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125A -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125A
KR20130001125A KR1020120063020A KR20120063020A KR20130001125A KR 20130001125 A KR20130001125 A KR 20130001125A KR 1020120063020 A KR1020120063020 A KR 1020120063020A KR 20120063020 A KR20120063020 A KR 20120063020A KR 20130001125 A KR20130001125 A KR 2013000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ire
center
shoulder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토 사카키바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1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is provided to maintain a traction performance when going straight and to improve turn performance. CONSTITUTION: A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1) includes a tread portion(2) and multiple blocks(4) and a rotating direction(R) is specified. The tread portion includes a center area(Cr) which is the 1/6 area of a tread full width(TWe) whose center is a tire equator, a shoulder area(Sh) which is the 1/4 area of the tread full from a tread end(2t), and a middle area(Mi) which is an area between the center area and the shoulder area. The block includes a center block(6), a middle block(7), and a shoulder block(8). The center block, the middle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make a horizontal long form in which the length of a tire axis direction(L1)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a tire circumference direction.

Description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본 발명은, 직진시의 트랙션 성능을 유지하면서,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정지(不整地) 주행용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for unsteady running that can improve turning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raction performance when going straight.

예컨대, 사지(砂地)나 진창지 등의 부정지에서의 주행을 목적으로 한 ATV(ALL TERRAIN VEHICLE)이 알려져 있다. 이 ATV에는, 승용차에 장착되어 있는 디퍼렌셜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좌우의 타이어가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러한 ATV는, 선회시에 있어서 적어도 일측의 타이어를 노면에 대해 슬립시키면서 슬라이드시켜 선회해야 한다. For example, ATER (ALL TERRAIN VEHICLE) for the purpose of running in unsteady areas such as limbs and sludge is known. Since the ATV is not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device mounted on a passenger car, the left and right tires rotate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Therefore, in such an ATV, at least one tire should be slid while turning while sliding the tire on at leas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또한, 상기 ATV에 장착되는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에는, 트레드부에 가로로 긴 형태의 블록이 형성된 블록 패턴이 설치된다. 이러한 블록은, 직진시의 트랙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관련된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 있다. In addition, a block pattern in which a block having an elongated shape is formed in the tread portion is provided in the tread portion mounted tire mounted on the ATV. Such a block can exhibit traction performance when going straight. Related technologies include: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1-14860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48606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블록은, 선회시에 있어서도 부정지에 대해 큰 트랙션을 발생하기 때문에, ATV에 있어서 타이어를 원활하게 슬립시키면서 슬라이드시키기가 어려워, 선회 성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uch a block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lide while smoothly slipping the tire in the ATV, because a large traction is generated for unsteady even when turn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urning performance cannot be sufficiently maintained.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센터 블록, 미들 블록, 및 숄더 블록을,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가 타이어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가로로 긴 형태로 형성하고, 각 블록의 트레드면의 회전 방향의 선착측(先着側)을 향하는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를 정해진 범위로 한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직진시의 트랙션 성능을 유지하면서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facts, and the center block, the middle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are formed in a horizontally long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tire axial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tread of each block Unsteady driving that can improve turning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raction performance when going straight based on limiting the angle to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front edge toward the first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urface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main object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for use.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트레드부에 복수 개의 블록을 구비하며, 회전 방향이 지정된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는, 타이어 적도를 중심으로 하는 트레드 전개 폭의 1/6의 영역인 센터 영역, 트레드단으로부터 상기 트레드 전개 폭의 1/4의 영역인 숄더 영역, 및 센터 영역과 숄더 영역 사이의 영역인 미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센터 영역에 도심(圖心)을 갖는 센터 블록과, 상기 미들 영역에 도심을 갖는 미들 블록과, 상기 숄더 영역에 도심을 갖는 숄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블록, 상기 미들 블록, 및 상기 숄더 블록은,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가 타이어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가로로 긴 형태를 이루고, 각 블록의 트레드면의 회전 방향의 선착측을 향하는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가 하기 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s, wherein the rotation direction is specified, and the tread portion is a region of 1/6 of the tread development width centered on the equator of the tire. An in center region, a shoulder region which is a quarter of the tread development width from the tread end, and a middle region which is an region between the center region and the shoulder region, wherein the block is located in the center region in the center of the center; And a center block having a city center in the middle region, and a shoulder block having a city center in the shoulder region, wherein the center block, the middle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have a length in a tire axial direction. It forms a horizontally long shap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front edge toward the first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read surface of each block is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equation group (1).

Crθ<Miθ<Shθ…(1)Crθ <Miθ <Shθ.. (One)

여기서, 부호는 다음과 같다. Here, the sign is as follows.

Crθ: 센터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 Cr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center block

Miθ: 미들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 Mi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middle block

