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559A -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신규한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 - Google Patents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신규한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559A
KR20130001559A KR1020110062400A KR20110062400A KR20130001559A KR 20130001559 A KR20130001559 A KR 20130001559A KR 1020110062400 A KR1020110062400 A KR 1020110062400A KR 20110062400 A KR20110062400 A KR 20110062400A KR 20130001559 A KR20130001559 A KR 20130001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vaccine
influenza
ser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245B1 (ko
Inventor
강상무
송재민
김민철
Original Assignee
강상무
송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무, 송재민 filed Critical 강상무
Priority to KR102011006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2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4Virus avirulent or atten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8Virus-lik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4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tag for immunodetection, or an epitope for immun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2 단백질이 막에 부착된 형태의 바이러스-유사 입자 (VLP: Virus-Like Particle) 및 불활성화 또는 약독화된 인플루엔자 백신을 함유하는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은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가지며, 동형 뿐 아니라 이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까지 예방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신규한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 {Novel supplemented influenza vaccine having broad cross protective activity}
본 발명은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에 관한 것이다.
독감은 독감바이러스 (Influenza virus)의 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병으로 매년 전 세계 10-20% 인구에서 발생한다. 이중 약 200만 명의 사상자와 미국에서만 매년 약 120 억불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독감바이러스는 생물학적 특성상 다양한 아형(subtype)이 존재한다. 이는 바이러스의 면역원성을 결정하는 두가지 단백질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HA)과 뉴라미니다아제 (Neuraminidase: NA) 단백질의 다양성에 기인하는데, 일 예로 A형 인플루엔자에 대해서 HA 16종, NA 9종이 존재하고 또 이들의 변이가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독감백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그 해에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균주를 미리 예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백신을 제작해야 한다. 따라서 유행균주에 맞춰 백신을 매년 반복적으로 제작해야 할 뿐 아니라 실제 유행하는 균주가 백신 제작시 사용한 균주와 일치하지 않거나, 변이가 큰 새로운 균주가 유행할 경우 기존의 백신은 효과가 현저히 낮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최근의 가장 좋은 예가 전 세계적으로 2009년 대유행한 신종 플루이었다.
현재 2종의 치료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공급 수량이 제한되어 있고 내성균이 발생하여 치료제가 무력화되는 경우가 많아 심각한 보건상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범용 백신을 개발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는 입자 표면에 M2 단백질이 존재하며 이는 바이러스 생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여 서로 다른 아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간에 동일한 항원성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M2 단백질의 세포외 영역에 해당하는 펩타이드를 합성하여 전달체에 결합한 형태로 백신을 제작한 바 있다 (Fu 등, Vaccine 27, 2009, p.1440-7, Comparative immunogenicity evaluations of influenza A virus M2 peptide as recombinant virus like particle or conjugate vaccines in mice and monkeys; Huleatt 등, Vaccine 26, 2008, p.201-14, Potent immunogenicity and efficacy of a universal influenza vaccine candidate comprising a recombinant fusion protein linking influenza M2e to the TLR5 ligand flagellin; Neirynck 등, Nat Med 5, 1999, p.1157-63, A universal influenza A vaccine based on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M2 protein). 이렇게 제작된 백신은 동물실험을 통해 M2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백신을 접종한 동물이 바이러스 공격접종에 대해 방어능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콜레라 톡신, 열 민감성 엔도톡신 유도체, 사포닌 QS21, 프로인트 항원보강제, 박테리아 단백질 (De Filette 등, Vaccine 24, 2006, p.544-51, The universal influenza vaccine M2e-HBc administered intranasally in combination with the adjuvant CTA1-DD provides complete protection; Eliasson 등, Vaccine 26, 2008, p.1243-52, CTA1-M2e-DD: A novel mucosal adjuvant targeted influenza vaccine; Fu 등, Vaccine 27, 2009, p.1440-7, Comparative immunogenicity evaluations of influenza A virus M2 peptide as recombinant virus like particle or conjugate vaccines in mice and monkeys; Huleatt 등, Vaccine 26, 2008, p.201-14, Potent immunogenicity and efficacy of a universal influenza vaccine candidate comprising a recombinant fusion protein linking influenza M2e to the TLR5 ligand flagellin; Mozdzanowska 등, Virol J 4, 2007, p.118. Roles of adjuvant and route of vaccination in antibody response and protection engendered by a synthetic matrix protein 2-based influenza A virus vaccine in the mouse)와 같은 면역향상조절제(adjuvants)가 필요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물 실험에서 체중감소를 동반한 임상증상이 발생하고 특히 백신과 서로 다른 아형의 공격접종에 대해서 높은 치사율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면역향상조절제는 안정성의 염려로 인해 인간에 대한 사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연구는 기존에 제작된 M2 백신을 통한 면역반응 만으로는 충분한 방어능력이 형성될 수 없음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백신에 비해 면역력이 높고 더불어 전국적 유행병과 같은 예측하지 못한 바이러스의 확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백신의 개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가지며, 동형 뿐 아니라 이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M2 단백질을 발현하고 있는 바이러스 유사입자 (Virus like particle: M2-VLP)를 제조하였으며, 또한, M2-VLP 백신을 불활성화시킨 바이러스 백신과 혼합하여 마우스 비강에 2차에 걸쳐 면역한 경우 혈액과 점막 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수치가 불활성화시킨 바이러스 백신만 투여한 그룹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놀랍게도 치사량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마우스(생쥐)를 완벽하게 보호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상기 M2-VLP에 의한 효과가 동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만 국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아형의 이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어 면역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M2 단백질이 막에 부착된 형태의 바이러스-유사 입자 (VLP: Virus-Like Particle) 및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백신을 함유하는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바이러스 유사입자” 또는 “VLP”는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구조단백질을 포함하며, 대표적으로 표면단백질 (envelope protein)과 매트릭스단백질 (matrix protein)을 함유하는 반면,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은 함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VLP는 당 분야에 공지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VLP의 조립은 해당 구조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재조합 DNA 분자를 이용하여 적당한 숙주세포에 형질전환시킨 후 배양하면 세포 안에서 발현된 구조단백질이 세포 표면에서 조립된 후 배양상층액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 중에 VLP에 포함된 표면단백질은 고정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바이러스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 체내에서 바이러스에 대한 목적하는 면역반응을 도출할 수 있다.
