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854A -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854A
KR20130001854A KR1020110062748A KR20110062748A KR20130001854A KR 20130001854 A KR20130001854 A KR 20130001854A KR 1020110062748 A KR1020110062748 A KR 1020110062748A KR 20110062748 A KR20110062748 A KR 20110062748A KR 20130001854 A KR20130001854 A KR 20130001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s
foam
floor
resin
resin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헌성
박성찬
정명봉
김준엽
남진우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1006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854A/ko
Publication of KR2013000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14Sound-absorbing elements with non-planar face, e.g. curved, egg-crate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는, 제1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2 마루 및 상기 제1 및 제2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골을 포함하는 제1 면과, 제3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4 마루 및 상기 제3 및 제4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수지 발포 폼과, 상기 제1 및 제2 골 사이에 위치하는 골 형성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Noise iso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층간 충격에 의해 발생한 소음 및/또는 진동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 및/또는 소진시킬 수 있는 층간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세대 주택, 연립 주택식 빌라, 빌딩, 아파트, 학교, 병원 및 기숙사 등과 같은 공동 집합형의 다층 건축물에서는 상하층으로 사람이 거주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 및/또는 상기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은 하층 사람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충격 및 소음을 바닥 충격음이라고도 하며, 이는 물체의 낙하 및 이동, 또는 사람의 보행 등에 의한 슬라브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및 충격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발생하는 고체음은 극히 적은 감쇠로 여러 위치에 전달되어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키고, 이에 따라 바닥 충격음은 하층 사람들에게는 직접 반사되는 공기 전달음과 같이 인식된다.
최근 국내에서도 상기와 같은 바닥 충격음으로 인한 층간 소음이 주거 환경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즉, 쾌적한 주거 환경에 관한 소비자의 욕구는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반면, 다층 건축물의 바닥 구조에 사용되는 재질은 점점 얇아지고 경량화되면서 내부 소음원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닥 충격음으로 인한 문제가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상기 다층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 등에 설치되어 상층에서 하층, 또는 측면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또는 소음을 흡수, 분산 및/또는 소진시키기 위한 차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충간 소음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바닥 충격음을 흡수, 분산 및/또는 소진시키는 효과를 증가시키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바닥 충격음을 흡수, 분산 및/또는 소진시키는 차음재를 제공한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바닥 충격음을 흡수, 분산 및/또는 소진시키는 차음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는, 제1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2 마루 및 상기 제1 및 제2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골을 포함하는 제1 면과, 제3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4 마루 및 상기 제3 및 제4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수지 발포 폼과, 상기 제1 및 제2 골 사이에 위치하는 골 형성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골 형성용 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실이되, 상기 실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고, 상기 실의 굵기는 500 내지 3000 데니어(denier)일 수 있다.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밀도는 16 내지 50Kg/㎥이고, 경도는 6 내지 30 Kgf/314㎠이고, 동탄성 계수는 3 내지 10MN/㎥일 수 있다.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두께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 수지 발포 폼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수지 발포 폼 및 페놀 수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의 제조 방법은, 제1 면 및 이와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수지 발포 폼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골 형성용 부재로 압착하여, 상기 제1 면에 제1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2 마루 및 상기 제1 및 제2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골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면의 일부를 상기 골 형성용 부재로 압착하여, 상기 제2 면에 제3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4 마루 및 상기 제3 및 제4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골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골 형성용 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실이되, 상기 실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고, 상기 실의 굵기는 500 내지 3000 데니어(denier)일 수 있다.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밀도는 16 내지 50Kg/㎥이고, 경도는 6 내지 30 Kgf/314㎠이고, 동탄성 계수는 3 내지 10MN/㎥일 수 있다.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두께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 수지 발포 폼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수지 발포 폼 및 페놀 수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충간 소음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는 바닥 충격음을 흡수, 분산 및/또는 소진시키는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음재 및 차음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1)는 제1 면(10) 및 제1 면(10)과 마주하는 제2 면(20)을 포함하는 수지 발포 폼(5)과 골 형성용 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 발포 폼(5)의 제1 면(10)은 제1 마루(11), 제1 마루(11)와 이웃하는 제2 마루(13) 및 제1 마루(11)와 제2 마루(13)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골(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골(31)은 제1 마루(11)와 제2 마루(13)를 나누는 경계일 수 있다.
