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258U - 핀 타설 장치 - Google Patents

핀 타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258U
KR20130000258U KR2020110009735U KR20110009735U KR20130000258U KR 20130000258 U KR20130000258 U KR 20130000258U KR 2020110009735 U KR2020110009735 U KR 2020110009735U KR 20110009735 U KR20110009735 U KR 20110009735U KR 20130000258 U KR20130000258 U KR 201300002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space
pin
guide grooves
claw members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580Y1 (ko
Inventor
구오-수 후앙
이-젠 우
밍-체 첸
Original Assignee
다항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항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항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00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97Processing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simultaneously, e.g. made from a common substrate, or temporarily stack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2Extracting or inserting relatively long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5Punching of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치수가 다른 핀을 타설할 수 있는 핀 타설 장치를 제공한다. 클램프 수단(20)은, 직선 이동 수단(10)에 연동하여 구동력이 발생하도록 연결된 구동체(21)와 구동체(21)에 서로 소정의 원주 간격을 두고 설정된 복수의 클로 부재(22)를 구비한다. 복수의 클로 부재(22)들 사이에 핀을 협지하는 끼움 스페이스(24)가 형성되고, 복수의 클로 부재(22)들은 끼움 스페이스(24)가 좁아지도록 서로 가까워지거나, 끼움 스페이스(24)가 넓어지도록 서로 멀어지게 구동력으로 움직인다.

