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422U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422U
KR20130003422U KR2020110010673U KR20110010673U KR20130003422U KR 20130003422 U KR20130003422 U KR 20130003422U KR 2020110010673 U KR2020110010673 U KR 2020110010673U KR 20110010673 U KR20110010673 U KR 20110010673U KR 20130003422 U KR20130003422 U KR 201300034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ristles
fixed
bristle
bristl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404Y1 (ko
Inventor
장신주
이병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10010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0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강 내의 어금니 및 어금니 주변 영역에 대한 세정 기능이 잘 발휘되도록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두 종류의 이상의 칫솔모가 둘 이상의 배열 패턴을 가지며 헤드 일면에 고정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면 중앙부에 알파벳 X자형 패턴을 형성하며 고정되되, 상기 X자형 패턴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1 칫솔모는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의 형상을 이루며 그 일단이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제1 칫솔모 그룹과, 상기 제1 칫솔모 그룹의 사방 주변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헤드의 일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제2 칫솔모 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칫솔{Tooth brush}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강 내의 어금니 및 어금니 주변 영역에 대한 세정 기능이 잘 발휘되도록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두 종류의 이상의 칫솔모가 둘 이상의 배열 패턴을 가지며 헤드 일면에 고정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 및 구강 내 청결 유지를 위한 위생용품으로서, 이러한 칫솔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칫솔모로 크게 구분되어 형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보편적인 칫솔을 도시한 것으로서, 위의 설명처럼 종래 칫솔(10)은 통상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된 손잡이(11)와 헤드(12) 그리고 헤드(12)의 일면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된 칫솔모(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칫솔모(13)는 매우 가는 칫솔모가 그룹 단위로 모여 다수의 묶음 형태를 이루며 헤드에 고정되는 형태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칫솔모의 묶음 하나를 칫솔모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칫솔(10)의 손잡이(11)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12) 및 칫솔모(13)를 구강 내에 넣은 후, 손잡이(11)를 통해 헤드(12) 및 칫솔모(13)를 유동시키면서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낸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칫솔(10)을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내는 방법, 다시 말해 양치질의 방법에는 회전법, 횡마법, 묘원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칫솔은 그 칫솔모가 모두 동일한 모양을 형성하면서 적정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앞니 등 구강 내 앞쪽에 위치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양치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해서는 양호한 세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어금니와 같이 구강 내 깊숙이 위치한 영역에 대해서는 양호한 세정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어금니는 앞니 등의 다른 치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상면을 갖는 동시에 이러한 어금니의 상면이 오목한 중앙부를 갖는 형상이어서 음식물 찌꺼기나 기타 이물질 그리고 프라그 등이 잘 끼는 형태이고, 또한 어금니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기능을 함에 따라, 어금니 그리고 어금니와 그 주변 잇몸과의 경계 부분에는 음식물 섭취 후 많은 량의 음식물 찌꺼기가 남는다.
상기 이유로, 양치질 과정에서 어금니 및 어금니와 그 주변 잇몸과의 경계 부분을 잘 닦아내려면, 어금니 상면의 오목한 중앙부 그리고 어금니 안쪽의 잇몸과 어금니와의 사이 영역 등 칫솔질이 가해지는 영역 특성에 따라 그에 적합한 서로 다른 모양과 패턴의 칫솔모가 필요하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칫솔은 그 칫솔모가 모두 동일한 모양을 가지며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형태이므로, 어금니 및 그 주변 영역을 양호하게 닦아내지 못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구강 내의 어금니 및 어금니 주변 영역에 대한 세정 기능이 잘 발휘되도록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두 종류의 이상의 칫솔모가 둘 이상의 배열 패턴을 가지며 헤드 일면에 고정되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면 중앙부에 알파벳 X자형 패턴을 형성하며 고정되되, 상기 X자형 패턴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1 칫솔모는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의 형상을 이루며 그 일단이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제1 칫솔모 그룹과, 상기 제1 칫솔모 그룹의 사방 주변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헤드의 일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제2 칫솔모 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칫솔모 그룹은, 네 개의 상기 제1 칫솔모가 상기 횡방향 기준의 일단을 각각 다른 제1 칫솔모의 일단과 이격시켜 중앙의 공동(空洞) 영역을 형성하며 알파벳 X자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칫솔모는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일단의 반대쪽 타단에 치아 상면의 오목한 영역에 삽입되기 위한 첨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칫솔모 그룹은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헤드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 형상인 복수의 