Shθ: 숄더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Sh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shoulder block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미들 블록 및 상기 숄더 블록의 상기 앞 가장자리는, 타이어 적도측으로부터 트레드단측을 향해 회전 방향의 후착측(後着側)으로 경사지는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이다. In additio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ront edges of the middle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are inclined toward the rear attachment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from the tire equator side toward the tread end side. It is a traveling pneumatic tire.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숄더 블록의 상기 길이는, 상기 센터 블록 및 상기 미들 블록의 상기 길이보다 큰 것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이다. Moreover, the invention of Claim 3 is the fixed tire for pneumatic tires of Claim 1 or 2 whose said length of the said shoulder block is larger than the said length of the said center block and the said middle block.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트레드부에는, 상기 센터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센터 블록열, 상기 미들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미들 블록열, 및 상기 숄더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숄더 블록열이 마련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이다.In addition,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the tread portion includes a center block row provided with the center block spac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middle block row provided with the middle block spac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houlder block. The pneumatic tire for tire driv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shoulder row of rows provid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블록에는, 상기 트레드면을 움푹 패이게 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인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이다. In additio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s the flat tire traveling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block is formed with a recess in which the tread surface is recessed.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센터 블록의 상기 각도(Crθ), 상기 미들 블록의 상기 각도(Miθ), 및 상기 숄더 블록의 상기 각도(Shθ)는, 하기 식 (2) 및 하기 식 (3)을 만족시키는 것인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이다. In addition,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in the angle Crθ of the center block, the angle Miθ of the middle block, and the angle Shθ of the shoulder block, the following formula (2) and the following formula ( It is a tire for pneumatic driving of any one of Claims 1-5 which satisfy | fills 3).

1.1≤Miθ/Crθ≤1.6…(2)1.1 ≦ Miθ / Crθ ≦ 1.6... (2)

1.1≤Shθ/Miθ≤1.6…(3)1.1≤Shθ / Miθ ≦ 1.6... (3)

덧붙여,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타이어의 각 부분의 치수는 도시하지 않은 림에 림 조립되고, 내압 30kPa를 충전한 무부하의 자연 상태가 개시되며, 이하 특별히 언급이 없는 경우, 타이어 각 부분의 치수 등은 이 자연 상태에서의 값으로서 정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dimension of each part of a tire is rim-assembled in the rim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the natural state of the no load which filled the internal pressure of 30 kPa is disclosed, and unless otherwise mentioned, a tire angle The dimension of the part is determined as the value in this natural state.

본 발명의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는, 트레드부에 복수 개의 블록을 구비하고, 회전 방향이 지정된다. 트레드부는, 타이어 적도를 중심으로 하는 트레드 전개 폭의 1/6의 영역인 센터 영역, 트레드단으로부터 트레드 전개 폭의 1/4의 영역인 숄더 영역, 및 센터 영역과 숄더 영역 사이의 영역인 미들 영역을 포함한다.The pneumatic tire for driving a tire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some block in a tread part, and a rotation direction is designated. The tread portion includes a center region, which is an area 1/6 of the tread development width centered on the tire equator, a shoulder region that is an area of 1/4 of the tread development width from the tread end, and a middle region, which is an area between the center region and the shoulder region. It includes.

블록은, 센터 영역에 도심을 갖는 센터 블록과, 미들 영역에 도심을 갖는 미들 블록과, 숄더 영역에 도심을 갖는 숄더 블록을 포함하며,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가 타이어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가로로 긴 형태를 이루고 있다. The block includes a center block having a city center in the center region, a middle block having a city center in the middle region, and a shoulder block having a city center in the shoulder region, wherein the length of the tire axi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Long form.

나아가, 블록의 트레드면의 회전 방향의 선착측을 향하는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가 하기 식 (1)을 만족시킨다.Furthermore,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front edge toward the first arrival side of the tread surface of the block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

Crθ<Miθ<Shθ…(1)Crθ <Miθ <Shθ.. (One)

여기서, 부호는 다음과 같다.Here, the sign is as follows.

Crθ: 센터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 Cr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center block

Miθ: 미들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Mi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middle block

Shθ: 숄더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Sh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shoulder block

이에 따라, 각도(Crθ)가 작은 센터 블록은, 접지압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직진시에 있어서 큰 트랙션을 발휘하여,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center block having a small angle Crθ exhibits great traction when the ground pressure is relatively increased, thereby improving running performance.

또한, ATV의 선회시에는, 미들 블록 및 숄더 블록의 접지압이 커지는데, 이들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각도(Miθ 및 Shθ)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선회시의 트랙션이 저하하고, 타이어의 슬립을 촉진시켜,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TV turns, the ground pressures of the middle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increase, but the angles (Miθ and Shθ) of the leading edges of these blocks gradually increase, so that the traction during the swing decreases and tire slippage is reduced. It can accelerate | stimulate, it can slide smoothly, and also can improve the turning performance.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를 도시한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미들 블록의 확대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n exploded view of the tread part which shows the flat tire for tire driving of this embodiment.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FIG. 1.
4 is an enlarged view of a middle block.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도 1 및 도 2에는 본 실시 형태의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이하, 단순히 "타이어"라고 할 수 있음)(1)로서, 사지나 진창지 등의 부정지에서의 주행을 목적으로 한 ATV(ALL TERRAIN VEHICLE)용 타이어가 예시된다. 1 and 2 show the tires for driving in the still-lif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ire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are intended for driving in unsteady areas such as limbs and sludge. VEHICLE) tires are exemplified.

상기 타이어(1)의 트레드부(2)는, 트레드 홈(3)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블록(4)이 타이어 둘레 방향 및 타이어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성기게 배치되고, 회전 방향(R)이 지정된 블록 패턴이 형성된다. In the tread portion 2 of the tire 1, a plurality of blocks 4 partitioned by the tread grooves 3 are sparsely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R This designated block pattern is formed.