VLP는 체내에서 항원으로 작용하며 수상돌기세포(dendritic cells)와 같은 항원표지세포와의 반응을 통해 T 또는 B 면역 세포에 항원을 표지하게 된다. VLP는 본래의 바이러스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유전물질은 갖고 있지 않아 증식이 불가능하여 백신과 같은 용도로 사용함에 있어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다. VLP의 표면에 삽입된 바이러스 표면단백질은 순수하게 분리된 재조합단백질에 비해 높은 항원성을 갖고 있으며 효과적인 중화항체를 형성할 수 있다. VLP를 이용한 백신의 대표적인 예로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에서 생산하고 있는 human papilloma virus type (HPV-16) L1 백신을 들 수 있다 (Markowitz et al., (2007). Quadrivalent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MMWR Recomm Rep 56: 1-24).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단백질의 유전자 염기서열과 해당하는 아미노산서열은 미국 유전자정보데이터베이스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에서 확보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 단백질의 변이체나 상동성을 갖는 유사단백질을 VLP에 삽입하여 더 좋은 면역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목적하는 VLP는 여러가지 단백질 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효모 발현시스템,(Markowitz et al., Quadrivalent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MMWR Recomm Rep 56: 1-24, (2007)), 베큘로바이러스 발현시스템, (Yamshchikov et al., Virology: 214, 50-58, (1995)), 변형된 재조합 폭스바이러스 발현시스템 (Modified Vaccinia Ankara: MVA) (Wyatt et al., Vaccine: 15, 1451-1458, (1996)), 재조합 수포성구내염 바이러스 발현시스템 (Vesicular Stomatitis Virus: VSV) ,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발현시스템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VLP는 바이러스의 구조단백질 및 표면단백질 발현벡터와 추가적으로 면역보강물질의 발현벡터를 숙주세포 내로 형질전환시켜 제조된다. 이때 사용되는 숙주세포로는 곤충세포 (Spodoptera frugiperda Sf 9 and Sf21cells), 고등동물세포 (EL4 cells and HeLa cells) 등이 사용되나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바이러스 단백질 및 면역보강물질을 발현시키는 벡터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벡터가 사용될 수 있다.
B 형 간염백신, Human pappilomavirus 백신 등 허가된 백신들 또는 여러가지 실험 백신들이 바이러스 유사입자 (VLP) 기술을 이용한 백신개발에 시도되고 있다 (Kang et al., Influenza vaccines based on virus-like particles. Virus Res;143:140-6, (2009)).
이러한 VLP 기술은 이미 연구되어 공지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연구및 백신 생산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관련 문헌의 예로는 [Kang et al., Influenza vaccines based on virus-like particles. Virus Res;143:140-6, 2009], [Kang et al., Influenza virus-like particles as pandemic vaccines. Curr Top Microbiol Immunol 2009; 333:269-89] 등이 있다.
이러한 VLP 기반 백신은 살아있어 복제가능한 바이러스와 같은 면역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바이러스 유사입자는 면역 세포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어 높은 항체형성 유도와 효과적인 보호면역을 유도한다 (Song JM, et al., Protective immunity against H5N1 influenza virus by a single dose vaccination with virus-like particles. Virology 405: 165-175, (2010); Sailaja G et al., Human immunodeficiency virus-like particles activate multiple types of immune cells. Virology 362: 331-341, (2007)).
본 명세서에서, M2 단백질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입자 표면에 존재하며, 바이러스 성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여 서로 다른 아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간에 동일한 항원성을 지니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M2 단백질은 4분자체로 이루어진 3형 막단백질의 일종이다. M2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감염되었을 때 바이러스 입자 내부로 수소이온을 공급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과정 중에 세포 내에서 발현된 M2 단백질은 세포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바이러스 조립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이때 M2 단백질에 대한 중화항체는 세포표면에 위치한 M2 단백질과 반응할 수 있으나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단백질 부위가 작아 충분한 면역원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다른 바이러스 단백질 (HA, NA)들이 세포 표면에 다수 존재하여 M2 단백질에 대한 중화항체만으로는 바이러스 감염을 방어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이 밝혀졌으며 최근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수의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De Filette et al., Improved design and intranasal delivery of an M2e-based human influenza A vaccine. Vaccine; Eliasson et al., CTA1-M2e-DD: A novel mucosal adjuvant targeted influenza vaccine. Vaccine 26: 1243-1252, (2008); Fan J, et al. Preclinical study of influenza virus A M2 peptide conjugate vaccines in mice, ferrets, and rhesus monkeys. Vaccine 22: 2993-3003, (2004); Heinen et al., (2002); Liu W, Zou P, Ding J, Lu Y, Chen YH (2005). Sequence comparison between the extracellular domain of M2 protein human and avian influenza A virus provides new information for bivalent influenza vaccine design. Microbes Infect 7: 171-177; Neirynck S, et al., A universal influenza A vaccine based on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M2 protein. Nat Med 5: 1157-1163, (1999)).
야생형 M2 단백질(서열번호 1)은 세포밖 돌출부위 (an amino-terminal extracellular domain: M2e), 막투과부위 (Transmembrane domain: TM) 그리고 세포 안 말단부위 (cytoplasmic domain: CT)의 3개의 구조적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각각 24, 19, 5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M2 단백질은 최소 하나 이상의 세포밖 돌출부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야생형 M2 단백질 전체를 가지고 있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M2e 단백질과 다른 이종단백질이 결합된 재조합 융합단백질이 사용될 수 있다. M2 단백질에 대한 면역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M2 단백질이 연결된 형태를 구성할 수 있으며, 박테리아 플라젤린을 포함한 플라젤린(Flagellin), TLR작동제, GM-CSF를 포함한 사이토카인, 알럼 등과 같은 면역향상제를 VLP 내에 M2 단백질과 동시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역보조 단백질이 포함된 VLP는 M2 특이적인 항원의 분비를 촉진시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더 좋은 방어효능을 나타냄이 밝혀졌다 (Wang et al., (2011). Intranasal immunization with influenza VLPs incorporating membrane-anchored flagellin induces strong heterosubtypic protection. PLoS One 5: e13972).
야생형 M2 단백질의 구조는 도 1의 (1)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조합 융합 인플루엔자 M2 단백질은 당업자의 기술 수준 범위 내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포 표면으로 노출된 외부 M2 단백도메인(M2e) 부분이 병렬로 연결된, 막에 부착된 형태의 재조합 M2 단백질 (도1의 (2); 서열번호 2),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M2e 부분이 헤마글루티닌의 HA2 도메인에 융합된 M2 단백질 (도1의 (3); 서열번호 3), 병렬 연결 M2e 부분이 플라젤린 (N-terminal domain of bacterial flagellin)과 다중융합단백질 (GCN4)에 융합된 M2 단백질 (도1의 (4); 서열번호 4), 면역향상제로써 GM-CSF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또는 야생형 박테리아 플라젤린을 M2 단백질 없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A 유래 막투과 부위와 세포질 말단부위에 결합된 단백질 (도 1-(5); 서열번호 5) 등과 같은 변형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재조합 단백질의 제조는 당 분야의 널리 알려진 재조합단백질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M2e 단백질은 다양한 종에 대한 M2e 단백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M2e 단백질에는 hM2e (인간), sM2e (돼지), a1M2e, a2M2e (조류) 등이 있다 (각각 서열번호 7 내지 10).
M2 에 대한 항체가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보호기능 및 바이러스 성장 억제 인자로 역할이 있음이 밝혀졌다 (Treanor et al., Passively transferred monoclonal antibody to the M2 protein inhibits influenza A virus replication in mice. J Virol 64: 1375-1377, (1990); Zebedee et al., Influenza A virus M2 protein: monoclonal antibody restriction of virus growth and detection of M2 in virions. J Virol 62: 2762-2772, (1988); Fu TM, et al., Characterizations of four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M2 protein ectodomain of influenza A virus. Virology 385: 218-226, (2009)).