Description

핀 타설 장치{PIN PLANT DEVICE}
본 고안은, 예를 들면, 다층 프린트 회로 기판에 기준으로 되는 위치 결정용 핀을 타설하는 핀 타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구멍을 뚫을 때, 예를 들면 적층 기판의 고착ㆍ분리 장치를 사용하여, 다층 프린트 회로 기판을 한 장 또는 여러 장 겹쳐서 위치 결정용 기준 핀을 타설하고, 각 판을 일체로 고착함과 동시에 필요한 구멍을 형성한 후에, 프린트 회로 기판에서 기준 핀을 발취하여 고착을 해제하는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 특허 평4-82629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 예의 적층 기판의 고착ㆍ분리 장치에 의하면, 프린트 회로 기판에 핀을 타설하고, 또 제거하는 것을 사람의 손에 의하지 않고 일련의 동작으로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하나의 공정으로 치수가 다른 핀을 구경(口徑)이 다른 구멍에 별개로 타설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치수가 다른 핀을 타설할 수 있는 핀 타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는,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직선 이동 수단과, 상기 직선 이동 수단에 연동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연결된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에 서로 소정의 원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클로(claw) 부재들로서, 이들 사이에 핀을 협지하는 끼움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 스페이스가 좁아지도록 서로 가까워지거나, 상기 끼움 스페이스가 넓어지도록 서로 멀어지도록 상기 구동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클로 부재들을 갖는 클램프 수단과, 상기 클램프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끼움 스페이스 내에 돌출하여 연장된 돌기 부재를 갖는 스러스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돌기 부재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저면을 갖고, 상기 저면에 각 상기 클로 부재에 따라서 상기 클로 부재가 직경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안내 홈이 서로 소정의 원주 간격을 두고 상기 끼움 스페이스의 중앙 축선 방향에 대하여 각각 직경 방향의 바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각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패여서 형성되며, 각 상기 안내 홈의 직사각형 형상의 내측벽부의 일부가 대향적으로 튀어나와 상기 안내 홈의 홈 폭보다도 좁은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형성하고, 각 상기 클로 부재는 상기 안내 홈 내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보다 상기 직경 방향과 수직으로 돌출하여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외부로 신장되는 돌기부와, 상기 이동부와 상기 돌기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러스트 수단은 상기 저면에 고정된 베이스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끼움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각 상기 연결부에서 형성된 일부의 스페이스 내에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으로 로드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저면에서 접속되어 연장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각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외주면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엔드 개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수단은 상기 구동체를 둘러싸며 상기 엔드 개구를 차폐하는 슬리브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클로 부재들이 이들 사이에 핀을 유지하는 끼움 스페이스가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클램프 수단이 핀의 치수에 관계없이 핀을 놓거나 잡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공정으로 치수가 다른 핀을 구경이 다른 구멍에 별개로 타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기판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의 하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형태의 핀 타설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기판 가공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 중에서, 200은 대략 장방형 형상의 워크 테이블(210) 상에 탑재된 기판 등의 워크(400)에 그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걸쳐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410)을 열거나 대응하는 구멍(410)에 핀(310)을 타설하는 등을 하기 위한 기판 가공기이다. 워크 테이블(210)의 상면에, 워크 테이블(210)의 단변 방향(X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하는 복수의 제1 가이드 레일(210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가이드 레일(210a)상에 X 방향에 대하여 수평면내에서 직교하는 Y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이송 스테이지(22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이송 스테이지(220)상에 복수의 핀(310)이 삽입되는 복수의 트레이(300) 및 복수의 워크(400)가 탑재된다. 구경이 다른 수납 구멍을 갖는 복수의 트레이(300) 각각에 치수가 다른 핀(310)이 삽입된다.
워크 테이블(210)의 상면에 Y 방향으로 연장하는 설치대(230a)가 설치되고, 해당 설치대(230a)의 한쪽 측면부에 Y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홈(230b)과, 가이드 홈(230b)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 레일(230c, 230c)이 설치되어 있다. 설치대(230a)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230c, 230c)을 왕복 이동이 가능한 제2 이송 스테이지(230)가 부착되어 있다.
제2 이송 스테이지(230)의 측면부에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수직인 Z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대(230d)와, 슬라이드대(230d)를 Z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한 제3 이송 스테이지(240)가 부착되어 있다.