이러한 블록 패턴은, 예컨대, 블록(4)의 부정지에의 침식량을 크게 할 수 있어, 트랙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블록(4)을 이격시키는 트레드 홈(3)이 넓은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진흙 등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Such a block pattern can, for example, increase the amount of erosion of the block 4 to the ground, thereby exhibiting traction performance. Further, since the tread grooves 3 separating the blocks 4 are formed in a wide width, clogging of mud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상기 블록(4)의 성긴 배치는, 트레드부(2)의 외표면의 전체 면적(S)(트레드 홈(3)을 모두 메웠다고 가정했을 때의 트레드부(2)의 외표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전체 블록(4)의 트레드면(4S)의 면적의 총합(SL)인 랜드비(SL/S)에 의해 파악된다.The sparse arrangement of the block 4 is the total area 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2 (the total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2 when it is assumed that all tread grooves 3 are filled). It is grasped by the land ratio SL / S which is the sum SL of the area of the tread surface 4S of the entire block 4 with respect to.

덧붙여, 상기 랜드비(SL/S)가 과도하게 작아지면, 경질의 하드로 내지 미디움로에서의 트랙션 성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랜드비(SL/S)가 과도하게 커도, 연약로에서의 트랙션 성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랜드비(SL/S)는 20% 내지 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land ratio SL / S is excessively small, there is a fear that the traction performance in the hard to medium furnace cannot be sufficiently maintained. On the contrary, even if the land ratio SL / S is excessively large, the traction performance in the soft path may not be sufficiently maintained. In this respect, the land ratio SL / 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30%.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트레드부(2)는, 타이어 적도(C)를 중심으로 하는 트레드 전개 폭(TWe)의 1/6의 영역인 센터 영역(Cr), 트레드단(2t)으로부터 트레드 전개 폭(TWe)의 1/4의 영역인 숄더 영역(Sh), 및 센터 영역(Cr)과 숄더 영역(Sh) 사이의 영역인 미들 영역(Mi)을 포함한다.Further, the tread portion 2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read development width from the center region Cr and the tread end 2t, which are areas 1/6 of the tread development width TWe centered on the tire equator C. FIG. A shoulder region Sh, which is a quarter of TWe, and a middle region Mi, which is an area between the center region Cr and the shoulder region Sh, is included.

상기 블록(4)은, 센터 영역(Cr)에 도심(6c)을 갖는 센터 블록(6)과, 미들 영역(Mi)에 도심(7c)을 갖는 미들 블록(7)과, 숄더 영역(Sh)에 도심(8c)을 갖는 숄더 블록(8)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트레드부(2)에는, 센터 블록(6)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센터 블록열(11), 미들 블록(7)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미들 블록열(12), 및 숄더 블록(8)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숄더 블록열(13)이 마련된다.The block 4 includes a center block 6 having a city center 6c in the center region Cr, a middle block 7 having a city center 7c in the middle region Mi, and a shoulder region Sh. A shoulder block 8 having a city center 8c. Accordingly, the tread portion 2 includes a center block row 11 in which the center blocks 6 are spaced apart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middle block row 12 in which the middle blocks 7 are spaced apart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 And a shoulder block row 13 in which the shoulder blocks 8 are spaced apart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 블록(6), 미들 블록(7), 및 숄더 블록(8)은, 트레드면(4S)과, 이 트레드면(4S)으로부터 트레드 홈(3)의 홈 바닥(3B)까지 타이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뻗어 블록 윤곽을 구획하는 블록 벽면(4W)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각 블록(6, 7 및 8)의 트레드면(4S)으로부터 홈 바닥(3B)까지의 블록 높이(H1)는, 예컨대 12mm 내지 16mm 정도로 설정된다. As shown in FIG. 2, the center block 6, the middle block 7, and the shoulder block 8 include a tread surface 4S and a groove of the tread groove 3 from the tread surface 4S. It is formed including the block wall surface 4W which extends radially inward to the bottom 3B and partitions the block contour. In addition, the block height H1 from the tread surface 4S of each block 6, 7 and 8 to the groove bottom 3B is set to about 12 mm-16 mm, for example.

또한, 각 블록(6, 7 및 8)의 트레드면(4S)은 도 3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방향(R)의 선착측을 향하는 앞 가장자리(4a)와, 후착측을 향하는 뒤 가장자리(4b), 및 그 앞 가장자리(4a)와 뒤 가장자리(4b) 사이를 뻗는 한 쌍의 측 가장자리(4c, 4c)를 포함하며,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1)가 타이어 둘레 방향의 폭(W1)보다 큰 가로로 긴 형태를 이루고 있다. In addition, the tread surface 4S of each block 6, 7 and 8 is enlarged in FIG. 3, and the front edge 4a toward the first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 and the back side toward the rear side are shown. An edge 4b and a pair of side edges 4c and 4c extending between the front edge 4a and the rear edge 4b, the length L1 of the tire axial direction being the width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 It is longer than W1).

덧붙여, 상기 길이(L1)는 각 블록(6, 7 및 8)의 타이어 축방향의 최대 길이로 측정되며, 상기 폭(W1)은 앞 가장자리(4a)와 뒤 가장자리(4b)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대 길이로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ength L1 is measured as the maximum length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each block 6, 7 and 8, and the width W1 is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front edge 4a and the rear edge 4b. It shall be measured by the maximum length of.

상기 센터 블록(6)은, 타이어 적도(C)로부터 양측의 트레드단(2t, 2t)을 향해 회전 방향(R)의 후착측으로 경사져서 뻗는 한 쌍의 센터 경사부(6A, 6A)를 갖는다.The center block 6 has a pair of center inclined portions 6A and 6A which are inclined and extended from the tire equator C to the rear end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 toward the tread ends 2t and 2t on both sides.

