. It is characterized by.

이때, 상기 홈부(130)는 구조체의 기준면이 되는 상면(110)에 하나 이상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골을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U형 리브 형상으로 상기 상면(110)에 하나 이상 연결되며, 상기 홈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는 구조적으로 보강되어 안정적인 구조가 된다.At this time, the groove 130 is connected to one or more upper surface 110 which is a reference surface of the structure, it may be provided by forming a bone in one direction. That is, for example, the U-shaped rib shap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110, by providing the groove 130,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is structurally reinforced to be a stable structure.

또한, 상기 홈부(130)의 형상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면(110)에 연결되어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을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groove 13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2 to 3, and if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10 to structurally reinforce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홈부(130)는 골을 형성하도록 U자 형으로 제작하여 편평한 상기 상면(110)에 용접결합하거나, 상기 편평한 형태의 상면(110)을 절곡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면(110)과 일체로 연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ove 130 may be manufactured in a U-shape to form a bone by welding to the flat upper surface 110 or by bending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flat shape. Accordingly, it may b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upper surface 110 to form a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상면(110)과 상기 홈부(130)에는 상기 식생블록(210)이나 마감블록(230)이 탈착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식생블록(210)과 상기 마감블록(230)은 상기 상면(110)과 상기 홈부(130)의 일부에 걸쳐 적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vegetation block 210 or the finishing block 230 may be detachabl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groove 130. That i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the vegetation block 210 and the finishing block 230 may be stacked over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groove 130.

상기 식생블록(210)은 입체구조물의 인공녹화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물로서 식생토가 충전되어 나무 등의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vegetation block 210 is a facility for providing artificial greening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filled with vegetation soil may be formed a space in which plants such as trees can be planted.

그리고, 상기 마감블록(230)은 입체구조물의 바닥판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가 적용되는 입체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아스팔트, 모르타르, 아스콘, 타일, 합판, 목재 등의 다양한 재료로 용도에 맞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nishing block 230 is formed to cover the bottom plat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which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is applied.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materials such as concrete, asphalt, mortar, ascon, tiles, plywood, wood, and the like.

이때, 상기 식생블록(210)이나 상기 마감블록(230)은, 상기 상면(110)에 설치되는 기간 동안 재배치나 식재되는 식물의 교체 등이 용이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식생블록(210)이나 마감블록(230)이 용접 등의 결합 없이 적층되어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 상에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getation block 210 or the finishing block 230, may be installed detachably so as to facilitate the rearrangement or replacement of the plant planted during the period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10, accordingly, The vegetation block 210 or the finishing block 230 may be stacked without bonding, such as welding, to move on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강상판 구조체(100)는 상기 상면(110)의 일부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부(150)를 포함하여, 상기 상면(110) 또는 상기 홈부(13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식생블록(210) 또는 마감블록(230)이 상기 위치고정부(150)에 끼워짐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fixing part 150 form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110, the vegetation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110 or the upper portion of the groove 130. The position may be fixed by inserting the block 210 or the closing block 230 into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50.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고정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30)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151)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preferably, the position fixing part 150, as shown in Figure 3, may include a fixing groove 151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roove portion 130.

상기 고정홈(151)에는 상기 식생블록(210)과 마감블록(230)의 일부가 끼워짐으로서 상기 고정홈(151)이 형성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도 3에 도시된 X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A portion of the vegetation block 210 and the finishing block 230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51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groove 151 is formed, that is, the X direction shown in FIG. 3. Will be limited.

상기 고정홈(151)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식생블록(210)과 마감블록(230)의 일부가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fixing groove 151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and if the part of the vegetation block 210 and the closing block 230 can be fitted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i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

한편, 상기 홈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블록(210)의 배수와 통기가 가능하도록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oove 13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rough-hole 133 formed on the side to allow the drainage and aeration of the vegetation block 210.