M2 단백질은 인플루엔자 백신 항원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발표되었다. M2 단백질에 대한 항체만으로는 바이러스 감염을 방어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이 밝혀졌으며 최근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수의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De Filette et al., Improved design and intranasal delivery of an M2e-based human influenza A vaccine. Vaccine; Eliasson et al., CTA1-M2e-DD: A novel mucosal adjuvant targeted influenza vaccine. Vaccine 26: 1243-1252, (2008); Fan J, et al., Preclinical study of influenza virus A M2 peptide conjugate vaccines in mice, ferrets, and rhesus monkeys. Vaccine 22: 2993-3003, (2004); Heinen et al., 2002; Liu W, Zou P, Ding J, Lu Y, Chen YH, Sequence comparison between the extracellular domain of M2 protein human and avian influenza A virus provides new information for bivalent influenza vaccine design. Microbes Infect 7: 171-177, (2005); Neirynck S, et al., A universal influenza A vaccine based on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M2 protein. Nat Med 5: 1157-1163, (1999); Schotsaert M et al., Universal M2 ectodomain-based influenza A vaccines: preclinical and clinical developments. Expert Rev Vaccines 2009;8: 499-508)
본 명세서에서 M2-VLP 는 M2 펩타이드 혹은 단백질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유사입자 (VLP) 백신을 뜻한다. 또한, 바이러스 매트릭스단백질 (M1)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 단백질 (M2 또는 M2e)을 인코딩하는 유전자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면역조절물질 (플라젤린: FliC)을 인코딩하는 유전자가 단일 발현벡터 또는 둘 이상의 발현벡터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발현벡터는 숙주세포 내로 형질전환되어 인코딩하고 있는 단백질이 세포 내에서 발현되고, 세포 밖에서 VLP가 조립되고 세포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바이러스 구조단백질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 당단백질 그리고 면역조절물질의 발현은 연결되어 있는 적당한 프로모터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프로모터는 배큘로바이러스 프로모터, 재조합 MVA 프로모터, CMV (cytomegalovirus) 프로모터, EF (elongation factor) 프로모터, 아데노바이러스 프로모터, 재조합 VSV 프로모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프로모터, 재조합 알파바이러스 프로모터, 재조합 DNA 발현 백터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M2-VLP 의 제조는 당업자가 통상의 기술 수준의 범주 내에 속한다. 예컨대, 야생형 M2 혹은 도1에 나타난 다양한 구조의 M2를 발현하는 유전자를 배큘로바이러스 셔틀 벡터 플라즈미드 (pFastBac vector plasmid, Invitrogen, Carlsbad, CA) 에 클로닝하고,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유전체 (recombinant Bacmid baculovirus) DNA를 얻기 위해 박테리아(DH10Bac competent cells, rAcNPV, Invitrogen, Carlsbad, CA)에 도입하여 스크리닝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유전체를 곤충세포 (SF9 insect cells)에 형질감염시킨다. M2 단백질을 발현하는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를 다시 곤충세포에 감염시켜 M2-VLP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M2-VLP를 포함하는 배양 상층액을 QuixStand hollow fiber (GE Healthcare, Piscataway, NJ)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는 논문 [Song JM, et al., Influenza virus-like particles containing M2 induce broadly cross protective immunity. PLoS One 6: e14538, (2011)]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M2-VLP 의 예시적 구조는 도2 에 제시된 바와 같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M2-VLP는 기존의 인플루엔자 백신과 혼합 투여할 경우 여러 아형의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대해 혁신적으로 향상된 교차방어 효능을 나타낸다.
여기서, M2-VLP와 혼합 투여되는 기존의 인플루엔자 백신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불활성화 (바이러스 백신 혹은 바이러스 입자를 파괴한 스플릿 백신을 포함) 또는 약독화시킨 형태이며, H1N1형과 H3N2 형을 포함한다. 이러한 불활성화된 바이러스 백신, 바이러스 입자를 분쇄파괴한 형태의 스플릿 백신, 또는 약독화된 인플루엔자 백신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시판되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미국에는 두 가지 종류의 인플루엔자 백신이 식품의약품안전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의 허가를 받아 판매 중이다. 이들은 모두 삼가(Trivalent)의 불활성화 백신 (포르말린 (0.01% formalin)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혹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해서 바이러스입자를 파괴한 스플릿 백신) 또는 약독화된 인플루엔자 백신이다. 이 두가지 형태의 계절형 백신은 매년 백신균주로 지정된 H3N2 형과 H1N1형 그리고 B형, 총 3종의 균주가 혼합된 삼가(Trivalent) 백신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시판되고 있는 불활성화 백신(바이러스 백신 혹은 바이러스 입자를 파괴한 스플릿 백신을 포함)으로는 AGRIFLU (Novartis), FLUZONE (Sanofi Pasteur), AFLURIA (CS Limited), FLULAVAL (ID Biomedical Corporation of Quebec), FLUARIX (GlaxoSmithKline), FLUVIRIN (Novartis) 등이 있으며 약독화 백신으로는 FLUMIST (MedImmune Vaccines)가 있다.
불활성화 삼가백신은 일반적으로 팔 또는 허벅지 근육에 주사하여 접종하며 6개월 이상이 된 건강한 영·유아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고 임산부에게도 접종이 가능하다. 여기서 건강한 사람이란 독감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약독화 백신은 비강 스프레이 형태로 접종하며 2세부터 49세까지를 접종대상으로 하며 임산부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 시판되어 사용하고 있는 백신은 불활성화된 전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혹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해서 바이러스입자를 파괴한 스플릿 백신, 또는 약독화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헤마글루티닌에 대한 항체형성을 통해 숙주의 보호능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보호 기능은 백신 균주에 한정되어 있다. 60여년 동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접종하고 있지만, 매년 변이가 있는 혹은 변이가 예상되는 균주에 대해 새로운 균주의 백신을 새로이 제조해야 하는 단점이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공통된 항원 백신 (M2-VLP)을 기존 백신에 보강하므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교차보호 백신 개발 개념 및 헤마글루티닌에 대해 항체를 형성하는 기존의 인플루엔자 백신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은 본 발명자의 최근 발표된 논문에 기술적 바탕을 두고 있다. (Song JM et al.,. Vaccination inducing broad and improved cross protection against multiple subtypes of influenza A virus. Proc Natl Acad Sci U S A 2011;108:757-61).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변이가 많은 헤마글루티닌 항원에 바탕을 둔 다양한 형태의 백신에 변이가 없는 공통된 M2 항원을 첨가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은 M2-VLP 를 1 ug/ml 내지 10 ug/ml 의 농도로 포함하고, 불활성화 또는 약독화 인플루엔자 백신을 0.5 ug/ml 내지 5 ug/ml 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백신은 기술 분야에 공지되고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일반적인 약제학적 투여를 위한 지침은 예를 들어, 문헌[Modem Vaccinology, Ed. Kurstak, Plenum Med. Co. 1994; Remington's Phar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Ed. Gennaro, Mack Publishing, 1990; and Modern Pharmaceutics 2nd Edition, Eds. Banker and Rhodes, Marcel Dekker, Inc. , 1990] 등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M2-VLP 및 불활성화 또는 약독화된 인플루엔자 백신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병용하여 치료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활성성분의 분해를 최소화하고, 대상체에 불리한 부작용 등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선택되며, 이는 당 분야에 잘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특정 담체의 사용에 국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M2-VLP 및 불활성화 또는 약독화된 인플루엔자 백신을 함유하는 백신의 제형으로, 안정제 또는 완충제 혹은 면역향상제 (adjuvants)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 양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 내 유효성분의 양은 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이는 종, 나이, 체중, 일반적인 건강상태 그리고 특히 접종하는 경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 체중 1kg 당 M2-VLP 의 양 0.1-45mg 및 불활성화 또는 약독화 인플루엔자 백신 1-45mg 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은 비경구 또는 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근육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미세바늘주사 및 비강스프레이 방식에 의한다. 적절한 투여경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의 적용대상이 되는 환자 또는 대상체는 동물이다. 포유동물 및 새, 특히 가금류는 백신 접종을 위해 적합한 대상이다. 바람직하게 환자는 사람이다. 환자는 본 발명의 백신의 접종에 응답하여 면역 반응을 생성시킬 수 있는 임의의 연령일수 있다. 생성된 면역 반응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발병된 질환 및 쇠약 증상으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다.