상기 센터 경사부(6A, 6A)는, 각각의 앞 가장자리(4a) 및 뒤 가장자리(4b)가 타이어 적도(C)로부터 트레드단(2t)을 향해 회전 방향(R)의 후착측으로 경사져서 직선형으로 뻗고, 측 가장자리(4c)가 앞 가장자리(4a) 및 뒤 가장자리(4b) 사이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뻗고 있다. 이에 따라, 센터 블록(6)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역 V자형으로 형성된다. The center inclined portions 6A and 6A have a straight line with each of the front edge 4a and the rear edge 4b inclined from the tire equator C toward the tread end 2t toward the rear end of the rotation direction R. The side edge 4c extends between the front edge 4a and the rear edge 4b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us, the center block 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inverted V shape in plan view.

상기 미들 블록(7)은, 앞 가장자리(4a) 및 뒤 가장자리(4b)는 타이어 적도(C)로부터 트레드단(2t)을 향해 회전 방향(R)의 후착측으로 경사져서 직선형으로 뻗고, 측 가장자리(4c)가 앞 가장자리(4a) 및 뒤 가장자리(4b) 사이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뻗는다. 이에 따라, 미들 블록(7)은 타이어 적도(C) 측으로부터 트레드단(2t) 측으로 회전 방향(R)의 후착측으로 경사져서 뻗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평행 사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middle block 7 has a front edge 4a and a rear edge 4b inclined from the tire equator C to the tread end 2t toward the rear end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 and extend in a straight line, and the side edges ( 4c extends between the front edge 4a and the rear edge 4b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middle block 7 extends inclined from the tire equator C side to the tread end 2t side toward the rear attachment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R,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ogram shape in plan view.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미들 블록(7)은, 도 4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블록(7)의 앞 가장자리(4a)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 및 뒤 가장자리(4b)의 타이어 축방향 내측을 대략 가로로 긴 형태로 잘라 없앤 절결부(7n)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middle block 7 of this embodiment is enlarged in FIG. 4, and the tire axial direction outer side of the front edge 4a of the middle block 7, and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rear edge 4b. The notch 7n which cut | disconnected the inside in substantially horizontally long form is provided.

이러한 절결부(7n)는, 앞 가장자리(4a) 및 뒤 가장자리(4b)를 스텝형으로 굴곡시켜 그 엣지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어, 직진시 및 선회시에 있어서 그립을 발휘하는 데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절결부(7n)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4b)가, 미들 블록(7)의 상기 길이(L1b)의, 예컨대 50% 내지 70%, 타이어 둘레 방향의 폭(W4b)이 미들 블록(7)의 상기 폭(W1b)의, 예컨대 5% 내지 15% 정도가 바람직하다.This notch 7n can bend the front edge 4a and the rear edge 4b in a step shape to increase the edge length thereof, and is useful for exerting a grip when going straight and turning. Preferably, the length L4b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cutout 7n is, for example, 50% to 70% of the length L1b of the middle block 7, and the width W4b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middle. Preferably, for example, about 5% to 15% of the width W1b of the block 7.

또한, 절결부(7n)의 내측 코너(7ni)는 원호로 모따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내측 코너(7ni)에서 일그러짐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corner 7ni of the notch 7n is chamfered by an arc. This prevents concentration of distortion in the inner corner 7ni and prevents damage such as cracks.

상기 숄더 블록(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가장자리(4a) 및 뒤 가장자리(4b)가 타이어 적도(C)로부터 트레드단(2t)을 향해 회전 방향(R)의 후착측으로 경사져서 직선형으로 뻗고, 측 가장자리(4c)가 앞 가장자리(4a) 및 뒤 가장자리(4b) 사이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숄더 블록(8)은 미들 블록(7)과 마찬가지로, 타이어 적도(C) 측으로부터 트레드단(2t) 측으로 회전 방향(R)의 후착측으로 경사져서 뻗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평행 사변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houlder block 8 is inclined from the tire equator C to the rear end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 toward the tread end 2t from the tire equator C. As shown in FIG. It extends and extends linearly, and the side edge 4c extends between the front edge 4a and the rear edge 4b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a result, the shoulder block 8 is inclined and stretched from the tire equator C side to the tread end 2t side in the rear attachment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 in the same manner as the middle block 7, and is substantially parallelogram in plan view. Is formed.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블록(6, 7 및 8)의 상기 앞 가장자리(4a)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가 하기 식 (1)을 만족시킨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said front edge 4a of each block 6, 7, and 8 satisfy | fills following formula (1).

Crθ<Miθ<Shθ…(1)Crθ <Miθ <Shθ.. (One)

여기서, 부호는 다음과 같다. Here, the sign is as follows.

Crθ: 센터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 Cr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center block

Miθ: 미들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Mi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middle block

Shθ: 숄더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Sh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shoulder block

또, 상기 각도(Crθ, Miθ 및 Shθ)는, 타이어 적도(C)에 대한 좌우의 트레드부(2)에 있어서 각각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타이어 적도(C)를 걸치는 센터 블록(6)의 경우, 좌우의 트레드부(2)에 각각 배치되는 각 센터 경사부(6A, 6A)의 각 앞 가장자리(4a, 4a)에 있어서 측정된다. 또한, 앞 가장자리(4a)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앞 가장자리(4a)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로 가중된 가중 평균 각도로 구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aid angles (Crθ, Miθ and Shθ) are respectively measured in the tread portion 2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tire equator C.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enter block 6 which covers the tire equator C, it is measured in each front edge 4a, 4a of each center inclination part 6A, 6A arrange |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tread part 2, respectively. . In addition, when the front edge 4a is not formed in linear form, it i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weighted average angle weighted by the length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front edge 4a.

