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375B1 - 압력측정 겸용 줄자 - Google Patents

압력측정 겸용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375B1
KR101672375B1 KR1020150140112A KR20150140112A KR101672375B1 KR 101672375 B1 KR101672375 B1 KR 101672375B1 KR 1020150140112 A KR1020150140112 A KR 1020150140112A KR 20150140112 A KR20150140112 A KR 20150140112A KR 101672375 B1 KR101672375 B1 KR 10167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ase
type
uni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홍광욱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61Means for displaying or assisting reading of length measurement
    • G01B3/108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4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6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bellows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 G01L9/04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of resistance-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 G01L9/06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of piezo-resis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8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piezoelectric devices, i.e. electric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1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capacitance, i.e. electric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측정 겸용 줄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측정수단과 길이측정수단을 하나의 기기에 마련하여 사용 및 휴대 보관의 편의성을 높이고 피복압 측정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기능을 갖도록 한 압력측정 겸용 줄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관을 구성하며, 태엽 스프링을 포함하는 케이스;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태엽 스프링에 의해 권선되며, 양단부에는 각각 전극 단자가 마련된 한 쌍의 눈금부재;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눈금부재에 마련된 전극 단자가 서로 접점되거나 분리됨으로 인해 전원이 ON/OFF되는 전원부;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되, 측정 대상의 밀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대상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눈금부재 및 압력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의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력측정 겸용 줄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측정 겸용 줄자{A tape measure with pressure measuring means}
본 발명은 압력측정 겸용 줄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측정수단과 길이측정수단이 함께 마련되어 사용 및 휴대 보관의 효율성을 높인 압력측정 겸용 줄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식생활 문화의 향상 및 운동 부족 등의 이유로 비만이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비만 증상은 성인은 물론 아동, 청소년, 노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대상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복부 피하에 저장된 과도한 체지방은 혈액이 정맥 조직을 통해 간, 췌장 등 기관으로 이동할 때 함께 운반되어 고혈압, 콜레스테롤 및 혈당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복부 지방 세포는 염증, 혈액응고, 당뇨병, 심장질환 및 간, 신장 등에 관련된 합병증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은 운동의 필요성을 느끼며, 헬스 클럽이나 집에서 운동을 하고, 운동 효과를 살피기 위해 체중기, 혈당 측정기, 체지방 측정기, 칼로리 소모량 측정기 등을 운동보조 용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신체 치수를 재기 위한 치수 측정 수단은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운동 효과를 살피고 현 몸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이나 헬스 클럽, 나아가 의료 기관에 많이 보급된 상태이다.
상기 신체 치수 측정 수단은 상기한 체중기와 더불어 줄자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줄자는 복부 둘레를 측정하여 복부 피하 지방을 가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한 재질로 제공되므로 신체의 모든 부위의 둘레 및 길이를 잴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문 의료기관의 의료기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신체 치수에 따른 비만도 및 건강 상태를 용이하게 가늠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줄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줄자는 신체의 둘레와 이에 따른 길이만 측정하는 것이어서, 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압력측정수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압력측정수단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경우,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줄자에 표시된 눈금의 크기가 작아, 측정된 치수를 한눈에 알아보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20-2013-0001297
본 발명은 상기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된 치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표시기가 포함되고, 눈금 줄자와 압력측정수단이 하나의 기기에 마련된 압력측정 겸용 줄자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관을 구성하며, 태엽 스프링을 포함하는 케이스;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태엽 스프링에 의해 권선되며, 양단부에는 각각 전극 단자가 마련된 한 쌍의 눈금부재;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눈금부재에 마련된 전극 단자가 서로 접점되거나 분리됨으로 인해 전원이 ON/OFF되는 전원부;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되, 측정 대상의 밀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대상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눈금부재 및 압력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의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력측정 겸용 줄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눈금부재 단부는 고리 형태로 탈착되도록 구성되거나, 전기 커넥터 타입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엽스프링에 의한 눈금부재의 회전력을 이용해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자가 발전부는, 눈금부재가 권선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부착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되는 코일과, 코일로 부터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측정 수단은, 부르돈(Bourdon) 타입, 헬리컬 부르돈 타입, 벨로우즈 타입, 다이어프램(Diaphragm) 타입, 압전 타입, 정전용량 타입, 피에조 레지스티브 타입, 스트레인 게이지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줄자와 압력측정수단이 하나의 케이스 안에 마련됨으로써, 신체의 둘레 길이와 압력을 한번에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줄자와 압력측정수단을 각각 마련하여 측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해지므로,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시에 신체 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신체의 둘레 길이와 압력 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압력측정수단이 설치된 케이스를 측정 대상에 밀착한 상태에서 측정 대상에 눈금부재를 감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셋째, 신체 치수 측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신체 치수 측정 외에도, 피복 압력 실험을 위한 측정 장치로 사용될 수있으므로 수요처를 다각화하여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의 자가발전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압력측정수단이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횡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압력측정 겸용 줄자는 신체의 둘레 및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줄자와, 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측정 수단이 하나의 케이스에 함께 마련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신체의 둘레 길이와 압력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해질 수 있다.
