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976A -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976A
KR20130000976A KR1020110061810A KR20110061810A KR20130000976A KR 20130000976 A KR20130000976 A KR 20130000976A KR 1020110061810 A KR1020110061810 A KR 1020110061810A KR 20110061810 A KR20110061810 A KR 20110061810A KR 20130000976 A KR20130000976 A KR 20130000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support member
coke oven
weight rod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8531B1 (ko
Inventor
이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5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부 바닥에 고착된 침탄을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한 고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웨이트봉; 및 상부 면이 상기 웨이트봉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봉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스크래퍼;를 포함하고, 도어 장착 불량으로 인한 유해 가스의 누출을 억제하여, 유해 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며, 웨이트봉의 하중을 이용하여 탄화실 바닥의 침탄을 제거하기 때문에, 설비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Remove apparatus for deposit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부 바닥에 고착된 침탄을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한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제철용 원료로 사용되는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실리카질 내화벽돌이 형성된 코크스 오븐을 사용한다. 코크스 오븐의 노체는 크게 원료탄을 열처리하는 연소실과, 열처리되어 괴(塊)상화된 코크스를 일정 시간 건류(乾溜)시키는 탄화실로 구분된다.
또한, 연소실과 탄화실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탄화실에는 원료탄을 장입하고, 괴상화된 코크스를 압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도어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어, 코크스 생산 중 내부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가 장착된다.
이렇게 구성된 코크스 오븐에서 코크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원료탄으로부터 타르나 피치 등과 같은 탄소 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탄소 성분은 도어 프레임에 고착되어 침탄을 형성하여 도어의 장착 및 탈착을 방해한다. 또한, 도어 프레임과 도어 간에 간극을 형성하여 간극을 통해 유해 가스가 코크스 오븐의 외부로 유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침탄을 제거하기 위한 잠브 클리너(Jamb cleaner)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크스 오븐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잠브 클리너(120)는 코크스 오븐(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코크스 오븐(120)의 도어 프레임(110)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도어 프레임(110)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한다. 이때, 잠브 클리너 동체(121)에는 지지부재(122)가 연결되어 있고, 지지부재(122)에는 도어 프레임(110)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스크래퍼(123, 124, 125)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크래퍼(123, 124, 125)는 도어 프레임(110)의 전면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하는 페이스 스크래퍼(124)와, 도어 프레임(110)의 단차부분, 즉 도어(112)가 밀착되는 측면부분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하는 인사이드 스크래퍼(123) 및 도어 프레임(110)의 하부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하는 하부 스크래퍼(124)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잠브 클리너(120)는 코크스 오븐(100)의 바닥에 형성된 침탄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코크스 생산 시 발생되는 타르나 피치 등의 탄소 성분은 유동성 및 점착성이 있어, 코크스 오븐(100) 바닥으로 흘러내린다. 이와 같이 코크스 오븐(100) 바닥으로 흘러내린 탄소 성분은 코크스 압출 시 도어 프레임(110) 측으로 이동하여 고착되는 침탄을 형성함으로써 도어(112)의 장착 및 탈착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로 인해 도어(112)의 장착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어(112)와 도어 프레임(110) 간에 간극이 생겨 코크스 오븐 외부로 유해 가스가 누설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내부의 바닥에 고착된 침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탄화실 도어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웨이트봉; 및 상부 면이 상기 웨이트봉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봉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스크래퍼;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착물 제거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동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는 하부 측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봉은 상기 웨이트봉의 하부가 돌출되어 상기 스크래퍼의 상부 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홈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고착물을 긁어내는 긁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일 