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462A -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462A
KR20130000462A KR1020110060947A KR20110060947A KR20130000462A KR 20130000462 A KR20130000462 A KR 20130000462A KR 1020110060947 A KR1020110060947 A KR 1020110060947A KR 20110060947 A KR20110060947 A KR 20110060947A KR 20130000462 A KR20130000462 A KR 20130000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lution
image data
vision
scal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691B1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6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멀티 비젼 시스템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개가 구비된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직접 스케일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부 및 상기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영상 분할부를 포함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보다 큰 제1 해상도를 갖는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멀티 비젼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MULTI VISION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MULTI VISION}
본 발명은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멀티 비젼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영상 데이터는 생성시 해상도를 갖게 되며, 디스플레이 패널 역시 해상도를 갖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다를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원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이 잘려나간 영상이 되거나 출력면의 일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케일러가 구비되어 있다.
스케일러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면을 통해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한다. 예를 들어 1024*768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가 512*384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된다면 스케일러는 1024*768의 해상도를 512*384의 해상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512*384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개, 예를 들어 n×n 멀티 비젼을 구성할 경우, 멀티 비젼의 화질은 n배로 떨어지게 된다. 2×2 멀티 비젼을 구성할 경우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는 1024*768이 된다. 즉,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인 512*384에 비하여 해상도가 2배 증가하게 된다. 이때 스케일러에서 스케일 변환된 512*384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멀티 비젼으로 출력하기 위해서 1024*768의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한다. 따라서, 멀티 비젼으로 출력되는 영상은 512*384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1024*768 해상도로 확대한 것이 된다. 그 결과 출력면으로 표시되는 화질은 저하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멀티 비젼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 비젼 시스템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개가 구비된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직접 스케일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부 및 상기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영상 분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보조 스케일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일 변환부와 상기 보조 스케일 변환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멀티 비젼 시스템은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보다 큰 제1 해상도를 갖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상기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부 및 상기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영상 분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멀티 비젼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멀티 비젼 시스템은 셋탑 박스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 비젼 구현 방법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해상도가 상기 제2 해상도 초과이면 상기 제1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복수개 구비된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해상도가 상기 제2 해상도 이하이면 상기 제1 해상도를 상기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고, 제2 해상도를 다시 상기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멀티 비젼 구현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은 일정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개로 이루어진 멀티 비젼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를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다운 스케일 변환하지 않고 바로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함으로써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비젼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멀티 비젼의 화질 개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멀티 비젼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비젼 구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비젼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멀티 비젼 시스템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개가 구비된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직접 스케일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부(110) 및 상기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영상 분할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스케일 변환부(110)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직접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때 멀티 비젼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제1 해상도라 칭하기로 한다.
제1 해상도는 영상 데이터 생성 장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제1 해상도를 가질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구분없이 정상적으로 출력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케일러를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인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한다.
멀티 비젼 시스템에도 스케일러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된다. 이후 별도로 마련되거나 또는 스케일러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체 스케일러를 통해 제2 해상도는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된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스케일 변환부(110)는 제1 해상도를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과정 없이 제1 해상도를 직접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한다. 이를 통해 멀티 비젼의 해상도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66*768의 제2 해상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로 2개, 세로 2개 마련된 2×2멀티 비젼에 1920*1080의 제1 해상도를 갖는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의 위 그림은 기존의 스케일러를 적용한 경우이고 아래 그림은 본 발명의 스케일 변환부를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기존의 스케일러를 이용한 경우를 살펴보면 1920*1080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는 스케일러는 거치면서 1366*768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로 스케일 변환된다. 그 후 1366*768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는 전체 스케일러를 거치면서 2배 확대(zoom)되어 2732*1536 해상도의 멀티 비젼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와 멀티 비젼의 해상도의 비는 가로축 1366/2732 = 1/2 = 0.5, 세로축 768/1536 = 1/2 = 0.5가 된다. 즉 50%의 화질 열화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스케일 변환부(110)는 1920*1080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직접 273*1536 해상도가 되도록 1.42배 확대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와 멀티 비젼의 해상도의 비는 가로축 1920/2732 = 0.703, 세로축 1080/1536 = 0.703이 된다. 즉 화질에서 70%의 충실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방식과 대비하여 화질이 개선된다.
한편,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해상도가 동일할 수 있다.
영상 분할부(150)는 스케일 변환부(110)에서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스케일 변환부에 의하면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영상 데이터의 일부분만이 표시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 데이터 전체를 표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멀티 비젼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보조 스케일 변환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보조 스케일 변환부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여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한다.
이때, 스케일 변환부(110)와 보조 스케일 변환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멀티 비젼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멀티 비젼 시스템은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보다 큰 제1 해상도를 갖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270),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상기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부(210) 및 상기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영상 분할부(250)를 포함하고 있다.
영상 수신부(27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보다 큰 제1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영상 수신부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파악하는 제1 해상도 파악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를 파악하는 제2 해상도 파악부 및 제1 해상도와 제2 해상도를 비교하여 제1 해상도가 제2 해상도를 초과하면 스케일 변환부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해상도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상도 비교부는 제1 해상도가 제2 해상도 이하이면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 변환부로 전송하지 않고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별도로 마련된 제2 디스플레이 또는 멀티 비젼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스케일 변환부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제2 디스플레이 또는 멀티 비젼을 통해 화질의 저하 방지를 위해 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할 것을 권고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스케일 변환부를 거친다 하더라도 화질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기존의 방식대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로 전송할 수 있다. 스케일러는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한 후 스케일 변환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 살펴본 보조 스케일 변환부(23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때 보조 스케일 변환부(230)는 스케일러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스케일 변환부(230)와 영상 분할부(250)는 도 1에서 설명된 스케일 변환부(130)와 영상 분할부(15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스케일 변환부(230)의 경우 영상 수신부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가 제2 해상도 이하이며, 영상 수신부가 이때의 영상 데이터를 보조 스케일 변환부(230)로 전송하는 경우 보조 스케일 변환부로부터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멀티 비젼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멀티 비젼 시스템은 셋탑 박스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비젼 구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멀티 비젼 구현 방법은 먼저,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를 비교한다(S 510). 영상 수신부(270)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할지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개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할지가 결정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해상도가 상기 제2 해상도 초과이면(S 520) 상기 제1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복수개 구비된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한다(S 530). 스케일 변환부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에 따르면 멀티 비젼의 화질이 개선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해상도가 상기 제2 해상도 이하이면 상기 제1 해상도를 상기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고(S 540), 제2 해상도를 다시 상기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한다(S 550). 보조 스케일 변환부과 스케일 변환부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에 따르면 일반적인 방식에 따라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된다.
상기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한다(S 560). 영상 분할부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영상 분할부에서 분할된 영상 데이터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어 멀티 비젼 전체적으로 완성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도 4에서 설명된 멀티 비젼 구현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상의 멀티 비젼 구현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제1 해상도가 제2 해상도가 큰 경우에는 멀티 비젼의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멀티 비젼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많은 개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된 멀티 비젼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110, 210...스케일 변환부 130, 230...보조 스케일 변환부
150, 250...영상 분할부 190...멀티 비젼
191...디스플레이 패널 270...영상 수신부