한편, 수지 발포 폼(5)의 제2 면(20)은 제3 마루(21), 제3 마루(21)와 이웃하는 제4 마루(23) 및 제3 마루(21)와 제4 마루(2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골(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골(33)은 제3 마루(21)와 제4 마루(23)를 나누는 경계일 수 있다.
수지 발포 폼(5)의 제1 면(10)에 제1 및 제2 마루(11, 13)가 포함되고, 제2 면(20)에 제3 및 제4 마루(21, 23)가 포함됨으로써, 차음재(1)는 전체적으로 층간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면(10)과 제2 면(20)은 마주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면(10)의 제1 마루(11)와 제2 면(20)의 제3 마루(21)가 서로 마주하게 될 수 있어,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수지 발포 폼(5)의 물성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KS F 2868에서 규정하는 수지 발포 폼(5)의 동탄성 계수(물체가 갖는 동적인 탄성 특성)는 3 내 10MN/㎥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지 발포 폼(5)의 동탄성 계수의 값은 3 내지 7M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6MN/㎥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수지 발포 폼(5)의 동탄성 계수의 값이 3MN/㎥ 보다 작으면, 동적 하중이 가해질 경우 유연한 탄력성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충격음 차단이 가능하지만, 응력에 대한 물리적 저항력이 떨어져 상부 하중에 따른 변형으로 바닥 마감면에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10MN/㎥을 초과하면, 폼의 안정성은 확보되지만, 충격음 저감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차음성, 기계적 물성 및 완충성의 상호 보완적 관점에서, 수지 발포 폼(5)의 밀도는 16 내지 50K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16Kg/㎥보다 작으면, 우수한 차음성에 비해 기계적 물성 및 완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0Kg/㎥을 초과하면, 반대로 기계적 물성 및 완충성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차음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수지 발포 폼(5)의 경도(압축 강도)는 6 내지 30 kgf/314㎠의 범위일 수 있다. 여기서, 경도가 6kgf/314㎠미만이면, 수지 발포 폼(5)의 연성이 지나치게 커져, 상부에서 하중이 가해질 경우 바닥이 함몰될 우려가 있으며, 30kgf/314㎠을 초과하면, 충격음 차단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수지 발포 폼(5)의 두께(도 2의 ‘d’ 참조)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수지 발포 폼(5)의 두께가 30㎜ 미만이면, 충격음 차단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수지 발포 폼(5)의 두께가 60㎜를 초과하면, 시공상의 제약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지 발포 폼(5)의 재질은 전술한 물성을 갖는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지 발포 폼(5)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수지 발포 폼 및 페놀 수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1)는 골 형성용 부재(41)를 포함한다. 골 형성용 부재(41)는 수지 발포 폼(5)의 일부가 압착되도록, 수지 발포 폼(5)에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 골 형성용 부재(41)에 의해 수지 발포 폼(5)의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제1 골(31)과 제2 골(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골(31, 33)의 양측으로 제1 내지 제4 마루(11, 13, 21, 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음재(1)는 전체적으로 향상된 방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골 형성용 부재(41)는 제1 골(31) 및 제2 골(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골 형성용 부재(41)로는 예를 들어, 천연섬유나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로 형성된 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골 형성용 부재(41)로 실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실의 굵기는 항장식 번수법(恒長式番手法)에 의거 500 내지 3000 데니어(denier)일 수 있다. 실의 굵기가 500데니어 미만 일경우, 실이 수지 발포 폼(5)에 가하는 스트레스의 크기가 약해 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지 발포 폼(5)에 골(31, 33)과 마루(11, 13, 21, 23)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어, 차음재(1)의 방음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수지 발포 폼(5)에 골(31, 33)과 마루(11, 13, 21, 23)가 형성된 후, 실이 끊어질 수 도 있어, 전체적으로 차음재(1)의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실의 굵기가 3000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실이 수지 발포 폼(5)에 가하는 스트레스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차음재(1)를 제조하는 공정상의 관점에서 지나치게 실의 굵기가 굵어져, 공정상의 제약이 따를 가능성이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음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음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음재(1)를 제조하기 위하여 수지 발포 폼(5)을 준비한다(S1010).