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된 고정판에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몸체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긁기부는 갈고리나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긁기부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교체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크래퍼의 하부에는 하부 스크래퍼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착물 제거방법은, 코크스 오븐 내로 스크래퍼를 진입시키는 제1단계와; 하중에 의하여 스크래퍼를 코크스 오븐 바닥에 접촉시키는 제2단계와; 스크래퍼를 코크스 오븐 바닥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크스 오븐 외부로 이동시켜 고착물을 제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스크래퍼 상부에 구비되는 웨이트봉의 하중을 통해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코크스 오븐 바닥을 가압하며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은, 코크스 오븐의 바닥에 고착된 침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 프레임에 도어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도어의 장착 및 탈착 불량으로 인한 작업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은, 도어 장착 불량으로 인한 유해 가스의 누출을 억제하여, 유해 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은, 웨이트봉의 하중을 이용하여 탄화실 바닥의 침탄을 제거하기 때문에, 설비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크스 오븐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브 클리너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잠브 클리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나, 이를 가열시키는 가열로에 고착된 원료를 제거하는데 적용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코크스 오븐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하는 잠브 클리너(Jamb cleaner)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잠브 클리너에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 프레임은 물론, 코크스 오븐 바닥에 고착된 복수 개의 스크래퍼가 구비되며, 특히 하중을 이용하여 코크스 오븐 바닥의 침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브 클리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브 클리너(200)는 코크스 오븐(110)의 일 측에 구비되는 동체(202)와, 동체(202)의 일 측에 연결된 지지부재(210)와, 지지부재(210)의 전면(前面)에 구비된 페이스 스크래퍼(220), 인사이드 스크래퍼(222), 솔 스크래퍼(226) 및 하부 스크래퍼(224)를 포함한다. 또한, 동체(202)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수단(230)과, 지지부재(2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수단(232) 및 페이스 스크래퍼(220), 인사이드 스크래퍼(222) 및 하부 스크래퍼(224)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수단(23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잠브 클리너(200)는 코크스 오븐(100) 바닥에 고착된 침탄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즉, 종래의 잠브 클리너는 도어 프레임(110)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할 수 있었으나, 코크스 오븐(100) 바닥의 침탄을 제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잠브 클리너(200)의 지지부재(210) 하부에 솔 스크래퍼(sole scraper, 226)을 구성하여 코크스 오븐(100)의 바닥에 고착된 침탄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였다.
잠브 클리너(200)는 공지의 잠브 클리너와 그 기본적인 동작 원리가 거의 유사하다. 즉, 동체(202)는 제1구동수단(230)의 구동을 통해 동체(202)를 코크스 오븐(100) 측으로 전진 및 후진하고, 동체(202)의 전면에 연결된 지지부재(210)는 제2구동수단(232)의 구동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지지부재(210)에 연결된 스크래퍼들(220, 222, 224, 226)은 지지부재(21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3구동수단(234)의 구동을 통해 페이스 스크래퍼(220), 인사이드 스크래퍼(222) 및 하부 스크래퍼(224)를 회전시켜 침탄을 제거한다.
한편, 솔 스크래퍼(226)는 제3구동수단(234)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하중을 이용하여 코크스 오븐(100) 바닥의 침탄을 제거하는데, 이하에서는 솔 스크래퍼(226)의 구성과 그 연결 관계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브 클리너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브 클리너(200)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지지부재(210)와; 지지부재(210)의 하부에 연결된 웨이트봉(240) 및 상부 면이 웨이트봉(240)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지지부재(2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웨이트봉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는 솔 스크래퍼(226);를 포함한다.
구동수단(232)은 도 2의 설명에서 언급한 제2구동수단(232)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지지부재(210)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구동수단(232)은 구동축(231)이 구비된 실린더일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이 가능하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재(210)는 동체(202)에 연결되며, 하부에는 솔 스크래퍼(226)가 연결된다. 지지부재(210)의 내부에는 하부 측으로 개방된 수용홈(212)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재(210)를 관통하여 수용홈(212)을 가로지르는 고정구(216)가 형성되어 있다.
