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600U -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600U
KR20130000600U KR2020120011284U KR20120011284U KR20130000600U KR 20130000600 U KR20130000600 U KR 20130000600U KR 2020120011284 U KR2020120011284 U KR 2020120011284U KR 20120011284 U KR20120011284 U KR 20120011284U KR 20130000600 U KR20130000600 U KR 201300006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martphone
unit
display pane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장현
Original Assignee
노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장현 filed Critical 노장현
Priority to KR2020120011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600U/ko
Publication of KR201300006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6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보조 모니터 표시장치이다.
상기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 한쪽에 고정되어 스마트폰의 액정 보호 케이스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스마트폰의 전원과 각종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의 보조 모니터로 사용되며 사용자의 필요시 스마트폰 내의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전송받아 그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portable terminal submonitor}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보조 모니터 표시장치이다.
현재 스마트폰 시장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콘텐츠와 앱을 탑재하여 차별화하는 등 경쟁을 하고 있다.
이제는 기술이 발전하여 영화를 보며 검색, 문자 확인 등을 할 수 있는데 기능에 비해 모니터 화면이 작아 불편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보조 모니터 표시장치를 구현하였다.
종래에 사용하던 피처폰<폴더형, 슬라이더형>을 보면 한쪽에는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패드가 있고 반대쪽에는 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상반된 기능이었다.
근래에 들어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스크린이 개발된 바, 한 모니터 안에서 위의 두 기능을 사용 가능해졌고, 또한 영화를 보며 검색을 하는 등 멀티테스킹이 가능해졌지만 아무래도 작은 화면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는데는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노트북이나 태블릿 PC 등, 휴대용 PC가 널리 쓰이고 있지만, 부피가 커서 자유롭게 휴대하며 사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 한쪽에 고정되어 스마트폰의 액정 보호 케이스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시 보조 모니터를 옆으로 젖혀 전원을 공급한 후 스마트폰의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이를 보조 모니터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상기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무게와 부피를 줄이는 것이 관건인 바, LCD 디스플레이 패널은 물론 필요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Plexible Display Panal>을 활용하여 보조 모니터의 스크린 패널에 이용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에서 보조 모니터로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송신부.
상기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
스마트폰과 상호 연동되는 인터페이스부.
전송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게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와 같이 전송되어진 영상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또한 스마트폰에서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기판의 회로 단자 및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및 데이터는 수신부를 거쳐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받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제어부에 의해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스마트폰에 있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보조 모니터의 회로 단자 및 각 센서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모니터를 두개 사용하는 효과가 있어 작은 모니터로 인해 불가능했던 다양한 콘텐츠 및 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필요한 프로그램을 상기 보조 모니터에 전송하여 더 큰 화면에서 문자 입력, 검색, 영화 시청, 영상 통화 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면 상기 보조 모니터에 터치패드 기능을 부여해 문자 입력 및 다양한 작업을 스마트폰의 모니터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과 이동 단말기를 분리해 필요시 사용할 수 있게 탈, 부착이 가능하게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 모니터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NFC>,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모니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모니터를 제작할시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휴대하는데 불편함이 없을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모니터를 제작하는데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면 널리 쓰이고 있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인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의 프로그램을 표시만 하는 기능만 수행하기에 모니터를 얇고 가볍게 제작하는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또한 보조 모니터를 투명 디스플레이<TFT>로 제작할 수 있다면 장점이 많다.
보조 모니터를 스마트폰에 결합했을시 보조 모니터를 열지 않고서도 스마트폰 스크린에 표시되는 내용을 투과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보조 모니터가 투명하면 보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때 빛에 의해 화면이 선명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매직미러를 응용하여 보조 모니터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전류로 모니터의 색이 변하게 만드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연동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구동방식 순서도<Flowchart>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을 합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좌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3의 우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고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연동 및 구동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에는, 송신부<110>, 배터리<120>, 상기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에는<150>, 전원공급부<160>, 수신부<170>, 인터페이스부<180>, 제어부<190>,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보조 모니터로 영상 및 데이터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송신케이블<130>, 배터리 전원을 공급할 때 사용되는 전원케이블<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시 보조 모니터를 우측으로 열어서 펼치면<도 4 참조> 배터리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되며 전원이 켜지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가 스마트폰 내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전송하면 보조 모니터 스크린에 표시되는 방식이다.
스마트폰 옆면에 통화버튼을 따로 설치<도 5 참조>하면 간단한 통화시 보조 모니터를 열어 펼치지 않고서도 통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조 모니터 뒷면에 조그만 디지털 표시장치를 만들어 놓으면 전화 수신시 보조 모니터를 열어 펼치지 않고서도 수신자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영상 통화, 문자 전송 및 확인, 검색 등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좀 더 넓은 화면에서 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100>의 응용프로그램을 조작해 데이터를 송신<송신부 110>하면 보조 모니터<150>와 연결된 송신케이블<130>을 통하여 수신부<170>에 상기 신호가 전송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80>는 수신부<17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90>는 인터페이스부<180>로부터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송하여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150>의 전원공급부<160>는 스마트폰<100>에 내장된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케이블<14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보조 모니터 내의 센서 및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한다.
필요할 경우 드라이버 IC를 이용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영상, 문자, 각종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외에는 다른 역할은 수행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인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영상, 문자, 프로그램을 전환, 삭제, 수정하려고 할 때는 스마트폰에서 그 기능을 조작해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의 구동방식 순서도<Flowchart>를 나타내는 순서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연동 및 구동방식은
먼저 스마트폰 위에 겹쳐져 있는 보조 모니터를 열어 펼치면 전원이 자동 공급되며 기기가 작동한다.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300>을 이용 보조 모니터로 전송<301>하면 보조 모니터에서 이를 수신<302>하여 인터페이스부<303>로 전송한다.
제어부<304>는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받고 디스플레이부<305>에서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끔 제어한다.
또한 프로그램 전환<306>은 스마트폰에서 조작해야 한다.
또한 보조 모니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미리 선택하여 설정해 놓으면 일일이 조작하는 수고로움이 줄어들 것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을 합체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모니터 뒷면에 수신된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작은 디지털 표시장치<210>가 있어 보조 모니터를 닫아 스마트폰 스크린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없을 때 보조 모니터를 열지 않고서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경우 보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앞서 기술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아닌 널리 이용되고 있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작할시 필요한 기능이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고리<220>, 보조 모니터 고정틀<230>, 디스플레이 패널<240>을 포함한다.
연결고리<220>는 보조 모니터를 스마트폰에 고정하며 보조 모니터를 열고 닫을 때 경첩 역할을 해준다.
또한 내부에는 송신케이블<130>, 전원케이블<140>이 관통하고 있다.
상기 보조 모니터 고정틀<230>은 보조 모니터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보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앞서 상술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작할시 내부에 회로 기판 및 각종 센서 등을 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40>은 LCD 디스플레이 패널,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그 외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게와 부피가 작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용하여야 휴대하기 좋을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좌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화버튼<250>은 간단한 통화시 보조 모니터를 열어서 펼치지 않고 통화할 수 있게 임시버튼을 만들어 사용하게 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3의 우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고리<220>가 있어 보조 모니터를 스마트폰에 고정해 주며 보조 모니터를 열고 닫을 때 경첩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고리의 모양과 형태는 자유로히 바꿔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폰
100. 301. 전송부
120. 배터리
130. 송신케이블
140. 전원케이블
150.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160. 전원공급부
170. 302. 수신부
180. 303. 인터페이스부
190. 304. 제어부
200. 305. 디스플레이부
210. 디지털 표시장치
220. 연결고리
230. 보조 모니터 고정틀
240. 디스플레이 패널<모니터>
250. 통화버튼
300. 응용프로그램
306. 프로그램 전환

