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767U -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 - Google Patents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767U
KR20130001767U KR2020110008095U KR20110008095U KR20130001767U KR 20130001767 U KR20130001767 U KR 20130001767U KR 2020110008095 U KR2020110008095 U KR 2020110008095U KR 20110008095 U KR20110008095 U KR 20110008095U KR 20130001767 U KR20130001767 U KR 201300017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light emitting
emitting lamp
stand
umbrella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익상
Original Assignee
조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익상 filed Critical 조익상
Priority to KR2020110008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767U/ko
Publication of KR20130001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18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5/00Tent, canopy, umbrella, or cane
    • Y10S135/91Illuminated cane or umbrell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우산대의 꼭지와 우산살의 끝단에 발광램프를 장착하여 우천시 보행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보행자 간에 우산살의 위치를 확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The umbreller with LED }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우산대의 꼭지와 우산살의 끝단에 발광램프를 장착하여 우천시 보행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보행자 간에 우산살의 위치를 확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눈 또는 비가 올 경우, 사용자가 방수천을 펼쳐서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 위를 덮어 눈 또는 비가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우산은 손잡이와 우산대 및 방수천으로 구성되며, 방수천은 우산대를 따라 이동하며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을 펼치고 접기 위해서는 우산대의 상부 끝단에 체결된 우산살의 하측 단부에 버팀살의 상부 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버팀살의 하측 단부는 슬라이드 몸체에 체결되어 우산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ㆍ하로 슬라이딩 된다.
또한, 우산살은 우산대를 중심으로 등 간격으로 반복설치된 구조로서 슬라이드 몸체의 상승과 하강에 의해 펼쳐지고 접혀지게 되는데, 이는 우산살과 버팀살이 링크 체결되어 있어 가능하다.
그러나 우산을 사용할 경우 방수천이 시야를 가리며, 특히 야간에는 더욱 시야가 좁아져 보행중 사용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산을 쓰고 가는 보행자 간에 방수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우산살의 단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쉽지않아 눈에 찔리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우천시 차량을 운전하다 보면, 어두운 도로환경 혹은 타인의 자동차 전조등 불빛으로 인해 보행자 식별이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보행자도 우산으로 시야가 가려짐으로 인해 주변의 교통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보행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로 인해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야간에 우천시 보행자가 우산을 쓰고 보행을 할 때 보행자 및 우산의 위치를 용이하게 운전자를 포함한 제3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우산 꼭지와 우산의 가장자리가 발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은 우산대의 하부에 위치한 손잡이 내부에는 온ㆍ오프 스위치가 마련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전선은 우산대 속으로 내설되어 우산대의 우산꼭지에 장착된 발광램프와 연결되며, 상기 발광램프와 연결된 전선은 분기되어 우산살 속으로 내설되어 우산살의 끝단에 장착된 발광램프와 연결되어 온ㆍ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발광하는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야간에 우천시 우산 꼭지와 우산의 가장자리 둘레가 발광하여 운전자 또는 다른 보행자로 하여금 보행자 및 우산의 식별을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해주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우산을 도시해 보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우산을 도시해 평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우산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우산을 도시해 보인 저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우산을 도시해 평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 우산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야간에 비가 내려 야간에 우산(1)을 사용할 때 다른 보행자가 우산(1)을 쓴 보행자를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우산 꼭지(10) 및 우산살(4)의 가장자리 둘레가 발광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부 끝단에 손잡이(6)가 부착된 우산대(2)와, 상기 우산대(2)의 상측 끝단에는 우산대(2)를 중심으로 우산살(4)이 등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부 일측이 체결된다.
또한, 우산살(4)의 하측 단부에는 버팀살(11)의 상부 끝단이 링크 체결되고, 상기 버팀살(11)의 하측 끝단은 우산대(2)의 외주면으로 삽입된 슬라이드 몸체(5)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몸체(5)가 상ㆍ하로 슬라이딩 되면 우산살(4)이 펼쳐지고 접혀지며, 우산살(4)의 상부에는 방수천(3)이 덮어져 체결된다.
또한, 우산대(2)의 하부에 위치한 손잡이(6)에는 온ㆍ오프 스위치(9)가 마련되어 발광램프(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가 내장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7)는 피시비(13)에 전선(12)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우산대(2) 속으로 내설되어 우산대(2)의 우산 꼭지(10)에 장착된 발광램프(14)와 연결됨은 물론 발광램프(14)와 연결된 전선(12)은 우산살(4) 개 수만큼 분기되어 우산살(4) 속으로 내설된다.
또한, 우산살(4)의 끝단에 발광램프(14)가 부착되어 전선(12)과 연결되고 온ㆍ오프 스위치(9)의 조작에 의해 발광램프(14)가 발광 또는 점멸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7)는 배터리가 삽입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야간에 비가 내리면 우산(1)을 펼친 사용자는 타인에게 우산(1) 및 본인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손잡이(6)에 부착된 온ㆍ오프 스위치(9)를 조작하여 발광램프(14)에 전원을 공급하면 우산살(4)의 끝단에 부착된 발광램프(14)와 우산꼭지(10)에 부착된 발광램프(14)가 발광한다.
또한, 발광램프(14)는 다양한 빛으로 발광 및 점멸할 수 있어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우산 2: 우산대
3: 방수천 4: 우산살
5: 슬라이드 몸체 6: 손잡이
7: 전원 공급부 8: 배터리
9: 온ㆍ오프 스위치 10: 우산 꼭지
11: 버팀살 12: 전선
13: 피시비 14: 발광램프