웨이트봉(240)은 하부가 수용홈(212)으로 소정 길이 노출되도록 수용홈(212) 내부에 삽입된다. 웨이트봉(240)에는 몸체를 가로지르며 소정 크기의 관통구(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구(241)는 수용홈(212)에 삽입되는 상부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봉(240)은 상부 측을 수용홈(212)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바(242)를 고정구(216)와 관통구(241)에 삽입하고, 고정바(242)의 양단에 볼트 등의 연결부재(244)를 체결하여 지지부재(210)에 연결된다. 이때, 관통구(241)는 웨이트봉(240)이 수용홈(21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웨이트봉(2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웨이트봉(240)이 수용홈(21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수용홈(212)도 웨이트봉(240)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홈(212)의 폭이 웨이트봉(24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 수용홈(212)의 입구에 웨이트봉(240)의 폭과 비슷한 크기의 개구(214)가 형성된 커버(213)를 연결하여 웨이트봉(240)이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웨이트봉(240)이 고정바(242)와 연결부재(244)를 통해 지지부재(210)에 연결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웨이트봉(240)이 수용홈(212) 내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웨이트봉(240)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구비되어, 솔 스크래퍼(226)의 몸체(227) 상부 면을 가압한다. 이때, 솔 스크래퍼(226)에 접촉되는 웨이트봉(240)의 하단에는 솔 스크래퍼(226)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웨이트봉(240)은 탄화실(100) 내부 바닥에 고착된 침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따라서 웨이트봉(240)은 탄화실 내부 바닥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을 가할 수 있을 정도의 하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웨이트봉(240)의 하중을 이용하여 탄화실(100) 내부 바닥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하기 때문에, 솔 스크래퍼(226)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 없다. 이를 통해 탄화실(100) 바닥의 침탄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하가 필요 없게 되어 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솔 스크래퍼(226)는 바(bar) 형상의 몸체(227)와, 탄화실(100)로 삽입되는 몸체(227) 단부에 형성되며, 탄화실(100) 바닥에 접촉하여 침탄을 긁어내는 긁기부(228)를 포함한다. 긁기부(228)는 탄화실(100) 바닥에 접촉되는 부분이 요철이나 갈고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침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이때, 긁기부(228)는 솔 스크래퍼(226) 몸체(227)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교체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긁기부(228)는 잦은 침탄 제거로 인해 마모되기 쉽기 때문에, 교체 가능하게 구성하면 침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솔 스크래퍼(226) 전체를 교체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몸체(227)는 일 측이 지지부재(210)의 후방에 연결되고, 몸체(227) 타 측은 지지부재(210)의 전방에 연결된다. 이때, 몸체(227) 일 측은 지지부재(210)에 연결된 고정판(250)에 회전축(252)을 통해 연결되고, 몸체(227) 타 측은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254)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스토퍼(254)는 로드(242)와 볼트 등의 고정부재(2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솔 스크래퍼(226)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스토퍼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솔 스크래퍼(226)는 지지부재(210)의 하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솔 스크래퍼(226)는 웨이트봉(240)에 의해 몸체(227) 상부 면이 가압되면, 몸체(227) 일 측은 고정판(250)에 고정되어 위치 변화가 없지만, 몸체(227) 타 측은 하부로 이동하여 위치 변화가 발생한다. 즉, 웨이트봉(240)에 의해 몸체(227)가 가압되면, 몸체(227)가 회전축(252)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긁기부(228)가 하부로 향하게 된다. 이때, 웨이트봉(240)이 접촉되는 몸체(227) 상부 면에는 웨이트봉(240)의 가압에 의해 몸체(227)가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229)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된 솔 스크래퍼(226) 하부에는 탄화실(100)의 도어 프레임(110) 하부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하는 하부 스크래퍼(224)가 구비된다. 하부 스크래퍼(224)는 솔 스크래퍼(226)와 나란하게 구비되며, 솔 스크래퍼(226)를 지지부재(210)에 연결하는 고정판(250)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하부 스크래퍼(224)가 고정판(250)에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솔 스크래퍼(226) 하부에 연결된 하부 스크래퍼(224)는 솔 스크래퍼(226)와 동일한 이동 경로를 갖는다. 