Claims (8)

  1.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개가 구비된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직접 스케일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부; 및
    상기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영상 분할부;
    를 포함하는 멀티 비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보조 스케일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변환부와 상기 보조 스케일 변환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 시스템.
  4. 멀티 비젼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보다 큰 제1 해상도를 갖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상기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스케일 변환부; 및
    상기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영상 분할부;
    를 포함하는 멀티 비젼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멀티 비젼 시스템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멀티 비젼 시스템을 구비한 셋탑 박스.
  7.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제1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해상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해상도가 상기 제2 해상도 초과이면 상기 제1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복수개 구비된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해상도가 상기 제2 해상도 이하이면 상기 제1 해상도를 상기 제2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고, 제2 해상도를 다시 상기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비젼의 전체 해상도로 스케일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비젼 구현 방법.
  8. 제 7 항의 멀티 비젼 구현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10060947A 2011-06-23 2011-06-23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 KR10129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947A KR101296691B1 (ko) 2011-06-23 2011-06-23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947A KR101296691B1 (ko) 2011-06-23 2011-06-23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462A true KR20130000462A (ko) 2013-01-03
KR101296691B1 KR101296691B1 (ko) 2013-09-10

Family

ID=4783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947A KR101296691B1 (ko) 2011-06-23 2011-06-23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6509A1 (en) * 2014-12-05 2016-06-0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ata transfer method, data transfer module, relate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relate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97A (ko) * 2007-08-30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00095832A (ko) * 2009-02-23 2010-09-01 재단법인 인천광역시정보산업진흥원 영상 분할 표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분할 재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6509A1 (en) * 2014-12-05 2016-06-0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ata transfer method, data transfer module, relate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related display device
US10019780B2 (en) 2014-12-05 2018-07-1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ata transfer method, data transfer module, relate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relate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691B1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3237B2 (e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multi-screen splicing display
US10244202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system for laser TV and the laser TV set thereof
EP2429197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generating a signal for a video display unit
JP633550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0353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9666159B2 (en) Display, display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2015017033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1015294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conversion on input image data for wide dynamic range
JP201111800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WO201802547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14228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098327B2 (en) Moving image frame rate converting apparatus and moving image frame rate converting method
JP2013120204A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296691B1 (ko) 멀티 비젼 시스템 및 멀티 비젼 구현 방법
JP201509692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7908455B (zh) 一种浏览器页面的切换方法和切换系统
EP3065126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612889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10382782B2 (en) Image frame interpol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67836B2 (en) Color convers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lor conversion processing method
US2012009882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448189B2 (ja) 映像処理装置
KR101141754B1 (ko) 다중 화면 분할 장치 및 방법
JP540924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8024904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performing color conversion proces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