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534U -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 Google Patents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534U
KR20130000534U KR2020110006371U KR20110006371U KR20130000534U KR 20130000534 U KR20130000534 U KR 20130000534U KR 2020110006371 U KR2020110006371 U KR 2020110006371U KR 20110006371 U KR20110006371 U KR 20110006371U KR 20130000534 U KR20130000534 U KR 20130000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upport arm
chair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섭
Original Assignee
최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섭 filed Critical 최동섭
Priority to KR2020110006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534U/ko
Publication of KR20130000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47D1/0081Children's chairs with tray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47D1/0083Children's chairs with tray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식탁의자에 있어서, 유아의 체형에 따라 식탁의자의 급식판 즉, 테이블과 지지암을 조립식으로 전후 이송 고정시켜 착석 공간부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발판 역시 전방 지지다리를 기준으로 유아의 신장에 따라 발안착 높이를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급식판의 테이블은 지지암에 형성된 힌지에 의해 상하향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유무에 따라 테이블을 전방에 거치시키거나 들어올려 일반 테이블과 간섭없이 유아의 근접을 도모하도록 하되, 상기 테이블의 상향 회동(테이블의 불사용)시에는 좌대에 착석한 유아가 의자 밑으로 낙상하지 않도록 보조암으로 연결된 가이드바에 의해 안전이 확보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Safe table-chair capable of controlling distance foran infant}
본 고안은 식탁의자에 있어서, 유아의 체형에 따라 식탁의자의 급식판 즉, 테이블과 지지암을 조립식으로 전후 이송 고정시켜 착석 공간부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발판 역시 전방 지지다리를 기준으로 유아의 신장에 따라 발안착 높이를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급식판의 테이블은 지지암에 형성된 힌지에 의해 상하향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유무에 따라 테이블을 전방에 거치시키거나 들어올려 일반 테이블과 간섭없이 유아의 근접을 도모하도록 하되, 상기 테이블의 상향 회동(테이블의 불사용)시에는 좌대에 착석한 유아가 의자 밑으로 낙상하지 않도록 보조암으로 연결된 가이드바에 의해 안전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어른용 식탁의자에 앉히는 경우 높이가 맞지 않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주의가 산만하고 평형감각과 공간지각 능력이 현저하게 낮으므로 자칫 식탁의자에서 떨어지는 위험이 있으므로 상당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월령의 유아들은 부득이 어른들이 품에 안고서 식사를 해야 하므로 육체적으로 힘들 뿐만 아니라 불편함이 컸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유아용 식탁 의자가 개발되었으며, 상기 유아용 식탁 의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의자에 비하여 긴 다리를 구비하고, 유아가 안전하게 앉을 수 있도록 사방이 막혀 있으며, 양다리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다리가 빠져나오는 부위 중간에 가로대가 형성되어 유아를 의자에 앉히더라도 의자 자체의 형상에 따라 유아의 행동반경을 제한하여 별다른 주의 없이도 식사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식탁 의자는 높낮이 조절과 좌석 부분의 확장이 불가능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어 유아의 성장 시기에 맞춰 새로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유아의 체형에 따라 식탁의자의 급식판 즉, 테이블과 지지암을 조립식으로 전후 이송 고정시켜 착석 공간부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발판 역시 전방 지지다리를 기준으로 유아의 신장에 따라 발안착 높이를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급식판의 테이블은 지지암에 형성된 힌지에 의해 상하향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유무에 따라 테이블을 전방에 거치시키거나 들어올려 일반 테이블과 간섭없이 유아의 근접을 도모하도록 하되, 상기 테이블의 상향 회동(테이블의 불사용)시에는 좌대에 착석한 유아가 의자 밑으로 낙상하지 않도록 보조암으로 연결된 가이드바에 의해 안전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아의 행동을 제한하도록 등받이(110)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110)의 좌우 양측으로 전방 및 후방 지지다리(121,122)를 겸하는 복수의 측판(120)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120)과 등받이(110) 사이에 형성되어 유아의 착석을 도모하도록 좌대(130)가 형성되는 식탁 본체(100)와; 상기 식탁 본체의 측판(120) 상부 외주면에 결합되어 팔걸이를 도모하도록 지지암(210)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암(210)의 전방에는 양단부를 연결하면서 테이블(220)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급식판(200)과; 