압력측정 겸용 줄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눈금부재(200)와, 전원부(300)와, 압력측정수단(400)과, 제어부(500)와, 디스플레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압력측정 겸용 줄자의 외관을 구성하며, 그의 내부에는 압력측정수단을 포함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신체의 측정 부위에 밀착이 되며, 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밀착면(110)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케이스(100)의 밀착면(110)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신체와의 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신체의 둘레 길이측정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태엽 스프링(120)이 설치된다.
태엽 스프링(120)은 후술하는 눈금부재(200)가 권선되는 구성으로서, 눈금부재(200)를 풀어내거나 눈금부재(200)를 감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엽 스프링(120)은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불리기도 하며, 공지된 기술이므로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태엽 스프링(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눈금부재(200)가 케이스(100)의 양측에서 출입되면서 신체의 둘레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태엽 스프링(120)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눈금부재(200)는 측정 대상의 둘레 및 길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태엽 스프링(120)에 연결된다.
눈금부재(20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태엽 스프링(120)을 따라 감기거나 풀어진다.
즉, 눈금부재(200)는 사용자가 잡아당기거나 놓으면 태엽 스프링(120)과 연동되어 케이스(100)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신체의 둘레 및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눈금부재(200)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각각의 태엽 스프링(120) 단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한 쌍의 눈금부재(200)를 양손으로 잡아당겨 측정 부위를 둘러싼 후 치수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눈금부재(200)의 양단부에는 전극 단자(210)가 마련된다.
전극 단자(210)는 후술하는 전원부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 쌍의 눈금부재(200)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통전되도록 함으로써 전원부가 ON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전극 단자(210)는 눈금부재(200)의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미도시)에 연결되며, 케이블은 전원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한 쌍의 눈금부재(200) 단부에는 상호 간에 탈착될 수 있도록 탈착수단(220)이 마련된다.
탈착수단(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태로 구성되는데, 일측의 눈금부재(200) 단부에 마련된 전극단자(210)에는 후크(221)가 설치되고 타측의 눈금 부재(200) 단부에 마련된 전극단자(210)에는 상기 후크(221)가 걸릴 수 있는 원형의 걸림부재(222)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전원부(300)는 압력측정 겸용 줄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도 있으며, 자가발전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전원부(300)는 눈금부재(200) 및 압력측정수단(40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지털로 표시될 수 있는 전원 및 그 외에 소요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전원부(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가발전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자가 발전부(310)는 태엽 스프링(120)의 회전을 이용해 발전하며, 회전판(311)과, 자석(312)과, 코일(313)과, 충전부(314)를 포함한다.
회전판(311)은 태엽 스프링(120)의 회전과 연동되며, 태엽 스프링(120)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때, 회전판(311)은 케이스(100)의 바닥에 축 결합된다.
그리고, 자석(312)과 코일(313)은 회전판(311)의 회전에 의한 자기장을 통해 전기를 발생한다.
자석(312)은 회전판(311)에 고정되며, 상기 코일(313)은 회전판(311)의 하방에 고정된다.
그리고, 충전부(314)는 코일(313)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며, 전원부(30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가 발전부(310)는, 눈금부재(200)가 케이스(100)를 출입하면서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태엽 스프링(120)의 회전력을 이용해 전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으로, 압력측정수단(400)은 신체의 압력을 측정하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압력측정수단(400)은 신체에 밀착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부르돈 타입의 압력장치로 마련된다.
상기 부르돈 타입의 압력장치는 공지된 기술이며, 부르돈 타입의 압력장치 구성 및 압력측정이 이루어지는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눈금부재(200) 및 압력측정수단(40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산출하여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6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필요한 전원 역시 전원부(300)를 통해 공급받는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600)는 제어부(500)를 통해 전송된 측정값을 디지털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LCD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는 눈금부재(200)에 의한 길이 및 압력측정수단에 의한 압력이 각각 표시될 수 있도록 분리되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압력측정 겸용 줄자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신체의 복부 측정에 대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100)의 밀착면(110)이 복부에 밀착되도록 한 후, 눈금부재(200)의 양단부를 잡아당겨 케이스(100)로부터 상기 눈금부재(200)를 인출시킨다.