또한, 하부 스크래퍼(224)는 도 2에 도시된 제3구동수단(234)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브 클리너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브 클리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체(202)가 코크스 오븐(100) 측으로 전진하면, 솔 스크래퍼(226)가 코크스 오븐(100)의 내부, 즉 탄화실 내부로 진입한다. 이때, 동체(202)가 코크스 오븐(100) 측으로 전진하는 경우, 코크스 오븐(100)의 벽체에 솔 스크래퍼(226) 및 하부 스크래퍼(224)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수단(232)의 구동을 통해 지지부재(210)를 소정 거리 상승시킨 상태에서 전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10)에 연결된 솔 스크래퍼(226) 및 하부 스크래퍼(224)도 함께 상승하고, 솔 스크래퍼(226) 및 하부 스크래퍼(224)는 코크스 오븐(10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코크스 오븐(100) 내로 진입한다. 이때, 솔 스크래퍼(226)는 지지부재(210)에 삽입되어 있는 웨이트봉(240)에 의해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227)가 회전축(252)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긁기부(228)가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232)의 구동을 통해 지지부재(210)를 하강시켜 긁기부(228)를 코크스 오븐(100) 바닥에 접촉시킨다. 이때, 하부 스크래퍼(224)는 도어 프레임(110) 하부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긁기부(228)를 코크스 오븐(100) 바닥에 접촉시키면 긁기부(228)가 코크스 오븐(100) 바닥에 의해 지지되면서 기울어져 있던 몸체(227)가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때, 웨이트봉(240)은 수평을 이루는 몸체(227)에 의해 다시 가압되어 수용홈(212) 내부에서 상승한다. 그러나 웨이트봉(240)의 하중은 몸체(227)에 그대로 전달되며, 이와 같이 전달된 웨이트봉(240)의 하중과 코크스 오븐(100) 바닥으로부터의 지지력은 긁기부(228)에 집중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202)를 코크스 오븐(100)으로부터 후퇴시켜 코크스 오븐(100) 바닥에 고착된 침탄(300)을 긁어낸다. 이때, 긁기부(228)에는 웨이트봉(240)의 하중과 코크스 오븐(100) 바닥으로부터의 지지력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코크스 오븐(100) 바닥에 고착된 침탄(300)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긁어낸 침탄(300)은 솔 스크래퍼(226)와 함께 코크스 오븐(100)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브 클리너는 탄화실의 도어 프레임에 고착된 침탄을 제거함과 동시에, 탄화실 바닥에 고착된 침탄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봉의 하중을 이용하여 탄화실 바닥의 침탄을 제거하기 때문에, 침탄 제거를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 없게 되므로, 잠브 클리너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일이 거의 없다. 이에 따라 잠브 클리너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코크스 오븐(탄화실) 110 : 도어 프레임
120, 200 : 잠브 클리너 121, 202 : 동체
122, 210 : 지지부재 123, 222 : 인사이드 스크래퍼
124, 220 : 페이스 스크래퍼 125, 224 : 하부 스크래퍼
130, 132, 134 : 구동수단 212 : 수용홈
226 : 솔 스크래퍼 227 : 몸체
228 : 긁기부 229 : 완충부재
230 : 제1구동수단 232 : 제2구동수단
234 : 제3구동수단 240 : 웨이트봉
241 : 관통구 242 : 고정바
244 : 연결부재 250 : 고정판
252 : 회전축 254 : 스토퍼

Claims (11)

  1.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웨이트봉; 및
    상부 면이 상기 웨이트봉의 하단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봉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스크래퍼;
    포함하는 고착물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착물 제거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동체를 포함하는 고착물 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는 하부 측으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고착물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봉은 상기 웨이트봉의 하부가 돌출되어 상기 스크래퍼의 상부 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홈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고착물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고착물을 긁어내는 긁기부를 포함하는 고착물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 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된 고정판에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몸체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고착물 제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긁기부는 갈고리나 요철이 형성된 고착물 제거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긁기부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교체 가능하게 연결된 고착물 제거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의 하부에는 하부 스크래퍼가 이격되어 구비된 고착물 제거장치.
