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417B1 - 유아용 의자 - Google Patents

유아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417B1
KR101398417B1 KR1020120052833A KR20120052833A KR101398417B1 KR 101398417 B1 KR101398417 B1 KR 101398417B1 KR 1020120052833 A KR1020120052833 A KR 1020120052833A KR 20120052833 A KR20120052833 A KR 20120052833A KR 101398417 B1 KR101398417 B1 KR 10139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chair body
groove
engag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804A (ko
Inventor
채규종
Original Assignee
채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규종 filed Critical 채규종
Priority to KR102012005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1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ial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아의 착좌 상태를 지지하는 등받이부(22)와 사이드 지지부(24)를 구비한 의자 바디(20)와; 상기 의자 바디(20)에 구비되어 유아의 둔부를 받쳐주는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 위치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어 유아의 둔부의 일부가 상기 의자 바디(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둔부의 나머지 부분을 걸쳐져서 받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통공부(32)가 구비된 바텀 지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의자{Toddler chair}
본 발명은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용변시에 좌변기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어서 유아의 용변에 도움이 되고, 평상시에는 유아들이 안정적으로 앉아서 공부나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식사시에는 일반 의자에 올려놓고 식탁용 의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서 사용이 가능하고, 유아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도와줄 수 있어서 여러모로 유용한 새로운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들이 앉아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변기로 가져가서 유아들의 용변을 도와줄 수 있어서, 유아들에게 거부감이 생기거나 하는 일이 없으므로, 유아에게도 매우 편하고 유아의 신변 처리를 도와주는 보호자에게도 매우 편리하여 여러모로 유아 및 보호자의 생활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적인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성인에 비하여 체형이 작은 유아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앉아서 생활할 수 있도록 유아용 의자가 사용되고 있다. 즉, 유아들의 착석을 보조하기 위한 물품으로 특정목적을 위한 유아용 의자가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식탁용 보조 의자, 변기 보조의자 등 유아가 처해지는 상황에서 유아의 상체를 안전하게 받쳐서 앉혀놓을 수 있는 목적으로 개발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유아용 의자의 경우 유아의 생활 용도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제품이 필요하여 여러모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유아들이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가정에 별도로 변기 보조의자를 비치하여야 하고, 유아가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착좌 전용 의자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며, 성인과 비교하여 유아의 체형이 작아서 일반 성인용 식탁에서 식사할 때에는 유아도 함께 식사할 수 있도록 별도로 식탁용 보조 의자를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변기 보조의자가 비치하지 않는 상태라면, 보호자가 유아를 좌변기로 데리고 가서 용변을 보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좌변기는 성인 체형에 맞는 사이즈라서 유아가 혼자서 좌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보려해도 유아의 신체가 좌변기 안으로 빠져버리게 되므로, 용변을 보는 동안 보호자가 유아를 안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아의 생활 형태에 맞는 용도로 의자를 별도로 구입하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부담이 되고 유아기 때에만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물품에 쓸데 없이 돈을 쓰는 낭비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유아의 생활 형태에 맞은 의자(전술한 변기 보조의자, 착좌 전용 의자, 식탁용 보조 의자 등)을 별도로 구입하더라도 비치 공간을 비교적 많이 차지하여 생활 공간이 좁아지는 등의 불편함도 초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의 용변시에 좌변기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어서 유아의 용변에 도움이 되고, 평상시에는 유아들이 안정적으로 앉아서 공부나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식사시에는 일반 의자에 올려놓고 식탁용 의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서 사용이 가능하고, 유아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도와줄 수 있어서 여러모로 유용한 새로운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단일 제품 의자이지만 용도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유아의 생활과 이를 돌보는 보호자들의 생활에도 많은 도움이 되며, 유아의 생활 용도에 따라 별도로 다른 용도의 의자를 비치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새로운 구성의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들을 변기로 데려가서 용변을 