즉, 상기 식생블록(210)은 인공지반에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물이므로, 배수나 통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식생블록(2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배수구(217)가 설치되어 상기 홈부(130)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홈부(130)에 배수된 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관통구(133)로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상기 식생블록(210)의 배수가 원활해진다.That is, since the vegetation block 210 is a facility installed on the artificial ground for landscaping, drainage or aeration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and the vegetation block 210 has a drain hole 217 on the bottom surface as described below. Installed may be drained to the groove 130.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water drained to the groove 130 is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water is drawn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133, the drainage of the vegetation block 210 is smooth.

또한, 상기 관통구(133)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상기 식생블록(210)의 통기성이 좋아지게 되어 상기 식재블록에 식재된 식물을 유지, 관리하기 용이해진다.In addition, the outside air flows in and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133, so that the air permeability of the vegetation block 210 is improved, it is easy to maintain and manage the plant planted in the planting block.

이때, 상기 홈부(130)는 내측면이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131)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133)는 상기 경사면(131)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블록(210)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식생블록(21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roove 130 has an inclined surface 131 with an inner side facing upwards, and the through hole 133 i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131 so that the vegetation block 210 is fitted to the vegetation block ( The movement of 210 may be limited.

즉,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관통구(133)에는 후술할 상기 식생블록(210)의 제2 고정돌출부(215)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식생블록(210)이 상기 고정홈(151)에 평행한 방향 즉, 도 3에 도시된 Y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the through hole 133 is fitted with a second fixed protrusion 215 of the vegetation block 210 to be described later, the vegetation block 210 is fixed It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ove 151, that is, the Y direction shown in FIG.

한편,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200)에 대하여 살펴본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s 4 to 6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rtificial green bottom plate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와, 상기 강상판 구조체의 상부에 적층되는 식생블록(210)과 마감블록(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rtificial greening bottom plate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top plate structure 100, the vegetation block 210 and the finishing block 230 is stacked on top of the top plate structur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식생블록(210)은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의 상부에 상기 위치고정부(1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적층되며, 식물이 식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vegetation block 210 is stacked on the upper plate structure structure 100 so that the movement is limited by the position fixing part 150, the plant may be configured to be planted.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블록(210)는 식물이 식재되어 입체구조물에 인공녹화를 위한 조경을 제공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면(110)에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부(150)에 일부가 끼워짐으로서 X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vegetation block 210 may be planted to provide a landscape for artificial greenery in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0 As a part of the position fixing part 150 is fitted, the movement in the X direction may be restricted.

또한, 상기 마감블록(230)은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의 상부에 상기 위치고정부(1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적층되며, 상기 식생블록(210)이 적층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안착되어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를 마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ishing block 230 is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so that the movement is limited by the fixing portion 150, the vegetation block 210 is seat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stacking portion It may be formed to close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즉, 상기 마감블록(2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를 마감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블록(210)이 적층되지 않는 부분을 마감하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finishing block 23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finishing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to close the portion where the vegetation block 210 is not laminated.

이때, 상기 식생블록(210)과 상기 마감블록(230)은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getation block 210 and the finishing block 2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즉, 상기 식생블록(210)과 상기 마감블록(230)은 설치 기간동안 재배열되어 위치가 바뀔 수 있고, 다른 식생블록(210) 또는 마감블록(230) 등으로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식생블록(210)에 식재되는 식물의 변경으로 상기 식생블록(210)이 교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생블록(210)과 상기 마감블록(230)이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기 교체 또는 재배치를 위한 작업시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That is, the vegetation block 210 and the finishing block 230 may be rearranged during the installation period and the position may be changed, and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vegetation block 210 or the finishing block 230, and the vegetation block. The vegetation block 210 may be replaced by changing the plant planted at 210. At this time, when the vegetation block 210 and the finishing block 23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it may take a considerable cost and time when the replacement or relocation work.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200)는 상기 식생블록(210)과 마감블록(23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교체 또는 재배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refore, the artificial greening bottom plate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vegetation block 210 and the finishing block 230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r relocation work.