이후, 눈금부재(200)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후크(221)와 걸림부재(222)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눈금부재(200)의 전극 단자(210)가 서로 접점됨에 따라 통전되며, 전원부(300)는 ON된다.
그리고, 눈금부재(200)가 인출된 길이 만큼 복부 둘레의 길이가 측정되는데, 눈금부재(200)의 길이 측정은 태엽 스프링(120)의 회전수 측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눈금부재(200)의 인출 길이를 센싱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눈금부재(20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자가 발전부(310)를 통해 발전이 이루어지며, 생상된 전기는 충전부(314)에 충전된다.
한편, 눈금부재(200)를 통한 복부 둘레의 길이가 측정되면, 제어부(500)는 이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부(60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600)로 하여금 상기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눈금부재(200)에 의해 복부 둘레의 길이가 측정됨과 동시에, 복부에 밀착된 압력측정수단(400)은 복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어부(500)는 측정된 압력값을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복부 둘레 및 복부 압력 측정이 완료되면, 걸림부재(222)로부터 후크(221)를 풀어 눈금부재(200)의 결속을 해제시킨다.
이후, 태엽 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 눈금부재(200)는 원위치됨으로써, 압력측정 겸용 줄자를 통한 복부의 둘레 길이 및 압력 측정이 완료된다.
한편, 눈금부재(200)는 케이스(100)의 양측이 아닌 일측을 통해서만 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태엽 스프링(120)은 케이스(100) 내에 한 개만 설치되고, 그의 단부에는 눈금부재(200)가 연결된다.
이때, 눈금부재(200)는 케이스(100)의 일측을 통해 출입되고, 케이스(100)의 타측에는 전극 단자(210)가 설치된다.
이때, 눈금부재(200)의 단부 역시, 상기 케이스(100)의 전극 단자(210)에 접점될 수 있는 전극 단자(210)가 설치되며, 상기 눈금부재(200)의 전극 단자(210)와 케이스(100)의 전극 단자(210)는 서로 전기 커넥터로 구성된다.
즉, 이와 같은 눈금부재(200)의 구성은 사용자 단독으로 측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눈금부재(200)가 양방향이 아닌 일방향으로만 출입될 수 있는 한 개로 구성됨으로써, 한 손은 케이스(100)를 파지하고 다른 손은 눈금부재(200)를 잡아당겨 케이스(100)의 전기 커넥터(210)에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독으로 측정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압력측정 겸용 줄자를 이용해 신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케이스(100)를 복부에 밀착시킨 후, 눈금부재(200)를 잡아당겨 케이스(100)로부터 인출시킨 후 케이스(100) 타측의 전기 커넥터(210)에 연결시킨다.
이후, 제어부(500)는 눈금부재(200)에 의해 측정된 복부의 둘레 길이와, 압력측정수단(40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을 디스플레이부(600)로 하여금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복부 둘레 및 압력 측정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압력측정 겸용 줄자에 설치된 압력측정수단은 부르돈 압력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압력측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a는 헬리컬 부르돈 타입의 압력측정수단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b는 벨로우즈 타입의 압력측정수단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다이아 프램 타입의 압력측정수단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d는 압전 타입의 압력측정수단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e는 정전 용량 타입의 압력측정수단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f는 피에조 레지 스티브 타입의 압력측정수단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g는 스트레인 게이지 타입의 압력측정수단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에는 상기한 압력측정장치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는 신체 측정 뿐만 아니라 피복 압력 실험에도 사용될 수 있다.