수지 발포 폼(5)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 발포 폼(5)은 베이스 수지 및 발포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기계적인 방법 또는 자외선 조사 등의 수단을 통하여 발포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발포 배율은 예를 들어, 500%(5배) 이상일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적하는 오픈셀화율, 동탄성 계수 및 경도 등의 물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발포제의 예로는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벤젠술포닐 하이드라지드 또는 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지드과 같은 술포닐 하이드라지드;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또는 아조비스 이소프틸로니트릴과 같은 아조 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 또는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와 같은 니트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포제; 중탄산나트륨 또는 중탄산암모늄을 포함하는 무기 발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지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기타 첨가제의 예로는 물, 인계 및 할로겐계 난연제, 안료, 염료, 무기물과 같은 충전제, 분산제 및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발포 폼을 제조한다. 상기 발포 공정은 이산화탄소, 질소, 공기, 헬륨 또는 네온과 같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발포성 조성물 내 구성 성분의 함량 또는 금형으로의 투입량 등을 조절하여, 폼의 셀 구조, 밀도 또는 압축 강도와 같은 물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골 형성용 부재(41)를 이용하여 수지 발포 폼(5)에 제1 및 제2 골(31, 33)과 제1 내지 제4 마루(11, 13, 21, 23)를 형성한다(S1020, S1030). 골 형성용 부재(41)는 예를 들어 실로 선택될 수 있다. 실을 이용하여 수지 발포 폼(5)의 일정 영역을 예를들어 박음질하여 수지 발포 폼(5)에 스트레스를 가한다. 이에 의해, 수지 발포 폼(5)에 제1 및 제2 골(31, 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골(31, 33)의 양측으로 제1 내지 제4 마루(11, 13, 21, 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지 발포 폼(5)의 일정 영역을 구간 별로 반복하여 박음질 함으로써, 수지 발포 폼(5)의 제1 면(10) 및 제2면(20)에 복수의 골(31, 33)과 복수의 마루(11, 13, 21, 23)를 형성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음재(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와 본 발명에 의하지 않는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음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시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시험예 #1
1)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라, 수지 발포 폼으로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 폼을 이용하였고, 굵기가 1000데니어인 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지 발포 폼에 복수의 골과 마루를 형성하였다. 한편, 비교예의 경우, 상기 수지 발포 폼을 이용하였다.
2) 골 및 마루 형성에 의한 충격음 저감 효과측정
상기와 같이 제조된 차음재를 바탕으로 충격음 저감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기반 위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차음재를 시공하지 않았을 때의 바닥 충격음(A) 및 시공 후의 바닥 충격음(B)을 측정한 후에 하기 제시된 식(1)에 따라 충격음 저감량(C)을 평가하였다. 상기에서 바닥 충격음의 측정은 KS F 2810-2에서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식(1): 충격음 저감량(C) = 시공 전 측정값(A) - 시공 후 측정값(B)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 동탄성 계수 값의 변화에 따른 충격음 저감 효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충격음 저감량(dB)
실시예 1 14
비교예 1 -2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충격음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2. 시험예 #2
1) 수지 발포 폼의 물성치를 다르게 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차음재(실시예)와 본 발명에 의하지 않은 차음재(비교예)를 준비하였다. 이때, 실시예와 비교예 양자 모두, 굵기가 1000데니어인 실을 이용하여 차음재의 수지 발포 폼에 골과 마루를 형성하였다.