도와주려 할 때에 유아들이 울거나 칭얼대는 경우를 감안하여, 유아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변기로 가져가서 유아들의 용변을 도와줄 수 있으므로, 유아들에게 거부감이 생기거나 하는 경우(유아가 놀다가 변기로 데려갈 때 울거나 칭얼거리는 경우)가 없으므로, 유아에게도 매우 편하고 유아의 신변 처리를 도와주는 보호자에게도 매우 편리하여 여러모로 유아 및 보호자의 생활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적인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의 착좌 상태를 지지하는 등받이부(22)와 사이드 지지부(24)를 구비한 의자 바디(20)와; 상기 의자 바디(20)에 구비되어 유아의 둔부를 받쳐주는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 위치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어 유아의 둔부의 일부가 상기 의자 바디(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둔부의 나머지 부분을 걸쳐져서 받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통공부(32)가 구비된 바텀 지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의자 바디(20)의 상기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상기 통공부(32)를 막아주도록 결합되는 서포팅 시트(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팅 시트(40)의 저면에는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기 통공부(32)에 끼워지는 인서트 블록(42)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팅 시트(40)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구멍(44)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자 바디(20)의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34)과;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기 결합홈(34)에 하측부가 끼움 결합되는 레그부(52)의 상단부에 상판부(54)가 구비된 평상 패널 블록(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34)은, 상대적으로 단면 사이즈가 작은 제1결합홈(34a)과, 상기 제1결합홈(34a)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홈(34a)에 비하여 그 단면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결합홈(34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34a)과 상기 제2결합홈(34b)은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가 있는 다각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상기 레그부(52)에는 상기 제1결합홈(34a)에 형합되어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제1결합레그(52a)과, 상기 제1결합레그(52a)의 상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결합홈(34b)에 형합되어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제2결합레그(52b)이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홈(34a)의 바닥부에는 인서트 로드(36)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상기 제1결합레그(52a)에는 상기 인서트 로드(36)에 끼워져서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하단부에 코어형 결합 연결부를 형성하는 인서트홀(5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 바디(20)의 상기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34)에 형합되도록 끼워지는 캡(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34)은, 상대적으로 단면 사이즈가 작게 이루어져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으로 연통된 제1결합홈(34a)과, 상기 제1결합홈(34a)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저면으로 연통되며 상기 제1결합홈(34a)에 비하여 그 단면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결합홈(34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34a)에는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인서트홀(38)이 구비되며,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상기 레그부(52)에는 상기 제1결합홈(34a)에 형합되어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결합 레그(57)과, 상기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홀(38)에 끼워지는 결합핀(5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 바디(20)의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홈(34b)에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결합핀(58)에 끼워지는 삽입공(62)이 형성된 캡(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의자 바디의 바텀 지지부에 서포팅 시트를 얹어놓고, 의자 바디 내부에 유아의 하체 및 상체를 안착시켜 앉혀 놓으면, 의자 바디의 바텀 지지부와 서포팅 시트 위에 유아의 둔부가 안정적으로 받쳐지고 다른 상체의 일부와 다리는 의자 바디의 다른 부분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쳐지며, 상기 의자 바디의 바텀 지지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평상 패널 블록을 결합하면 평상 패널 블록의 레그부 양쪽으로 유아의 양다리를 빼낸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앉혀 놓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가 놀이를 하거나 평상 패널 위에 음식물을 올려 놓고 식사 등을 하게 할 수 있다. 