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903U - 혁대 - Google Patents

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903U
KR20130000903U KR2020110006917U KR20110006917U KR20130000903U KR 20130000903 U KR20130000903 U KR 20130000903U KR 2020110006917 U KR2020110006917 U KR 2020110006917U KR 20110006917 U KR20110006917 U KR 20110006917U KR 20130000903 U KR20130000903 U KR 201300009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atching
holes
reinforcing member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근
Original Assignee
최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근 filed Critical 최석근
Priority to KR2020110006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903U/ko
Publication of KR201300009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9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혁대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걸림공들을 혁대의 내측으로만 개구되는 홈으로 형성하여 혁대의 외측에서는 걸림공들이 보이지 않게 함과 아울러 그 걸림공들에 보강체를 설치하여 상기 걸림공들이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혁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버클이 설치되는 혁대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피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게 제1걸림공들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걸림공들에 대응하는 제2걸림공들이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와 내피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된 제1,제2걸림공들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1,제2걸림공들을 보강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보강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혁대{a leather belt}
본 고안은 혁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혁대에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걸림공들을 혁대의 내측으로만 개구되는 홈으로 형성하여 혁대의 외측에서는 걸림공들이 보이지 않게 함과 아울러 그 걸림공들에 보강체를 설치하여 걸림공을 보강할 수 있게 한 혁대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
일반적으로 혁대는, 바지가 흘러 내려가지 않게 바지의 상단부에 둘려지는 것으로, 이러한 혁대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혁대의 일단부에는 버클이 설치되어 혁대를 알맞은 길이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버클은 체결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도 9와 도 10은 종래의 혁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표시의 혁대(1)에 설치된 버클(10a)은, 버클본체(12a)에 걸고리(14a)가 형성되어 있고 혁대(1)에는 상기 걸고리(14a)가 끼워지는 걸림공(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혁대(1)의 착용시에는 사용자가 혁대(1)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공(2)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2)에 걸고리(14a)를 끼워 혁대(1)가 버클본체(10a)에 걸리도록 하고, 이와는 반대로 혁대(1)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공(2)에 걸려 있던 걸고리(14a)를 빼내어 혁대(1)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혁대용 버클(10a)은 혁대(1)에 복수개의 걸림공(2)을 반드시 형성하여야 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할 때 걸림공(2)의 주위가 늘어나고 헤어지게 되어 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5-0009118호(공고일자: 1995년10월20일)의 "혁대 보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공보는 걸림공 부위에 보강편을 위치시켜 걸림공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보강편을 사용하야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10표시의 혁대(1)에 설치된 버클(10a)은, 그 혁대(1)에 걸림공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혁대의 조임 상태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버클로서, 버클본체(12)의 이면에 플랜지(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12a)의 일단에는 고정바(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3)에 혁대(1)의 일단을 감싼 상태로 고정구(3)로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2a)의 중간부위에는 축공(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공(12b)에는 어느 일측(혁대와의 접속면)으로 복수개의 고정돌기(14a)가 형성된 회전부재(14)와 어느 일단에 손잡이(16a)가 형성된 레버(16)가 힌지축(11)에 의해 동시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14)와 레버(16)가 탄력적으로 결합되게 하고자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의 사이에는 상기 힌지축(11)을 감싸도록 스프링(18)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18)의 일단은 회전부재(14)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은 레버(16)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가 항상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혁대(1)에 밀착되는 힘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혁대용 버클(10)은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8)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와 레버(16)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 됨으로 상기 회전부재(14)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14a)가 혁대(1)의 이면에 밀착되어 혁대를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혁대의 위치는 가변되지 않는다.
또한, 혁대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돌기(14a)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야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레버(16)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16a)를 혁대 측으로 눌러주면 상기 레버(16)가 회전부재(14)의 일단을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회전부재(14)가 스프링(18)을 압축시키면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돌기(14a)가 혁대(1)의 이면에서 분리되면서 혁대(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혁대(1)를 버클본체(12)로부터 빠져나오게 할 수 있다.
한편, 혁대가 풀어진 상태에서 누르고 있던 손잡이(16a)를 놓게 되면 외력이 제거되면서 압축되었던 스프링(18)의 복원력으로 초기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혁대를 착용하기 위해 혁대(1)의 일단을 다시 버클본체(12)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혁대(1)의 삽입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4)가 스프링(18)을 압축시키면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소정의 위치(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서 혁대의 삽입을 중단하면 회전되었던 회전부재(14)가 스프링(18)의 복원력으로 초기상태로 되면서 혁대(1)가 버클본체(1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혁대용 버클(10)은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혁대의 조임상태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사용자는 바지의 종류에 따라 혁대를 선택하여 착용하게 되며, 종래에는 혁대의 구조에 따라 도 9표시의 혁대용 버클(10a)과 도 10표시의 혁대용 버클(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착용해야 됨으로, 여러 개의 혁대를 구비하여야 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걸림공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혁대와 걸림공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혁대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혁대용 버클을 특허출원번호 제2010-0100415호로 출원하였다.
