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955U -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955U
KR20130002955U KR2020110009944U KR20110009944U KR20130002955U KR 20130002955 U KR20130002955 U KR 20130002955U KR 2020110009944 U KR2020110009944 U KR 2020110009944U KR 20110009944 U KR20110009944 U KR 20110009944U KR 20130002955 U KR20130002955 U KR 201300029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oupled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146Y1 (ko
Inventor
김권일
서채원
Original Assignee
김권일
서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일, 서채원 filed Critical 김권일
Priority to KR2020110009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4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그 형태가 변형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는 복수의 변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변 중 하나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고, 반대쪽 일측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변 중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결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을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변 또는 모서리로 지지되어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가 유지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Stand-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그 형태가 변형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면을 덮음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 없이 터치 스크린이 사용자 명령 입력의 주요 수단으로 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태블릿 PC(Tablet PC)가 그것이다. 태블릿 PC는 평평한 본체의 일면 대부분이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비되는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태블릿 PC와 기존의 노트북의 차이를 보면, 노트북은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제 1 본체와 키보드가 구비된 제 2 본체로 구성된 반면, 태블릿 PC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본체만으로 구성되며 해당 본체 내부에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태블릿 PC의 경우 노트북보다 크기가 작고 가벼운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노트북을 대신하여 태블릿 PC의 이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노트북의 경우 제 1 본체 및 제 2 본체로 구성되는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는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본체가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1 본체와 제 2 본체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 1 본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이 자신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본체의 일면과 제 2 본체의 일면을 서로 맞닿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수단 및 키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휴대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하여, 태블릿 PC의 경우 하나의 본체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노출된 상태로 휴대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태블릿 PC는 하나의 본체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수단이 지면과 어느 정도 각도를 두고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 또는 주변의 물건으로 태블릿 PC를 지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태블릿 PC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보호하면서, 태블릿 PC가 지면과 어느 정도 각도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그 형태를 변형시켜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면을 덮음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는 복수의 변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변 중 하나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고, 반대쪽 일측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변 중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결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을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변 또는 모서리로 지지되어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가 유지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휴대용 전자기기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거치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그 형태가 변형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자세와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적절한 시야각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하나의 제품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함과 동시에 그 거치를 가능하게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의 제 1 지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의 제 1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의 제 1 지지 플레이트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가 서로 포개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자력으로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자력으로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서 휴대용 전자기기(500)는 디스플레이 수단(510)이 구비된 기기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블릿 PC 또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이 그 크기가 비교적 작은 기기도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510)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가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성만을 제공하는 기기 또는 키보드와 같은 기기도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디스플레이 수단(510)을 가지고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 200, 300, 400)는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일면을 덮거나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기기(500)를 이용하여 영화 관람, 문서 작성 및 인터넷 서핑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각 작업별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방향(가로 또는 세로) 및 각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 200, 300, 400)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자세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지면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 200, 300, 400)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면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하는데,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 200, 300, 400)에 의하여 덮이는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일면은 디스플레이 수단(510)이 구비되어 있는 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510)이 구비되어 있는 면을 덮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수단(510)의 일부 또는 전체가 덮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수단(510)과 그 테두리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일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덮일 수도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 200, 300, 400)는 베이스 플레이트(140, 240, 340), 연결 플레이트(130) 및 지지 플레이트(110, 120, 210, 310, 320, 410, 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베이스 플레이트(140, 240, 340), 연결 플레이트(130) 및 지지 플레이트(110, 120, 210, 310, 320, 410, 420)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일면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510)의 일부 또는 전체가 덮이거나,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40, 240, 340)는 복수의 변(111, 121, 131, 211, 311, 321, 411, 421)을 갖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삼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140, 240, 34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 또는 오각형의 형태일 수도 있다.
연결 플레이트(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40, 240, 340)의 변 중 하나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고, 반대쪽 일측은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40, 240, 340)의 변 중 하나를 연결 플레이트(130)가 공유하는 것으로서, 해당 변을 축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40, 240, 340)에 대하여 연결 플레이트(130)가 위 아래 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130)에 의하여 지지 플레이트(110, 120, 210, 310, 320, 410, 420)에 의한 다양한 지지 자세가 가능해 진다.
