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673A - 기지국장치 및 유저단말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유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673A
KR20120140673A KR1020127026866A KR20127026866A KR20120140673A KR 20120140673 A KR20120140673 A KR 20120140673A KR 1020127026866 A KR1020127026866 A KR 1020127026866A KR 20127026866 A KR20127026866 A KR 20127026866A KR 20120140673 A KR20120140673 A KR 20120140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downlink control
search space
downlink
basic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619B1 (ko
Inventor
노부히코 미키
카즈아키 타케다
위안 옌
안신 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140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끌어 모아서 광대역화하는 통신시스템에 바람직한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제공하는 것. 기지국장치(20)는, 시스템대역을 기본 주파수 블록 단위로 선택하는 선택부(302)와, 선택된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개별로 보내지는 데이터채널을 복조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의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에,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된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하는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와, 서치 스페이스 내에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하여 배치된 상기 하향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20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유저단말 { BASE STATION DEVICE AND USER TERMINAL }
본 발명은,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이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라고 한다)을 동적 또는 준정적으로 할당하여 통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 애그리게이션(aggregation) 하에서 하향 제어채널을 송수신하는 기지국장치 및 유저단말에 관한 것이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이,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에 의해 규정되고,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채용되었다. 현재, 3GPP에서는 LTE의 후계 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Release 10 또는 Release 10 이후의 버전을 포함시켜 LTE 어드밴스트라 불리고 있다). 이하, LTE 어드밴스트를 LTE―A라고 생략하여 기술한다.
LTE 시스템은, 상향링크, 하향링크 모두 1개 내지 2개 이상의 물리 채널을 복수의 이동국(UE)에서 공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복수의 이동국(UE)에서 공유되는 채널은, 일반적으로 공유채널(또는 데이터채널이라 불려도 좋다)이라 불리며, LTE에 있어서는,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며,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다.
LTE 시스템과 같이, 공유채널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서는, 송신시간간격(TTI)(LTE에서는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어느 이동국(UE)에 대해 상기 공유채널을 할당할지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로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규정되어 있다. 이동국(UE)은, PDCCH를 수신하여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자신 앞으로의 하향 제어정보를 받아들이고 있다. LTE에서는, 이동국의 블라인드 디코딩 부하를 저감하는 목적으로, 이동국이 블라인드 디코딩해야 하는 리소스 범위를 정한 서치 스페이스를 정의하고 있다. 기지국은, 이동국 앞으로의 하향 제어정보를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하여 시그널링한다. 이동국(UE)은, PDCCH의 모든 범위를 블라인드 디코딩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PDCCH 중의 서치 스페이스에 한정하여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자국 앞으로의 하향 제어정보를 취득한다.
그런데, 현재, 3GPP에 있어서 검토가 진행되고 있는 LTE―A에 있어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끌어 모아서 광대역화하는 것(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합의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끌어 모아서 광대역화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하향 제어채널의 송수신에 적합한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실현하는 기지국장치 및 유저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유저단말과의 사이의 무선통신에 이용되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시스템대역을 컴포넌트 캐리어 단위로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개별로 보내지는 데이터채널을 각각 복조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의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의 하향 제어채널에,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된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하는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상기 서치 스페이스 내에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하여 배치된 상기 하향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끌어 모아서 광대역화하는 통신시스템에 바람직한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LTE―A에서 정해진 계층형 대역폭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LTE에 규정된 유저 개별 서치 스페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3은 4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된 시스템대역 및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그룹화한 경우의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복수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된 시스템대역 및 다른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복수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된 시스템대역 및 다른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3 종류의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한 시스템대역 구성 및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앵커 캐리어에서만 폴백(fallback)을 서포트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시스템대역 및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제2 서치 스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수=1 컴포넌트 캐리어인 경우의 PDCCH로의 서치 스페이스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용 서치 스페이스의 맵핑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DCI 사이즈가 동일해지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서치 스페이스에 컴포넌트 캐리어 고유의 오프셋을 부여한 경우의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오프셋을 적용했을 때의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에 있어서의 송신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장치가 갖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추가 또는 삭제하여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수행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LTE―A에서 합의되어 있는 계층형 대역폭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예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로 구성되는 제1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1 이동통신시스템인 LTE―A 시스템과,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로 구성되는 제2 시스템대역을 갖는 제2 이동통신시스템인 LTE 시스템이 병존하는 경우의 계층형 대역폭 구성이다. LTE―A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최대 100MHz의 가변의 시스템 대역폭으로 무선통신하고,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최대 20MHz의 가변의 시스템 대역폭으로 무선통신한다. LTE―A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은,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포함하고, 다이나믹하게 또는 준정적으로 컴포넌트 캐리어 수를 추가 또는 삭제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모아 광대역화하는 것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는, LTE―A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은,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베이스 대역:20MHz)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로 하는 5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대역을 포함하는 시스템대역(20MHz×5=100MHz)이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이동국(UE(User Equipment)#1은, LTE―A 시스템 대응(LTE 시스템에도 대응)의 유저단말이며, 100MHz까지의 시스템대역에 대응 가능하다. UE#2는, LTE―A 시스템 대응(LTE 시스템에도 대응)의 유저단말이며, 40MHz(20MHz×2=40MHz)까지의 시스템대역에 대응 가능하다. UE#3은, LTE 시스템 대응(LTE―A 시스템에는 대응하지 않음)의 유저단말이며, 20MHz(베이스 대역)까지의 시스템대역에 대응 가능하다.
