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297U - 비만 측정용 줄자 - Google Patents
비만 측정용 줄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1297U KR20130001297U KR2020110007444U KR20110007444U KR20130001297U KR 20130001297 U KR20130001297 U KR 20130001297U KR 2020110007444 U KR2020110007444 U KR 2020110007444U KR 20110007444 U KR20110007444 U KR 20110007444U KR 20130001297 U KR20130001297 U KR 2013000129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besity
- tape measure
- display unit
- measuring
- circumfere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6—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inside body cavities, e.g. using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만 측정용 줄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비만 측정용 줄자는, 줄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기준이 되는 기준선이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선의 일측 또는 양측에 비만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한 조작으로 자신의 엉덩이 둘레 대비 허리 둘레 비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신의 비만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측정자의 허리 둘레나 엉덩이 둘레 치수에 따라 각 구획의 길이가 다르게 표시됨으로 인해 보다 정확하게 비만 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비만 측정용 줄자는, 줄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기준이 되는 기준선이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선의 일측 또는 양측에 비만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한 조작으로 자신의 엉덩이 둘레 대비 허리 둘레 비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신의 비만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측정자의 허리 둘레나 엉덩이 둘레 치수에 따라 각 구획의 길이가 다르게 표시됨으로 인해 보다 정확하게 비만 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줄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스로 자신의 비만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띠가 끼워져 엉덩이 둘레 대비 허리 둘레의 비율을 확인하여 측정하는 개인별 비만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비만 측정용 줄자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로 인해 현대인들의 주요한 관심 사항 중 하나가 비만이다.
이러한 비만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인별로 비만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처럼 각 개인의 비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복용 벨트"(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613호) 2페이지 청구항1을 살펴보면, 벨트의 내측면에 센티미터 및 인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형성하고, 벨트 체결을 위한 고리에는 치수별로 색을 달리 하여 벨트 착용자가 표준 허리 치수에 해당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또, "줄자달린 운동복"(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1734) 3페이지 청구항1에는 의류를 신체로 고정시키기 위한 줄에 줄자를 설치하여 허리 둘레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히 허리 둘레가 크면 비만임을 표시하는 식별 표시가 되어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원래 덩치가 매우 큰 씨름선수 같은 경우 허리둘레가 크다고 비만은 아니다.
또, 원래 몸집이 왜소하여 허리둘레의 절대 치수가 크지 않으나 신체 비례에 있어 배만 볼록한 비만도 있다.
그러므로 단순히 허리둘레의 절대값을 통해 비만을 진단하는 것은 오류가 있다 할 것이다.
최근에는 비만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엉덩이 둘레에 대한 배꼽기준 허리둘레의 비인 WHR(Waist Hip Ratio)가 신뢰성 있게 사용되고 있다.
의학계의 연구에 따르면 남자는 WHR이 1.0 이상이면 비만, 여자는 0.85 이상이면 비만이라고 한다.
그러나, WHR을 구하는 방법은 보건 체육 관련 심화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며, 안다 하더라도 번거로운 계산을 해야 한다.
또, 계산 결과는 소숫점을 포함한 숫자로 표현되는데, 숫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그 정도를 빠르게 실감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의 비만 측정용 줄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간편하게 자신의 비만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줄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비만 측정용 줄자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줄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기준이 되는 기준선이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선의 일측 또는 양측에 비만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WHR 0.5 ~ 1.5의 범위 내에서 WHR을 임의의 허리 둘레 또는 엉덩이 둘레를 기준을 길이로 환산하여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표시부는 측정자의 허리 둘레 또는 엉덩이 둘레 치수에 따라 각 구획의 길이가 다르게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상부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한 조작으로 자신의 엉덩이 둘레 대비 허리 둘레 비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신의 비만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측정자의 허리 둘레나 엉덩이 둘레 치수에 따라 각 구획의 길이가 다르게 표시됨으로 인해 보다 정확하게 비만 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비만 측정용 줄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남성 비만 측정용 줄자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성 비만 측정용 줄자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비만 측정용 줄자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비만 측정용 줄자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남성 비만 측정용 줄자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성 비만 측정용 줄자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비만 측정용 줄자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비만 측정용 줄자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비만 측정용 줄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비만 측정용 줄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만 측정용 줄자는 일반 줄자(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이동부재(10)는 줄자(1)를 감싸 간편하게 슬라이딩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은 도시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부재(10)가 줄자(1)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부재(10)에는 기준이 되는 기준선(20)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기준선(2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측정자의 비만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표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사진에서는 표시부(30)를 파랑, 노랑, 빨강의 세 가지 색으로 나뉘어 구획되어 사용자가 파랑이면 건강, 노랑이면 주의, 빨강이면 비만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표시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으로만 표시되는 것은 아니며, 글자나 구분선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특히, 표시부(30)의 상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치수 측정에 불편함이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이러한 비만 측정용 줄자가 남성용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남성용의 구성은 기준선(20)과 인접한 빨강, 노랑, 파랑색의 길이를 각각 8.1 cm로 정하였다.