피복압(clothing pressure)이란 의복과 인체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접촉 압력으로서 의복의 구속성과 운동 기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즉, 피복압은 예컨대 스타킹, 양말 및 내의 뿐만 아니라 스키니와 같은 몸에 달라붙는 의류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신체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과도한 피복압은 단순한 동작 구속성의 문제를 넘어서 혈행 장애, 위장 및 심장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압박으로 인해 요통 및 하퇴 부종이 유발되어지며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성장 장애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피복압을 측정하는 것은 중요한데, 피복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2-61925]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5-67514]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피복압 측정기가 마련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압력측정용 줄자는 전술한 피복압 측정기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
즉, 눈금부재(200)의 인출된 길이를 조절하면서 허벅지, 종아리, 팔뚝 둘레를 감싸도록 하고, 그 인출된 길이에 따라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피복압을 가늠하여 의류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는 신체 사이즈 뿐만아니라 피복압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측정 겸용 줄자는 압력측정수단과 길이(둘레)측정 수단인 눈금부재를 하나의 기기에 마련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기기로 압력과 길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피복압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밀착면
120 : 태엽 스프링 200 : 눈금부재
210 : 전극단자 220 : 탈착수단
221 : 후크 222 : 걸림부재
300 : 전원부 310 : 자가발전부
311 : 회전판 312 : 자석
313 : 코일 314 : 충전부
400 : 압력측정수단 500 : 제어부
6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4)

  1. 외관을 구성하며, 태엽 스프링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태엽 스프링에 의해 권선되며, 양단부에는 각각 전극 단자가 마련된 한 쌍의 눈금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눈금부재에 마련된 전극 단자가 서로 접점되거나 분리됨으로 인해 전원이 ON/OFF되는 전원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되, 측정 대상의 밀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 대상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며, 눈금부재 및 압력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값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력측정 겸용 줄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눈금부재 단부는 고리 형태로 탈착되도록 구성되거나, 전기 커넥터 타입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 겸용 줄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스프링에 의한 눈금부재의 회전력을 이용해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자가 발전부는,
    눈금부재가 권선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부착된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되는 코일과, 코일로 부터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 겸용 줄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 수단은,
    부르돈(Bourdon) 타입, 헬리컬 부르돈 타입, 벨로우즈 타입, 다이어프램(Diaphragm) 타입, 압전 타입, 정전용량 타입, 피에조 레지스티브 타입, 스트레인 게이지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측정 겸용 줄자.





KR1020150140112A 2015-10-06 2015-10-06 압력측정 겸용 줄자 KR10167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12A KR101672375B1 (ko) 2015-10-06 2015-10-06 압력측정 겸용 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12A KR101672375B1 (ko) 2015-10-06 2015-10-06 압력측정 겸용 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375B1 true KR101672375B1 (ko) 2016-11-03

Family

ID=5757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112A KR101672375B1 (ko) 2015-10-06 2015-10-06 압력측정 겸용 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7221A (zh) * 2016-12-28 2017-05-31 广州聚旭机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智能卷尺及其测量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893B2 (ja) * 1992-03-02 2000-12-11 正勝 高橋 救命索兼用のスケール
KR100404750B1 (ko) * 2000-09-08 2003-11-07 강정진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JP2005201866A (ja) * 2004-01-19 2005-07-28 Hara Doki Kk 発電機能を備える巻尺
KR20130001297U (ko) 2011-08-17 2013-02-27 정선배 비만 측정용 줄자
CN203069077U (zh) * 2012-11-28 2013-07-17 潘路 卷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893B2 (ja) * 1992-03-02 2000-12-11 正勝 高橋 救命索兼用のスケール
KR100404750B1 (ko) * 2000-09-08 2003-11-07 강정진 장신용 악세사리 겸 휴대폰용 목걸이줄
JP2005201866A (ja) * 2004-01-19 2005-07-28 Hara Doki Kk 発電機能を備える巻尺
KR20130001297U (ko) 2011-08-17 2013-02-27 정선배 비만 측정용 줄자
CN203069077U (zh) * 2012-11-28 2013-07-17 潘路 卷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7221A (zh) * 2016-12-28 2017-05-31 广州聚旭机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智能卷尺及其测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1109B (zh) 体脂肪测定装置
KR101079462B1 (ko) 체지방 측정 장치
EP2180091B1 (en) Pressure-sensitive conductive yarn and biological information-measuring garment
JP4893479B2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用胴部装着ユニットおよび体脂肪測定装置
US8879685B2 (en) Pedometer for shoe
JP4734977B2 (ja) 身体組成測定装置
WO2012011462A1 (ja) 体脂肪測定装置
JP5593767B2 (ja) 体脂肪測定装置
CN107157463A (zh) 血压测试装置及方法
CN102821682B (zh) 体脂肪测定装置
CN102131459B (zh) 内脏脂肪测定装置
KR101672375B1 (ko) 압력측정 겸용 줄자
US200803078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lower extremity volume
US1156462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asure of a circumference of a body part
CN201469257U (zh) 弹性生理讯号传输带
JP2013132326A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及び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方法
EP3387987A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bioelectrical impedance of a patient
JP2008228989A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用装着ユニット
CN106943135A (zh) 一种血压计
CN204292287U (zh) 一种用于定制裤子的身体尺寸测量器
CN215503002U (zh) 周径测量器
CN109009039A (zh) 一种基于中医诊断的血压检测仪
JP2014188029A (ja) 舌測定装置
Padasdao et al. Measuring chest circumference change during respiration with an electromagnetic biosensor
CN214804699U (zh) 一种智能监测呼吸的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