이러한 블록 패턴에서는, 센터 블록(6)의 접지압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직진시에 있어서, 각도(Crθ)가 작은 센터 블록(6)이 큰 트랙션을 발휘하여,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such a block pattern, when the ground pressure of the center block 6 goes relatively large, the center block 6 having a small angle Crθ exhibits a large traction, thereby improving running performance.

또한, ATV의 선회시에는, 미들 블록(7) 및 숄더 블록(8)의 접지압이 커지는데, 이들 블록(7, 8)의 앞 가장자리(4a)의 각도(Miθ 및 Shθ)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선회시에 있어서는 이들 블록(7, 8)에서의 트랙션이 저하하여 타이어(1)의 슬립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1)를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TV is turning, the ground pressures of the middle block 7 and the shoulder block 8 increase, and the angles Miθ and Shθ of the front edge 4a of these blocks 7 and 8 gradually increase. Therefore, at the time of turning, the traction in these blocks 7 and 8 decreases, and the slip of the tire 1 can be promoted. Therefore, the tire 1 can slide smoothly, and also tur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상기와 같은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 센터 블록(6)의 각도(Crθ), 미들 블록(7)의 각도(Miθ), 및 숄더 블록(8)의 각도(Shθ)는, 하기 식 (2) 및 하기 식 (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effectively exhibit the above effects, the angle Crθ of the center block 6, the angle Miθ of the middle block 7, and the angle Shθ of the shoulder block 8 a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And it is preferable to satisfy following formula (3).

1.1≤Miθ/Crθ≤1.6…(2)1.1 ≦ Miθ / Crθ ≦ 1.6... (2)

1.1≤Shθ/Miθ≤1.6…(3)1.1≤Shθ / Miθ ≦ 1.6... (3)

이것에 의해, 센터 블록(6)으로부터 숄더 블록(8)에 걸쳐서, 각 각도(Crθ, Miθ 및 Shθ)를 매끄럽게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직진시의 트랙션 성능과 선회 성능을 높은 차원으로 양립시킬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gradually and gradually increase the angles (Crθ, Miθ and Shθ) smoothly from the center block 6 to the shoulder block 8, thereby achieving both high traction performance and turning performance in a high dimension. Can be.

또, 상기 비(Miθ/Crθ)가 1.1 미만이면 미들 블록(7)의 앞 가장자리(4a)의 경사가 충분하지 않아, 타이어(1)를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비(Miθ/Crθ)가 1.6을 초과하면, 미들 블록(7)에서의 트랙션이 과도하게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비(Miθ/Crθ)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If the ratio Miθ / Crθ is less than 1.1, the inclination of the leading edge 4a of the middle block 7 may not be sufficient, and the tire 1 may not slide smoothly. On the contrary, when the ratio Miθ / Crθ exceeds 1.6, there is a fear that the traction in the middle block 7 may be excessively lower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atio (Miθ / Crθ) is more preferably 1.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 or less.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비(Shθ/Miθ)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From the same viewpoint, the ratio (Shθ / Miθ) is more preferably 1.2 or more, more preferably 1.5 or less.

또한, 상기 센터 블록(6)의 각도(Crθ)는 5도 내지 12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Crθ)가 12도를 초과하면, 트랙션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각도(Crθ)가 5도 미만이면, 선회 초기시에 있어서 트랙션을 충분히 저하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angle Crθ of the center block 6 is preferably 5 degrees to 12 degrees. If the angle Crθ exceeds 12 degrees, the traction may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On the contrary, when the angle Crθ is less than 5 degrees, there is a fear that the traction cannot be sufficiently lowered at the time of turning initial stage.

또한, 직진시의 트랙션과 선회 성능을 밸런스 좋게 발휘시키기 위해, 상기 각 블록(6, 7 및 8)의 상기 길이(L1)와 상기 폭(W1)의 비(L1/W1)는 180% 내지 340%가 바람직하다.Further, in order to balance the traction and the turning performance in the straight line, the ratio L1 / W1 of the length L1 and the width W1 of each of the blocks 6, 7 and 8 is 180% to 340. % Is preferred.

또, 상기 비(L1/W1)가 180% 미만이면, 블록 강성이 과도하게 커져 선회시에 있어서도 트랙션이 발휘되어, 선회 성능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비(L1/W1)가 340%를 초과하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블록 강성이 과도하게 저하하여, 트랙션을 충분히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비(L1/W1)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가 바람직하다.Moreover, when the said ratio L1 / W1 is less than 180%, block rigidity will become large too much and traction will be exhibited even when turning,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not fully improve turning performance. On the contrary, when the ratio L1 / W1 exceeds 340%, the block stiffnes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excessively lowered,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raction cannot be sufficiently obtain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atio L1 / W1 is more preferably 20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00% or less.

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블록(6)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1a)와, 센터 영역(Cr)의 타이어 축방향의 폭(Wc)의 비(L1a/Wc)는, 60% 내지 80%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비(L1a/Wc)가 60% 미만이면, 트랙션을 충분히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비(L1a/Wc)가 80%를 초과하면, 선회시에 있어서도 큰 트랙션이 발휘되어 선회 성능을 충분히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비(L1a/Wc)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하가 바람직하다. 1, the ratio L1a / Wc of the length L1a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center block 6, and the width Wc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center area Cr is 60. % To 80% are preferred. If the ratio L1a / Wc is less than 60%, the traction may not be sufficiently obtained. On the contrary, when the ratio L1a / Wc exceeds 8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arge traction is exerted even during the turning and the turning performance cannot be sufficiently obtain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atio L1a / Wc is more preferably 65%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75% or less.

