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818U - 완구 - Google Patents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818U
KR20130002818U KR2020110009699U KR20110009699U KR20130002818U KR 20130002818 U KR20130002818 U KR 20130002818U KR 2020110009699 U KR2020110009699 U KR 2020110009699U KR 20110009699 U KR20110009699 U KR 20110009699U KR 20130002818 U KR20130002818 U KR 201300028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output shaft
legs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필
장성대
Original Assignee
(주)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트 filed Critical (주)오트
Priority to KR2020110009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818U/ko
Publication of KR20130002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63H11/10Figure toys with single- or multiple-axle undercarriages, by which the figures perform a realistic running motion when the toy is moving over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63H11/18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체, 고정체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장착된 회전축 및 그 구동장치,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왕복각운동으로 변환하는 캠기구를 매개체로 하여 고정체의 좌우 중 적어도 한쪽에서 회전축의 끝과 연결됨으로써 회전축이 구동장치로부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면 왕복각운동을 하는 가동체를 포함하고, 가동체가 캠기구와 자석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완구{Toy}
본 고안은 취미용, 학습용 등으로 사용 가능한 완구에 관한 것이다.
완구의 종류로는 봉제완구, 블록완구, 조립완구 등이 있는데, 봉제완구는 천을 재봉하고 솜 등을 채워 넣은 것이고, 블록완구는 블록들은 조립하여 건물, 차량 등을 만드는 것이며, 조립완구는 여러 요소들을 끼워 맞추고 분해하면서 노는 것인데, 이들 중 봉제완구는 지나치게 단순하고, 블록완구나 조립완구는 반대로 과도하게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라서는 놀이를 통하여 운동능력, 사고력 등의 발달을 이루기 어려웠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놀이를 통하여 운동능력, 사고력, 창조력의 발달을 용이하게 조장할 수 있는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장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왕복각운동으로 바꾸는 제1운동변환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체의 좌우 중 적어도 한쪽의 외부에서 상기 구동축의 단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면 왕복각운동을 하는 가동체를 포함하는 완구가 제공된다.
상기 제1운동변환장치는 상기 구동축에 중심이 상기 구동축과 불일치하도록 장착된 제1편심캠과; 상기 고정체에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1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1캠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캠하우징에서 상기 제1출력축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캠하우징이 상기 제1편심캠에 의하여 상기 제1출력축을 중심으로 왕복각운동을 하도록 상기 제1편심캠을 수용하는 캠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체는 상기 제1출력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편심캠은 원형이고, 상기 캠 수용홈은 상기 제1편심캠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도록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제1편심캠의 외주면과 각각 접촉하는 두 접촉벽을 가지며, 상기 제1출력축은 중심이 상기 제1편심캠의 회전중심과 불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체는 자석에 의하여 상기 제1출력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동체는 상기 제1출력축이 헐겁게 끼워지는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자석은 상기 삽입홈의 바닥과 상기 제1출력축의 선단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의 내주에는 상기 제1출력축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출력축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는 상기 고정체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체의 하측에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상기 축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작동하도록 결합된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보행을 하는 보행유닛이고, 상기 보행유닛은 상기 고정체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내부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장착된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회전운동을 왕복각운동으로 바꾸는 제2운동변환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체의 좌우 외부에서 상기 종동축의 양쪽 단부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종동축이 회전되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각운동을 하는 두 다리와; 상기 두 다리의 하측에 각각 연결된 발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와 연결체의 결합 시 대향하는 부분에는 내부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통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고정체와 연결체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축 구동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종동축에 전달하는 기어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운동변환장치는 상기 종동축의 양쪽 단부에 각각 중심이 상기 종동축과 불일치하도록 장착된 좌우의 제2편심캠과; 상기 연결체에 상기 연결체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관통된 좌우의 제2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좌우의 제2캠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2캠하우징에서 해당 제2출력축의 반대편에는 상기 좌우 제2캠하우징이 상기 좌우 제2편심캠에 의하여 해당 제2출력축을 중심으로 각각 왕복각운동을 하도록 상기 좌우 제2편심캠을 각각 