또한,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식생블록과 상기 마감블록을 겹치지 않게 설치하여 각각의 블록의 설치 및 해체시 순서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식생블록과 마감블록의 탈부착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an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closing block is installed so as not to overlap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each block can be independent of the order, so easy removal of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closing block. There is an advantage to getting lost.

한편, 상기 식생블록(210)은 식생토가 충전되는 프레임(211)과 상기 위치고정부(150)에 끼워지도록 상기 프레임(211)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고정돌출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vegetation block 210 may include a frame 211 filled with vegetation soil and a first fixed protrusion 213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211 so as to fit into the position fixing part 150. Can be.

즉, 상기 프레임(211)은 예를 들어,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조경용 식생토 등을 충전하여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the frame 211 may be manufactured in a panel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 and 5, so that plants may be planted by filling the vegetation soil for landscaping therein.

그리고, 상기 프레임(211)의 바닥면 일단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 고정돌출부(213)가 구비되어 상기 상면(110)에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부(15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돌출부(213)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식생블록(210)이 상기 상면(110)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것 즉, X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fixed protrusion 21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211 to protrude downward, and may be fitted to the position fixing part 15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0. Accordingly, the first fixed protrusion 213 may prevent the vegetation block 210 detachably installed from being mov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10, that is, moved in the X direction.

상기 제1 고정돌출부(213)의 형상이나 위치, 크기는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치고정부(15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 상에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The shape, position, and size of the first fixed protrusion 213 are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4, and the movement is limited on the upper plate structure 100 by being fitted into the position fixing part 150. If possibl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한편, 상기 홈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면이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131)과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구(133)를 포함하며, 상기 식생블록(210)은 상기 관통구(133)에 끼워져 이동이 제한되도록 바닥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 고정돌출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 13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131 having an inner surface facing upward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133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vegetation block 210 has the through hole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fixed protrusion 215 is inserted into the 133 so as to protrude on the bottom so that movement is limited.

즉,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고정돌출부(215)는 상기 제1 고정돌출부(213)와 다른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홈부(130)의 관통구(13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돌출부(215)의 크기는 상기 관통구(133)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개수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구(133)에 끼워져 상기 식생블록(210)이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 상에서 Y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second fixed protrusion 215 is formed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fixed protrusion 213,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33 of the groove 130. It is formed to make.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econd fixed protrusion 215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133, the number is formed of two or more are inserted into the one or more through holes 133 and the vegetation block ( The 210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Y direction on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이때, 상기 제2 고정돌출부(215)는 상기 관통구(133)의 일부에 끼워지며, 상기 관통구(133)에 상기 제2 고정돌출부(215)가 끼워지지 않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식생블록(210)의 배수와 통기가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fixed protrusion 215 is fitted to a part of the through hole 133, the vegetation block 210 through a portion where the second fixed protrusion 215 is not fitted to the through hole 133. ) And drainage and aeration.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블록(210)은 상기 홈부(130)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217)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to 6, the vegetation block 210 may include a drain hole 217 penetrat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to drain the groove 130.

이에 따라, 상기 배수구(217)를 통하여 상기 식생블록(210)에 과도하게 급수된 물이 상기 홈부(130)로 배수됨으로써 식재된 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구(217)를 통하여 배수된 물이 상기 홈부(130)에 일정량 이상 차게 되면 상기 관통구(133)를 통하여 물이 배출됨으로써, 홈부(130)에 물이 가득 채워지는 것이 방지되어 배수 뿐만 아니라 통기 기능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water excessively supplied to the vegetation block 210 through the drain 217 may be drained to the groove 130 to allow the planted plant to grow normally. At this time, when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217 fills the groove 130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33,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from being filled in the groove 130. In addition, ventilation is maintained.

이와 같이, 상기 관통구(133)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식생패널의 배수 및 통기를 위한 별도의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As such, by providing the through hole 133,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requiring a separate facility for draining and venting the vegetation panel.