Claims (6)

  1. 응용프로그램을 이용 스마트폰에서 보조 모니터로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신호에 대한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스마트폰으로부터 배터리를 공급받는 보조 모니터의 전원공급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을 이용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보조 모니터에 전송하는 기능.
  3. 제 1항에 있어서 수신부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각종 신호를 수신받고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받는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배터리를 공급받아 보조 모니터의 회로 단자 및 각 센서에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해주는 장치.
  5. 보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LCD 디스플레이 패널 및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모니터를 제작하는 방식.
  6.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에 있어서, 스마트폰과 보조 모니터의 연동 및 구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응용프로그램.
KR2020120011284U 2012-12-03 2012-12-03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KR201300006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284U KR20130000600U (ko) 2012-12-03 2012-12-03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284U KR20130000600U (ko) 2012-12-03 2012-12-03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00U true KR20130000600U (ko) 2013-01-23

Family

ID=5242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284U KR20130000600U (ko) 2012-12-03 2012-12-03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6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10A1 (ko) * 2020-03-05 2021-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커버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10A1 (ko) * 2020-03-05 2021-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커버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253B1 (ko) 전자 태그와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US10176783B2 (en) Interactive wearable and portable smart devices
KR2015001924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46846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EP2802129A1 (en) Mobile terminal
KR201700327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09065A (ko)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10574807B2 (en) Hybrid secondary screen smart cover with e-ink
WO2020042921A1 (zh) 屏幕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2100259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173792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CN108449447B (zh) 一种使用单个墨水屏的通信设备
KR20130000344U (ko)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KR20130000600U (ko)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KR20220047293A (ko) 홈스크린을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8568A (ko)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CN104699436A (zh) 一种适用于移动设备的正面分屏显示
CN103389596B (zh) 显示装置
KR102302994B1 (ko)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US9494974B2 (en) Touch display device
US201302349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15867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 hybrid secondary screen smart cover with e-ink
KR101522631B1 (ko)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
CN220553287U (zh) 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30038964A (ko) 스마트허브 형태로 동작하는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자켓 및 운영체계 혹은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