수용하는 캠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두 다리는 상기 좌우 제2출력축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두 다리는 모두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고, 상기 발은 상기 다리에 각각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좌우 제2캠하우징은 해당 제2출력축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각각 가지고, 상기 보행유닛은 상기 좌우 제2캠하우징의 관통구멍에 좌우 양쪽이 각각 관통되어 상기 두 다리의 내부에 좌우 양단이 각각 위치하고, 이 상태로 상기 연결체의 내부에 상기 종동축과 평행하도록 장착되며, 좌우 양단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고정링크를 가지는 링크부재와; 상기 두 다리의 내부에서 각각 상단부는 상기 좌우 고정링크의 선단부에 전후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해당 발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 가동링크는 하측이음지점과 상기 해당 발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상기 고정링크와 평행하면서 상기 고정링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 제2출력축은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제2편심캠과 간섭함이 없게 중심이 상기 제2편심캠의 회전중심과 불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의 바닥에는 상기 보행유닛의 작동 시 지면과 접촉되면서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가 복수 개씩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보행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행유닛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장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장치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왕복각운동으로 바꾸는 운동변환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디의 좌우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양쪽 단부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각운동을 하는 두 다리와; 상기 두 다리의 하측에 각각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발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변환장치는 상기 회전축의 양쪽 단부에 각각 중심이 상기 회전축과 불일치하도록 장착된 좌우의 편심캠과; 상기 바디에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관통된 좌우 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좌우의 캠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캠하우징에서 해당 출력축의 반대편에는 상기 좌우 캠하우징이 상기 좌우 편심캠에 의하여 해당 출력축을 중심으로 각각 왕복각운동을 하도록 상기 좌우 편심캠을 각각 수용하는 캠 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두 다리는 상기 좌우 출력축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좌우 캠하우징은 해당 출력축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각각 가지며, 상기 보행유닛은 상기 좌우 관통구멍에 좌우 양쪽이 각각 관통되어 상기 두 다리의 내부에 좌우 양단이 각각 위치하고, 이 상태로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장착되며, 좌우 양단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고정링크를 가지는 링크부재와; 상기 두 다리의 내부에서 각각 상단부는 상기 좌우 고정링크의 선단부에 전후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해당 발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 가동링크는 하측이음지점과 상기 해당 발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상기 고정링크와 평행하면서 상기 고정링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출력축은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편심캠과 간섭함이 없게 중심이 상기 편심캠의 회전중심과 불일치하도록 배치된 완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 좌우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된 머리, 양쪽의 두 팔 및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두 팔 및 하체는 상기 바디에 각각 자석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완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바디와 머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5에 도시된 제1운동변환장치에 의한 메인 바디와 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5에 도시된 제1운동변환장치에 의한 팔의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3, 4에 도시된 제2운동변환장치 및 링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 4 및 도 8에 도시된 제2운동변환장치 및 링크장치에 의한 다리와 발의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구는 로봇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완구는 몸통에 상당하는 메인 바디(1) 및 메인 바디(1)에 각각 결합된 머리(2), 양쪽의 두 팔(3), 하체(4,5,6)를 포함한다.
도 2은 메인 바디(1)와 머리(2)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2)는 메인 바디(1)의 상측에 두 자석(10A)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두 자석(10A) 중 하나는 메인 바디(1)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머리(2)에 장착된다.
도 3,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는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는데, 메인 바디(1)의 내부 상측에는 좌우방향으로 기다란 구동축(100)이 수평하도록 장착되고, 구동축(100)은 축 구동장치(200)에 의하여 회전된다.
여기에서, 축 구동장치(200)는 모터(210)와 제1기어기구(220)를 포함하고 메인 바디(1)에 내장된다. 모터(210)는 구동축(100)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1기어기구(220)는 모터(210)의 모터 축에 장착된 구동기어(221), 구동축(100)에 장착된 종동기어(222), 구동 및 종동기어(221,222)와 맞물려 구동기어(221)의 회전력을 종동기어(222)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기어(223)를 포함한다. 물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구동기어(221)와 종동기어(222)가 아이들기어(223) 없이 직접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1기어기구(220) 없이, 구동축(100)에 모터(210)를 직결시킬 수도 있다.