상기 배수구(217)는, 도 6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은 크기와 형상 및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식생블록(210)의 물빠짐을 원활히 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단, 상기 배수구(217)는 상기 홈부(130)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상에 형성된다.The drain 217 is not limited to the same size, shape, and position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the drainage of the vegetation block 210 can be smoothly performed. Do. However, the drain 217 is form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groove 130.

한편, 상기 마감블록(230)은 상기 강상판 구조체(100) 상에서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위치고정부(150)에 끼워지는 제3 고정돌출부(2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osing block 2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fixed protrusion 231 that is fitted to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50 so as to limit the movement on the steel plate structure 100.

즉, 상기 제3 고정돌출부(231)는 상기 식생블록(210)의 프레임(211)에 형성된 상기 제1 고정돌출부(213)와 함께 상기 고정홈(151)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블록(230)이 상기 상면(110) 상에서 X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third fixed protrusion 231 may b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51 together with the first fixed protrusion 213 formed in the frame 211 of the vegetation block 210. Accordingly, the finishing block 23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X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110).

한편, 도 5, 6에 도시된 일실시예는 상기 식생블럭의 밑면이 사각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심미적 효과를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블록(210) 및 상기 마감블록(230)의 크기에 따라 하나의 블록이 2 이상의 홈부(130)에 걸쳐 적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one embodiment shown in Figure 5, 6 illustrates the case that the bottom of the vegetation block is a square,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s formed in a variety of polygons, such as hexagons to provide an aesthetic effect Can be form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getation block 210 and the finishing block 230, one block may be stacked over two or more grooves 130, of course.

이와 같은 본 발명인 강상판 구조체 및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를 이용하면, 상기 식생블록과 상기 마감블록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설치되어 상기 식생블록과 마감블록을 재배치하거나 식재를 변경하는 등 인공녹화를 재시공하는 경우에 블록의 해체 및 설치를 위한 비용과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Using the steel plate structure and artificial greening bottom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ment of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is easily installed to reconstruct the artificial greening, such as repositioning or changing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In this case, the cost and time for disassembly and installation of blocks can be saved.

또한, 상기 강상판 구조체에 상기 위치고정부와 상기 관통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강상판 구조체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식생블록과 마감블록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fixing part and the through hole are formed in the steel plate structure,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which ar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teel plate structure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그리고, 상기 홈부에 관통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식생블록의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해지게 되므로 인공녹화를 위해 식재되는 식물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식생블록의 배수 및 통기를 위한 별도의 시설이 불필요하게 되어 인공녹화를 위한 시설비나 운영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groove part, the drainage and aeration of the vegetation block is smooth, so that the management of plants planted for artificial greening can be easily performed, and a separate facility for drainage and aeration of the vegetation block is provided. Since it is not necessar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cility cost and operating cost for artificial greenery.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100 : 강상판 구조체 110 : 상면
130 : 홈부 131 : 경사면
133 : 관통구 150 : 위치고정부
200 :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 210 : 식생블록
211 : 프레임 213 : 제1 고정돌출부
215 : 제2 고정돌출부 217 : 배수구
230 : 마감블록 231 : 제3 고정돌출부
100: steel plate structure 110: upper surface
130: groove 131: inclined surface
133: through hole 150: position fixing
200: bottom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eenery 210: vegetation block
211: frame 213: first fixed protrusion
215: second fixed protrusion 217: drain
230: finishing block 231: third fixed protrusion

Claims (10)