본 발명자는, LTE―A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애그리게이션한 경우에 있어서의 최적의 PDCCH의 송수신을 실현하는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고찰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LTE―A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로 시스템대역을 구성한 경우,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하향 제어채널로 맵핑한다.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로 맵핑해도 좋다. 또는,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눠, 그룹마다 동일 그룹 내의 복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동일 그룹 내의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로 맵핑하도록 해도 좋다.
도 2에 LTE에 규정된 유저 개별 서치 스페이스(UE―Specific Search Space)(SS)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블라인드 디코딩 사이즈가 다른 2개의 서치 스페이스가 정의되어 있다. 블라인드 디코딩 사이즈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사이즈(DCI 사이즈)에 대응하여 결정되고, DCI 사이즈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송신모드와 대역폭으로 결정된다. 애그리게이션된 컴포넌트 캐리어간에 송신모드가 동일하면, 컴포넌트 캐리어의 대역폭에 의해 DCI 사이즈가 결정된다.
LTE에서는, DCI 사이즈가 다른, 바꿔말하면 블라인드 디코딩의 종류가 다른, 복수의 DCI Format을 규정하고 있다. 하나는 DCI Format 1(도 2에 있어서 "D0"이라고 표기)이며, 또 하나는 "D0"을 콤팩트화하여 주로 셀 단의 유저에 대해 이용되는 콤팩트 타입의 DCI 포맷인 DCI Format 1A(도 2에 있어서 "D0'"라고 표기)이다. 또, 상향링크 할당정보용 DCI로서, 하향링크의 콤팩트 할당용 DCI 포맷인 DCI Format 1A와 동일 사이즈의 DCI Format 0(도 2에 있어서 "U0"이라고 표기)이 규정되어 있다.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PDCCH에 2 종류의 서치 스페이스(서치 스페이스 SS1과 서치 스페이스 SS2)가 할당된다. DCI Format 1(D0)은 서치 스페이스 SS1에 배치되고, D0' 및 U0은 동일 비트 사이즈이기 때문에 공통의 서치 스페이스 SS2에 배치된다. 서치 스페이스 SS1에 배치되는 DCI(Format 1)는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PDSCH 복조용 제어신호이며, 서치 스페이스 SS2에 배치되는 DCI(Format 0)는 동일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상향링크의 PUSCH 복조용 제어신호이다.
도 2a는, 일방의 서치 스페이스 SS1에 하향 할당정보(D0)가 배치되고, 타방의 서치 스페이스 SS2에 상향 할당정보(U0)가 배치된 예이다. 도 2b는 하향 할당정보에 콤팩트 할당용 DCI 포맷인 DCI Format 1A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공통의 서치 스페이스 SS2에 "D0'"와 "U0"이 배치되어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하향 제어채널로 맵핑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도 4에 예시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가 동일 대역폭을 가지며, 하향 컴포넌트 캐리어와 상향 컴포넌트 캐리어가 시메트릭(symmetric)의 관계에 있다.
도 3은 4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으로 구성된 시스템대역이 도시되어 있으며, 하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DL), 상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UL) 및 하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에 배치된 서치 스페이스(SS)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예시한 LTE의 규정에 따라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한 예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하향 컴포넌트 캐리어(DL)의 PDCCH에 서치 스페이스 SS1, SS2가 배치된다.
도 3b에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의 서치 스페이스를,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PDCCH0으로 맵핑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PDCCH0으로 맵핑한 일방의 서치 스페이스 SS1에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의 하향링크 할당정보 D0∼D3이 배치된다. 또, PDCCH0으로 맵핑한 타방의 서치 스페이스 SS2에는,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의 상향링크 할당정보 U0∼U3이 배치된다. 또한, 콤팩트형 상향링크 할당정보 D0'∼D3'를 이용하는 경우, 서치 스페이스 SS2에 콤팩트형 하향링크 할당정보 D0'∼D3'와 상향링크 할당정보 U0∼U3이 배치된다.