투여 시점은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인자에 의존한다. 예컨대, 초기 투여 후, 이어서 1회 이상의 부스터 용량을 투여하여 항체 역가를 유지할 수 있다. 투여 섭생의 예는 제1일 첫번째 투여후 1 또는 2개월에 2번째 투여, 이후 4, 6 또는 12개월에 3번째 투여하고, 추가의 부스터 투여는 필요에 따라 긴 투여 시점을 두고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은 기존의 백신에 비해 면역력이 높고 더불어 전국적 유행병과 같은 예측하지 못한 바이러스의 확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가진다.
도1은 본 발명에 사용된 M2단백질의 구조를 나타낸 도로써, (1) 야생형 M2단백질의 구조, (2) 세포 표면으로 노출된 외부 M2 단백도메인(M2e) 부분이 병렬로 연결된, 막에 부착된 형태의 재조합 M2단백질의 구조, (3)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M2e 부분이 헤마글루티닌의 HA2 도메인에 융합된 M2 단백질의 구조, (4) 병렬 연결 M2e 부분이 플라젤린 (N-terminal domain of bacterial flagellin)과 다중융합단백질 (GCN4)에 융합된 M2 단백질의 구조, (5) 면역향상제가 막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재조합 단백질의 구조 (Bacterial flagellin or Granulo-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면역향상제가 M2단백질과 동시에 발현된 바이러스 유사입자 (M2-VLP)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야생형 M2-VLP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크기막대= 100 nm).
도 4은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을 통해 바이러스 및 제작된 M2-VLP 내 M2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도이다 (화살표는 야생형 또는 재조합 융합 M2 단백질을 나타냄).
도 5는 재조합 M2-VLP 또는 수용성 M2 단백질을 숙주동물에 접종한 후 면역원성을 ELISA 법으로 검출한 도이다.
도6는 재조합 M2-VLP를 불활성화 바이러스 백신과 혼합하여 투여했을 때 M2단백질에 대한 항체 역가를 측정한 도이다.
도7은 재조합 M2-VLP를 불활성화 바이러스 백신과 혼합하여 투여했을 때 이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교차방어면역 반응을 나타낸 도이다. (이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Phil: H3N2 A/Philippines/2/82, VN04: 고병워성 조류 H5N1 A/Vietnam/04/05, Cal/09: 2009 신종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California/04/2009).
도 8 은 M2-VLP 백신의 다른 형태의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해 M2 특이 항체 형성 효과 및 증가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재조합 M2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 의 디자인 및 제작
야생형 M2 단백질에 추가로, 야생형 M2 단백질과 비교하여 향상된 항원성을 갖는 재조합 M2 단백질을 다음과 같이 디자인하고, 제작하였다:
(i) 동형 또는 이형의 M2 단백질의 세포외 영역이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고, 막투과 부위와 세포질 말단부위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A 에서 유래한 것으로 치환된 M2 단백질 (도 1-(2); 서열번호 2);
(ii) 동형 또는 이형의 M2단백질의 세포외 영역 5개가 HA2 서브유닛에 결합되고 막투과 부위와 세포질 말단부위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A 에서 유래한 것으로 치환된 M2 단백질 (도 1-(3); 서열번호 3);
(iii) 면역향상제로서 박테리아 플라젤린의 아미노기 말단 156번째 아미노산과 카르복실기 말단 140번째 아미노산 사이에 도1-(3)의 구조가 삽입되어 있고 M2 단백질의 자연구조 형성에 도움을 주는 Leucine zipper motif (tGCN4) 가 결합되어 있는 M2 단백질 (도 1-(4); 서열번호 4);
(iv) 면역향상제로써 GM-CSF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또는 야생형 박테리아 플라젤린을 M2 단백질 없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A 유래 막투과 부위와 세포질 말단부위에 결합된 단백질 (도 1-(5); 서열번호 5).