마찬가지로, 미들 블록(7)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1b)와, 미들 영역(Mi)의 타이어 축방향의 폭(Wm)의 비(L1b/Wm)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하가 바람직하다. Similarly, the ratio L1b / Wm of the tire axial length L1b of the middle block 7 and the width Wm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middle region Mi is preferably 60% or more, more preferably. Preferably 65% or more is preferable, and also preferably 80% or less, more preferably 75% or less.

또한, 숄더 블록(8)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1c)와, 숄더 영역(Sh)의 타이어 축방향의 폭(Ws)(도 1에 도시함)의 비(L1c/Ws)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이하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atio L1c / Ws of the length L1c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shoulder block 8 and the width Ws (shown in FIG. 1)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shoulder region Sh is preferably Is preferably at least 50%, more preferably at least 55%, more preferably at most 70%, more preferably at most 65%.

또한, 숄더 블록(8)의 상기 길이(L1c)는, 센터 블록(6) 및 미들 블록(7)의 상기 각 길이(L1a, L1b)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숄더 블록(8)은 타이어 축방향의 엣지 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어,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숄더 블록(8)은, 선회시에 블록의 변형량을 크게 하여 트랙션을 저하시킬 수 있어, 타이어(1)를 보다 원활하게 슬립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숄더 블록(8)의 길이(L1c)와 센터 블록(6)의 길이(L1a)의 비(L1c/L1a)는, 110% 내지 130%가 바람직하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length L1c of the shoulder block 8 is formed larger than each said length L1a, L1b of the center block 6 and the middle block 7. Thereby, the shoulder block 8 can increase the edge component of a tire axial direction, and can reduce rigidity of a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fore, the shoulder block 8 can reduce the traction by increasing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block at the time of turning, and can make the tire 1 slip more smoothly. Preferably, the ratio L1c / L1a of the length L1c of the shoulder block 8 and the length L1a of the center block 6 is preferably 110% to 130%.

또, 상기 비(L1c/L1a)가 110% 미만이면, 상기와 같은 작용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비(L1c/L1a)가 130%를 초과해도, 선회시에 숄더 블록(8)의 변형량이 과도하게 커져 트랙션 성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비(L1c/L1a)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하가 바람직하다. Moreover, when the said ratio L1c / L1a is less than 110%,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above effects cannot fully be improved. On the contrary, even if the said ratio L1c / L1a exceeds 130%,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shoulder block 8 may become large too large at the time of turning, and it cannot fully maintain traction performa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atio (L1c / L1a) is more preferably 115%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25% or less.

또한, 상기 각 블록(6, 7 및 8)에는, 트레드면(4S)을 움푹 패이게 한 오목부(4h)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목부(4h)는, 각 블록(6, 7 및 8)의 강성을 완화하여 부정지에 대한 노면 추종성을 높일 수 있어, 직진시의 트랙션 성능 및 선회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ssed part 4h which recessed the tread surface 4S is formed in each said block 6, 7, and 8. Such concave portions 4h can alleviate the rigidity of each of the blocks 6, 7, and 8 to enhance road followability to unsteady ground, and can further improve traction performance and turning performance when going straight.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오목부(4h)는, 타이어 둘레 방향의 폭(W2)(도 4에 도시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각 블록(6, 7 및 8)의 폭 중심선(6L, 7L 및 8L)을 따라 뻗는다. 따라서, 오목부(4h)는 각 블록(6, 7 및 8)의 블록 강성을 타이어 축방향에 걸쳐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직진시의 트랙션 성능 및 선회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4h)의 상기 폭(W2)이 블록(4)의 폭(W1)의 15% 내지 35% 정도,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2)(도 4에 도시함)가 블록(4)의 길이(L1)의 55% 내지 75% 정도, 깊이(D2)(도 2에 도시함)가 블록 높이(H1)의 70% 내지 85% 정도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cessed part 4h of this embodiment keeps the width W2 (shown in FIG. 4) of a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nstant, and the width center line 6L, 7L of each block 6, 7, and 8, respectively. And 8L). Therefore, the recessed part 4h can make the block rigidity of each block 6, 7, and 8 substantially uniform over a tire axial direction, and can further improve the traction performance and turning performance at the time of going straight. Preferably, the width W2 of the recess 4h is about 15% to 35% of the width W1 of the block 4, and the length L2 in the tire axial direction (shown in FIG. 4) is the block. It is preferable that about 55% to 75% of the length L1 of (4) and about 70% to 85% of the depth D2 (shown in FIG. 2) of the block height H1.