여기서, 동일한 서치 스페이스(SS)에 배치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의 하향링크 할당정보 D0∼D3(D0'~D3'), 상향링크 할당정보 U0∼U3의 식별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 할당정보(D0∼D3)/(D0'∼D3')가 배치되는 DCI Format 1/1A에, 원래의 컴포넌트 캐리어(각 하향링크 할당정보(D0∼D3)/(D0'∼D3')를 이용하여 복조되는 공유 데이터채널(PDSCH)이 전송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의미한다)를 특정 가능한 식별자(이하, '캐리어 인디케이터'라고 한다)를 부가한다. DCI Format 1/1A 상에서 캐리어 인디케이터가 배치되는 필드를 CIF(Carrier Indicator Field)라 부를 수 있다. 상향링크 할당정보 U0∼U3이 배치되는 DCI Format 0에도 마찬가지로 원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CIF를 마련한다.
따라서,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PDCCH0을 수신한 유저단말에 있어서, PDCCH0의 서치 스페이스 SS1을 블라인드 디코딩하면, D0∼D3이 1회의 블라인드 디코딩으로 동시에 복조되나, 개개의 D0∼D3에 마련되어 있는 CIF를 해석하면,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의 하향 할당정보인지 판별 가능하다. PDCCH의 서치 스페이스 SS2를 블라인드 디코딩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U0∼U3이 1회의 블라인드 디코딩으로 동시에 복조되나, U0∼U3의 CIF를 해석하면,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의 상향 할당정보인지 판별 가능하다.
도 4는 4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으로 구성된 시스템대역이 도시되어 있으며,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복수 그룹으로 나눠, 그룹 단위로 서치 스페이스를 맵핑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도 3a와 동일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4b는, 그룹마다 동일 그룹 내의 복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동일 그룹 내의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로 맵핑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체의 시스템대역이, 컴포넌트 캐리어 CC0, CC1의 제 그룹과, 컴포넌트 캐리어 CC2, CC3의 제2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1 그룹 내의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 CC1의 서치 스페치스를, 동일 그룹 내의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PDCCH0으로 맵핑하고, 제2 그룹 내의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CC2, CC3의 서치 스페이스를, 동일 그룹 내의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CC2의 PDCCH2로 맵핑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예라면,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통신품질이 양호하고,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 CC1∼CC3의 PDCCH1∼PDCCH3의 통신품질이 나쁜 경우에, 중요한 정보인 상향/하향 할당정보를, 통신품질이 양호한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PDCCH0을 사용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를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눠, 그룹 내에서 하향 제어정보의 전송에 이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특정함으로써, 하나의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되는 컴포넌트 캐리어 수(DCI 수라 바꿔말해도 좋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혼재하는 시스템대역에 바람직한 서치 스페이스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4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으로 구성된 시스템대역이 도시되어 있으며,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 CC1이 동일한 대역폭을 가지며, 나머지의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2, CC3이 동일한 대역폭이며 CC0, CC1은 상이한 대역폭을 갖는다. 상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는 시메트릭이다. 또한, 도 5a에 도시하는 서치 스페이스 배치는, 도 3a, 도 4a와 동일한 배치이다.