상기 식탁 본체의 측판(120) 외주면과 급식판의 지지암(21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보조암(310)이 형성되되, 상기 보조암(310)의 전방에는 양단부를 연결하며 테이블(220)의 저면에서 받침 역할을 하거나, 유아의 낙상 방지용 안전바 역할을 하도록 가이드바(320)가 형성되는 보조구(300)와; 상기 측판의 전방 지지다리(121) 하부측에 결합되어 유아의 발이 안착되도록 직사각판으로 형성되는 발판(4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테이블(220)과 조립된 지지암(210)은 후방 단부 측에 힌지(230)가 결합되어 측판(120) 및 보조암의 옆면을 기준으로 상하향 회동하면서 급식판(200)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식탁 본체(100)는 측판(120) 외주면에 지지암(210) 및 보조암(310)이 조립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등간격 배열된 다수개의 고정홈(140)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140)은 지지암(210) 및 보조암(310)의 옆면에 형성된 결합공(211,311)과 대응되어 체결구에 의해 필요에 따라 급식판을 전후방으로 가변 조립하면서 유아의 체형에 따라 착석할 공간부(S)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400)은 길이방향 좌우 양단부가 전방 지지다리(121)의 양단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전방 지지다리(121) 선단 면상에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체결공(123)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400)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체결공(123)과 대응되는 조립공(410)이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설정된 높이에서 전방 지지다리(121)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아의 체형에 따라 식탁의자의 급식판 즉, 테이블과 지지암을 조립식으로 전후 이송 고정시켜 착석 공간부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 발판 역시 전방 지지다리를 기준으로 유아의 신장에 따라 발안착 높이를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급식판의 테이블은 지지암에 형성된 힌지에 의해 상하향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유무에 따라 테이블을 전방에 거치시키거나 들어올려 일반 테이블과 간섭없이 유아의 근접을 도모하도록 하되, 상기 테이블의 상향 회동(테이블의 불사용)시에는 좌대에 착석한 유아가 의자 밑으로 낙상하지 않도록 보조암으로 연결된 가이드바에 의해 안전이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의 보조구가 드러나도록 테이블이 힌지에 의해 상향 들어올려진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의 급식판이 전후 이송되며 조립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탁 의자의 발판이 상하 이송되며 조립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식탁 본체(100), 급식판(200), 보조구(300) 및 발판(4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식탁 본체(100)는 유아의 행동을 제한하도록 등받이(110)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110)의 좌우 양측으로 전방 및 후방 지지다리(121,122)를 겸하는 복수의 측판(120)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120)과 등받이(110) 사이에 형성되어 유아의 착석을 도모하도록 좌대(130)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급식판(200)은 상기 식탁 본체의 측판(120) 상부 외주면에 결합되어 팔걸이를 도모하도록 지지암(210)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암(210)의 전방에는 양단부를 연결하면서 테이블(220)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구(300)는 상기 식탁 본체의 측판(120) 외주면과 급식판의 지지암(21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보조암(310)이 형성되되, 상기 보조암(310)의 전방에는 양단부를 연결하며 테이블(220)의 저면에서 받침 역할을 하거나, 유아의 낙상 방지용 안전바 역할을 하도록 가이드바(32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발판(400)은 상기 측판의 전방 지지다리(121) 하부측에 결합되어 유아의 발이 안착되도록 직사각판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220)과 조립된 지지암(210)은 후방 단부 측에 힌지(230)가 결합되어 측판(120) 및 보조암의 옆면을 기준으로 상하향 회동하면서 급식판(200)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식탁 본체(100)는 측판(120) 외주면에 지지암(210) 및 보조암(310)이 조립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등간격 배열된 다수개의 고정홈(140)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140)은 지지암(210) 및 보조암(310)의 옆면에 형성된 결합공(211,311)과 대응되어 체결구에 의해 필요에 따라 급식판을 전후방으로 가변 조립하면서 유아의 체형에 따라 착석할 공간부(S)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400)은 길이방향 좌우 양단부가 전방 지지다리(121)의 양단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전방 지지다리(121) 선단 면상에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체결공(123)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400)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체결공(123)과 대응되는 조립공(410)이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설정된 높이에서 전방 지지다리(121)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식탁 본체 110 ... 등받이