물론, 평상 패널 블록을 결합하지 않고 의자 바디에 유아를 앉혀놓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유아의 용변이 필요한 경우에는 의자 바디에 결합된 서포팅 시트를 분리하여 바텀 지지부에 형성된 통공부를 열어 놓고, 유아를 의자 바디에 앉혀 놓은 상태에서 의자 바디를 그대로 좌변기(정확하게는 좌변기의 중간 커버)에 올려놓으면, 유아가 좌변기에 안전하게 앉은 상태(즉, 유아가 좌변기에 빠지지 않는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서 유아의 신변 처리를 도와주기가 매우 편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유아들의 식사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아들은 상대적으로 어려서 체형이 더 작은 유아도 있고 상대적으로 나이가 더 많아서 체형이 더 큰 유아도 있을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체형이 더 큰 아이들은 의자 바디에 앉혀놓고 의자 바디를 성인들이 사용하는 의자에 올려놓으면 유아가 성인들과 함께 편리하게 식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체형이 더 작은 아이들은 의자 바디에 전방 위치에 상대적으로 상판부의 사이즈가 더 큰 평상 패널 블록을 설치하고, 이러한 평상 패널 블록의 상판부에 음식물을 올려주어, 유아가 의자 바디에 그대로 앉은 채로 편리하게 식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시 놀이 등을 즐기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유아의 용변시에 좌변기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어서 유아의 용변에 도움이 되고, 평상시에는 유아들이 안정적으로 앉아서 공부나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식사시에는 일반 의자에 올려놓고 식탁용 의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서 사용이 가능하고, 유아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도와줄 수 있어서 여러모로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한편, 유아들은 놀고 있다가 변기로 데려가서 용변을 보게 하려는 경우, 거부감에 의해 울어버리거나 칭얼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유아를 변기로 데려가서 신변 처리를 하려 할 때에 유아들이 울어버리거나 칭얼대는 등의 상황으로 곤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 유아가 앉아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변기로 가져가서 유아들의 용변을 도와줄 수 있으므로, 유아들이 거부감 등에 의해 울거나 칭얼거리는 등의 경우가 생기지 않으므로, 유아에게도 매우 편하고 유아의 신변 처리를 도와주는 보호자에게도 매우 편리하며, 이러한 점에서도 본 발명은 유아 및 보호자의 생활에 상당한 도움과 편리성을 가져다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의자의 주요부인 의자 바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서포팅 시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의자 바디와 서포팅 시트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의자 바디에 결합되는 평상 패널 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도
도 8은 도 6에 평상 패널 블록을 의자 바디에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의자 바디에 캡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의자의 주요부인 의자 바디에 평상 패널 블록과 캡을 결합한 상태를 저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의자 바디와 평상 패널 블록 및 캡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부(22)와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부(24) 및 유아의 둔부가 받쳐지는 바텀 지지부(30)를 구비한 의자 바디(20)와, 이러한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 형성된 통공부(32)를 구비한다.
상기 등받이부(22)와 사이드 지지부(24) 및 바텀 지지부(3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의자 바디(20)의 안쪽면(즉, 등받이부(22) 안쪽면과 사이드 지지부(24) 안쪽면 및 바텀 지지부(30) 바닥면)은 유아의 신체가 부드럽게 닿을 수 있도록 곡면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자 바디(20)의 재질은 유아의 착좌 상태에서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자체 형상을 유지하는 적절한 경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의자 바디(20)를 눌렀을 때에는 푹신하게 들어갈 수 있는 적절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무나 우레탄과 같이 소프트하면서 바디 형상을 유지하는 재질이면 모두 의자 바디(20)의 성형 재료로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 바닥면 중에서 전방 바닥면은 유아의 착좌시 양다리를 밑에서 부드럽게 받쳐주도록 가운데의 볼록부를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오목한 홈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하며, 바텀 지지부(30)의 다른 바닥면은 유아의 둔부가 아래에서 부드럽게 받쳐지도록 둔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한 홈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부(32)는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유아의 둔부의 일부가 바텀 지지부(3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둔부의 나머지 부분을 바텀 지지부(30)에 의해 걸쳐져서 받쳐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용변시 배설물이 의자 바디(2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의자 바디(20)의 저면을 좌변기의 중간 커버 위에 올려놓고 유아의 둔부를 바텀 지지부(30)에 걸쳐지도록 앉혀 놓은 상태에서 좌변기에 유아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용변이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통공부(32)를 통해 좌변기로 빠지게 된다. 이때, 의자 바디(20)는 자체 탄성이 있는 재질이라서 의자 바디(20)의 저면을 좌변기의 중간 커버 위에 올려놓고 앉으면 의자 바디(20)가 좌변기 중간 커버와의 접촉면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하면서 의자 바디(20)가 좌변기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가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의자 바디(20)에 구비되어 유아의 둔부를 받쳐주는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 위치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어 유아의 둔부의 일부가 의자 바디(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둔부의 나머지 부분을 걸쳐져서 받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통공부(32)가 구비된 바텀 지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통공부(32)를 막아주도록 결합되는 서포팅 시트(40)를 포함한다. 