예를 들면, 도 5의 상향/하향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정보를 CC의 PDCCH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예라면,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 CC0, CC1의 하향 할당정보 D0, D1은 동일 사이즈이기 때문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C0의 서치 스페이스 SS1에 CC0 및 CC1용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1(D0/1)을 구성한다. 또,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 CC2, CC3의 하향 할당정보 D2, D3은 동일한 사이즈이기 때문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치 스페이스 SS1에 CC2 및 CC3용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1(D2/3)을 구성한다. 따라서, 하향 할당정보용 서치 스페이스 SS1에는, 2개의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1(D0/1)과 SS1(D2/3)을 병존시킨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 CC0, CC1의 상향 할당정보 U0, U1은 동일 사이즈이기 때문에, 서치 스페이스 SS2에 CC0 및 CC1용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2(U0/1)를 구성한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 CC2, CC3의 상향 할당정보 U2, U3은 동일 사이즈이기 때문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치 스페이스 SS2에 CC2 및 CC3용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2(U2/3)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향 할당정보용 서치 스페이스 SS2에는, 2개의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2(U0/1)와 SS2(U2/3)를 병존시킨다. 또는,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2(U0/1), SS2(U2/3)를 병존시킨다. 또한,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2(U0/1), SS2(U2/3)에는, 동일 DCI 사이즈를 갖는 콤팩트 타입의 D0'/D1', D2'/D3'를 배치해도 좋다. "C"는 하향 할당정보(D0, D1, D2, D3), 상향 할당정보(U0, U1, U2, U3)에 각각 부가된 CIF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끌어 모아서, 전체적으로 광범위의 시스템대역을 확보하는 통신시스템(예를 들면, LTE―A)에 있어서,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앵커 캐리어로 정해도 좋다. 앵커 캐리어는, 항상 LTE와 같은 동작을 보상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LTE와 같은 동작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DCI 포맷에 CIF를 포함시킬 수 없다. 또는 LTE와 같은 동작을 보장하지 않는 경우라도,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를 기준 컴포넌트 캐리어(앵커 캐리어)로 정하고, 기지국장치와 유저단말과의 사이에서 기준 컴포넌트 캐리어를 함께 인식하면, 기준 컴포넌트 캐리어의 DCI에는 CIF를 부가하지 않아도 컴포넌트 캐리어를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끌어 모아서, 전체적으로 광범위의 시스템대역을 확보한 경우에, DCI에 CIF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도 5c는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하향 할당정보 D0, 상향 할당정보 U0에 대해 CIF를 부가하지 않는 경우의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DCI로부터 CIF를 삭제함으로써, D0/D0'와 D1/D1'와의 DCI 사이즈가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U0과 U1과의 DCI 사이즈가 상이하다. 도 5c에 도시되는 서치 스페이스 배치는, DCI 사이즈마다 서치 스페이스를 분리한 구성이 되어 있다. 하향 할당정보가 배치되는 서치 스페이스 SS1은, CIF 없음의 D0을 배치하는 서치 스페이스 SS1(D0), CIF 있음의 D1을 배치하는 서치 스페이스 SS1(D1), CIF 있음으로 동일 사이즈의 D2, D3을 배치하는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1(D2/3)로 구성되어 있다. 상향 할당정보가 배치되는 서치 스페이스 SS2는, CIF 없음의 U0을 배치하는 서치 스페이스 SS2(U0), CIF 있음의 U1을 배치하는 서치 스페이스 SS2(U1), CIF 있음으로 동일 사이즈의 U2, U3을 배치하는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2(U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향 할당정보 U1 등과 동일 사이즈로 콤팩트 타입의 D0', D1', D2', D3'를 서치 스페이스 SS2의 대응 부분에 배치해도 좋다.
도 6은 4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으로 구성된 시스템대역이 도시되어 있으며,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 CC1이 동일한 대역폭을 가지며, 나머지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2, CC3이 동일한 대역폭이며 CC0, CC1과는 상이한 대역폭을 갖는다. 또한, 도 6a에 도시하는 서치 스페이스 배치는, 도 5a와 동일한 서치 스페이스 배치이다.
서로 동일 대역폭을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 CC0, CC1의 하향 할당정보 D0, D1은, 도 6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PDCCH0의 서치 스페이스 SS1/2에 배치하고, 서로 동일 대역폭을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 CC2, CC3의 하향 할당정보 D2, D3은, 도 6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 CC2의 PDCCH2의 서치 스페이스 SS1/2에 배치한다.
도 6b는 모든 하향 할당정보 D0∼D3(D0'~D3'), 상향 할당정보 U0∼U3에 CIF를 부가한 경우의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PDCCH0의 서치 스페이스 SS1에 CC0 및 CC1용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1(D0/1)을 배치하고, PDCCH2의 서치 스페이스 SS1에 CC2 및 CC3용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1(D2/3)을 배치하고 있다. 또, PDCCH0의 서치 스페이스 SS2에 CC0 및 CC1용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2(U0/1)를 배치하고, PDCCH2의 서치 스페이스 SS2에 CC2 및 CC3용 공용 서치 스페이스 SS2(U2/3)를 배치하고 있다.