야생형 M2 단백질 및 상기 디자인된 재조합 M2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각각의 유전자를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야생형 M2 단백질 (서열번호 1) 및 상기 재조합 융합 M2 단백질 (서열번호 2 내지 5)의 전장 서열을 암호화하는 DNA 를 먼저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서 곤충세포 혹은 동물세포에서 최적발현을 위해 코돈-최적화 DNA 서열을 작성하였다. 코돈-최적화 과정에서 정해진 재조합 융합 M2 단백질의 전장 서열 DNA는 DNA 합성전문회사인 “GeneScript” (http://www.genscript.com/)에서 주문하여 제조하였다. 재조합 융합 M2 단백질의 전장 서열을 운반하는 플라스미드의 제조를 위해서,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셔틀 백터 플라즈미드 (pFastBac vector plasmid, Invitrogen, Carlsbad, CA) 에 클론하였다. 상기 (i) 내지 (iii)의 재조합 M2 구조의 구축물은 제한효소 BamHI(NEB, Ipswich, MA) 과 HindIII(NEB, Ipswich, MA) 서열에 클로닝 될 수 있도록 이들 제한효소가 인식할 수 있는 DNA 서열을 포함하였다. 반면 (iv)의 변형된 플라젤린의 구축물은 제한효소 SalII(NEB, Ipswich, MA)과 HindIII(NEB, Ipswich, MA) 서열에 클로닝 될 수 있도록 이들 제한효소가 인식할 수 있는 DNA 서열을 포함하였다.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유전체 (recombinant Bacmid baculovirus) DNA 를 얻기 위해 박테리아에 (DH10Bac competent cells, rAcNPV, Invitrogen, Carlsbad, CA) 주입해 스크리닝 하였다. 스크리닝은 제한효소 인식 패턴 (pattern) 과 DNA 염기서열 결정으로 수행하였다. 자세한 제조 방법은 논문 [Song JM, et al., Influenza virus-like particles containing M2 induce broadly cross protective immunity. PLoS One 6: e14538, (2011)] 및 [Kang SM, et al.,Induction of long-term protective immune responses by influenza H5N1 virus-like particles. PLoS ONE 4: e4667, (2009)]를 참조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야생형 M2-VLP 제조 및 분리
재조합 M2-VLP를 참조문헌 (Kang SM, et al. (2009) PLoS ONE 4:e4667; Song JM, et al. (2010) Virology 405:165-175)에 기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작한 서열번호 1의 야생형 M2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를 배큘로바이러스 셔틀 벡터 플라즈미드 (pFastBac vector plasmid, Invitrogen, Carlsbad, CA) 에 클로닝하였다.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유전체 (recombinant Bacmid baculovirus) DNA를 얻기 위해 박테리아(DH10Bac competent cells, rAcNPV, Invitrogen, Carlsbad, CA)에 도입하고 스크리닝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 유전체를 곤충세포 (SF9 insect cells; CRL-1711;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 3 MOI(multiplicity of infection)의 농도로 형질감염하였다. 27℃ 배양기에서 48시간 진탕배양하였다. M2 단백질을 발현하는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를 다시 곤충세포에 감염시켰다. 배양배지를 수거하여 저속 원심분리하였다(4℃, 2000xg 에서 30분간). 침강된 세포는 제거하고 M2-VLP를 포함하는 배양 상층액을 QuixStand hollow fiber (GE Healthcare, Piscataway, NJ)를 사용하여 전체 부피를 1/5~1/10으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배양액으로부터 VLP를 분리하기 위해 수크로스 구배 초원심분리(Beckman ultracentrifuge, USA)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60% (wt/wt) 수크로스 상에 층을 형성시킨 다음 4℃, 28000 x g 에서 1시간동안 원심분리시킨다. 원심분리 후 20/60% 층에 형성된 VLP포함층을 수집하여 PBS 로 투석하고 (Slide-A-Lyzer Dialysis Cassettes 10K MWCO, Pierce, 4℃, 24시간), M2 단백질 VLP 함유농도를 측정하고,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재조합 M2-VLP 제조 및 분리
야생형 M2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 대신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작한 (i) 내지 (iv)의 재조합 M2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재조합 M2-VLP 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M2-VLP의 전자현미경 확인
분리, 정제한 M2-VLP를 일정량 채취하여 (0.1mg/ml, 10ul) 1% PTA (Phosphotungustic acid, Sigma, USA), pH 6.5 를 처리하여 네거티브 염색한 다음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3). 네거티브 염색된 인플루엔자 M2-VLP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3 에 나타내었다 (size bar=100nm).
<실험예 2> 야생형 M2-VLP 및 재조합 M2-VLP의 발현효율 평가
야생형 M2-VLP (1ug) 및 다양한 재조합 M2-VLP (각 1ug)을 이용하여 이들의 발현을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 바이러스 M2 단백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4의 1번, 2번 레인은 바이러스 5ug, 1ug을 시료로 하여 M2 단백질을 검출한 그림이며 도4의 3번, 4번, 5번, 6번, 7번은 각각의 야생형 (wt) 또는 재조합 M2-VLP 1ug을 시료로 하여 M2 단백질을 검출한 그림이다. 도4의 8번, 9번은 동형 또는 이형의 M2단백질의 세포외 영역 5개가 플라젤린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고 막투과 부위와 세포질 말단부위가 vpu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A 에서 유래한 것으로 치환된 재조합 M2-VLP 1ug을 시료로 하여 M2 단백질을 검출한 그림이다. 도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M2-VLP(3번 레인)에서 검출되는 M2 단백질의 양이 바이러스 (1, 2번 레인)에서 검출되는 M2 단백질의 양에 비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2 단백질의 세포외 영역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가진 재조합M2-VLP (레인4)의 경우 M2 함량이 10 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변형된 M2-VLP 백신이 M2에 대한 항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M2e 부분이 HA 단백질의 막투과부위와 세포질 꼬리(HA TM)에 결합된 M2 단백질인 경우 (5번, 7번 레인), 야생형 M2-VLP (3번 레인: wT M2-VLP) 보다 20 내지 30 배 이상 증가함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 인플루엔자 백신의 공통항원 첨가물로서 효과적인 M2-VLP 백신으로 사용된다. 또한 M2e 부분이 헤마글루티닌의 HA2 도메인에 융합된 M2 단백질인 경우도 (5번 레인) 바이러스 유사입자 (VLP) 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M2단백질의 면역학적 항원 특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박테리아 플라젤린 면역향상 단백질에 융합된 M2 구조도 바이러스 유사입자 (VLP) 에 발현 잘 되었음이 확인되었다 (8번, 9번 레인).
<실험예3> 재조합 M2-VLP 및 박테리아 플라젤린의 면역증강 효과 확인
재조합 M2 단백질(4xM2e) 또는 플라젤린 단백질(4M2etFliC)을 실험동물에 접종함으로써 면역원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조합 M2 단백질 (4xM2e)과 플라젤린 수용성 단백질(4M2etFliC)은 대장균에서 발현 정제하였다. 또한 재조합 M2VLP(4xM2e_tFliC VLP) 및 플라젤린 VLP(tFliC VLP)는 배큘로바이러스 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곤충세포에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발현 및 정제하였다.
6-8주령 암컷 마우스 (BALB/C, Harlan company, USA)를 사용하였으며 항원으로 2종의 재조합 M2 수용성 단백질 (4xM2e, 4xM2etFliC), 재조합 M2-VLP (4xM2e-tFliC VLP) 그리고 M2수용성 단백질과 플라젤린을 혼합한 조성물 (4M2e+tFliC VLP)을 각각 10ug씩 근육주사(IM), 미세바늘주사(MN) 및 비강(IN) 경로로 4주 간격으로 총 3회를 접종하였다. 마지막 접종 후 4주가 지난 뒤 시료용 혈액을 채취하고 ELISA 법을 통해 혈액내 존재하는 M2 단백질에 대한 항체 역가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M2 단백질 특이적인 항체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2가 플라젤린에 융합되거나 플라젤린 VLP를 면역향상제로 사용했을 경우 M2에 대한 면역반응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재조합 M2-VLP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마우스에 투여할 경우 M2 단백질 특이적인 항체가 형성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플라젤린 단백질은 면역향상물질로서 M2 에 대한 면역력이 증가함을 확인되었다.