또한, 각 블록(6, 7 및 8)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면(4S)의 타이어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홈 바닥(3B)으로 뻗는 측벽면(4Ws)과 그 트레드면(4S)의 코너를 경사면으로 잘라 없앤 모따기부(4t)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따기부(4t)는, 선회시에 있어서 트랙션을 저하시킬 수 있어, 타이어(1)를 원활하게 슬립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따기부(4t)의 트레드면(4S)에 대한 각도(θ3)가 30도 내지 60도 정도, 폭(W3)(도 3에 도시함)과 블록의 길이(L1)의 비(W3/L1)가 5% 내지 10% 정도가 바람직하다.Moreover, in each block 6, 7 and 8, as shown in FIG. 2, the side wall surface 4Ws and the tread surface 4S which extend to the groove bottom 3B from both sides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tread surface 4S.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mfered part 4t which cut | disconnected and cut | disconnected the corner of () by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uch a chamfer 4t can reduce traction at the time of turning, and can smoothly slip the tire 1. Preferably, the angle θ3 with respect to the tread surface 4S of the chamfer 4t is about 30 to 60 degrees, and the ratio of the width W3 (shown in FIG. 3) to the length L1 of the block ( W3 / L1) is preferably about 5% to 10%.

또한, 각 블록(6, 7 및 8)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가장자리(4a)와 측 가장자리(4c)의 코너, 및 뒤 가장자리(4b)와 측 가장자리(4c)의 코너를 경사면으로 잘라 없앤 모따기부(4u)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따기부(4u)도 선회시에 있어서 트랙션을 저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ach block 6, 7 and 8 has a corner of the front edge 4a and the side edge 4c, and a corner of the rear edge 4b and the side edge 4c,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mfer 4u cut out by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uch a chamfer 4u can also reduce traction at the time of turning.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specially prefer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shown, It can change and implement in various embodiments.

<실시예><Examples>

도 1 및 도 2의 기본 구조를 가지며, 표 1의 사양으로 한 블록을 갖는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가 제조되고, 이들의 성능이 테스트되었다. 또, 공통 사양은 이하와 같다. The tires for driving on tireless driving having the basic structure of FIGS. 1 and 2 and having one block as the specifications of Table 1 were manufactured, and their performance was tested. In addition, the common specification is as follows.

타이어 사이즈: Tire size:

전륜: AT21×7R10Front wheel: AT21 × 7R10

후륜: AT20×10R9Rear wheel: AT20 × 10R9

림 사이즈: Rim Size:

전륜: 10×5.5AT Front wheels: 10 × 5.5AT

후륜: 9×8.0AT Rear wheels: 9 × 8.0AT

랜드비(SL/S): 20% 내지 30% Land Ratio (SL / S): 20% to 30%

센터 영역의 폭(Wc): 57.1mm Width of center area (Wc): 57.1 mm

미들 영역의 폭(Wm): 57.1mm Middle zone width (Wm): 57.1 mm

숄더 영역의 폭(Ws): 83.3mm Width of the shoulder area (Ws): 83.3 mm

블록: block:

블록 높이(H1): 10mm 내지 15mm Block height (H1): 10 mm to 15 mm

오목부: Recess:

폭(W2): 3mm 내지 5mm, 길이(L2): 20mm 내지 30mm, 깊이(D2): 5mm 내지 7mmWidth W2: 3mm to 5mm, Length L2: 20mm to 30mm, Depth D2: 5mm to 7mm

모따기부: Chamfer:

폭(W3a): 2mm 내지 5mm, 각도(θ3a): 50도Width W3a: 2 mm to 5 mm, Angle θ3a: 50 degrees

절결부: Cutout:

길이(L4b): 20mm 내지 25mm, 폭(W4b): 1mm 내지 3mm Length L4b: 20 mm to 25 mm, Width W4b: 1 mm to 3 mm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The test method is as follows.

<직진시의 트랙션 성능, 선회 성능> Traction performance and turning performance when going straight

각 시험에 제공되는 타이어를 상기 림에 림 조립하고, 내압(전륜: 27.5kPa, 후륜: 30kPa)을 충전하여, 배기량 450cc의 ATV(후륜 구동의 스포츠 타입 4륜차)의 후륜에 장착하고, ATV 경기 코스를 주회했을 때의 「직진시의 트랙션 성능」및「선회 성능」을 드라이버의 관능 평가에 의해 5점법으로 평가했다.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The tires provided for each test were rim-assembled on the rim, filled with internal pressure (front wheels: 27.5 kPa, rear wheels: 30 kPa), and mounted on the rear wheels of an ATV (rear drive sports type four-wheeled vehicle) with a displacement of 450 cc. The traction performance when moving around the course and the turning performance were evaluated by the 5-point method by the sensory evaluation. The larger the value, the better.

테스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테스트 결과, 실시예의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는, 직진시의 트랙션 성능을 유지하면서 선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ire tire for driving in the embodiment can improve turning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raction performance when going straight.

1…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 2…트레드부
4…블록 6…센터 블록
7…미들 블록 8…숄더 블록
One… Tires for flat driving 2... Tread portion
4… Block 6... Center block
7 ... Middle block 8... Shoulder block

Claims (6)