이러한 산정의 근거는 일반적으로 남성의 허리둘레가 28인치일 경우 매우 가는 허리, 36인치면 비만 허리이므로, 중간수준인 32인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남성의 WHR이 0.9 ~ 1.0 이상을 비만으로 지적하는 바, 0.9 ~ 1.0의 범위를 노랑으로 산정하였다.
32인치의 0.1은 3.2인치 즉, 8.1cm가 되므로 노랑색의 길이는 약 8.1 cm가 되는 것이다.
노랑을 기준으로 기준선(20) 측은 빨강색, 반대 방향은 파랑색으로 하였다.
도 4에는 이러한 비만 측정용 줄자가 여성용으로 한정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성용의 구성은 빨강 색의 길이를 12.6 cm, 노랑색 4.2 cm, 파랑색 8.4 cm로 정하였다.
이러한 산정의 근거는 일반적인 여성 허리가 24인치일 경우 아주 가는 허리, 32인치면 비만 허리, 28인치가 중간수준의 허리이므로 28인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허리가 28인치인 경우 엉덩이 둘레는 33인치가 비만의 기준점이 된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WHR이 0.80 ~ 0.85 이상을 비만으로 지적하는 바, 이 범위를 노랑으로 산정하였다.
그러므로 33인치의 0.05는 1.7인치 즉 4.2cm가 되므로 노랑색의 길이는 약 4.2 cm로 산정하였다.
빨강은 엉덩이둘레의 0.85 지점부터이므로 33인치를 기준으로 0.15는 5.0인치 대략 12.6 cm 지점부터 시작된다.
파랑은 여성의 허리가 0.7 부터 0.8 사이가 정상이라는 연구가 있는 바, 기준선(20)의 25.1cm 아래 지점부터 시작하였다.
따라서 파랑색 구간 길이는 8.4 cm가 된다.
아울러, 여성의 경우 기준선(20)의 반대측에 여유분으로 1 cm를 두어 사용자들이 기준선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은 표시부(30)를 구성함에 있어서 대략 WHR 0.5 ~ 1.5의 범위 내에서 WHR을 임의의 허리 둘레를 기준으로 길이를 환산하여 구획되어 있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표준 허리 둘레 또는 엉덩이 둘레를 기준으로 환산하여 구획되어 있으나,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 기준 치수를 24인치에서 36인치가 되도록 하여 다양한 제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기준의 산정에 있어서 단순히 엉덩이 둘레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허리 둘레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방식도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엉덩이 둘레를 따라 환산되는 표시부(30)의 각 구획 길이는 다음 표와 같다.
먼저 남성용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둘레 (inch) | cm | 엉덩이둘레의 1.0(inch) | cm | 빨강구간(cm) | 노랑구간(cm) | 파랑구간(cm) |
28 | 71.1 | 28 | 71.1 | 7.1 | 7.1 | 7.1 |
29 | 73.7 | 29 | 73.7 | 7.4 | 7.4 | 7.4 |
30 | 76.2 | 30 | 76.2 | 7.6 | 7.6 | 7.6 |
31 | 78.7 | 31 | 78.7 | 7.9 | 7.9 | 7.9 |
32 | 81.3 | 32 | 81.3 | 8.1 | 8.1 | 8.1 |
33 | 83.8 | 33 | 83.8 | 8.4 | 8.4 | 8.4 |
34 | 86.4 | 34 | 86.4 | 8.6 | 8.6 | 8.6 |
35 | 88.9 | 35 | 88.9 | 8.9 | 8.9 | 8.9 |
36 | 91.4 | 36 | 91.4 | 9.1 | 9.1 | 9.1 |
엉덩이둘레 (inch) | cm | 엉덩이둘레의 0.85(inch) | cm | 빨강구간(cm) | 노랑구간(cm) | 파랑구간(cm) |
28 | 71.7 | 24 | 61.0 | 10.8 | 3.6 | 7.2 |
29 | 74.7 | 25 | 63.5 | 11.2 | 3.7 | 7.5 |
31 | 77.7 | 26 | 66.0 | 11.7 | 3.9 | 7.8 |
32 | 80.7 | 27 | 68.6 | 12.1 | 4.0 | 8.1 |
33 | 83.7 | 28 | 71.1 | 12.6 | 4.2 | 8.4 |
34 | 86.7 | 29 | 73.7 | 13.0 | 4.3 | 8.7 |
35 | 89.6 | 30 | 76.2 | 13.4 | 4.5 | 9.0 |
36 | 92.6 | 31 | 78.7 | 13.9 | 4.6 | 9.3 |
38 | 95.6 | 32 | 81.3 | 14.3 | 4.8 | 9.6 |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비만 측정용 줄자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먼저 도 5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둔부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을 지나도록 줄자(1)를 이용하여 엉덩이 둘레를 잰다.