제3 이송 스테이지(240)의 측면부에는 복수의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100)가 Y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병렬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3 이송 스테이지(240)에는 핀 타설 장치(100)의 옆에 구멍 뚫음 가공, 외형 절삭 가공 등을 하는 가공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주축 장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이동 수단(10)과 클램프 수단(20)과 스러스트 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직선 이동 수단(10)은, 제3 이송 스테이지(240)에 부착되며, 예를 들면, Z 방향을 따라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 로드(11)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를 사용한다.
클램프 수단(20)은, 직선 이동 수단(10)에 연동하여 구동력이 발생하도록 직선 이동 수단(10)의 피스톤 로드(11)에 연결된 구동체(21)와 , 구동체(21)에 서로 소정의 원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클로 부재(22)들과, 구동체(21)를 둘러싼 슬리브 부재(23)를 구비한다.
복수의 클로 부재(22)들은 이들 사이에 핀을 협지하는 끼움 스페이스(24)를 형성하고, 끼움 스페이스(24)가 좁아지도록 서로 가까워지거나, 끼움 스페이스(24)가 넓어지도록 서로 멀어지게 하는 구동체(21)에 의한 구동력으로 구동된다.
구동체(21)는 원통형의 실린더 부재이고, 해당 실린더 부재의 저면(211)에, 각 클로 부재(22)에 따라서 클로 부재(22)가 직경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 홈(213)이 서로 소정의 원주 간격을 두고 설정되고, 안내 홈(213)이 끼움 스페이스(24)의 중앙 축선 O 방향에 대하여 각각 직경 방향의 외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 홈(213)은, 예를 들면, 저면(211)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몰되어 형성되고, 각 안내 홈(213)의 직사각형 형상의 내측벽부로부터 플랜지부(214)가 대향적으로 길게 나와서 안내 홈(213)의 홈 폭보다도 좁은 띠 형상으로 연장하는 슬롯(215)을 형성하는 한편, 저면(211)부터 접속되어 연장하는 외주면(212)에 외주면(212)부터 외부로 개방되는 엔드 개구(216)를 갖는다.
각 클로 부재(22)는, 안내 홈(213)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221)와, 이동부(221)에 의해 직경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하여 슬롯(215)을 통과하여 외부로 신장하는 돌기부(222)와, 이동부(221)와 돌기부(22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23)로 이루어져 있다.
슬리브 부재(23)는 구동체(21)를 에워싸서 안내 홈(213)의 엔드 개구(216)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러스트 수단(30)은 클램프 수단(20)과 연결되고, 클램프 수단(20)의 저면(211)에 고정된, 예를 들면, 원판 형상의 베이스부(31), 베이스부(3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여 워크 테이블(210)측에 연장되는, 예를 들면, 로드 형상을 한 돌기 부재(32)를 포함한다. 또한, 돌기 부재(32)로서는, 핀(310)을 대응하는 구멍(410)에 타설할 때, 핀(310)이 클로 부재(22)에 대하여 위로 향하는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다하기 위해, 베이스부(31)로부터 돌출하여 끼움 스페이스(24)내로 들어가도록 워크 테이블(210)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특히 끼움 스페이스(24)에 있어서 각 연결부(223)로써 형성된 일부의 스페이스 내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100)의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도 2의 V-V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소정의 핀(310)이 대응하는 클로 부재(22)에 의해 잡히도록 기판 가공기(200)에 있어서, 구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1 이송 스테이지(220), 제2 이송 스테이지(230), 제3 이송 스테이지(240) 및 핀 타설 장치(100)가 이동된다. 직선 이동 수단(10)의 피스톤 로드(11)가 이동하면 클램프 수단(20)이 Z 방향을 따라 하강하면서, 대응하는 복수의 클로 부재(22)들이 서로 멀어져서 끼움 스페이스(24)를 넓힘으로써, 대응하는 핀(310)을 둘러싼다. 구동체(21)의 구동에 의해 클로 부재(22)들이 서로 가까워져서 끼움 스페이스(24)를 좁히면서 대응하는 핀(310)을 잡는다. 다시 직선 이동 수단(10)이 이동하여 클램프 수단(20)을 움직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310)이 트레이(300)로부터 방출된다.
다시, 클로 부재(22)에 의해 쥐어진 핀(310)이 대응하는 워크(400)의 구멍(410)에 타설되도록 기판 가공기(200)에 있어서 구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1 이송 스테이지(220), 제2 이송 스테이지(230), 제3 이송 스테이지(240) 및 핀 타설 장치(100)가 이동된다. 직선 이동 수단(10)의 피스톤 로드(11)가 이동하면, 핀(310)이 클램프 수단(20)에 의해 Z 방향을 따라 둘러싸지면서 대응하는 구멍(410)에 삽입된다. 클램프 수단(20)이 하강하면, 돌기 부재(32)의 저면이 대응하는 핀(310)의 상단에 맞닿는다. 구동체(21)의 구동에 의해 클로 부재(22)가 서로 멀어지면서 잡았던 핀(310)을 놓는다. 직선 이동 수단(10)에 의해 클램프 수단(20)이 클로 부재(22)와 함께 상승하여 핀(310)으로부터 분리한다.
전술한 바에 따라, 핀 타설 장치(100)는 치수가 다른 핀(310)을 대응하는 트레이(300)에서 취출하여 대응하는 워크(400)의, 대응하는 직경이 다른 구멍(410)에 타설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핀 타설 장치(100)에 의하면,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 핀(310)을 취출하여 노력을 들이지 않고 대응하는 워크(400)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경을 갖는 구멍(410)에 타설할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핀(310)을 대응하는 구멍(410)에 타설할 때, 스러스트 수단(30)의 돌기부재(32)가 핀(310)에 닿아서 접촉하기 때문에, 핀(310)이 클로 부재(22)에 대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클로 부재(22)가 잡은 핀(310)을 분리할 때에도 핀(310)이 어긋나지 않고 확실하게 구멍(410)내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수단(20)이 양호한 외관을 갖도록 슬리브 부재(23)가 구동체(21)를 에워싸서 엔드 개구(216)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클로 부재(22)의 이동거리에 맞추어 내경이 다른 슬리브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슬리브 부재를 생략하여 클로 부재(22)의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할 수도 있다.
200:기판 가공기 210:워크 테이블
210a:제1 가이드 레일 220:제1 이송 스테이지
230:제2 이송 스테이지 230a:설치대
230b:가이드 홈 230c:가이드 레일
230d:슬라이드 대 240:제3 이송 스테이지
300:트레이 310:핀
400:워크 410:구멍
100:핀 타설 장치 10:직선 이동 수단
11:피스톤 로드 20:클램프 수단
21:구동체 211:저면
212:외주면 213:안내 홈
214:플랜지부 215:슬롯
216:엔드 개구 22:클로(claw) 부재
221:이동부 222:돌기부
223:연결부 23:슬리브 부재
24:끼움 스페이스 30:스러스트 수단
31:베이스부 32:돌기 부재
O:중앙축선