상기 선 출원은 하나의 버클을 이용하여 걸림공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혁대와 걸림공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혁대 모두에 사용할 수 있음으로 경제적으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선 출원의 버클은 사용시에 걸림공들이 혁대를 관통하여 형성되지 않고 혁대의 내측면으로만 개구되는 홈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그러나, 걸림공을 혁대의 내측면으로만 개구되는 홈으로 형성하게 되면 그 걸림공에 걸리는 걸고리에 의해 걸림공이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즉, 걸림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면 걸고리가 걸림공에 관통되는 상태로 끼워짐으로 걸림공의 주변 전체에 하중을 받게 되어 걸림공의 변형이 적게 되나, 걸림공이 홈으로 형성되면 걸고리가 걸리공에 걸리는 형태로 끼워지게 때문에 걸림공에 하중이 집중되어 쉽게 변형됨을 확인하였다.
이 때문에, 선 출원의 버클을 사용시에도 걸림공들이 관통된 혁대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5-0009118호(공고일자: 1995년10월20일), 혁대 보강 장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혁대용 버클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걸림공들을 혁대의 내측으로만 개구되는 홈으로 형성하여 혁대의 외측에서는 걸림공들이 보이지 않게 함과 아울러 그 걸림공들에 보강체를 설치하여 상기 걸림공들이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혁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어느 일단에 버클이 설치되는 혁대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외피와 상기 외피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외피의 일면에 부착되며, 일정 간격을 이루게 제1걸림공들이 형성된 내피와 상기 내,외피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1걸림공들에 대응하는 제2걸림공들이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보강부재와 내피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된 제1,제2걸림공들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1,제2걸림공들을 보강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보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체는 제1,제2걸림공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측 끝단을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내피에 고정되게 한 걸림단부와, 상기 걸림단부가 형성된 원통부의 반대측 끝단에 환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어 보강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지지테부와, 상기 지지테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혁대의 외측으로 걸림공들이 노출되지 않음으로 깔끔한 미감을 가짐과 아울러 걸림공에 보강체를 설치함으로서 걸림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에 버클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가 버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의 일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혁대에 내장된 보강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와 도 10은 종래의 혁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혁대는 어느 일단에 버클(200)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버클(200)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혁대용 버클(특허출원번호 제2010-0100415호)을 이용함이 좋다. 상기 버클(200)은 어느 일측에는 혁대의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다른 일측에는 상기 혁대의 다른 일단을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삽입공간(20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202)을 통해 삽입된 혁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04)이 내측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버클(20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 특허출원번호 제2010-0100415호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버클(200)에 사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혁대는 몸체(110)는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1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외피(114) 및 상기 외피(114)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외피(114)의 일면에 부착되며, 일정 간격을 이루게 제1걸림공(118a)들이 형성된 내피(112)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혁대는 보강부재(1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강부재(116)는 상기 몸체(110)를 보강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부재(116)는 내피(112)와 외피(114)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걸림공(118a)들에 대응하는 제2걸림공(118b)들이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2걸림공(118a,118b)을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하나의 걸림공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혁대는 보강체(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보강체(120)는 금속재질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 상기 보강부재(116)와 상기 내피(112)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된 제1,제2걸림공(118a,118b)들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1,제2걸림공(118a,118b)들이 늘어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보강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보강체(120)는 상기 제1,제2걸림공(118a,118b)에 끼워지는 원통부(122)와, 상기 원통부(122)의 일측 끝단을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내피(112)에 고정되게 한 걸림단부(124)와, 상기 걸림단부(124)가 형성된 원통부(122)의 반대측 끝단에 환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어 보강부재(116)의 일면에 지지되는 지지테부(126)와, 상기 지지테부(126)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핀부(128)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강체(120)가 혁대를 구성하는 내피(112)와 보강부재(116)에 형성되는 제1,제2걸림공(118a,118b)들에 끼움 설치됨에 의해 걸림공들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체(120)를 걸림공에 끼움 설치될 때, 상기 지지테부(126)가 보강부재(116)에 밀착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부(128)가 보강부재(116)에 박혀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또 상기 걸림단부(124)에 의해 내피(112)에 고정되어 걸림공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혁대를 허리에 찬 상태에서 식사를 하거나 배에 힘을 주게 되면 혁대는 인장되면서 걸림공에 하중이 집중되어 걸림공이 변형되는데, 본 고안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체(120)를 걸림공에 설치하게 되면 걸림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혁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110 - 몸체 112 - 외피
114 - 내피 116 - 보강부재
118a,118b - 제1,제2걸림공 120 - 보강체
122 - 원통부 124 - 걸림단부
126 - 지지테부 128 - 고정핀부