그런 다음 이동부재(10)를 이동시켜 자신의 엉덩이 둘레 눈금에 이동부재(10) 상의 기준선(20)이 위치하도록 맞춘다.
그런 다음 도 6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신의 배꼽을 지나는 허리 둘레를 잰 다음 자신의 허리 둘레 눈금이 표시부(30) 상의 어느 구획에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비만 정도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표시부(30)의 각 구획이 표준이 되는 허리 둘레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는 표준이 되는 허리 둘레로부터 차이를 갖는 사람의 경우 표시부(30)의 각 구획이 자신의 체형에 맞지 않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부(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측정자의 허리 둘레 또는 엉덩이 둘레 치수에 따라 각 구획의 길이가 다르게 하여 도 7과 같이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기준이 되는 다양한 치수별로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해지게 된다 할 것이다.
1 : 줄자 10 : 이동부재
20 : 기준선 30 : 표시부
20 : 기준선 30 : 표시부
Claims (4)
- 줄자에 있어서,
줄자(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10)에는 기준이 되는 기준선(20)이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선(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비만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표시부(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측정용 줄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0)는 WHR 0.5 ~ 1.5의 범위 내에서 WHR을 임의의 허리 둘레 또는 엉덩이 둘레를 기준을 길이로 환산하여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측정용 줄자.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0)는 측정자의 허리 둘레 또는 엉덩이 둘레 치수에 따라 각 구획의 길이가 다르게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측정용 줄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0)의 상부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측정용 줄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7444U KR20130001297U (ko) | 2011-08-17 | 2011-08-17 | 비만 측정용 줄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7444U KR20130001297U (ko) | 2011-08-17 | 2011-08-17 | 비만 측정용 줄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297U true KR20130001297U (ko) | 2013-02-27 |
Family
ID=5242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7444U KR20130001297U (ko) | 2011-08-17 | 2011-08-17 | 비만 측정용 줄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1297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375B1 (ko) | 2015-10-06 | 2016-11-03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압력측정 겸용 줄자 |
-
2011
- 2011-08-17 KR KR2020110007444U patent/KR20130001297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375B1 (ko) | 2015-10-06 | 2016-11-03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압력측정 겸용 줄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30450B1 (en) | A breast measuring device for determining bra size | |
US4417401A (en) | Garment measuring device | |
EP3590373B1 (en) | Size measurement device and size measurement system | |
US20150351969A1 (en) | Compression gauge for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s | |
KR20130001297U (ko) | 비만 측정용 줄자 | |
CN206453312U (zh) | 用于测量身体尺寸的紧身衣 | |
Parker et al. | A method for increasing 3D body scanning’s precision: Gryphon and consecutive scanning | |
JP5152907B2 (ja) | ウエスト測定具 | |
Lee et al. | Development of compression wear tops for men in their forties based on muscle locations | |
KR200462884Y1 (ko) | 허리띠 | |
Ramos-Jiménez et al. | Plethysmographic and anthropometric validation of a 3D body image digitizer to determine body dimensions | |
CN103822585B (zh) | 一种间接测量方法、应用该方法的弹性膜及弹性膜的应用 | |
KR102289832B1 (ko) | 신체 치수 측정용 레깅스 | |
RU149647U1 (ru) | Эластичный эталон для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снятия мерок | |
CN205794940U (zh) | 一种自助量体工具 | |
ITRM20140070U1 (it) | Basi tavole guida per lo sviluppo del cartamodello per vestiario su misura (alta moda) e pret a porter (a taglie) per donna, bambini, adolescenti ed uomo. | |
US20240341387A1 (en) | Bra size measurement comparison device | |
WO2009150797A1 (ja) | メタボリック症候群用筒型シャツ | |
JP2009066300A (ja) | ウエスト測定用メジャー | |
JP2020143394A (ja) | 採寸用衣服及び衣服の製造方法 | |
CN107333646A (zh) | 一种女装测量衣及测量方法 | |
CN205456320U (zh) | 一种人体采寸腰带 | |
KR20060110033A (ko) | 다기능 혁대 | |
US2015010569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iastasis recti | |
Caldas et al. | Basic pattern design for care dependent elder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