<실험예4> 재조합 M2-VLP백신 함유 보강 백신의 M2 항체 생성효과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재조합 M2-VLP 를 불활성화시킨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백신과 혼합하여 제조한 독감바이러스 백신 조성물의 면역원성 및 방어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독감바이러스 (A/PR8바이러스) 백신은 포르말린을 사용하여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실험실에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인플루엔자 A/PR/8/34 (H1N1) 바이러스를 유정란에 10 HAU (hemaggulutination units)을 접종한 후 37℃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유정란의 요막액을 채취하여 저속원심분리(1000 x g, 30 분) 하고. 상층액을 QuixStand hollow fiber (GE Healthcare, Piscataway, NJ)를 사용하여 전체 부피를 1/5~1/10으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배양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분리하기 위해 수크로스 구배 초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60% (wt/wt) 수크로스 상에 층을 형성시킨 다음 4℃, 28000 x g 에서 1시간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20/60% 층에 형성된 바이러스 포함층을 수집하여 PBS 로 투석하고 (Slide-A-Lyzer Dialysis Cassettes 10K MWCO, Pierce, 4℃, 24시간), 바이러스 불활성화를 위해 포르말린 (0.01% formalin, Sigma, USA)을 혼합한 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르말린을 제거하기 위해PBS 로 투석하고 (Slide-A-Lyzer Dialysis Cassettes 10K MWCO, Pierce, 4℃, 24시간) 단백질 정량하여 최종 불활성화 백신을 완성하였다.
동물실험을 위해 6-8주령 암컷 마우스 (BALB/C)를 사용하였으며 2ug의 불활성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PR8i) 과 10ug의 재조합 M2-VLP를 혼합한 백신을 비강경로로 4주 간격, 2회 투여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백신이 없는 용액(PBS) 또는 M2 단백질 대신 M2와 상동성이 없는 곤충세포 발현HIV 유래 VLP를 동량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최종 백신 접종 후 4주가 지난 뒤 시료용 혈액을 채취하고 ELISA 법을 통해 혈액내 존재하는 M2 단백질에 대한 항체 역가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조합 M2-VLP가 포함된 백신 조성물에서는 M2단백질 특이적인 항체가 검출되었으나 M2-VLP가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PBS, HIVVLP)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즉, M2-VLP 백신의 보강은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백신의 M2 항체 생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재조합 M2-VLP 보강 백신의 다양한 아형의 인플루엔자에 대한 교차보호능력 증가효과
재조합 M2-VLP 보강 백신의 교차보호기능의 범위를 다양한 아형의 인플루엔자에 대해 공격 접종방법으로 생쥐 실험에서 확인하였다. 6-8주령 암컷 마우스 (BALB/C)를 사용하였으며 2ug의 불활성화시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PR8i)과 10ug의 재조합 M2-VLP를 혼합한 백신 조성물을 비강경로로 4주간격, 2회 투여 하였다. 대조군으로 M2-VLP를 혼합하지 않고 불활성화 시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만 접종한 그룹(PR8i)과 백신을 전혀 혼합되지 않은 PBS만 접종한 그룹(PBS)을 추가하였다. 백신 8 주 후, 접종한 백신과 서로 다른 아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3N2 형 A/Philippines/82 (Phili), H5N1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Vietnam/1203/04: VN/04) 및 2009 신종인플루엔자 바이러스 (Val/09) 를 각각 치사량의 6배에 해당하는 양으로 공격접종 하였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M2-VLP 없이 기존의 불활성화 백신만을 접종한 마우스에서는 Philippines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심각한 체중감소가 관찰된 반면(PR8i), M2-VLP가 첨가된 보강 백신을 투여한 그룹(PR8i+M2VLP)에서는 몸무게 감소 없이 효과적인 100% 교차 보호기능을 보였다. 이러한 교차보호 기능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VN/04) 및2009 신종인플루엔자 바이러스 (Val/09)의 공격접종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도7).
<실험예 6> 다른 형태의 인플루엔자에 대한 M2 특이 항체 형성유도 및 증가효과 확인
생쥐 (BALB/c mice, Halan company, 18 mice per group)에 근육 주사를 통해 백신을 1차 투여하였다. 투여된 백신의 양은 다음과 같았다: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전체 바이러스 백신 (Whole, 1 ug, 상기 PR8 불활성화 백신과 동일), 2009 신종 인플루엔자 스플릿 백신(Split, 1ug, Sanofi- Aventis, USA), WT M2-VLP (10 ug), 5XM2eVLP 백신 (10 ug, 도1-(4) (서열번호 5) Chimeric adjuvant fusion 5x M2e-TM.C 재조합 M2 단백질 VLP백신). 백신 투여 3주 후 마우스 혈액을 채취한 후 혈청을 분리하여 20배 희석한 후 존재하는 M2 특이 항체를 측정하였다.
도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변형된 재조합 M2-VLP 백신(10 ug, 도1-(4) Chimeric adjuvant fusion 5x M2e-TM.C 재조합 M2 단백질 VLP백신)은 M2 특이 항체 유도에 있어서 야생형 M2-VLP 와 비교하여 탁월한 능력을 나타냈다. 실험예 2의 발현실험에서 VLP 바이러스 유사입자 형태로 잘 발현이 될 경우 M2 특이적 항체 유도에도 상응하는 효과가 있음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또한, 본 실험예에서는 사람에 사용되는 Sanofi 회사의 2009 신종 인플루엔자 스플릿 백신 (detergent split A/California/2009 vaccine used for human, Sanofi vaccine company)을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근육 주사 방법을 적용하였다 (도 8).
M2 VLP 보강백신을 첨가하지 않은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전체 바이러스 백신 혹은 2009 신종 인플루엔자 스플릿 (Split) 백신 대조 그룹에 있어서 M2 특이적 항체는 유도되지 않았다. 다양한 아형의 M2 를 병렬로 연결되고, 막에 부착된 형태의 재조합 M2-VLP (fusion 5xM2e(PR8 TM) VLPs)를 보강 백신으로 사용했을 경우 M2 특이 항체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도 8).