트레드부에 복수 개의 블록을 구비하며, 회전 방향이 지정된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는, 타이어 적도를 중심으로 하는 트레드 전개 폭의 1/6의 영역인 센터 영역, 트레드단으로부터 상기 트레드 전개 폭의 1/4의 영역인 숄더 영역, 및 센터 영역과 숄더 영역 사이의 영역인 미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센터 영역에 도심(圖心)을 갖는 센터 블록과, 상기 미들 영역에 도심을 갖는 미들 블록과, 상기 숄더 영역에 도심을 갖는 숄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블록, 상기 미들 블록, 및 상기 숄더 블록은,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가 타이어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가로로 긴 형태를 이루고,
각 블록의 트레드면의 회전 방향의 선착측(先着側)을 향하는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는 하기 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
Crθ<Miθ<Shθ…(1)
여기서, 부호는 다음과 같다.
Crθ: 센터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
Miθ: 미들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
Shθ: 숄더 블록의 앞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에 대한 각도
A pneumatic tire for driving on a tread having a plurality of blocks and having a rotational direction specified therein,
The tread portion is a center region, which is an area 1/6 of the tread development width centered on the tire equator, a shoulder region which is an area of 1/4 of the tread development width from the tread end, and an area between the center region and the shoulder region. Including a middle region,
The block includes a center block having a city center in the center region, a middle block having a city center in the middle region, and a shoulder block having a city center in the shoulder region,
The center block, the middle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form a horizontally long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tire axial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tire for an unsteady running pneumatic tire, wherein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front edge of the tread surface of each block toward the first arrival side of the block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
Crθ <Miθ <Shθ.. (One)
Here, the sign is as follows.
Cr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center block
Mi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middle block
Shθ: Angle with respect to the tire axis of the leading edge of the shoulder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블록 및 상기 숄더 블록의 상기 앞 가장자리는, 타이어 적도측으로부터 트레드단측을 향해 회전 방향의 후착측(後着側)으로 경사지는 것인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The tire tire for driving a tireless driv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edges of the middle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are inclined from the tire equator side to the tread end side in the rotational attaching si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블록의 상기 길이는, 상기 센터 블록 및 상기 미들 블록의 상기 길이보다 큰 것인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The tire tire for driving a tire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ength of the shoulder block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center block and the middle blo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에는, 상기 센터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센터 블록열, 상기 미들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미들 블록열, 및 상기 숄더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숄더 블록열이 마련되는 것인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read portion, the center block row provided with the center block is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the middle block row provided with the middle block is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shoulder The pneumatic tire for driving on which a block is provided with the shoulder block row provided in which the block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는, 상기 트레드면을 움푹 패이게 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인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 The said tire block pneumatic tire of Claim 1 or 2 in which the said recessed part which recessed the tread surface is formed in the said blo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블록의 상기 각도(Crθ), 상기 미들 블록의 상기 각도(Miθ), 및 상기 숄더 블록의 상기 각도(Shθ)는, 하기 식 (2) 및 하기 식 (3)을 만족시키는 것인 부정지 주행용 공기 타이어.
1.1≤Miθ/Crθ≤1.6…(2)
1.1≤Shθ/Miθ≤1.6…(3)
The said angle Cr (theta) of the said center block, the said angle (Mi (theta)) of the said middle block, and the said angle (Sh (theta)) of the shoulder block are a following formula (2) and a following formula. (3) The tire for tire driving which is satisfied.
1.1 ≦ Miθ / Crθ ≦ 1.6... (2)
1.1≤Shθ / Miθ ≦ 1.6... (3)
KR1020120063020A 2011-06-23 2012-06-13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KR2013000112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9749A JP5391236B2 (en) 2011-06-23 2011-06-23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JPJP-P-2011-139749 2011-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25A true KR20130001125A (en) 2013-01-03

Family

ID=4736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020A KR20130001125A (en) 2011-06-23 2012-06-13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91236B2 (en)
KR (1) KR20130001125A (en)
CN (1) CN102837565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9839A (en) * 2016-12-01 2017-05-31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A kind of mountain bike pattern structure on tire tre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8416B2 (en) 2013-12-13 2018-05-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Motorcycle tires
JP6047131B2 (en) * 2014-09-17 2016-12-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s for motorcycles on rough terrain
JP5781209B2 (en) * 2014-10-28 2015-09-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Motorcycle tires
JP6772785B2 (en) * 2016-11-25 2020-10-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s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JP7124531B2 (en) * 2018-08-01 2022-08-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tires for rough terrain
CN111086359A (en) * 2019-11-15 2020-05-01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Sand and mud ground dual-purpose pneumatic tyre for cross-country motorcy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6705A (en) * 1987-01-14 1988-07-21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CN100441430C (en) * 2001-05-11 2008-12-10 株式会社普利司通 Pneumatic tire
JP3967939B2 (en) * 2002-03-13 2007-08-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Radial tire for ATV
JP4814980B2 (en) * 2009-06-17 2011-11-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9839A (en) * 2016-12-01 2017-05-31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A kind of mountain bike pattern structure on tire tread
CN106739839B (en) * 2016-12-01 2018-11-02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A kind of mountain bike pattern structure on tire tr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91236B2 (en) 2014-01-15
JP2013006486A (en) 2013-01-10
CN102837565B (en) 2015-12-09
CN102837565A (en)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1952B2 (en) Pneumatic tire
JP5993407B2 (en) Pneumatic tire
KR20130001125A (en)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JP4312226B2 (en)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CN105711342B (en) Pneumatic tire
JP5802243B2 (en) Pneumatic tire
JP5616924B2 (en)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JP5250063B2 (en) Pneumatic tire
JP5174142B2 (en) Motorcycle tires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CN104553623B (en) Pneumatic tire
JP5739862B2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KR20120010566A (en) Motorcycle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US9630454B2 (en) Pneumatic tire
EP2799257A1 (en) Heavy duty tire
KR20120024379A (en) Motorcycle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KR20130084241A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KR101787111B1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KR101898453B1 (en) Pneumatic tire
KR20160060665A (en) Pneumatic tire
JP6114722B2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JP2010126076A (en) Tire
CN108068554A (en) Tire
KR20110103862A (en) Pneumatic tire
CN106183651B (en) Pneumatic tire
JP5886796B2 (en) Pneumatic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