도 6c는 각 그룹의 앵커 캐리어 CC0, CC2(기본 컴포넌트 캐리어라 해도 좋다)에 서치 스페이스 SS1, SS2를 집약하고 있는 점은, 도 6b에 도시하는 서치 스페이스 구성과 동일하지만, 일방의 앵커 캐리어 CC0의 할당정보 D0, U0에는 CIF를 부가하고 있지 않은 점이 다르다. 타방의 앵커 캐리어 CC2의 할당정보 D2, U2에 CIF를 부가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일방의 앵커 캐리어 CC0의 할당정보 D0, U0의 서치 스페이스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TE에서는 상향링크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SC―FDMA가 채용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향 할당정보의 DCI 사이즈는 콤팩트 타입의 하향 할당정보(DCI Format 1A)의 DCI 사이즈에 맞추고 있다. 한편, LTE―A에서는 상향링크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복수의 클러스터를 할당하여 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의 채용이 합의되었다. 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에서는, 상향링크의 리소스 할당 정보의 정보량이 커지기 때문에, DCI Format 1A보다도 큰 DCI 사이즈가 바람직하다. 또, LTE―A에서는 상향링크에 MIMO 전송을 적용하는 것이 합의되어 있으며, 그 관점에서도 상향링크의 리소스 할당 정보가 증대한다.
그래서, 콤팩트 타입의 하향 할당정보(DCI Format 1A)의 DCI 사이즈에 맞춘 DCI Format 0과는 따로, DCI Format 0보다도 리소스 할당 비트수가 확장되어 있는 DCI 포맷(이하, 'DCI Format 0A'라고 한다)을 정의한다. PDCCH에는 DCI Format 0A를 배치하는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LTE―A 시스템에 있어서, DCI Format 1, DCI Format 0/1A, DCI Format 0A의 3개의 DCI 사이즈에 대응한 서치 스페이스를 PDCCH에 배치하고, 유저단말에서는 3종류의 DCI Format을 블라인드 디코딩한다.
도 7에 3종류의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한 시스템대역 구성 및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나타낸다. 동일 도에는 4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으로 구성된 시스템대역이 도시되어 있으며,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 CC1이 동일한 대역폭을 가지며, 나머지 2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2, CC3이 동일한 대역폭이며 CC0, CC1과는 상이한 대역폭을 갖는다. 개개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의 PDCCH에는, 각각 3종류의 서치 스페이스 SS1, SS2, SS3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PDCCH에 배치된 서치 스페이스를 예로 설명한다. 제1 DCI 사이즈를 갖는 DCI Format 1의 하향 할당정보 D0을 배치하는 제1 서치 스페이스 SS1과, 제2 DCI 사이즈를 갖는 DCI Format 1A 또는 DCI Format 0의 하향 할당정보 D0', U0'를 배치하는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와, 제3 DCI 사이즈를 갖는 DCI Format 0A의 상향 할당정보 U0을 배치하는 제3 서치 스페이스 SS3을 PDCCH에 배치한다.
도 7에서는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에 하향 할당정보 D0', 상향 할당정보 U0'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나, 셀 단의 유저단말 또는 제어정보가 적은 유저단말에 대해 하향 제어신호를 시그널링하는 경우에는,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에 하향 할당정보 D0', 상향 할당정보 U0'가 할당된다.
이와 같이, 3종류의 서치 스페이스 SS1, SS2, SS3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면, LTE와 마찬가지로 셀 단 유저와 같이 하향 제어신호의 정보량을 저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서치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시그널링하고, 상향 할당정보의 정보량이 큰 경우에는 제3 서치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앵커 캐리어(CC0)에서만, 제2 서치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모드(DCI Format 1A 또는 DCI Format 0)로의 폴백을 서포트하도록 해도 좋다. 앵커 캐리어(CC0) 이외의 컴포넌트 캐리어(CC1∼CC3)는, 유저단말에 있어서 제2 서치 스페이스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다. 앵커 캐리어(CC0)에 대해 통신품질이 좋은 대역을 할당하면, DCI 사이즈가 작은 제2 서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앵커 캐리어(CC0) 이외에서는 2종류의 블라인드 디코딩으로 끝나기 때문에 유저단말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향 컴포넌트 캐리어만이 할당되어 상향 컴포넌트 캐리어가 할당되지 않는 비대칭(어시메트릭)인 컴포넌트 캐리어(이하,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한다)가 혼재하는 시스템대역에 바람직한 서치 스페이스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시스템대역 및 서치 스페이스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일방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은, 상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페어(pair)로 할당되어 있으나, 타방의 컴포넌트 캐리어 CC1은, 하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만이 할당되어 있어서 상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하지 않는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를 구성하고 있다. 컴포넌트 캐리어 CC0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할당정보(DCI Format 1)용 서치 스페이스 SS1과, 하향링크 할당정보 D0(DCI Format 1)에 대해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할당정보 D0'(DCI Format 0) 및 동일 사이즈의 상향링크 할당정보 U0(DCI Format 0)을 페어로 할당 가능한 콤팩트 사이즈용이 되는 제2 서치 스페이스 SS2가, PDCCH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 CC1인 경우, 콤팩트 사이즈용이 되는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에 배치해야 하는 정보는, 하향링크 할당정보 D1에 대해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할당정보 D1'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자는,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에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할당정보 D1'과 무엇을 페어로 하여 배치해야 하는지 또는 배치하면 안 되는지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LTE―A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가 포함된 경우,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서치 스페이스를, 하향링크 할당정보 D1(DCI Format 1)용 서치 스페이스 SS1과, 하향링크 할당정보 D1에 대해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할당정보 D1'(DCI Format 0)만을 배치하는 콤팩트 사이즈용 제2 서치 스페이스 SS2로 구성된다. 즉, 콤팩트 사이즈용 제2 서치 스페이스 SS2는 하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하향 할당정보(DL)와 상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상향 할당정보(UL)의 페어로의 할당은 수행하지 않고, 하향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콤팩트 타입의 하향 할당정보 D1'(DCI Format 1A)만을 배치한다(옵션 2).