제2-1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칫솔모 그룹은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헤드의 상기 폭 방향 양단에 각각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축 방향의 양단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복수의 제2-2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2 칫솔모는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일단의 반대쪽 타단에 치아와 잇몰 사이의 틈새 영역을 칫솔질하는 첨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칫솔모 그룹은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상기 헤드의 상기 제1 칫솔모 그룹과 바로 이어지는 후방 쪽에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 형상인 복수의 제2-3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칫솔모 그룹은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방향인 동시에 길이 방향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헤드의 후방 단부에 상기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축 방향의 양단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복수의 제2-4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강 내의 어금니 및 어금니 주변 영역에 대한 세정 기능이 잘 발휘됨으로써, 어금니 및 구강 내 어금니 주변 영역에 대한 치과 질환의 예방 기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 칫솔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를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110), 이러한 손잡이(110)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120), 그리고 헤드(12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 칫솔모 그룹(130)과 제2 칫솔모 그룹을 포함하며, 제1 칫솔모 그룹(130)은 헤드의 일면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된 복수의 제1 칫솔모(130a)를 포함하고, 제2 칫솔모 그룹은 헤드(120)의 일면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각각 복수인 제2-1 칫솔모 내지 제2-4 칫솔모(140-1, 140-2, 140-3, 14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칫솔모(130a) 및 제2-1 칫솔모 내지 제2-4 칫솔모(140-1, 140-2, 140-3, 140-4)는 가는 칫솔모가 그룹 단위로 모여 다수의 묶음 형태를 이루며 헤드(120)의 일면에 고정되는 형태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칫솔모의 묶음 하나를 칫솔모라 칭한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제1 칫솔모 그룹과 제2 칫솔모 그룹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칫솔모 그룹(130)은 헤드의 일면 중앙부에 알파벳 X자형 패턴을 형성하며 고정된다. 즉, 제1 칫솔모 그룹(130)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칫솔모(130a)가 X자형 패턴을 형성하며 헤드(120) 일면에 고정되고, 이때 제1 칫솔모(130a)는 각각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의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제1 칫솔모 그룹(130)이 X자형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은 어금니의 상면을 더 잘 닦아내기 위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어금니의 상면은 중앙의 오목한 부위를 중심으로 알파벳 X자형에 가까운 홈 형태를 갖는 것이므로, 제1 칫솔모 그룹(130)이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어금니 상면의 오목한 부위에 잘 삽입되면서 양호한 칫솔질을 제공토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1 칫솔모 그룹(130)이 네 개의 제1 칫솔모(130a)로 이루어지며, 제1 칫솔모(130a)가 횡방향 기준의 일단을 각각 다른 제1 칫솔모(130a)의 일단과 이격시켜 중앙의 공동(空洞) 영역을 형성하며 알파벳 X자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칫솔모 그룹(130)은 네개 이상의 제1 칫솔모(130a)가 중앙의 공동(空洞) 영역을 형성하며 알파벳 X자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칫솔모 그룹(130)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1 칫솔모(130a)는 헤드(120)에 고정되는 일단의 반대쪽 타단, 다시 말해 도면을 기준으로 제1 칫솔모(130a)의 상단에는 첨단부(131)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첨단부(131)는 어금니 상면의 오목한 영역에 더 원활하게 삽입되면서 제1 칫솔모(130a)의 어금니 상면에 대한 칫솔질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제2 칫솔모 그룹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칫솔모 그룹은 제1 칫솔모 그룹(130)의 사방 주변에 배치되는 제2-1 칫솔모 내지 제2-4 칫솔모(140-1, 140-2, 140-3, 140-4)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1 칫솔모 내지 제2-4 칫솔모(140-1, 140-2, 140-3, 140-4)는 각각 복수로 형성된다. 설명에 앞서 손잡이(110)로부터 헤드(120)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 및 전방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하며, 이를 기준으로 제2-1 칫솔모 내지 제2-4 칫솔모(140-1, 140-2, 140-3, 140-4)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2-1 칫솔모(140-1)는 복수로써 헤드(120)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이러한 제2-1 칫솔모(140-1)는 각각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구강 내 어금니 안쪽의 홈을 잘 닦아내기 위한 것이다. 즉, 구강 내의 어금니 안쪽에는 소정 크기의 오목 부위가 형성되며, 제2-1 칫솔모(140-1)는 이러한 오목 부위에 삽입되면서 오목 부위 안쪽을 잘 닦아낸다.
제2-2 칫솔모(140-2)는 헤드(12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고정되고, 이러한 각각의 제2-1 칫솔모(140-2)는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장축 방향의 양단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한다. 여기서, 제2-2 칫솔모(140-2)는 헤드(120)에 고정되는 일단의 반대쪽 타단에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 영역을 칫솔질하는 첨단부(132)를 형성한 것으로서, 즉 제2-2 칫솔모(140-2)는 수평 방향의 칫솔질시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 영역에 삽입되는 동시에 수평 방향의 왕복 운동을 통해서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음식물 찌꺼기 및 기타 이물질을 닦아낸다.