서포팅 시트(40)는 유아의 둔부를 아래에서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상면에 아래로 오목하게 파여진 패널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서포팅 시트(40)는 유아가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엉덩이(둔부)를 깔고 앉았을 때에 둔부가 아프지 않고 편안하게 받쳐지도록 둔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포팅 시트(40)는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서포팅 시트(40)의 외곽부 저면이 걸쳐져서 바텀 지지부(30)의 통공부(32)를 막아주게 된다. 이때, 서포팅 시트(40)는 저면에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의 통공부(32)에 끼워지는 인서트 블록(42)이 구비된다. 이러한 인서트 블록(42)이 바텀 지지부(30)의 통공부(32)에 딱 들어맞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서포팅 시트(40)의 외곽부 저면이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 상면에 걸쳐진 상태로 바텀 지지부(30)의 통공부(32)를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포팅 시트(40)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구멍(44)이 구비된다. 유아가 앉아 있다가 오줌을 싸는 경우가 생기면, 오줌이 서포팅 시트(40)의 구멍(44)으로 빠져 축축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포팅 시트(40)의 구멍(44)은 둔부를 대고 착좌시 통풍의 기능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34)과, 이 바텀 지지부(30)의 결합홈(34)에 하측부가 끼움 결합되는 레그부(52)의 상단부에 상판부(54)가 구비된 평상 패널 블록(5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34)은 의자 바디(20)를 구성하는 바텀 지지부(30)의 전방 위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결합홈(34)은 제2결합홈(34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면 사이즈가 작은 제1결합홈(34a)과, 이러한 제1결합홈(34a)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1결합홈(34a)에 비하여 그 단면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결합홈(34b)으로 구성된다. 즉, 결합홈(34)은 하부측의 제1결합홈(34a)과 상부측의 제2결합홈(34b)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34a)과 제2결합홈(34b)은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가 있는 다각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홈(34)(즉, 제1결합홈(34a)과 제2결합홈(34b) 부분)이 단면 사각홈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제1결합홈(34a)은 단면 사각홈이 아니고 원형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34a)의 바닥부에는 후술할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가 결합홈(34)에 끼워질 때에 코어식 결합부를 구성하는 인서트 로드(36)가 구비되어 있다. 인서트 로드(36)는 제1결합홈(34a)의 바닥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단면 원형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가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결합홈(34)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34)의 단면이 사각홈 형태라서 레그부(52)의 단면도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34)에 하측부가 끼움 결합되는 레그부(52)의 상단부에 상판부(54)가 구비된 평상 패널 블록(5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결합홈(34)은 상대적으로 단면 사이즈가 작은 제1결합홈(34a)과, 이러한 제1결합홈(34a)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1결합홈(34a)에 비하여 그 단면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결합홈(34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34a)과 제2결합홈(34b)은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가 있는 다각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에는 제1결합홈(34a)에 형합되어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제1결합레그(52a)과, 이러한 제1결합레그(52a)의 상부 위치에 구비되어 제2결합홈(34b)에 형합되어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제2결합레그(52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34a)의 바닥부에는 인서트 로드(36)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제1결합레그(52a)에는 인서트 로드(36)에 끼워져서 평상 패널 블록(50)의 하단부에 코어형 결합 연결부를 형성하는 인서트홀(56)이 구비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평상 패널 블록(50)의 인서트홀(56)의 내경은 의자 바디(20)에 구비된 인서트 로드(36)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인서트홀(56)에 인서트 로드(36)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유아가 당겨서는 빠지지 않을 정도의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전체 재질도 의자 바디(20)와 마찬가지로 고무나 우레탄과 같이 적절한 경성을 유지하면서도 표면은 적절히 소프트하여 표면 마찰력이 있는 재질이라서 의자 바디(20)의 인서트 로드(36)와 평상 패널 블록(50)의 인서트홀(56)이 서로 끼움 결합된다면 이들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평상 패널 블록(50)을 유아의 힘으로 위로 빼내려하여도 쉽게 빠지지 않으므로 더욱 좋다.