또한, 베이트 플레이트(140, 240, 340)에 결합되지 않은 연결 플레이트(130)의 반대쪽 일측은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결합되는데, 연결 플레이트(130)는 자력으로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수단(150)은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직접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결합 수단(150)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자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 수단(150)은 연결 플레이트(130)에 직접 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약간 간격을 두고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결합 수단(150)과 연결 플레이트(130)를 결합하는 연결 부재(161, 162)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0, 240, 340)의 변 중 연결 플레이트(130)가 결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을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110, 120, 210, 310, 320, 410, 42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 120, 210, 310, 320, 410, 420)는 휴대용 전자기기(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연결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휴대용 전자기기(500)는 지지 플레이트(110, 120, 210, 310, 320, 410, 420)의 변 또는 모서리에 지지되어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 200, 300, 400)에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110, 120, 210, 310, 320, 410, 420) 중 적어도 하나의 변 또는 모서리는 자력으로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결합되어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5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0, 120, 210, 310, 320, 410, 42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적어도 베이스 플레이트(140, 240, 340)와 공유하는 변은 일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유하는 변은 일직선이 아니더라도 회전 축만이 일직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40)와 지지 플레이트(210)가 공유하는 변(211)의 형태가 일직 선의 회전 축(212)을 기준으로 톱니 모양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베이스 플레이트(240)의 톱니 및 지지 플레이트(210)의 톱니가 회전 축(211)을 기준으로 서로 지나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240)에 대하여 지지 플레이트(210)가 접힐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의 크기 및 형태는 접혔을 경우 중첩 여부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동일한 면의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인접한 지지 플레이트는 서로 중첩되도록 그 형태 및 배치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1번 및 2번 지지 플레이트가 서로 인접하여 있고, 2번 및 3번 지지 플레이트가 서로 인접하여 있으며, 1번 및 3번 지지 플레이트는 인접하여 있지 않는 경우를 가정할 때, 접혔을 경우 최소한 1번 및 2번 지지 플레이트간의 중첩과 2번 및 3번 지지 플레이트간의 중첩이 가능하도록 지지 플레이트의 형태 및 배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번 및 3번 지지 플레이트간의 중첩 여부는 특별히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다시 도 1을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의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110, 120)가 공유하는 두 개의 변(111, 121)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미만이고, 지지 플레이트(110, 120)는 직각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110, 120)를 모두 위쪽 방향으로 접으면 서로 중첩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도 1과는 다르게 베이스 플레이트와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가 공유하는 두 개의 변이 이루는 각도가 90이상이고, 지지 플레이트가 도 1과 같이 직각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면 동일한 방향으로 접히더라도 서로 중첩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지지 플레이트는 그 형태가 도 1과 같은 직각 삼각형이 아닌 다른 형태이거나 보다 큰 형태인 경우 중첩하게 된다.
도 3은 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베이스 플레이트(340)와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310, 320)가 공유하는 두 개의 변(311, 321)이 이루는 각도가 90이상인 경우에도 지지 플레이트(310, 320)의 크기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310, 320)를 모두 위쪽 방향으로 접으면 서로 중첩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간에는 서로 공유하는 변이 있는데, 이 공유하는 변은 그 전체가 공유될 필요는 없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 각각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변의 적어도 일부만을 공유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4는 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410, 420)는 각각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변(411, 421) 중 일부만을 공유하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지지 플레이트의 변 중 일부만을 베이스 플레이트가 공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 200, 300, 400)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하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 200, 300, 400)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40), 제 1 지지 플레이트(110), 제 2 지지 플레이트(120) 및 연결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의 전체적인 형태는 연결 플레이트(130) 방향으로 긴 직각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형태에 따라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연결 플레이트(130) 방향으로 짧은 직각 사각형일 수도 있다.
이하, 연결 플레이트(130) 방향으로 긴 직각 사각형의 형태를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길이의 변(111, 121, 131)을 갖는 삼각 평면 형상의 판으로서, 그 형태는 이등변 삼각형 또는 직각 삼각형일 수 있으며 3변의 길이가 모두 다른 삼각형일 수도 있는데, 3개의 변 중 하나(111)의 길이는 다른 2개의 변(121, 131)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삼각형의 내각 모두 9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지지 플레이트(110)는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변 중 가장 짧은 변(이하, 제 1 변이라 한다)(111)을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 1 변(111)은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제 1 지지 플레이트(110)가 공유하는 변으로서, 제 1 변(111)을 축으로 제 1 지지 플레이트(110)가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위로 또는 아래로 접힐 수 있는 것이다.