두 팔(3)은 메인 바디(1)의 좌측 및 우측에 하나씩 배치되는바, 구동축(100)의 회전운동을 왕복각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운동변환장치(300)를 매개로 하여 구동축(100)의 좌우 양단부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구동축(100)이 축 구동장치(200)에 의하여 회전되면 전후방향으로 왕복각운동을 한다. 이 때, 두 팔(3)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또, 도 6은 제1운동변환장치(300)에 의한 메인 바디(1)와 팔(3)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제1운동변환장치(300)에 의한 팔(3)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운동변환장치(300)는 서로 짝을 이루는 제1편심캠(310)과 제1캠하우징(320)을 가지는 캠기구를 포함한다.
제1편심캠(310)은 구동축(100)의 양 끝에 각각 중심이 구동축(100)의 회전중심과 불일치하도록 장착되어 구동축(100)과 함께 회전한다. 제1캠하우징(320)의 좌우 중 어느 한쪽에는 제1출력축(321)이 구동축(100)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제1캠하우징(320)은 메인 바디(1)에 제1출력축(321)이 메인 바디(1)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각각 좌, 우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제1출력축(3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캠하우징(320)의 좌우 중 다른 한쪽에는 제1캠하우징(320)이 제1편심캠(310)에 의하여 제1출력축(321)을 중심으로 왕복각운동을 하도록 제1편심캠(310)을 수용하는 캠 수용홈(323)이 마련된다.
여기에서, 제1편심캠(310)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캠 수용홈(323)은 제1편심캠(3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도록 대향하는 상태에서 제1편심캠(310)의 외주면과 각각 접촉하는 두 접촉벽(324)을 가지는 기다란 슬롯 형상이다. 그리고, 제1출력축(321)은 그 회전중심(C1)이 제1편심캠(310)의 회전중심과 불일치하도록 배치되고, 두 팔(3)은 제1출력축(321)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두 팔(3)은 도 7의 (B)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축(100)이 회전되어 제1출력축(321)이 함께 회전되면 도 7의 (A)와 같이 후방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하였다가, 도 7의 (C)와 같이 전방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하였다를 반복한다.
제1출력축(321)에 대한 팔(3)의 결합은 두 자석(10B)에 의하여 이루어져, 팔(3)은 제1출력축(3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3)은 제1출력축(321)이 헐겁도록 끼워지는 삽입홈(31)을 가지는데, 팔(3)을 결합하기 위한 두 자석(10B) 중 하나는 삽입홈(31)의 바닥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제1출력축(321)의 선단 중앙부에 장착된다.
도면부호 10B의 두 자석 간에는 팔(3)의 왕복각운동으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은 슬립(slip)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때문에, 삽입홈(31)의 내주면에는 제1출력축(321)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의 걸림홈(32)이 마련되고, 제1출력축(321)에는 이러한 걸림홈(32)에 삽입되는 걸림턱(322)이 마련된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면, 하체(4,5,6)는 골반에 상당하는 보조 바디(4), 보조 바디(4)의 좌우에 하나씩 배치된 두 다리(5) 및 두 다리(5)의 하측에 각각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발(6)을 포함한다.
보조 바디(4)는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바디(4)는 메인 바디(1)의 하측에 두 자석(10C)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도면부호 10C의 두 자석 중 하나는 메인 바디(1)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보조 바디(4)에 장착된다.