Claims (4)

  1.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직선 이동 수단;
    상기 직선 이동 수단에 연동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연결된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에 서로 소정의 원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클로 부재들로서, 이들 사이에 핀을 협지하는 끼움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 스페이스가 좁아지도록 서로 가까워지거나, 상기 끼움 스페이스가 넓어지도록 서로 멀어지도록 상기 구동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클로 부재들을 포함하는 클램프 수단; 및
    상기 클램프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끼움 스페이스 내로 돌출하여 연장된 돌기 부재를 갖는 스러스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타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돌기 부재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저면을 가지며, 상기 저면에 각 상기 클로 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클로 부재가 직경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 홈이 서로 소정의 원주 간격을 두고 상기 끼움 스페이스의 중앙 축선 방향에 대하여 각각 직경 방향의 바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각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패여서 형성되며, 각 상기 안내 홈의 직사각형 형상의 양측벽부의 일부가 대향적으로 튀어나와 상기 안내 홈의 홈 폭보다도 좁은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형성하고,
    각 상기 클로 부재는 상기 안내 홈 내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보다 상기 직경 방향과 수직으로 돌출하여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하는 돌기부와, 상기 이동부와 상기 돌기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부터 이루어지고,
    상기 스러스트 수단은 상기 저면에 고정된 베이스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끼움 스페이스에 있어서 각 상기 연결부에서 형성된 일부의 스페이스 내에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의해 수직으로 로드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타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저면에서 접속되어 연장되는 외주면을 가지며,
    각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외주면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엔드 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타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수단은 상기 구동체를 에워싸서 상기 엔드 개구를 차폐하는 슬리브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타설 장치.
KR2020110009735U 2011-07-01 2011-11-03 핀 타설 장치 KR2004705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212129U TWM416695U (en) 2011-07-01 2011-07-01 Pin installation device
TW100212129 2011-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58U true KR20130000258U (ko) 2013-01-09
KR200470580Y1 KR200470580Y1 (ko) 2013-12-31

Family

ID=4644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735U KR200470580Y1 (ko) 2011-07-01 2011-11-03 핀 타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73038U (ko)
KR (1) KR200470580Y1 (ko)
TW (1) TWM41669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34908A (zh) * 2012-02-23 2013-09-01 Dar Harnq Industry Co Ltd 用於上銷加工機之控制器及其程式產品
CN103600219A (zh) * 2013-08-22 2014-02-26 东莞市恒晋镒电子有限公司 Dc头自动化装配检测机
CN110366319B (zh) * 2019-08-08 2024-03-22 成都金大立科技有限公司 一种pcb数控机床自动打销钉机构及打销钉方法
TWI778602B (zh) * 2021-04-29 2022-09-21 達航科技股份有限公司 鑽孔機之夾板裝置及夾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225B2 (ja) * 1990-07-20 2000-03-06 日立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積重ね基板の固着・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3038U (ja) 2012-01-19
KR200470580Y1 (ko) 2013-12-31
TWM416695U (en)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580Y1 (ko) 핀 타설 장치
JP5580432B2 (ja) ピストン組付け装置
US8975552B2 (en) Workpiece holder for holding a plurality of plate workpieces used for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US1029810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core and manufacturing device of laminated core
US20150321272A1 (en) Clamping mechanism for circular saw machine
US9145003B2 (en) Marking device
KR101544134B1 (ko) 다기능 파이프 가공장치
KR200450649Y1 (ko)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 결합구조
CN204413404U (zh) 激光切割快速定位装置
JP6227335B2 (ja) 環状配置された分割積層鉄心の搬送治具及び搬送装置並びに搬送方法
JP2009107009A (ja) 側面穴明け装置
CN113042954A (zh) 焊接辅助治具
CN107186519B (zh) 定位机构
JP5058022B2 (ja) フローティングチャック装置及びフローティングチャックユニット
JP2011143443A (ja) ワーク分離装置
CN211331893U (zh) 磁组件焊接设备的线圈送料工站
CN211490267U (zh) 焊接辅助治具
US20140131423A1 (en) Fetching mechanism and automatic weld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10111027A (ko) 홀 가공용 금형 장치
US20040187663A1 (en) Unloading apparatus for plate-like workpiece cutting machine
KR20200010989A (ko) 하부 안내플레이트와 상부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JP7231774B2 (ja) 保持装置、及び該保持装置を用いて実行する保持方法
CN217393560U (zh) 一种可拆卸定位上料机构及冲切设备
US20210100142A1 (en) Clamping mechanism and transferring apparatus
CN219107814U (zh) 模切分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