제 2 지지 플레이트(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변 중 제 1 변(111)이 아닌 다른 변(이하, 제 2 변이라 한다)(121)을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 2 변(121)은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제 2 지지 플레이트(120)가 공유하는 변으로서, 제 2 변(121)을 축으로 제 2 지지 플레이트(120)가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위로 또는 아래로 접힐 수 있는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13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가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수단(150)과 휴대용 전자기기(500)는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결합 수단(150)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결합 수단(15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결합 수단(150)과 결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해당 부분에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 결합 수단(150)은 금속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수단(150)과 연결 플레이트(130)는 연결 부재(161, 162)에 의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61, 162)는 결합 수단(150)의 양쪽 말단에 배치되는데, 연결 부재(161, 162)의 일면에는 돌기 또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수단(150) 및 연결 플레이트(130)에 구비된 홈 또는 돌기가 연결 부재(161, 162)의 돌기 또는 홈과 체결됨으로써 결합 수단(150)과 연결 플레이트(130)가 연결 부재(161, 162)를 통하여 결합된다.
또한, 홈 및 돌기에 의한 체결 구조이기 때문에 결합 수단(150)을 관통하는 축(521)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가 회전하거나, 연결 플레이트(130)와 두 개의 연결 부재(161, 162)가 결합된 부분을 연장한 축(522)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가 회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는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디스플레이 수단(510)이 외부로 노출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연결 부재(161, 162)에 의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축(521, 522)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가 회전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디스플레이 수단(510)을 덮을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에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110, 120)가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일면을 덮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110, 120) 중 적어도 하나는 자력으로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의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연결 플레이트(1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결합 부위가 일직선으로 지면에 밀착되어 있고, 연결 플레이트(130)의 면 및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면이 지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30) 및 베이스 플레이트(140)가 바닥을 형성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위로 접힌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모서리가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500)는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과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모서리는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 또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의 제 1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동일한 면의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인접한 지지 플레이트는 서로 중첩되도록 그 형태 및 배치가 결정될 수 있는데, 중첩된 지지 플레이트 중 하나는 다른 지지 플레이트에 의한 접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에 고정부(80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부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지지 플레이트(110)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를 서로 포개어 중첩시키면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일측 변과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고정부(800)가 서로 맞닿게 되는데,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일측 변이 두 개의 돌기 바로 구성된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고정부(800)에 수용되는 경우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에 의한 접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와 제 2 지지 플레이트(120)가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고정부는 돌기 바의 형태가 아닌 홈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일부분에 일직선의 홈을 형성하여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일측 변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의 제 1 지지 플레이트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가 서로 포개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 1 지지 플레이트(110)를 바깥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제 1 지지 플레이트(110)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는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움직임이 제한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일측 변과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고정부(800)는 자력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일측 변 또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연결 플레이트(1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결합 부위가 지면에 밀착되어 있고, 연결 플레이트(130)의 면 및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면이 지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30) 및 베이스 플레이트(140)가 바닥을 형성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위로 접힌 제 1 지지 플레이트(110)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가 서로 포개어져 제 2 지지 플레이트(120)를 고정시켜 놓고,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모서리가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500)는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과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모서리는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 또는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연결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일측 변과 제 2 변(베이스 플레이트(140)와 제 2 지지 플레이트(120)가 공유하는 변)이 지면에 밀착하게 되는데, 두 개의 변에 의하여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가상의 삼각형이 형성되며 휴대용 전자기기(500)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가 결합된 조립체의 무게 중심은 가상의 삼각형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조립체는 넘어지지 않고 도 11에 도시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500)는 연결 플레이트(130),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일측 변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일측 변에 지지되어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9의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가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기기(500)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의 조립체를 상하 반전시킨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연결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일측 변과 제 1 변(베이스 플레이트(140)와 제 1 지지 플레이트(110)가 공유하는 변)이 지면에 밀착하게 되는데, 두 개의 변에 의하여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가상의 삼각형이 형성되며 휴대용 전자기기(500)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가 결합된 조립체의 무게 중심은 가상의 삼각형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조립체는 넘어지지 않고 도 12에 도시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500)는 연결 플레이트(130),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일측 변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일측 변에 지지되어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지면에 대한 각도는 도 11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지면에 대한 각도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자력으로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용 전자기기(500)가 연결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일측 변과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일측 변이 지면에 밀착하게 되는데, 두 개의 변에 의하여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가상의 