2) 동탄성 계수 및 경도
시험에 사용된 수지 발포 폼의 동탄성 계수는 KS F 2868에서 규정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경도는 KS M 6579에서 규정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동탄성 계수
(MN/㎥)
재질
실시예 2 6.8 폴리우레탄 발포 폼
실시예 3 7.9
비교예 2 2.1
비교예 3 11. 7
두께 (㎜) 재질
실시예 4 30 폴리우레탄 발포 폼
실시예 5 40
실시예 6 50
비교예 4 20
3) 동탄성 계수에 따른 충격음 저감 효과
상기 시험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음 저감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값은 하기 표 4와 같다.
충격음 저감량(dB)
실시예 2 13
실시예 3 16
비교예 2 -1
비교예 3 -2.8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및 3은 비교예 2및 3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충격음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4) 두께에 따른 충격음 저감 효과
상기 시험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음 저감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값은 하기 표 4와 같다.
충격음 저감량(dB)
실시예 4 4
실시예 5 9
실시예 6 12
비교예 4 -1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내지 6은 비교예 4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충격음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수지 발포 폼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바닥 충격음 저감 효과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 수지 발포 폼 10: 제1 면
20: 제2 면 11, 13, 21, 23: 마루
31, 33: 골 41: 골 형성용 부재

Claims (10)

  1. 제1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2 마루 및 상기 제1 및 제2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골을 포함하는 제1 면과,
    제3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4 마루 및 상기 제3 및 제4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수지 발포 폼; 및
    상기 제1 및 제2 골 사이에 위치하는 골 형성용 부재를 포함하는 차음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골 형성용 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실이되, 상기 실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고, 상기 실의 굵기는 500 내지 3000 데니어(denier)인 차음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밀도는 16 내지 50Kg/㎥이고, 경도는 6 내지 30 Kgf/314㎠이고, 동탄성 계수는 3 내지 10MN/㎥인 차음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두께는 30 내지 60㎜인 차음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수지 발포 폼 및 페놀 수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차음재.
  6. 제1 면 및 이와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수지 발포 폼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골 형성용 부재로 압착하여, 상기 제1 면에 제1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2 마루 및 상기 제1 및 제2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골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면의 일부를 상기 골 형성용 부재로 압착하여, 상기 제2 면에 제3 마루, 이와 이웃하는 제4 마루 및 상기 제3 및 제4 마루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골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음재의 제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골 형성용 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실이되, 상기 실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고, 상기 실의 굵기는 500 내지 3000 데니어(denier)인 차음재의 제조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밀도는 16 내지 50Kg/㎥이고, 경도는 6 내지 30 Kgf/314㎠이고, 동탄성 계수는 3 내지 10MN/㎥인 차음재의 제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의 두께는 30 내지 60㎜인 차음재의 제조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발포 폼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수지 발포 폼 및 페놀 수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차음재의 제조 방법.
KR1020110062748A 2011-06-28 2011-06-28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01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748A KR20130001854A (ko) 2011-06-28 2011-06-28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748A KR20130001854A (ko) 2011-06-28 2011-06-28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54A true KR20130001854A (ko) 2013-01-07

Family

ID=4783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748A KR20130001854A (ko) 2011-06-28 2011-06-28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8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240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0763434B1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재
WO2008120909A1 (en) An impact sound insulation material of floors and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1494809B1 (ko) 층간소음 방지용 조립식 매트
KR100398073B1 (ko)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뜬바닥 시공방법
KR101195787B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1942048B1 (ko) 층간 소음방지 구조물
KR101331665B1 (ko) 차음재의 제조방법
KR20180085838A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충격 차단을 위한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20130001854A (ko) 차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83869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302295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0949782B1 (ko)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용 구조물
KR20080018030A (ko)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20090010378U (ko) 차음재
KR20100062050A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200359989Y1 (ko) 층간 소음 방지재의 적층구조
KR101302270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JP2691321B2 (ja) 防音床材
KR100357024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및 그 차음구조에이용되는 폴리우레탄
KR200447815Y1 (ko) 건물 바닥용 복층 구조의 완충재 조립체
KR102496901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적층형 층간 차음재
KR20100000224U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