보조 바디(4), 다리(5) 및 발(6)은 보행을 하여 메인 바디(1)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보행유닛을 구성하는데, 보행유닛은 동력전달장치(400)에 의하여 축 구동장치(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보행)한다. 이를 위하여, 보행유닛은 보조 바디(4)의 내부에 구동축(100)과 평행하게 장착된 종동축(500), 종동축(500)의 회전운동을 왕복각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운동변환장치(600)를 더 포함하고, 두 다리(5)는 제2운동변환장치(600)를 매개로 하여 종동축(500)의 좌우 양단부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종동축(100)이 회전되면 전후방향으로 왕복각운동을 한다. 이 때, 두 팔(3)과 마찬가지로, 두 다리(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메인 바디(1)와 보조 바디(4)의 대향하는 부분에는 내부가 서로 공간적으로 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통구멍(15,45)이 각각 마련되고, 동력전달장치(400)는 이와 같은 연통구멍(15,45)을 통하여 축 구동장치(200)로부터의 동력을 종동축(500)에 전달하는 제2기어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2기어기구는 종동축(500)에 장착된 제1전동기어(410), 구동기어(221)와 맞물린 제2전동기어(420), 제1 및 제2전동기어(410,420)와 맞물려 제2전동기어(420)의 회전력을 제1전동기어(410)에 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전동기어(430)를 포함한다. 이 때,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전동기어(410,420)가 제3전동기어(430) 없이 직접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보조 바디(4)는 메인 바디(1)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제1과 제3전동기어(410,430)는 메인 바디(1)에 보조 바디(4)를 결합 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은 제2운동변환장치(6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운동변환장치(600)에 의한 다리(5)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 4 및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운동변환장치(600)도 제1운동변환장치(300)와 마찬가지로 캠기구를 포함한다. 즉, 서로 짝을 이루는 제2편심캠(610)과 제2캠하우징(620)을 가지는 것이다.
제2편심캠(610)은 종동축(500)의 양 끝에 각각 중심이 종동축(500)의 회전중심과 불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종동축(500)과 함께 회전한다. 제2캠하우징(620)의 좌우 중 어느 한쪽에는 제2출력축(621)이 종동축(500)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제2캠하우징(620)은 보조 바디(4)에 제2출력축(321)이 보조 바디(4)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각각 좌, 우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제2출력축(6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2캠하우징(620)의 좌우 중 다른 한쪽에는 제2캠하우징(620)이 제2편심캠(610)에 의하여 제2출력축(621)을 중심으로 왕복각운동을 하도록 제2편심캠(610)을 수용하는 캠 수용홈(623)이 마련된다.
제2편심캠(610)도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캠하우징(620)의 캠 수용홈(623)도 제2편심캠(6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도록 대향하는 상태에서 제2편심캠(610)의 외주면과 각각 접촉하는 두 접촉벽(624)을 가진다. 제2출력축(621)도 그 회전중심(C2)이 제2편심캠(610)의 회전중심과 일치하지 않게 배치되고, 두 다리(5)은 제2출력축(621)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두 다리(5) 역시 도 9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종동축(100)이 회전되어 제2출력축(621)이 함께 회전되면 도 9의 (A)와 같이 후방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하였다가, 도 9의 (C)와 같이 전방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하였다를 반복한다.
보행유닛은 두 다리(5)의 보행작동 시 두 발(6)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두 발(6)의 움직임(상하방향으로의 회전각도)을 한정하여 안정감 있는 보행을 보장하는 링크장치(700)를 더 포함한다. 이 링크장치(700)가 도 3, 4를 비롯하여 도 8, 9에 나타나 있다.
링크장치(700)의 적용을 위하여, 두 다리(5)는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고, 제2캠하우징(620)은 제2출력축(621)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625)을 각각 가진다. 링크장치(700)는 링크부재(710)와 가동링크(720)를 포함한다.
링크부재(710)는 보조 바디(3)의 내부에 종동축(500)과 평행하도록 장착되고 이렇게 장착된 상태로 관통구멍(625)에 좌우 양쪽이 각각 관통되어, 링크부재(710)의 좌우 양단은 두 다리(5)의 내부에 각각 위치된다. 이러한 링크부재(710)는 좌우 양단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90도 절곡된 고정링크(711)를 가진다. 가동링크(720)는 두 개가 구비되어 두 다리(5)의 내부에 하나씩 내장된다. 두 가동링크(720)의 상단부는 좌우 두 고정링크(711)의 선단부에 각각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두 가동링크(720)의 하단부는 좌우 발(6)에 각각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에서, 가동링크(720)는 그 하측의 이음지점(C3)과 발(6)의 회전중심(C4)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고정링크(711)와 평행하면서 고정링크(71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고정링크(711)와 가동링크(720)는 발(6)과 함께 4절링크를 구성한다.
