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765A -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765A
KR20130001765A KR1020110062606A KR20110062606A KR20130001765A KR 20130001765 A KR20130001765 A KR 20130001765A KR 1020110062606 A KR1020110062606 A KR 1020110062606A KR 20110062606 A KR20110062606 A KR 20110062606A KR 20130001765 A KR20130001765 A KR 20130001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direction indicating
evacuatio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448B1 (ko
Inventor
박창식
Original Assignee
(주)지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지에스 filed Critical (주)지지에스
Priority to KR102011006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4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과, 상기 화재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방향지시유닛을 포함하여, 화재 방생 위치를 회피하여 대피처로 이동할 수 있는 최단 대피 거리를 제공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AN INTELLIGENCE TYPE SHUNTING INCITEMENT SYSTEM AND A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과, 상기 화재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방향지시유닛을 포함하여, 화재 방생 위치를 회피하여 대피처로 이동할 수 있는 최단 대피 거리를 제공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화재시의 비상 유도등은 바닥에서 30cm 정도의 위치에 설치된 비상 유도등과, 비상문의 상단에 설치된 무정전식 유도등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극장 등 자중이용 시설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바닥 유도등이 있다.
이러한 유도등으로서 현재 일반 전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LED를 이용하는 형태가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장치는 오부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점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과, 정전시를 대비하여 자체 전지를 비상전원으로 확보하여 화재시 발생하는 정전시에도 유도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바닥 유도등은 외부의 전원설비를 이용하여 점등되며 비상시에 사용되는 전원을 내장하고 있지 않다. 지하철 및 대형 건물 등의 화재에서는 반드시 정전을 수반하고 있으므로 이로한 바닥 유도등은 작동 불능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의 유도등은 벽면에 설치되거나 비상문 상단에 설치되므로 넓은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와 멀리 떨어져 있는 대피자의 경우에는 유도등을 확인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화재발생시 최적의 대피로를 찾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대피자들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인명피해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복잡한 복도 등의 구조를 가지는 건물에서는 화재 지점을 파악할 수 없고, 단순히 유도등 표시만을 보고 찾아가게 되어 적절한 대피로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즉, 현재의 대피 유도등의 경우에는 단순히 점발광의 특성만을 지닌 램프를 이용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화재시 안전한 대피로가 어느 방향인지를 알려줄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과, 상기 화재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방향지시유닛을 포함하여, 화재 방생 위치를 회피하여 대피처로 이동할 수 있는 최단 대피 거리를 제공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방향지시유닛의 자체 충전을 위한 태양전지부를 내장하여 실내 조명등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자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대피 경로를 자유롭게 표시할 수 있도록 가변적인 방향 지시등의 형상의 발광부를 갖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은,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1)과, 상기 화재감지유닛(1)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10)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5)과, 상기 제어유닛(5)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방향지시유닛(10)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은, 상기 발광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1)와, 상기 발광신호에 따라 공간의 이동 경로에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발광부(12)와, 상기 발광부(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와, 실내의 조명등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전원부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의 노출면에 제공되는 태양전지(17)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12)는 가변적인 방향 지시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발광신호는 화재 발생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은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해당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발광부(1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은 각각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5)은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발광부(12)의 표시 방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광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화재감지유닛은, 풍향계와 가스 인식 센서이고, 상기 제어유닛은, 대피경로 생성시 가스가 불어오는 방향을 회피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1)과, 상기 화재감지유닛(1)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10)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5)과, 상기 제어유닛(5)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가변적인 방향 지시등의 형상인 발광부가 제공되는 방향지시유닛(10)을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고,
상기 제어유닛(5)에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화재감지유닛(1)으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5)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5)이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5)이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발광부(12)가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 방향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에 전송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이 전송받은 표시 방향 신호에 따라 발광부의 방향 신호를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방향지시유닛(10)에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해당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5)이 상기 화재감지유닛(1)으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방향지시유닛(10)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이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이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발광부(12)의 방향 