Claims (1)

  1. 어느 일단에 버클이 설치되는 혁대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외피와 상기 외피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외피의 일면에 부착되며, 일정 간격을 이루게 제1걸림공들이 형성된 내피와 상기 내,외피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1걸림공들에 대응하는 제2걸림공들이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보강부재와 내피에 서로 대응하게 형성된 제1,제2걸림공들에 끼움 설치되어 상기 제1,제2걸림공들을 보강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보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체는 제1,제2걸림공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측 끝단을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내피에 고정되게 한 걸림단부와, 상기 걸림단부가 형성된 원통부의 반대측 끝단에 환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어 보강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지지테부와, 상기 지지테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
KR2020110006917U 2011-07-29 2011-07-29 혁대 KR201300009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917U KR20130000903U (ko) 2011-07-29 2011-07-29 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917U KR20130000903U (ko) 2011-07-29 2011-07-29 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903U true KR20130000903U (ko) 2013-02-06

Family

ID=5242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917U KR20130000903U (ko) 2011-07-29 2011-07-29 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9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617A1 (en) * 2015-02-05 2016-08-11 Bsr Goldsmith, Llc Apparel belt and buckle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617A1 (en) * 2015-02-05 2016-08-11 Bsr Goldsmith, Llc Apparel belt and buckle apparatus
EP3247236A4 (en) * 2015-02-05 2018-08-08 BSR Goldsmith, LLC Apparel belt and buckl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894B2 (en) Tangless buckle
US80695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yet removably attaching ornaments to shoes, clothing, pet collars and the like
CN108024599B (zh) 系带儿卷绕装置及利用该装置的鞋和衣服
CN102905573B (zh) 滑动锁定索环
US10021945B2 (en) Self-closing buckle mechanism
AU2017202838B2 (en) Interchangeable strap closure system for footwear
EP3902434B1 (en) Pulley for a wearable article
US5852857A (en) Jamming device for cord or tape fastener such as shoelaces
KR20130000903U (ko) 혁대
US20080282516A1 (en) Apparatus of Fixing a Belt Buckle
US9173455B2 (en) Device for closing and fastening two lengths of flexible strapping
KR101563525B1 (ko) 신발끈 조임 구조체
EP2810578B1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KR101161392B1 (ko) 신발끈 체결장치
JP2020528326A (ja) 過剰な部分を留め付けるための装置を備えるベルト及びストラップ
KR200383236Y1 (ko) 벨트용 마찰식 버클
WO2019019771A1 (zh) 一种腰带
KR200387187Y1 (ko) 혁대
CA3094729C (en) Attachment mechanism and system for footwear
KR200328262Y1 (ko) 회전링을 갖는 신발끈 고리
KR101147845B1 (ko) 혁대용 버클
KR101661702B1 (ko) 혁대
TWM501143U (zh) 雞眼釘繩扣構造
US11692791B2 (en) Concealed holster for women
AU2018101169A4 (en) Fas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