한편,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 양쪽으로 유아가 양다리를 끼워서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와 서포팅 시트(40)에 둔부를 깔고 앉아 있게 된다. 이때, 평상 패널 블록(50)의 상판부(54)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것과 작은 것이 있을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나이가 더 많은 유아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상판부(54)의 사이즈가 작은 평상 패널 블록(50)을 의자 바디(20)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나이가 더 어린 유아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상판부(54)의 사이즈가 보다 더 큰 평상 패널 블록(50)을 의자 바디(20)에 결합하여, 상대적으로 나이가 더 어린 유아들은 평상 패널 블록(50)의 상판부(54) 위에 음식으로 올려놓고 먹게 하거나 놀이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결합홈(34)에 형합되도록 끼워지는 캡(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캡(60)은 저면에 하측부의 제1캡블록과 상측부의 제2캡블록이 구비되며, 제1캡블록의 단면적은 제2캡블록의 단면적에 비하여 더 작게 이루어지며, 제1캡블록에는 로드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캡(60)을 바텀 지지부(30)의 결합홈(34)에 끼울 때에 제1캡블록과 제2캡블록은 상기 결합홈(34)을 구성하는 제1결합홈(34a)과 제2결합홈(34b)에 끼워지면서 동시 로드 결합홀은 제1결합홈(34a) 바닥부의 인서트 로드(36)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캡(60)은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결합홈(34)과 인서트 로드(36)를 막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결합홈(34)은 상대적으로 단면 사이즈가 작게 이루어져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으로 연통된 제1결합홈(34a)과, 이 제1결합홈(34a)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바텀 지지부(30)의 저면으로 연통되며 제1결합홈(34a)에 비하여 그 단면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결합홈(34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34a)에는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인서트홀(38)이 구비되며,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에는 제1결합홈(34a)에 형합되어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결합 레그(57)과, 상기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인서트홀(38)에 끼워지는 결합핀(58)이 구비된 구조이다.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는 단면각이 진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가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결합홈(34)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34)의 단면이 사각홈 형태라서 레그부(52)의 단면도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의 저면에 형성된 제2결합홈(34b)에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결합핀(58)에 끼워지는 삽입공(62)이 형성된 캡(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가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의 전방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34)에 끼워져서 평상 패널 블록(50)이 의자 바디(20)의 전방 위치에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결합핀(58)은 바텀 지지부(30)의 결합홈(34)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인서트홀(38)에 끼워지는데, 상기 캡(60)은 의자 바디(20)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삽입공(62) 부분이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의 인서트홀(38)에 끼워진 평상 패널 블록(50)의 결합핀(58)에 결합됨과 동시에 의자 바디(20)의 저면 제2결합홈(34b)에 끼워지므로, 의자 바디(20)의 하부 위치에서 캡(60)으로 평상 패널 블록(50)을 견고하게 잡고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캡(60)은 결합 블록부가 구비되고, 이 결합 블록부에 삽입공(62)이 형성되어, 캡(60)의 결합 블록부가 의자 바디(20)의 저면 제2결합홈(34b)에 끼워짐과 동시에 삽입공(62)이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 하단부에 구비된 결합핀(58)에 끼워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상 패널 블록(50)의 결합핀(58)의 외경은 의자 바디(20)에 구비된 인서트홀(38)의 내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의자 바디(20)의 인서트홀(38)에 평상 패널 블록(50)의 결합핀(58)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유아가 당겨서는 빠지지 않을 정도의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캡(60)에 