신호를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재감지유닛은 화재 가스의 유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어유닛은 화재 가스의 유동 경로를 더 회피하도록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공간 내의 사람들을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최단의 경로를 통하여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자체 태양전지판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므로, 정전시에 작동이 중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지시유닛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은,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1)과, 상기 화재감지유닛(1)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10)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5)과, 상기 제어유닛(5)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방향지시유닛(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재감지유닛(1)은 화재감지기, 화재탐지 카메라 또는 화재수신반 등의 감시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의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화재감지유닛의 구성 및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화재감지유닛(1)으로 풍향계(8) 및 가스 인식 센서(9)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풍향계(8) 및 가스 인식 센서(9)가 가스가 포함된 바람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이지 않는 발화지점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화재감지기의 경우에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점 또는 화재감지기로부터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에서 발생한 화재는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풍향계가 없이 가스 인식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피로가 갈리는 지점에서 어느 방향으로 가는 것이 안전한 것인지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풍향계(8)와 가스 인식 센서(9)를 조합하여 화재가 발생한 방향까지 알 수 있다면, 그 경로를 대피 경로에서 제외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방향지시유닛(10)의 구조 및 동작원리 그리고 화재 발생시 이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의 동작원리에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은, 상기 발광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1)와, 상기 발광신호에 따라 공간의 이동 경로에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발광부(12)와, 상기 발광부(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와, 실내의 조명등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전원부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의 노출면에 제공되는 태양전지(17)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12)는 가변적인 방향 지시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가변적인 방향 지시등이라 함은, 방향지시유닛(10)이 각각 4방향을 표시하는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 점광원의 형태로 제공된 후 각 점광원들이 모여서 필요에 따라 가변적인 방향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무선통신은 ZigBee 통신이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의 경우에는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근거리 통신으로서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불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 2.4GHz의 ISM 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12)의 광원은 고휘도 LED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휘도 LED는 시인성이 우수한 백색광이 발광되는 것으로서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안개가 낀 상태에서도 높은 시인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전원부(16)는 초소형의 전원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튬-폴리머 전지를 많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부당하게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지시유닛(10)은 일반적으로 바닥면 혹은 벽의 측면에 매립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면 중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태양전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근 각광을 받는 염료반응형 태양전지가 될 수도 있으며, 실내의 조명등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발전이 가능한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방향지시유닛(10)에 발전 및 충전 모듈을 설치하여 전기를 외부에서 공급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생성하여 화재시 수반되는 정전 상황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대피 경로'는 '최단 대피 경로'뿐만 아니라 '최적 안전 경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단 대피 경로'는 의미 그대로 현재위치로부터 대피소(비상문)까지의 최단 경로이다. 물론, 최단 대피 경로는 화재가 발생한 경로를 회피하는 경로 중 최단 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최적 안전 경로'는 여러가지 위험 인자를 고려하여 제어유닛(5)이 판단하는 경로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와 같이 풍향계를 이용하여 화재감지유닛(1)이 보이지 않는 가스의 흐름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그 가스의 흐름이 없는 또는 최소화되는 경로를 선택하여 최적 안전 경로를 선정할 수 있다.
즉, 제어유닛(5)은 대피 경로 중에서 화재가 직접적으로 발생한 지점이 포함된 경로를 제외할 수 있고, 또한 화재 지점으로부터 유동하는 가스의 흐름을 시뮬레이션하여 가스의 흐름이 많거나 있는 경로를 제외하여 최적 안전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최단 경로 알고리즘과 안전 경로 알고리즘을 조합하여 최적의 안전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 번째 실시 예로서, 제어유닛으로부터 방향지시유닛으로 전송되는 발광신호에는 화재 발생 위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은 설치시에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해당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화재가 발생시에 상기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발광부(1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방향지시유닛(10)은 화재가 발생시, 해당 공간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맵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화재 발생 위치 정보와 비상문의 위치 정보를 대입하고, 해당 방향지시유닛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갈 수 있는 대피 경로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 대피 경로의 방향으로 발광부(1)에 제공되는 방향 지시등을 작동시키게 된다.
다만, 각 방향지시유닛(10)에서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최단 거리 알고리즘을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방향지시유닛(10)에서 동일한 결과의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각 방향지시유닛(10)간의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장점 중의 하나는 화재 발생 위치 등의 특정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안내할 수 있도록 방향 지시등의 표시 방향을 가변적으로 변화하여 보여주는 것에 있다.