Claims (1)

  1. 하부에 손잡이(6)가 부착된 우산대(2)와;
    상기 우산대(2)의 상측 끝단에는 등 간격으로 일측 단부가 체결된 우산살(4)과;
    상기 우산살(4)의 하측 단부에는 버팀살(11)의 상부 끝단이 링크 체결되고, 상기 버팀살(11)의 하측 끝단은 슬라이드 몸체(5)에 체결되어 우산대(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ㆍ하로 슬라이딩되어 우산살(4)이 펼쳐지고 접혀지는 우산(1)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2)의 하부에 위치한 손잡이(6)에는 온ㆍ오프 스위치(9)가 마련되어 발광램프(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가 내장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7)와 연결된 전선(12)은 우산대(2) 속으로 내설되어 우산대(2)의 우산 꼭지(10)에 장착된 발광램프(14)와 연결되며, 상기 발광램프(14)와 연결된 전선(12)은 우산살(4) 속으로 분기되어 내설된 상태에서 우산살(4)의 끝단에 장착된 발광램프(14)와 연결되어 온ㆍ오프 스위치(9)의 조작에 의해 발광램프(14)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
KR2020110008095U 2011-09-06 2011-09-06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 KR201300017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095U KR20130001767U (ko) 2011-09-06 2011-09-06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095U KR20130001767U (ko) 2011-09-06 2011-09-06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67U true KR20130001767U (ko) 2013-03-14

Family

ID=5242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095U KR20130001767U (ko) 2011-09-06 2011-09-06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7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6272A (zh) * 2019-07-11 2019-09-17 杭州晨曦雨露科技有限责任公司 下伞骨连接支座及其安装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6272A (zh) * 2019-07-11 2019-09-17 杭州晨曦雨露科技有限责任公司 下伞骨连接支座及其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373Y1 (ko) 발광 우산
KR101381860B1 (ko) 발광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의류
KR101074712B1 (ko) 우산용 발광장치
KR20130001767U (ko) 발광램프가 구비된 우산
US20060096625A1 (en) Illuminated umbrella
KR200454338Y1 (ko) 램프가 구비된 우의
KR101279159B1 (ko) Led가 장착된 안전용 발광우산
KR200425717Y1 (ko) 발광우산.
KR200418376Y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우산
KR200475931Y1 (ko) 발광 우산
JP2007215649A (ja) 安全傘
KR101783843B1 (ko) 기능성 우산
KR20070121887A (ko) 발광우산.
CN205456625U (zh) 一种能照明的雨伞
CN201813984U (zh) 荧光频闪照明安全式折叠雨伞
KR20130004543U (ko)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발광 우산
KR20100009340U (ko) 야간안전 및 어린이보호용 우산
KR20210055496A (ko) 엘이디를 이용한 안전우산
JP6188450B2 (ja) 杖歩行者用点灯装置とその装置を備えた杖
KR20090009927U (ko) 안전조끼
KR200183145Y1 (ko) 신발의 조명장치
CN205390619U (zh) 一种带有警示和照明功能的晴雨伞
KR200172847Y1 (ko) 천 고정부에 발광소자를 가지는 우산
KR200356503Y1 (ko) 발광장치가 설치된 우산
CN202236175U (zh) 一种盲人手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