형성된 삽입공(62)의 내경도 평상 패널 블록(50)의 결합핀(58)의 외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의자 바디(20) 저면에서 캡(60)이 평상 패널 블록(50)의 결합핀(58)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힘으로는 평상 패널 블록(50)이 의자 바디(20)와 캡(60)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전체 재질과 캡(60)의 재질도 의자 바디(20)와 마찬가지로 고무나 우레탄과 같이 적절한 경성을 유지하면서도 표면은 적절히 소프트하여 표면 마찰력이 있는 재질이라서 의자 바디(20)의 인서트홀(38)과 평상 패널 블록(50)의 결합핀(58)이 서로 끼움 결합된다면 이들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평상 패널 블록(50)을 유아의 힘으로 위로 빼내려하여도 쉽게 빠지지 않으므로 더욱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이 의자 바디(20)에 결합된 상태를 지지하는 의자 바디(20) 하부측의 캡(60)은 평상 패널 블록(50)을 의자 바디(20)에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의자 바디(20)의 상면으로 연통된 결합홈(34) 부분을 막아주는 기능도 하게 되며, 이러한 기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60)의 기능과 동일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에 서포팅 시트(40)를 얹어놓고, 의자 바디(20) 내부에 유아의 하체 및 상체를 안착시켜 앉혀 놓으면, 의자 바디(20)의 바텀 지지부(30)와 서포팅 시트(40) 위에 유아의 둔부가 안정적으로 받쳐지고 다른 상체의 일부와 다리는 의자 바디(20)의 다른 부분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쳐지며, 상기 의자 바디(20)이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결합홈(34)에 평상 패널 블록(50)을 결합하면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 양쪽으로 유아의 양다리를 빼낸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앉혀 놓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가 놀이를 하거나 평상 패널 위에 음식물을 올려 놓고 식사 등을 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유아의 용변이 필요한 경우에는 의자 바디(20)에 결합된 서포팅 시트(40)를 분리하여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통공부(32)를 열어 놓고, 유아를 의자 바디(20)에 앉혀 놓은 상테에서 의자 바디(20)를 그대로 좌변기(정확하게는 좌변기의 중간 커버)에 올려놓으면, 유아가 좌변기에 안전하게 앉은 상태(즉, 유아가 좌변기에 빠지지 않는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서 유아의 신변 처리를 도와주기가 매우 편하다.
한편, 본 발명은 유아들의 식사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아들은 상대적으로 어려서 체형이 더 작은 유아도 있고 상대적으로 나이가 더 많아서 체형이 더 큰 유아도 있을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체형이 더 큰 아이들은 의자 바디(20)에 앉혀놓고 의자 바디(20)를 성인들이 사용하는 의자에 올려놓으면 유아가 성인들과 함께 편리하게 식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체형이 더 작은 아이들은 의자 바디(20)에 전방 위치에 상대적으로 상판부(54)의 사이즈가 더 큰 평상 패널 블록(50)을 설치하고, 이러한 평상 패널 블록(50)의 상판부(54)에 음식물을 올려주어, 유아가 의자 바디(20)에 그대로 앉은 채로 편리하게 식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시 놀이 등을 즐기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가 의자 바디(20)의 전방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34)에 끼워져서 설치되는데,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가 의자 바디(20)의 결합홈(34)에 견고하게 끼워져서 결합되므로, 유아의 힘으로 평상 패널 블록(50)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의자 바디(20)의 결합홈(34)이 각이 있는 홈형상으로 구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평상 패널 블록(50)의 레그부(52)도 각이 있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평상 패널 블록(50)이 의자 바디(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헛돌아가지 않으므로, 사용시 신뢰성을 높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서포팅 시트(40)는 유아를 목욕시킬 때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아를 목욕시키고자 할 때에는 서포팅 시트(40)를 따로 빼서 서포팅 시트(40) 위에 유아를 앉혀놓으면, 서포팅 시트(40)가 저면부의 인서트 블록(42)에 의해 바닥에서 뜨는 상태가 되고 서포팅 시트(40)의 상면 형상은 유아의 둔부(엉덩이)가 편안하게 받쳐지도록 둔부 형상 곡면부로 구성되어 있어서, 유아가 편안하게 엉덩이를 대고 서포팅 시트(40)에 앉혀놓은 상태에 편리하게 목욕을 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유아를 서포팅 시트(40)에 앉혀서 목욕을 시킬 때에는 서포팅 시트(40)를 유아용 욕조에 담가서 서포팅 시트(40) 위에 유아를 앉힐 수도 있고 그냥 욕실 바닥에 서포팅 시트(40)를 설치하여 목욕을 시켜도 되고, 서포팅 시트(40) 위에 유아를 앉혀놓은 상태에서 목욕을 시켜도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서포팅 시트(40)를 유아를 목욕을 시키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능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는 것이며, 이 점에서 본 발명은 의미가 더욱 크다 하겠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의자 바디 22. 등받이부