제2-3 칫솔모(140-3)는 헤드의 제1 칫솔모 그룹(130)과 바로 이어지는 후방 쪽에 고정되며, 이러한 제2-3 칫솔모(140-3)의 각각은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제2-4 칫솔모(140-4)는 헤드(120)의 후방 단부에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며, 이러한 제2-4 칫솔모(140-4) 각각은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장축 방향의 양단을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한다.
상기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칫솔(100)은 제1 칫솔모 그룹(130)의 어금니 상면에 대한 양호한 칫솔질 기능, 제2-1 칫솔모(140-1)의 구강 내 어금니 안쪽의 오목 부위에 대한 양호한 칫솔질 기능, 제2-2 칫솔모(140-2)의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 영역에 대한 양호한 칫솔질 기능, 기타 제2-3 및 제2-4 칫솔모(140-3, 140-4)의 칫솔질 기능을 통해 구강 내의 어금니를 포함한 모든 치아와 잇몸에 대해 양호한 세정 기능을 발휘하고, 이를 통해 양치질을 통한 치과 질환의 예방 기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칫솔 110 : 손잡이
120 : 헤드 130 : 제1 칫솔모 그룹
130a : 제1 칫솔모 131,132 : 첨단부
140-1 : 제2-1 칫솔모 140-2 : 제2-2 칫솔모
140-3 : 제2-3 칫솔모 140-4 : 제2-4 칫솔모

Claims (8)

  1. 인체의 손을 통해 파지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일면 중앙부에 알파벳 X자형 패턴을 형성하며 고정되되, 상기 X자형 패턴을 형성하는 각각의 제1 칫솔모는 횡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의 형상을 이루며 그 일단이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제1 칫솔모 그룹;
    상기 제1 칫솔모 그룹의 사방 주변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헤드의 일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제2 칫솔모 그룹을 포함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칫솔모 그룹은, 네 개의 상기 제1 칫솔모가 상기 횡방향 기준의 일단을 각각 다른 제1 칫솔모의 일단과 이격시켜 중앙의 공동(空洞) 영역을 형성하며 알파벳 X자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칫솔모는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일단의 반대쪽 타단에 치아 상면의 오목한 영역에 삽입되기 위한 첨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칫솔모 그룹은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헤드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 형상인 복수의 제2-1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칫솔모 그룹은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헤드의 상기 폭 방향 양단에 각각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축 방향의 양단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복수의 제2-2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칫솔모는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일단의 반대쪽 타단에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 영역을 칫솔질하는 첨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칫솔모 그룹은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상기 헤드의 상기 제1 칫솔모 그룹과 바로 이어지는 후방 쪽에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원형 형상인 복수의 제2-3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칫솔모 그룹은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헤드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방향인 동시에 길이 방향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할 때, 상기 헤드의 후방 단부에 상기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 기준의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축 방향의 양단을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복수의 제2-4 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2020110010673U 2011-11-30 2011-11-30 칫솔 KR200467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73U KR200467404Y1 (ko) 2011-11-30 2011-11-30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73U KR200467404Y1 (ko) 2011-11-30 2011-11-30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22U true KR20130003422U (ko) 2013-06-10
KR200467404Y1 KR200467404Y1 (ko) 2013-06-18

Family

ID=5138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73U KR200467404Y1 (ko) 2011-11-30 2011-11-30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04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5416A1 (en) * 2003-06-20 2004-12-23 Hohlbein Douglas J. Toothbrush with tongue cleaning member
JP2004350834A (ja) 2003-05-28 2004-12-16 Yuichiro Irie 照明付歯ブラシ、歯ブラシ用の照明装置、歯ブラシ装置および電動歯ブラシ
JP5491138B2 (ja) 2009-11-13 2014-05-14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04Y1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9902B2 (ja)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
KR101185653B1 (ko) 칫솔
KR200473116Y1 (ko) 원형모다발과 다각형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US9095205B2 (en) Orthodontic toothbrush
JP2011036658A (ja) 毛構成
KR200473569Y1 (ko) 원형 후방경사모다발과 원형 전방경사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KR200473942Y1 (ko) X자 배열의 사각형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KR200467404Y1 (ko) 칫솔
KR200469882Y1 (ko) 칫솔
US11464323B2 (en) Toothbrush
JP6071386B2 (ja) 歯ブラシ
KR1014440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20180000140A (ko) 치석 제거 기능을 갖는 칫솔
KR101164069B1 (ko) 칫솔
KR200473943Y1 (ko)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과 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KR200467405Y1 (ko) 칫솔
KR200467406Y1 (ko) 칫솔
CN202233752U (zh) 一种新型牙刷
KR200468339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JP2017143928A (ja) 口腔内用ブラシ
RU226529U1 (ru) Зубная щётка
KR200469883Y1 (ko) 칫솔
KR200359964Y1 (ko) 칫솔
KR101741486B1 (ko) 칫솔 헤드
KR200432178Y1 (ko) 팔각형의 까칠까칠한 칫솔 모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