삼각형이 형성되며 휴대용 전자기기(500)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가 결합된 조립체의 무게 중심은 가상의 삼각형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조립체는 넘어지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500)는 연결 플레이트(130) 및 베이스 플레이트(140)의 일측 변에 지지되어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과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일측 변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 또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일측 변 중 적어도 하나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은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에 자석(1300)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자력으로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연결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일측 변과 제 2 변(베이스 플레이트(140)와 제 2 지지 플레이트(120)가 공유하는 변)이 지면에 밀착하게 되는데, 두 개의 변에 의하여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가상의 삼각형이 형성되며 휴대용 전자기기(500)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가 결합된 조립체의 무게 중심은 가상의 삼각형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즉, 조립체는 넘어지지 않고 도 14에 도시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500)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일측 변에 지지되어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연결 플레이트(130)는 그 면 중 어느 하나라도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수평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면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도 14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500)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100)의 조립체에서 연결 플레이트(130)가 휴대용 전자기기(500)에 밀착되는 경우 조립체의 무게 중심이 전술한 가상의 삼각형을 벗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과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일측 변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 또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10)의 일측 변 중 적어도 하나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휴대용 전자기기(500)의 후면에 자석(1400)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은 인접한 플레이트가 서로 변을 공유하면서 밀착하여 구비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여기서 변은 접히는 축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인접한 플레이트가 서로 접촉된 부분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40)와 지지 플레이트(110, 120, 310, 320, 410, 420)가 공유하는 변(111, 121, 311, 321, 411, 421)은 직선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직선 홈을 축으로 지지 플레이트(110, 120, 310, 320, 410, 420)가 베이스 플레이트(140)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베이스 플레이트(140), 지지 플레이트(110, 120, 310, 320, 410, 420) 및 연결 플레이트(130)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홈을 경계로 각 플레이트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인접한 플레이트는 힌지로 결합될 수도 있는데, 힌지는 양쪽 방향으로의 접힘이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한쪽 방향으로의 접힘만이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일정 각도로 접히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힌지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400: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110, 120, 210, 310, 320, 410, 420: 지지 플레이트
130: 연결 플레이트 140, 240, 340: 베이스 플레이트
150: 결합 수단 161, 162: 연결 부재
800: 고정부 1300, 1400: 자석

Claims (9)

  1. 복수의 변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변 중 하나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고, 반대쪽 일측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변 중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결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을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변 또는 모서리로 지지되어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가 유지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변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는 변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동일한 면의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인접한 지지 플레이트는 서로 중첩되도록 그 형태 및 배치가 결정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중첩된 지지 플레이트 중 하나는 다른 지지 플레이트에 의한 접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이 제한되는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 변과 상기 고정부는 자력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자력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변 또는 모서리는 자력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결합되어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면을 덮는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자력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일부 또는 전체가 덮이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KR2020110009944U 2011-11-09 2011-11-09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KR200471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944U KR200471146Y1 (ko) 2011-11-09 2011-11-09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944U KR200471146Y1 (ko) 2011-11-09 2011-11-09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55U true KR20130002955U (ko) 2013-05-20
KR200471146Y1 KR200471146Y1 (ko) 2014-02-07

Family

ID=5141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944U KR200471146Y1 (ko) 2011-11-09 2011-11-09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7825A1 (zh) * 2019-08-14 2021-02-18 深圳市乐沐营销顾问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09B1 (ko) * 2009-01-22 2012-01-09 용숙 이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0459930Y1 (ko) * 2010-04-02 2012-04-20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케이스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7825A1 (zh) * 2019-08-14 2021-02-18 深圳市乐沐营销顾问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支撑装置
US11839295B2 (en) 2019-08-14 2023-12-12 Shenzhen Lemore Marketing Consultancy Co., Ltd Suppor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146Y1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7306B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JP3174558U (ja) 多機能保護ケース
TWI402659B (zh) 具有可撓式顯示器螢幕之電子裝置
US20120211631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524770B (zh) 支撐裝置
US20130322003A1 (en) Soft cover for tablet pc
TWM464715U (zh) 用來固定可攜式電子裝置之固定裝置與可攜式電子設備
WO2020080547A1 (en) A folding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59319B2 (en) Case construc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folding device-support feature
US9876521B2 (en) Sliding stand assembly
JP2013025420A (ja) 電子機器用ケース及びキーボード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8833819B2 (en) Cover with handle structure for facilitating hold a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I432128B (zh) 電子裝置之支撐裝置
TW201514664A (zh) 用於可攜式運算裝置之支架
KR20120135978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JP2013011977A (ja)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用ケース
KR200471146Y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JP2017068732A (ja) カバースタンド及びカバースタンド付き携帯用情報機器
KR101217081B1 (ko) 스탠딩 파우치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KR200461325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수납용 지갑
JP6054937B2 (ja) カバースタンド及びカバースタンド付き電子機器
KR101379165B1 (ko)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
JP2021068123A (ja) 保護具
JP6105793B1 (ja) 電子機器及びキーボ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