한편, 제2출력축(621)은 제2편심캠(610)이 링크부재(710)와 간섭함이 없도록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도 4, 9의 도면부호 7은 발(6)의 바닥에 다리(5)의 보행작동 시 지면과 접촉되면서 구름운동을 하도록 장착된 롤러인데, 롤러(7)는 복수 개씩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메인 바디(1)에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이동유닛이 보행유닛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동유닛은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주행유닛일 수 있다. 물론, 주행유닛의 바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종동축에 장착되고, 이 주행유닛의 종동축은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축 구동장치(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 메인 바디 2 : 머리
3 : 팔 4 : 보조 바디
5 : 다리 6 : 발
10A, 10B, 10C : 자석 100 : 구동축
200 : 축 구동장치 300, 600 : 운동변환장치
310, 610 : 편심캠 320, 620 : 캠하우징
321, 621 : 출력축 323, 623 : 캠 수용홈
400 : 동력전달장치 500 : 종동축
700 : 링크장치 710 : 링크부재
711 : 고정링크 720 : 가동링크

Claims (13)

  1.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장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왕복각운동으로 바꾸는 제1운동변환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체의 좌우 중 적어도 한쪽의 외부에서 상기 구동축의 단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면 왕복각운동을 하는 가동체를 포함하는 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변환장치는, 상기 구동축에 중심이 상기 구동축과 불일치하도록 장착된 제1편심캠과; 상기 고정체에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제1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1캠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캠하우징에서 상기 제1출력축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캠하우징이 상기 제1편심캠에 의하여 상기 제1출력축을 중심으로 왕복각운동을 하도록 상기 제1편심캠을 수용하는 캠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체는 상기 제1출력축에 결합된 완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편심캠은 원형이고,
    상기 캠 수용홈은 상기 제1편심캠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도록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제1편심캠의 외주면과 각각 접촉하는 두 접촉벽을 가지며,
    상기 제1출력축은 중심이 상기 제1편심캠의 회전중심과 불일치하도록 배치된 완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자석에 의하여 상기 제1출력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완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상기 제1출력축이 헐겁게 끼워지는 삽입홈을 가지고,
    상기 자석은 상기 삽입홈의 바닥과 상기 제1출력축의 선단에 각각 장착된 완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내주에는 상기 제1출력축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출력축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마련된 완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체의 하측에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상기 축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작동하도록 결합된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완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보행을 하는 보행유닛이고,
    상기 보행유닛은, 상기 고정체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내부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장착된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회전운동을 왕복각운동으로 바꾸는 제2운동변환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체의 좌우 외부에서 상기 종동축의 양쪽 단부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종동축이 회전되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각운동을 하는 두 다리와; 상기 두 다리의 하측에 각각 연결된 발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와 연결체의 결합 시 대향하는 부분에는 내부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연통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고정체와 연결체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축 구동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종동축에 전달하는 기어기구를 포함하는 완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운동변환장치는, 상기 종동축의 양쪽 단부에 각각 중심이 상기 종동축과 불일치하도록 장착된 좌우의 제2편심캠과; 상기 연결체에 상기 연결체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관통된 좌우의 제2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좌우의 제2캠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2캠하우징에서 해당 제2출력축의 반대편에는 상기 좌우 제2캠하우징이 상기 좌우 제2편심캠에 의하여 해당 제2출력축을 중심으로 각각 왕복각운동을 하도록 상기 좌우 제2편심캠을 각각 수용하는 캠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두 다리는 상기 좌우 제2출력축에 각각 결합된 완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두 다리는 모두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고,
    상기 발은 상기 다리에 각각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좌우 제2캠하우징은 해당 제2출력축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각각 가지고,
    상기 보행유닛은, 상기 좌우 제2캠하우징의 관통구멍에 좌우 양쪽이 각각 관통되어 상기 두 다리의 내부에 좌우 양단이 각각 위치하고, 이 상태로 상기 연결체의 내부에 상기 종동축과 평행하도록 장착되며, 좌우 양단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고정링크를 가지는 링크부재와; 상기 두 다리의 내부에서 각각 상단부는 상기 좌우 고정링크의 선단부에 전후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해당 발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 가동링크는 하측이음지점과 상기 해당 발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상기 고정링크와 평행하면서 상기 고정링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 제2출력축은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제2편심캠과 간섭함이 없게 중심이 상기 제2편심캠의 회전중심과 불일치하도록 배치된 완구.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의 바닥에는 상기 보행유닛의 작동 시 지면과 접촉되면서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가 복수 개씩 장착된 완구.