이로 인해, LTE에서 규정되는 바와 같이 콤팩트 사이즈용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에 DL과 UL의 페어로 DCI를 배치하고자 하면, 대역폭이 상이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상향 할당정보(UL)를 이용하여 페어를 구성한다고 하면,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향 할당정보(UL)에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콤팩트 타입의 하향 할당정보의 사이즈에 맞추는 작업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와 같은 작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서치 스페이스는, 콤팩트 사이즈용 제2 서치 스페이스 SS2를 없애는 것으로 해도 좋다(옵션 3).
또,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 이외의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상향 할당정보(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상향 할당정보 U0)를 이용하여 페어를 구성해도 좋다(옵션 1). 이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상향 할당정보(U0)에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콤팩트 타입의 하향 할당정보 D1'의 사이즈를 맞추는 작업이 발생하나,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상향 할당정보(예를 들면, U0)의 시그널링의 용장도(冗長度)를 높게 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도 10에 상기 옵션 1에서 3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예시한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 CC1에 대한 콤팩트용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옵션 1에서는,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 CC1의 콤팩트 타입의 하향 할당정보 D1'과,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 CC1 이외의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상향 할당정보 U0을 페어로 하여 배치 가능한 제2 서치 스페이스 SS2를 정의한다.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상향 할당정보 U0은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 CC1의 컴포넌트 타입의 하향 할당정보 D1'보다도 비트 사이즈가 크다. 상향 할당정보 U0(CC0)과 하향 할당정보 D1'를 동일한 블라인드 디코딩 사이즈로 하여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에 배치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작은 쪽의 하향 할당정보 D1'에 패딩 비트를 추가하여, 큰 쪽의 상향 할당정보 U0과 비트 사이즈를 일치시킨다.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에 하향 할당정보 D1'를 배치하는 경우는, 하향 할당정보 D1'에 패딩 비트를 추가하여 비트 사이즈를 조정한다.
이로 인해,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상향 할당정보 U0을,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 CC1의 제2 서치 스페이스를 사용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상향 할당정보 U0의 용장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 CC1과 동일한 대역폭(송신모드도 동일)의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 상향 할당정보 UL을 유용(流用)하면, 콤팩트 타입의 하향 할당정보 D1'와 상향 할당정보 UL가 동일 사이즈가 되고, 패딩 비트를 추가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옵션 2에서는,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 CC1의 콤팩트 타입의 하향 할당정보 D1'만을 배치하는 콤팩트 사이즈용 제2 서치 스페이스 SS2를 정의한다.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 비트 사이즈가 다른 상향 할당정보 U0(CC0)을 유용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의 비트 사이즈를 합치기 위한 패딩 비트 추가의 작업이 발생하지 않고, 처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옵션 3에서는,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에는, 콤팩트 사이즈용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의 배치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옵션 2보다도 더욱 간소화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 상으로의 복수 컴포넌트 캐리어만큼의 복수의 서치 스페이스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수=1 컴포넌트 캐리어인 경우의 PDCCH로의 서치 스페이스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LTE에서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를 유저단말의 수신품질에 따라, 72, 144, 288, 576 비트 중 어느 하나에 레이트 매칭한다(72 비트 또는 576 비트인 경우, 부호화율 2/3, 1/12에 상당). 72 비트를 기본 단위(CCE:Control Channel Element)라고 정의하고, 4 종류의 CCE 수={1, 2, 4, 8} 중에서 수신품질에 따라 최적인 CCE 수가 결정된다. 수신품질이 좋은 유저단말일수록 CCE 애그리게이션수는 작고, 셀 단에 있는 유저단말과 같이 수신품질이 나쁜 유저단말일수록 CCE 애그리게이션수를 크게 한다. 이와 같이, 유저단말마다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를 송신하기 위한 CCE 애그리게이션수(리소스)가 결정된다.