두 번째 실시 예로서, 상기 제어유닛(5)에서 대피경로를 계산, 생성하여 이에 따라 각각의 방향지시유닛(1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은 각각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5)은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유닛(5)은 화재 발생시에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발광부(12)의 표시 방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광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발광신호에는 각각의 방향지시유닛(10)의 고유 번호에 따른 발광 방향의 신호를 포함하여 한꺼번에 방향지시유닛(10)에 전송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유닛(5)에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화재감지유닛(1)으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5)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5)이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5)이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발광부(12)가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 방향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에 전송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이 전송받은 표시 방향 신호에 따라 발광부의 방향 신호를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방향지시유닛(10)에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해당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5)이 상기 화재감지유닛(1)으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방향지시유닛(10)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이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방향지시유닛(10)이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발광부(12)의 방향 신호를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 : 화재감지유닛, 5 : 제어유닛, 10 : 방향지시유닛, 11 : 무선통신부, 12 : 발광부

Claims (7)

  1.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과, 상기 화재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방향지시유닛을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유닛은,
    상기 발광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상기 발광신호에 따라 공간의 이동 경로에 대피방향을 표시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실내의 조명등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전원부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방향지시유닛의 노출면에 제공되는 태양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가변적인 방향 지시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신호는 화재 발생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지시유닛은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해당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유닛은 각각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발광부의 표시 방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광신호에 포함시키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유닛은, 풍향계와 가스 인식 센서이고,
    상기 제어유닛은, 대피경로 생성시 가스가 불어오는 방향을 회피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5.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과, 상기 화재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가변적인 방향 지시등의 형상인 발광부가 제공되는 방향지시유닛을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에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화재감지유닛으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이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의 발광부가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표시 방향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각각의 방향지시유닛에 전송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방향지시유닛이 전송받은 표시 방향 신호에 따라 발광부의 방향 신호를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어 방법.
  6. 공간의 이동 경로 중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유닛과, 상기 화재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하기 방향지시유닛의 발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발광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공간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가변적인 방향 지시등의 형상인 발광부가 제공되는 방향지시유닛을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유닛에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 비상문의 위치 정보, 해당 방향지시유닛의 설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화재감지유닛으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방향지시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방향지시유닛이 상기 공간의 이동 경로의 맵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여 비상문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방향지시유닛이 대피 경로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도록 발광부의 방향 신호를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어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유닛은 화재 가스의 유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어유닛은 화재 가스의 유동 경로를 더 회피하도록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10062606A 2011-06-28 2011-06-28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6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606A KR101261448B1 (ko) 2011-06-28 2011-06-28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606A KR101261448B1 (ko) 2011-06-28 2011-06-28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65A true KR20130001765A (ko) 2013-01-07
KR101261448B1 KR101261448B1 (ko) 2013-05-10

Family

ID=4783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606A KR101261448B1 (ko) 2011-06-28 2011-06-28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4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65B1 (ko) * 2019-02-18 2020-04-29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화재 발생시 비상문 유도 제어장치
KR102124067B1 (ko) * 2018-12-26 2020-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연기확산과 피난로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4097B1 (ko) * 2018-12-26 2020-06-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5624B1 (ko) * 2023-04-13 2024-03-11 (주) 텔로스 지능형 ai 재난 대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58B1 (ko) 2018-01-30 2019-06-20 주식회사 삼우이머션 피난 유도물 및 피난 유도원의 배치효율 평가 방법
KR102014099B1 (ko) * 2018-02-19 2019-08-26 에이엘 주식회사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4044B1 (ko) 2021-01-12 2021-06-14 동광전자 주식회사 비상상황 대피 방송 시스템의 처리방법
KR102264040B1 (ko) 2021-01-12 2021-06-14 동광전자 주식회사 비상상황 대피 방송용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067B1 (ko) * 2018-12-26 2020-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연기확산과 피난로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4097B1 (ko) * 2018-12-26 2020-06-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5965B1 (ko) * 2019-02-18 2020-04-29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화재 발생시 비상문 유도 제어장치
KR102645624B1 (ko) * 2023-04-13 2024-03-11 (주) 텔로스 지능형 ai 재난 대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448B1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448B1 (ko)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1485167B1 (ko) 화재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559569B1 (ko) 비상 피난 유도용 조명 장치
US20120038479A1 (en)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llumination devices
KR101059612B1 (ko) 저전력 무선 감지센서를 이용하는 led 비상구 표시등을 구비한 화재 비상표시 유도 시스템
US20140132183A1 (en) Method for guiding a human to a reference location, and light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use in such method
JP3171658U (ja) 緊急用照明装置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1516879B1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KR20070012756A (ko) 지능형 비상유도라인 시스템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20050045965A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0998997B1 (ko)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KR101896540B1 (ko) 화재안전 엘이디조명 시스템
KR200402264Y1 (ko) 복합 비상유도장치
CN209525730U (zh) 一种自动生成逃生路线的系统
CN204680123U (zh) 一种消防疏散系统
TW201441987A (zh) 智慧型消防方向指引裝置
KR20210091852A (ko) 화재시 대피 경로 알림 시스템
KR20170010346A (ko) 대피안내 겸용 조명장치
KR101023787B1 (ko) 대피 유도등 그룹 제어 시스템
KR100971376B1 (ko) 비상조명등
JP2015001919A (ja)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