  12. 내부가 빈 구조를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보행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행유닛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장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장치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왕복각운동으로 바꾸는 운동변환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디의 좌우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양쪽 단부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각운동을 하는 두 다리와; 상기 두 다리의 하측에 각각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발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변환장치는, 상기 회전축의 양쪽 단부에 각각 중심이 상기 회전축과 불일치하도록 장착된 좌우의 편심캠과; 상기 바디에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관통된 좌우 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좌우의 캠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캠하우징에서 해당 출력축의 반대편에는 상기 좌우 캠하우징이 상기 좌우 편심캠에 의하여 해당 출력축을 중심으로 각각 왕복각운동을 하도록 상기 좌우 편심캠을 각각 수용하는 캠 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두 다리는 상기 좌우 출력축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좌우 캠하우징은 해당 출력축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각각 가지며,
    상기 보행유닛은, 상기 좌우 관통구멍에 좌우 양쪽이 각각 관통되어 상기 두 다리의 내부에 좌우 양단이 각각 위치하고, 이 상태로 상기 바디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장착되며, 좌우 양단에서 각각 전방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고정링크를 가지는 링크부재와; 상기 두 다리의 내부에서 각각 상단부는 상기 좌우 고정링크의 선단부에 전후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해당 발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 가동링크는 하측이음지점과 상기 해당 발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상기 고정링크와 평행하면서 상기 고정링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출력축은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편심캠과 간섭함이 없게 중심이 상기 편심캠의 회전중심과 불일치하도록 배치된 완구.
  13.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 좌우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된 머리, 양쪽의 두 팔 및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두 팔 및 하체는 상기 바디에 각각 자석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완구.
KR2020110009699U 2011-11-02 2011-11-02 완구 KR201300028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99U KR20130002818U (ko) 2011-11-02 2011-11-02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699U KR20130002818U (ko) 2011-11-02 2011-11-02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18U true KR20130002818U (ko) 2013-05-10

Family

ID=5242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699U KR20130002818U (ko) 2011-11-02 2011-11-02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8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1415B2 (en) 2015-09-04 2019-08-27 Gymworld Inc. Connecting member for self-assembly to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1415B2 (en) 2015-09-04 2019-08-27 Gymworld Inc. Connecting member for self-assembly t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44902U (zh) 单驱动四足机器人机构
CN102211627B (zh) 一种基于仿生设计的四腿机器人机构
CN104800063B (zh) 头皮养护器
KR101250043B1 (ko) 동적 관절 모델
US2667719A (en) Walking doll action
KR20130002818U (ko) 완구
KR101525756B1 (ko) 돌기가 구비된 커넥터를 이용한 조립 완구 세트
CN203169919U (zh) 爬行健身器
CN207089487U (zh) 一种双足行走机器人
CN114109255B (zh) 一种基于仿生学的钻掘装置
KR101267349B1 (ko) 완구용 보행 로봇
KR100558904B1 (ko) 걸어다니는 교육용 로봇
EP0879625B1 (en) A movement assembly, particularly for the legs of a doll
CN210057382U (zh) 机器走兽
KR20100009007A (ko) 운동기구
JP3439172B2 (ja) 可動装置及びその付属装置
CN204637555U (zh) 一种仿真性强的行走玩具
CN210302391U (zh) 一种带动肢体运动对战的玩具机构
CN220736164U (zh) 一种玩具机器宠物的躯干仿生机构
CN208770840U (zh) 塑胶人物玩偶
CN216067475U (zh) 一种积木机器人行走部
CN202715241U (zh) 一种玩具机器人
CN219398103U (zh) 按摩机芯及按摩仪
CN111111089B (zh) 一种跳绳玩具
CN204050960U (zh) 一种电动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