상면;
상기 상면에 하나 이상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골을 형성하여 구비된 홈부; 및,
상기 상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 또는 홈부에 적층되는 식생블록 또는 마감블록이 끼워짐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는 강상판 구조체.
Top surface;
At least one groov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provided with a groove in one direction; And
A position fixing part which is form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and which is fixed by inserting a vegetation block or a finishing block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groove;
Steel plate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홈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상판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on fixing part is a steel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groov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roov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식생블록의 배수와 통기가 가능하도록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상판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groove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ough-hole formed in the side to enable the drainage and ventilation of the vegetation blo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내측면이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는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블록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식생블록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상판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groove portion has an inclined surface of which the inner side faces upwards,
The through-hole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is a steel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getation block is inser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vegetation block is limit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강상판 구조체;
상기 강상판 구조체의 상부에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적층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블록; 및,
상기 강상판 구조체의 상부에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적층되며, 상기 식생블록이 적층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안착되어 상기 강상판 구조체를 마감하는 마감블록;
을 포함하는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
Steel plate structure of any one of claims 1 to 4;
Vegetation block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plate structure so that the movement is limited by the position fixing, the plant is planted; And
A finishing block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structure to restrict movement by the position fixing unit, and a finishing block seated on a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vegetation block is stacked to close the upper plate structure;
Artificial green bottom plate structur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과 상기 마감블록은 상기 강상판 구조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finishing block is artificial green bottom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l plate struc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은
식생토가 충전되는 프레임; 및,
상기 위치고정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고정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egetation block
Frame filled with vegetation soil; And
A first fixed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to be fitted into the position fixing unit;
Artificial green bottom plate structur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내측면이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식생블록은, 상기 관통구에 끼워져 이동이 제한되도록 바닥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 고정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groove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ner side facing upward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The vegetation block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bottom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een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fixed protrusion projecting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limit the move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은 상기 홈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vegetation block has a bottom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een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ain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to be drained to the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록은, 상기 강상판 구조체 상에서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위치고정부에 끼워지는 제3 고정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화용 바닥판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finishing block, artificial recording bottom pla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fixed protrusion that is fitted to the position fixing portion so as to limit the movement on the steel plate structure.
KR1020110064914A 2011-06-30 2011-06-30 Steel slab structure and deck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ound KR201300035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14A KR20130003508A (en) 2011-06-30 2011-06-30 Steel slab structure and deck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14A KR20130003508A (en) 2011-06-30 2011-06-30 Steel slab structure and deck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08A true KR20130003508A (en) 2013-01-09

Family

ID=4783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914A KR20130003508A (en) 2011-06-30 2011-06-30 Steel slab structure and deck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50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565A (en) * 2019-04-19 2019-07-19 中原工学院 A kind of bogey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Urban Bridge greenbel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565A (en) * 2019-04-19 2019-07-19 中原工学院 A kind of bogey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Urban Bridge greenbelt
CN110029565B (en) * 2019-04-19 2021-05-28 中原工学院 Bearing device for urban bridge green bel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2748C (en) Method and structure for prefabricating architecture
JPH083443Y2 (en) Drainage / water retention device
MXPA03001816A (en) Integrated footings.
KR101701001B1 (en) Versatile Planting Block
JP2004141123A (en) Greenable self-standing structure
KR20130003508A (en) Steel slab structure and deck plate structure for artificial ground
KR100802994B1 (en) Large size rainwater undercurrent s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255652B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CN111304989A (en) Stable ecological permeable pav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08344B1 (en) The pavement spacer for using water permeability and water repair
KR100408850B1 (en) The Landscape Block With Receiving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Within Retaining Wall
KR20110051712A (en) Walking plate assembley for afforestation of artificial ground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759150B1 (en) Afforesting method for sound proof tunnel
KR100981323B1 (en) Pre-cast block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324301Y1 (en) Built-up pavement member block set
US20200123713A1 (en) Grass pavers for increasing visible green space
JP3151572B2 (en) Floor structure for greening building structures
JP6931876B2 (en) How to build a permeable wall for slope reinforcement
KR20090116940A (en) Steel structured slab for formative overp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94426B1 (en) Landscape block for reinforcing slope
CN220685654U (en)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 of permeable grass planting pavement
JP4147090B2 (en) Underground water tank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5155229A (en) Rainwater underground permeation structure and its execution method
CN102720144A (en)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culvert opening
CN114134769B (en) Assembled light foam soi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