24. 사이드 지지부 30. 바텀 지지부
32. 통공부 34. 결합홈
34a. 제1결합홈 34b. 제2결합홈
36. 인서트 로드 38. 인서트홀
40. 서포팅 시트 42. 인서트 블록
44. 구멍 50. 평상 패널 블록
52. 레그부 52a. 제1결합 레그
52b. 제2결합 레그 54. 상판부
56. 인서트홀 57. 결합 레그
58. 결합핀 60. 캡
62. 삽입공

Claims (9)

  1. 유아의 착좌 상태를 지지하는 등받이부(22)와 사이드 지지부(24)를 구비한 의자 바디(20)와;
    상기 의자 바디(20)에 구비되어 유아의 둔부를 받쳐주는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 위치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어 유아의 둔부의 일부가 상기 의자 바디(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둔부의 나머지 부분을 걸쳐져서 받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통공부(32)가 구비된 바텀 지지부(30)와;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34)과;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기 결합홈(34)에 하측부가 끼움 결합되는 레그부(52)의 상단부에 상판부(54)가 구비된 평상 패널 블록(50);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34)은, 상대적으로 단면 사이즈가 작은 제1결합홈(34a)과, 상기 제1결합홈(34a)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홈(34a)에 비하여 그 단면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결합홈(34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34a)과 상기 제2결합홈(34b)은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를 구비한 다각홈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상기 레그부(52)에는 상기 제1결합홈(34a)에 형합되어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제1결합레그(52a)와, 상기 제1결합레그(52a)의 상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결합홈(34b)에 형합되어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제2결합레그(52b)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홈(34a)의 바닥부에는 인서트 로드(36)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상기 제1결합레그(52a)에는 상기 인서트 로드(36)에 끼워져서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하단부에 코어형 결합 연결부를 형성하는 인서트홀(5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바디(20)의 상기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상기 통공부(32)를 막아주도록 결합되는 서포팅 시트(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시트(40)의 저면에는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기 통공부(32)에 끼워지는 인서트 블록(4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시트(40)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구멍(4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바디(20)의 상기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34)에 끼워지는 캡(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8. 유아의 착좌 상태를 지지하는 등받이부(22)와 사이드 지지부(24)를 구비한 의자 바디(20)와;
    상기 의자 바디(20)에 구비되어 유아의 둔부를 받쳐주는 패널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정 위치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어 유아의 둔부의 일부가 상기 의자 바디(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둔부의 나머지 부분을 걸쳐져서 받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통공부(32)가 구비된 바텀 지지부(30)와;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34)과;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기 결합홈(34)에 하측부가 끼움 결합되는 레그부(52)의 상단부에 상판부(54)가 구비된 평상 패널 블록(50);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34)은, 상대적으로 단면 사이즈가 작게 이루어져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으로 연통된 제1결합홈(34a)과, 상기 제1결합홈(34a)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저면으로 연통되며 상기 제1결합홈(34a)에 비하여 그 단면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결합홈(34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홈(34a)에는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인서트홀(38)이 구비되며,