도 11에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가 50CCE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CCE 수=1에서는, 6CCE(CCE 번호 17∼22의 범위)에 서치 스페이스 SS를 배치하고, CCE 수=2에서는, 6CCE(CCE 번호 1∼6의 범위)에 서치 스페이스 SS를 배치하고 있다. CCE 수=4에서는, 2CCE(CCE 번호 2, 3의 범위)에 서치 스페이스 SS를 배치하고, CCE 수=8에서는, 2CCE(CCE 번호 0, 1의 범위)에 서치 스페이스 SS를 배치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애그리게이션수에 따라 적절한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제어 가능하고, PDSCH를 활성화/비활성화(Activation/Deactivation)했을 때에 적절하게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전환하는데 친화성이 높은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검토한 결과, 이하의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PDSCH의 비활성화란, PDSCH의 송신전력을 0 또는 0에 가까운 작은 값으로 제어하는 것, 또는 PDSCH의 송신 데이터를 0 또는 최소한 정보로 하는 제어를 말한다. PDSCH의 활성화란, PDSCH의 송신전력 또는 송신 데이터를 소정 이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하향 제어정보(DCI)가 배치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1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하향 제어채널로 맵핑하는 경우, PDCCH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를 기준으로 연속하여 각 컴포넌트 캐리어용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한다.
이로 인해,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 PDCCH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번호(CC 번호)와 PDSCH를 송신하는 CC 번호를 시그널링하면, 유저단말에 있어서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할 수 있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 단위로 서치 스페이스가 배열되기 때문에, PDSCH가 비활성화된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만을 비활성화하는 것도 간단하다.
도 12를 참조하여, PDCCH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를 기준으로 연속하여 각 컴포넌트 캐리어용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하는 서치 스페이스의 맵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PDCCH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CC1이며, 컴포넌트 캐리어 CC1의 PDCCH는 50CCE의 대역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포넌트 캐리어 CC1의 PDCCH에,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 CC2, CC3의 서치 스페이스가 배치된다. CCE 애그리게이션수=1, 2에서는 서치 스페이스는 6CCE로 구성되어 있으며, CCE 애그리게이션수=4, 8에서는 서치 스페이스는 2CCE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CE 애그리게이션수=1인 경우, PDCCH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CC1의 서치 스페이스는 CCE 번호 17로부터 개시된다. CC1의 서치 스페이스에 이어서 CC2의 서치 스페이스가 배치되고, CC2의 서치 스페이스에 이어서 CC3의 서치 스페이스가 배치된다. 다른 CCE 애그리게이션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PDCCH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 서치 스페이스를 배열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순번, 서치 스페이스의 사이즈를 알면, 1CC의 PDCCH에서 복수의 CC의 서치 스페이스가 배치되어 있어도 개개의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할 수 있다. CCE 애그리게이션수에 의해 서치 스페이스의 사이즈가 결정되기 때문에, 서치 스페이스 사이즈는 별도 시그널링할 필요는 없다. 그렇게 하면, PDCCH를 송신하는 CC 번호(상기의 경우, CC1), PDSCH를 송신하는 CC 번호(상기의 경우, CC2, CC3)를 새롭게 시그널링하는 것만으로, 유저단말에서는 각 컴포넌트 캐리어(CC1∼CC3)의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2b에 CC2가 비활성화된 경우의 서치 스페이스 배치를 나타낸다. 동일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활성화된 CC2의 서치 스페이스(예를 들면, CCE 애그리게이션수=1이라면 CCE 번호 23∼28)를 비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되어 있는 CC1, CC3의 서치 스페이스의 위치에 영향은 끼치지 않고, CC2의 서치 스페이스만을 비활성화시키고 있다. CC2가 재차 활성화된 경우는, 원래의 CC2의 서치 스페이스(CCE 번호 23∼28)에 CC2의 하향 제어정보(DCI)를 배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연속하여 배열하는 서치 스페이스 배치는, PDSCH의 활성화/비활성화에 대해 간단히 대응 가능하다. False Detection Probability를 고려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 개별 서치 스페이스가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로 맵핑되어 있는 경우, 유저 개별 서치 스페이스도 비활성화할 수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연속하여 배열하는 경우, 서치 스페이스를 구성하는 CCE 수를 컴포넌트 캐리어 수에 비례하여 증가시키지 않아도 좋은 케이스가 존재한다.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DCI 사이즈가 동일하면, CCE 수를 컴포넌트 캐리어 수에 비례하여 증가시키지 않아도 좋다.