<110> KANG, SANG MOO SONG, JAE MIN <120> Novel supplemented influenza vaccine having broad protective activity <130> P11-056-KSM <160> 10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97 <212> PRT <213> Influenza A virus <220> <221> PEPTIDE <222> (1)..(97) <223> M2 protein <400> 1 Met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Ile Arg Asn Glu Trp Gly 1 5 10 15 Cys Arg Cys Asn Asp Ser Ser Asp Pro Leu Val Ile Ala Ala Asn Ile 20 25 30 Ile Gly Ile Leu His Leu Ile Leu Trp Ile Leu Asp Arg Leu Phe Phe 35 40 45 Lys Cys Ile Tyr Arg Arg Phe Lys Tyr Gly Leu Lys Arg Gly Pro Ser 50 55 60 Thr Glu Gly Val Pro Glu Ser Met Arg Glu Glu Tyr Arg Lys Glu Gln 65 70 75 80 Gln Asn Ala Val Asp Val Asp Asp Gly His Phe Val Asn Ile Glu Leu 85 90 95 Glu <210> 2 <211> 15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ndem M2e-TM.CHA <400> 2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Ile Arg Asn Glu Trp Gly Ser 1 5 10 15 Arg Ser Asn Asp Ser Ser Asp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20 25 30 Ile Arg Asn Glu Trp Gly Ser Arg Ser Asn Asp Ser Ser Asp Ser Leu 35 40 45 Leu Thr Glu Val Glu Thr Pro Thr Arg Ser Glu Trp Glu Ser Arg Ser 50 55 60 Ser Asp Ser Ser Asp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Thr Arg 65 70 75 80 Asn Glu Trp Glu Ser Arg Ser Ser Asp Ser Ser Asp Ser Leu Leu Thr 85 90 95 Glu Val Glu Thr Leu Thr Arg Asn Gly Trp Gly Cys Arg Cys Ser Asp 100 105 110 Ser Ser Asp Leu Ala Ile Tyr Ser Thr Val Ala Ser Ser Leu Val Leu 115 120 125 Leu Val Ser Leu Gly Ala Ile Ser Phe Trp Met Cys Ser Asn Gly Ser 130 135 140 Leu Gln Cys Arg Ile Cys Ile 145 150 <210> 3 <211> 38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sion 5xM2e-HA2-TM.CHA <400> 3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Ile Arg Asn Glu Trp Gly Ser 1 5 10 15 Arg Ser Asn Asp Ser Ser Asp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20 25 30 Ile Arg Asn Glu Trp Gly Ser Arg Ser Asn Asp Ser Ser Asp Ser Leu 35 40 45 Leu Thr Glu Val Glu Thr Pro Thr Arg Ser Glu Trp Glu Ser Arg Ser 50 55 60 Ser Asp Ser Ser Asp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Thr Arg 65 70 75 80 Asn Glu Trp Glu Ser Arg Ser Ser Asp Ser Ser Asp Ser Leu Leu Thr 85 90 95 Glu Val Glu Thr Leu Thr Arg Asn Gly Trp Gly Cys Arg Cys Ser Asp 100 105 110 Ser Ser Asp Thr Lys Cys Gln Thr Pro Leu Gly Ala Ile Asn Ser Ser 115 120 125 Leu Pro Tyr Gln Asn Ile His Pro Val Thr Ile Gly Glu Cys Pro Lys 130 135 140 Tyr Val Arg Ser Ala Lys Leu Arg Met Val Thr Gly Leu Arg Asn Asn 145 150 155 160 Pro Ser Ile Gln Ser Arg Gly Leu Phe Gly Ala Ile Ala Gly Phe Ile 165 170 175 Glu Gly Gly Trp Thr Gly Met Ile Asp Gly Trp Tyr Gly Tyr His His 180 185 190 Gln Asn Glu Gln Gly Ser Gly Tyr Ala Ala Asp Gln Lys Ser Thr Gln 195 200 205 Asn Ala Ile Asn Gly Ile Thr Asn Lys Val Asn Thr Val Ile Glu Lys 210 215 220 Met Asn Ile Gln Phe Thr Ala Val Gly Lys Glu Phe Asn Lys Leu Glu 225 230 235 240 Lys Arg Met Glu Asn Leu Asn Lys Lys Val Asp Asp Gly Phe Leu Asp 245 250 255 Ile Trp Thr Tyr Asn Ala Glu Leu Leu Val Leu Leu Glu Asn Glu Arg 260 265 270 Thr Leu Asp Phe His Asp Ser Asn Val Lys Asn Leu Tyr Glu Lys Val 275 280 285 Lys Ser Gln Leu Lys Asn Asn Ala Lys Glu Ile Gly Asn Gly Cys Phe 290 295 300 Glu Phe Tyr His Lys Cys Asp Asn Glu Cys Met Glu Ser Val Arg Asn 305 310 315 320 Gly Thr Tyr Asp Tyr Pro Lys Tyr Ser Glu Glu Ser Lys Leu Asn Arg 325 330 335 Glu Lys Val Asp Gly Val Lys Leu Glu Ser Met Gly Ile Tyr Gln Ile 340 345 350 Leu Ala Ile Tyr Ser Thr Val Ala Ser Ser Leu Val Leu Leu Val Ser 355 360 365 Leu Gly Ala Ile Ser Phe Trp Met Cys Ser Asn Gly Ser Leu Gln Cys 370 375 380 Arg Ile Cys Ile 385 <210> 4 <211> 18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imeric adjuvant fusion 5x M2e-TM.CHA <400> 4 Gln Arg Val Arg Glu Leu Ala Val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1 5 10 15 Pro Ile Arg Asn Glu Trp Gly Ser Arg Ser Asn Asp Ser Ser Asp Ser 20 25 30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Ile Arg Asn Glu Trp Gly Ser Arg 35 40 45 Ser Asn Asp Ser Ser Asp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Thr 50 55 60 Arg Ser Glu Trp Glu Ser Arg Ser Ser Asp Ser Ser Asp Ser Leu Leu 65 70 75 80 Thr Glu Val Glu Thr Pro Thr Arg Asn Glu Trp Glu Ser Arg Ser Ser 85 90 95 Asp Ser Ser Asp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Leu Thr Arg Asn 100 105 110 Gly Trp Gly Cys Arg Cys Ser Asp Ser Ser Asp Gln Ile Glu Asp Lys 115 120 125 Leu Glu Glu Ile Leu Ser Lys Leu Tyr His Ile Glu Asn Glu Leu Ala 130 135 140 Arg Ile Lys Lys Leu Leu Ala Ile Tyr Ser Thr Val Ala Ser Ser Leu 145 150 155 160 Val Leu Leu Val Ser Leu Gly Ala Ile Ser Phe Trp Met Cys Ser Asn 165 170 175 Gly Ser Leu Gln Cys Arg Ile Cys Ile 180 185 <210> 5 <211> 26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juvant <400> 5 Met Lys Phe Leu Val Asn Val Ala Leu Val Phe Met Val Val Tyr Ile 1 5 10 15 Ser Tyr Ile Tyr Ala Ala Gln Val Ile Asn Thr Asn Ser Leu Ser Leu 20 25 30 Leu Thr Gln Asn Asn Leu Asn Lys Ser Gln Ser Ala Leu Gly Thr Ala 35 40 45 Ile Glu Arg Leu Ser Ser Gly Leu Arg Ile Asn Ser Ala Lys Asp Asp 50 55 60 Ala Ala Gly Gln Ala Ile Ala Asn Arg Phe Thr Ala Asn Ile Lys Gly 65 70 75 80 Leu Thr Gln Ala Ser Arg Asn Ala Asn Asp Gly Ile Ser Ile Ala Gln 85 90 95 Thr Thr Glu Gly Ala Leu Asn Glu Ile Asn Asn Asn Leu Gln Arg Val 100 105 110 Arg Glu Leu Ala Val Gln Ser Ala Asn Ser Thr Asn Ser Gln Ser Asp 115 120 125 Leu Asp Ser Ile Gln Ala Glu Ile Thr Gln Arg Leu Asn Glu Ile Asp 130 135 140 Arg Val Ser Gly Gln Thr Gln Phe Asn Gly Val Lys Val Leu Ala Gln 145 150 155 160 Asp Asn Thr Leu Thr Ile Gln Val Gly Ala Asn Asp Gly Glu Thr Ile 165 170 175 Asp Ile Asp Leu Lys Gln Ile Asn Ser Gln Thr Glu Asn Pro Leu Gln 180 185 190 Lys Ile Asp Ala Ala Leu Ala Gln Val Asp Thr Leu Arg Ser Asp Leu 195 200 205 Gly Ala Val Gln Asn Arg Phe Asn Ser Ala Ile Thr Asn Leu Gly Asn 210 215 220 Thr Val Asn Asn Leu Thr Ser Ala Arg Ser Arg Ile Glu Asp Ser Asp 225 230 235 240 Tyr Ala Thr Glu Val Ser Asn Met Ser Arg Ala Gln Ile Leu Gln Gln 245 250 255 Ala Gly Thr Ser Val Leu Ala Gln Ala Asn 260 265 <210> 6 <211> 9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x M2e sequence <400> 6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Ile Arg Asn Glu Trp Gly Ser 1 5 10 15 Arg Ser Asn Asp Ser Ser Asp Pro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20 25 30 Pro Ile Arg Asn Glu Trp Gly Ser Arg Ser Asn Asp Ser Ser Asp Pro 35 40 45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Ile Arg Asn Glu Trp Gly Ser 50 55 60 Arg Ser Asn Asp Ser Ser Asp Pro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65 70 75 80 Pro Ile Arg Asn Glu Trp Gly Ser Arg Ser Asn Asp Ser Ser Asp 85 90 95 <210> 7 <211> 23 <212> PRT <213> Influenza A virus <220> <221> PEPTIDE <222> (1)..