    상기 평상 패널 블록(50)의 상기 레그부(52)에는 상기 제1결합홈(34a)에 형합되어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결합 레그(57)와, 상기 바텀 지지부(30)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홀(38)에 끼워지는 결합핀(5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바디(20)의 상기 바텀 지지부(30)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홈(34b)에 끼워지는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결합핀(58)에 끼워지는 삽입공(62)이 형성된 캡(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KR1020120052833A 2012-05-18 2012-05-18 유아용 의자 KR10139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33A KR101398417B1 (ko) 2012-05-18 2012-05-18 유아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33A KR101398417B1 (ko) 2012-05-18 2012-05-18 유아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804A KR20130128804A (ko) 2013-11-27
KR101398417B1 true KR101398417B1 (ko) 2014-05-27

Family

ID=4985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833A KR101398417B1 (ko) 2012-05-18 2012-05-18 유아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4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897A1 (ko) * 2017-06-07 2018-12-13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9770B (zh) * 2016-03-30 2017-10-27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剥离制备石墨烯导电浆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46Y1 (ko) * 1994-11-28 1997-07-19 주식회사 꼬까방 변기가 겸비된 어린이용 의자
KR200267659Y1 (ko) * 2001-12-13 2002-03-12 박광희 자동차용 어린이 변기
KR20080003588U (ko) * 2007-02-23 2008-08-27 정주연 유아용 착석기구
KR20110011242U (ko) * 2010-05-28 2011-12-06 채규종 이동형 아동용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46Y1 (ko) * 1994-11-28 1997-07-19 주식회사 꼬까방 변기가 겸비된 어린이용 의자
KR200267659Y1 (ko) * 2001-12-13 2002-03-12 박광희 자동차용 어린이 변기
KR20080003588U (ko) * 2007-02-23 2008-08-27 정주연 유아용 착석기구
KR20110011242U (ko) * 2010-05-28 2011-12-06 채규종 이동형 아동용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897A1 (ko) * 2017-06-07 2018-12-13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
US10314409B2 (en) 2017-06-07 2019-06-11 Smart Brain Co., Ltd. Baby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804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771B2 (en) Booster seat for convertible high chair
US6626487B1 (en) Baby chair
US20060010606A1 (en) Inflatable support apparatus
US20150290054A1 (en) Integrated-bed mattress and integrated bed
US20120126595A1 (en) Gliding rocking chair and ottoman
US9788662B1 (en) Multi-functional infant, baby, and toddler seating system
KR101398417B1 (ko) 유아용 의자
US6000761A (en) Infant supporting chair
KR101396857B1 (ko) 미끄럼 놀이 기능을 갖는 유아용 식탁의자
AU2021202097A1 (en) Injection Moulded Unupholstered Plastic Chair
KR20160145588A (ko) 곁잠용 겸 착석용의 서포트구
KR100935614B1 (ko) 식당용 의자
KR200434792Y1 (ko) 양변기용 발 받침대
KR102571552B1 (ko)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KR200318423Y1 (ko) 유아용 의자
US20200352396A1 (en) Bathing assistance apparatus
CN207561645U (zh) 儿童餐椅
KR101834290B1 (ko) 다용도 목욕 의자
KR101905096B1 (ko) 등받이와 식탁 및 고정수단이 구비된 분할형 의자
TWM450371U (zh) 具有排便與輪椅功能的病床
JP3105251U (ja) 足載せ台を備えた椅子
KR102228754B1 (ko) 기능성 하이 체어
TWM601998U (zh) 可拆組式幼兒座椅
JP2024075495A (ja) 椅子
BG3518U1 (bg)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но тапицирано детско столче с електронна обезопасителна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