120 ... 측판 130 ... 좌대
200 ... 급식판 210 ... 지지암
220 ... 테이블 300 ... 보조구
310 ... 보조암 320 ... 가이드바
400 ... 발판

Claims (4)

  1. 유아의 행동을 제한하도록 등받이(110)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110)의 좌우 양측으로 전방 및 후방 지지다리(121,122)를 겸하는 복수의 측판(120)이 형성되며, 상기 측판(120)과 등받이(110) 사이에 형성되어 유아의 착석을 도모하도록 좌대(130)가 형성되는 식탁 본체(100)와;
    상기 식탁 본체의 측판(120) 상부 외주면에 결합되어 팔걸이를 도모하도록 지지암(210)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암(210)의 전방에는 양단부를 연결하면서 테이블(220)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급식판(200)과;
    상기 식탁 본체의 측판(120) 외주면과 급식판의 지지암(21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보조암(310)이 형성되되, 상기 보조암(310)의 전방에는 양단부를 연결하며 테이블(220)의 저면에서 받침 역할을 하거나, 유아의 낙상 방지용 안전바 역할을 하도록 가이드바(320)가 형성되는 보조구(300)와;
    상기 측판의 전방 지지다리(121) 하부측에 결합되어 유아의 발이 안착되도록 직사각판으로 형성되는 발판(4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220)과 조립된 지지암(210)은 후방 단부 측에 힌지(230)가 결합되어 측판(120) 및 보조암의 옆면을 기준으로 상하향 회동하면서 급식판(200)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탁 본체(100)는 측판(120) 외주면에 지지암(210) 및 보조암(310)이 조립될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등간격 배열된 다수개의 고정홈(140)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140)은 지지암(210) 및 보조암(310)의 옆면에 형성된 결합공(211,311)과 대응되어 체결구에 의해 필요에 따라 급식판을 전후방으로 가변 조립하면서 유아의 체형에 따라 착석할 공간부(S)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400)은 길이방향 좌우 양단부가 전방 지지다리(121)의 양단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전방 지지다리(121) 선단 면상에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체결공(123)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400)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체결공(123)과 대응되는 조립공(410)이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설정된 높이에서 전방 지지다리(121)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KR2020110006371U 2011-07-13 2011-07-13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KR201300005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71U KR20130000534U (ko) 2011-07-13 2011-07-13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71U KR20130000534U (ko) 2011-07-13 2011-07-13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34U true KR20130000534U (ko) 2013-01-23

Family

ID=5242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371U KR20130000534U (ko) 2011-07-13 2011-07-13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5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2333A (ko) 2013-08-23 2015-03-0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식탁의자 겸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2333A (ko) 2013-08-23 2015-03-0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식탁의자 겸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9318B2 (en) Comfort apparatus for a mother and an infant
US7210737B2 (en) Feeding chair apparatus
US6659544B2 (en) Reconfigurable chair for infant carriers and toddlers or small children
KR101396857B1 (ko) 미끄럼 놀이 기능을 갖는 유아용 식탁의자
KR20130000534U (ko) 가변식 유아용 식탁의자
US6938952B2 (en) Universal high chair
KR20170028695A (ko) 가변식 가구 시스템
KR100819146B1 (ko) 높이조절 의자
KR101398417B1 (ko) 유아용 의자
KR200428121Y1 (ko) 유아용 식탁 의자
KR101834290B1 (ko) 다용도 목욕 의자
JP7001339B2 (ja) 育児器具の座席マット
KR200483176Y1 (ko) 유아용 웨건
TWI807869B (zh) 可變換形態的多功能餐椅
KR102668968B1 (ko) 유아용 기립보조의자
RU2779172C1 (ru) Стул-трансформер
TWI517816B (zh) 嬰兒椅
CN217117993U (zh) 一种多功能的成长型餐椅
KR101905096B1 (ko) 등받이와 식탁 및 고정수단이 구비된 분할형 의자
KR101219246B1 (ko)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CN216438870U (zh) 一种亲子沙发
CN203662378U (zh) 一种角度可调的儿童高脚椅
JP4189543B2 (ja) 乳幼児用ハイチェア
TWM635259U (zh) 多功能餐椅
CZ29601U1 (cs) Stavitelná dětská sedač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