  10. 코크스 오븐 내로 스크래퍼를 진입시키는 제1단계와;
    하중에 의하여 스크래퍼를 코크스 오븐 바닥에 접촉시키는 제2단계와;
    스크래퍼를 코크스 오븐 바닥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크스 오븐 외부로 이동시켜 고착물을 제거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고착물 제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스크래퍼 상부에 구비되는 웨이트봉의 하중을 통해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코크스 오븐 바닥을 가압하는 고착물 제거방법.
KR1020110061810A 2011-06-24 2011-06-24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29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810A KR101298531B1 (ko) 2011-06-24 2011-06-24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810A KR101298531B1 (ko) 2011-06-24 2011-06-24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976A true KR20130000976A (ko) 2013-01-03
KR101298531B1 KR101298531B1 (ko) 2013-08-22

Family

ID=4783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810A KR101298531B1 (ko) 2011-06-24 2011-06-24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73A (ko) *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포스코 탄화실 도어 프레임용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57228C2 (de) * 1976-12-17 1978-11-30 Krupp-Koppers Gmbh, 4300 Essen Einrichtung zum Reinigen des unteren Steinhalters von Koksofentüren
JPH10102062A (ja) * 1996-09-30 1998-04-21 Sumitomo Heavy Ind Ltd コークス炉の窯口上部クリーナ
KR20000012284U (ko) * 1998-12-16 2000-07-05 이구택 탄화실 바닥의 부산물 제거장치
KR100601247B1 (ko) * 2000-06-09 2006-07-1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73A (ko) *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포스코 탄화실 도어 프레임용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531B1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6965B (zh) 用于焦炉脱碳的方法及相关系统和装置
CN211967164U (zh) 一种不锈钢材加工用喷砂装置
CA3077252A1 (en) Slag door for a melting furnace
US10036594B2 (en) Apparatus for closing the slag doorway and for cleaning the slag doorway and channel of a metallurgical furnace and relative method
KR101298531B1 (ko)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220273B1 (ko) 리드 개폐장치 및 그 방법
CN219223262U (zh) 回转窑炉用出料端罩清洁装置
US2986758A (en) Cleaning of sealing surfaces for doors on the door frames of horizontal coke ovens
KR100601247B1 (ko) 코크스 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KR101387331B1 (ko) 코크스 오븐 탄화실 바닥의 누적카본 제거장치
US4276123A (en) Coke oven battery bench cleaning apparatus
KR20150065333A (ko) 호퍼 내부의 부착물 제거장치
US3577321A (en) Combined coke oven door jamb cleaning apparatus and door handling apparatus
KR101735953B1 (ko) 코크스 오븐의 레벨러 도어 클리닝 장치
KR20140145381A (ko) 고착물 제거장치
KR101808425B1 (ko) 도어 청소 장치
KR102081547B1 (ko) 코크스 오븐의 누적탄 제거 장치
KR101591853B1 (ko) 고착물 제거 장치
KR101546242B1 (ko)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KR101586752B1 (ko) 이물질 제거장치 및 이물질 제거방법
KR101453656B1 (ko) 타격형 타르받이 크리너 장치
KR101351963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에서 낙하된 카본 및 타르 수집장치
CN216513676U (zh) 推焦车清理回收装置
KR100762490B1 (ko) 코크스 오븐 탄화실 입구 카본 제거 장치
CN218618835U (zh) 一种除灰渣刮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