(23) <223> hM2e (human) <400> 7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Ile Arg Asn Glu Trp Gly Ser 1 5 10 15 Arg Ser Asn Asp Ser Ser Asp 20 <210> 8 <211> 23 <212> PRT <213> Influenza A virus <220> <221> PEPTIDE <222> (1)..(23) <223> sM2e (swine) <400> 8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Thr Arg Ser Glu Trp Glu Ser 1 5 10 15 Arg Ser Ser Asp Ser Ser Asp 20 <210> 9 <211> 23 <212> PRT <213> Influenza A virus <220> <221> PEPTIDE <222> (1)..(23) <223> a1M2e (avine) <400> 9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Pro Thr Arg Asn Glu Trp Glu Ser 1 5 10 15 Arg Ser Ser Asp Ser Ser Asp 20 <210> 10 <211> 23 <212> PRT <213> Influenza A virus <220> <221> PEPTIDE <222> (1)..(23) <223> a2M2e (avine) <400> 10 Ser Leu Leu Thr Glu Val Glu Thr Leu Thr Arg Asn Gly Trp Gly Cys 1 5 10 15 Arg Cys Ser Asp Ser Ser Asp 20

Claims (9)

  1. 보강백신(supplement vaccine)으로써 M2 단백질이 막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의 바이러스 유사입자(VLP); 및
    불활성화 바이러스백신, 약독화 인플루엔자 백신, 서브유닛 백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교차방어 능력이 향상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2 단백질은 야생형 M2 단백질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거나 M2 단백질의 세포밖 도메인(M2 extracellular domain, M2e)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병렬구조를 가지는 융합 인플루엔자 M2 단백질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단백질은 M2 단백질 세포밖 영역과 면역향상 보조제 (molecular adjuvant)가 융합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향상 보조제는 플라젤린, TLR 작동제 (Toll-like receptor ligands), 사이토카인, 알럼 (Alum adjuvant)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M2 단백질 또는 M2 융합단백질의 막투과 부위와 세포질 말단부위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인플루엔자 HA단백질의 막투과 부위와 세포질 말단부위로 치환한 것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M2 단백질 또는 M2 융합단백질이 서열번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M2 단백질 또는 융합단백질은 고보존적 융합 HA2 펩타이드 (highly conserved fusion HA2 peptides)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인플루엔자 HA2 서브유닛과 결합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8. M2 단백질이 막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의 바이러스 유사입자와 불활성화, 약독화 인플루엔자 백신 또는 서브유닛 백신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함유하는, 교차 보호기능을 갖는 백신 조성물.
KR1020110062400A 2011-06-27 2011-06-27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신규한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 KR10130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00A KR101302245B1 (ko) 2011-06-27 2011-06-27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신규한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00A KR101302245B1 (ko) 2011-06-27 2011-06-27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신규한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59A true KR20130001559A (ko) 2013-01-04
KR101302245B1 KR101302245B1 (ko) 2013-09-02

Family

ID=4783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400A KR101302245B1 (ko) 2011-06-27 2011-06-27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신규한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5345B2 (en) * 2014-12-30 2020-06-09 Georgi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Recombinant influenza virus vaccines for influenz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5892B (zh) * 2005-10-18 2017-04-12 诺瓦瓦克斯股份有限公司 功能性流感病毒样颗粒(vlp)
WO2007130327A2 (en) 2006-05-01 2007-11-15 Technovax, Inc. Influenza virus-like particle (vlp) compositions
US20120052082A1 (en) 2010-04-09 2012-03-01 Zetra Biologicals, LLC Cross-protective influenza vacc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5345B2 (en) * 2014-12-30 2020-06-09 Georgi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Recombinant influenza virus vaccines for influenz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245B1 (ko)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8221B2 (en) Multivalent nanoparticle-based vaccines
US20190134185A1 (en) Universal influenza vaccine based on heterologous multiple m2e proteins
JP2014505681A (ja) 改変インフルエンザヘマグルチニン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使用
JP2023511444A (ja) 安定化されたnaを有する組換え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
US20220175910A1 (en) Novel influenza antigens
US9060972B2 (en) Recombinant hemagglutinin protein of influenza virus and vaccine containing the same
KR101302245B1 (ko) 넓은 범위의 교차 방어능력을 갖는 신규한 보강 인플루엔자 백신
KR101557191B1 (ko) 넓은 범위의 방어능력을 갖는 인플루엔자 단독 또는 보강 백신
KR20230091094A (ko) 융합 단백질 및 백신
Kong et al. Supplementation of H7N9 virus-like particle vaccine With recombinant epitope antigen confers full protection against antigenically divergent H7N9 virus in chickens
JP2020094054A (ja) ユニバーサルインフルエンザワクチン
CN114409802B (zh) 禽流感病毒三聚体亚单位疫苗及其应用
JP7491600B2 (ja) ユニバーサルインフルエンザワクチン
JP2009268471A (ja) センダイウイルスベクターを用いたワクチンおよびワクチンタンパク質
KR101695517B1 (ko) 헤마글루티닌을 표면에 발현하는 배큘로바이러스 기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191948A (ja) センダイウイルスベクターを用いたワクチンおよびワクチンタンパク質
JP2009102416A (ja) インフルエンザ血球凝集素多価ワクチンの製造方法
JP2013040205A (ja) インフルエンザ血球凝集素多価ワクチ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