도 13은 DCI 사이즈가 동일해지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CC 수(Ncc)가, Ncc=1로부터 Ncc=5에 대해, 서치 스페이스가 음영으로 도시되어 있다. CC 수가 Ncc=1로부터 Ncc=3까지는 서치 스페이스의 CCE 수를 CC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CCE 애그리게이션수가 1CCE인 경우는 예로 설명한다. CC 수가 Ncc=1에서는 1CC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해 CCE 수=6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Ncc=2에서는 2CC만큼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응하여 1CC의 2배가 되는 CCE 수=12가 할당되어 있다. Ncc=3에서는, 3CC만큼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응하여 1CC의 3배가 되는 CCE 수=18가 할당되어 있다. Ncc=3까지는, 도 12a에 도시하는 케이스와 마찬가지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치 스페이스의 CCE 수는 18CCE를 최대로 하고 있다. 서치 스페이스의 사이즈가 최대로 18CCE라면, 5CC만큼의 DCI를 서로 간섭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때문에, Ncc=4, Ncc=5와 CC 수가 증대해도, 서치 스페이스는 CCE 수=18로 고정되어 두고, CC 수에 비례한 증가는 하지 않는다. 이는, DCI 사이즈가 동일하다면,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DCI에 CIF를 부가해 둠으로써, 서치 스페이스의 어느 위치에라도 DCI를 할당할 수 있으며, 서치 스페이스의 CCE 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 CC간에 서치 스페이스 SS를 일부 겹침으로써, CC 애그리게이션수가 늘어도 서치 스페이스 SS의 CCE 수가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4는 서치 스페이스 SS에 컴포넌트 캐리어 CC 고유의 오프셋을 부여함으로써, 컴포넌트 캐리어 CC간에 서치 스페이스 SS가 일부 겹치게 배치하는 예이다. CCE 애그리게이션수를 N_level={1, 2, 4, 8}, CCE 애그리게이션수에 대응한 CCE 사이즈를 N_size={6, 12, 8, 16}으로서, 오프셋 량=(N_size/N_level)/2로서 계산한다. 여기서, 오프셋의 단위는, 각 레벨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 SS의 수이다. 이 오프셋 량은, 인접 CC간에 서로의 서치 스페이스가 절반 정도만큼 겹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면, N level=1에 대해서 검증하면, Ncc=1에서는 1CCE이기 때문에, CCE 번호 17∼22의 6CCE가 서치 스페이스가 된다. Ncc=2에서는 오프셋 량=3CCE이기 때문에, CCE 번호 20∼CCE 번호 25가 2번째의 CC의 서치 스페이스가 된다. PDCCH에 확보되는 서치 스페이스는 CCE 번호 17∼25의 범위가 된다. Ncc=3에서는 오프셋 량=3CCE이기 때문에, CCE 번호 23∼CCE 번호 28이 3번째의 CC의 서치 스페이스가 된다. PDCCH에 확보되는 서치 스페이스는 CCE 번호 17∼28의 범위가 된다. Ncc=4에서는 오프셋 량=3CCE이기 때문에, CCE 번호 26∼CCE 번호 31이 4번째의 CC의 서치 스페이스가 된다. PDCCH에 확보되는 서치 스페이스는 CCE 번호 17∼31의 범위가 된다. Ncc=5에서는 오프셋 량=3CCE이기 때문에, CCE 번호 29∼CCE 번호 34가 4번째의 CC의 서치 스페이스가 된다. PDCCH에 확보되는 서치 스페이스는 CCE 번호 17∼34의 범위가 된다.
이와 같이, CC 애그리게이션수가 증가하는데 비례하여 서치 스페이스 사이즈가 증가하나, 서치 스페이스에 컴포넌트 캐리어 고유의 오프셋을 부여함으로써, CC 애그리게이션수가 증대했을 때의 서치 스페이스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 CC간에 서치 스페이스 SS를 일부 겹침으로써, CC 애그리게이션수가 늘어도 서치 스페이스 SS의 CCE 수가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컴포넌트 캐리어 CC간에 서치 스페이스 SS의 겹침을 적게 하는 맵핑에 대해 설명한다.
PDCCH의 대역폭에 따른 CCE 수를 NCCE, 각 레벨 N_level={1, 2, 4, 8}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 SS의 사이즈를 N_size={6, 12, 8, 16}, CC 수를 Ncc로 하면, NCCE가 N_size×Ncc보다도 클 때는, CCE 수가 충분히 있기 때문에, 각 컴포넌트 캐리어 CC의 서치 스페이스 SS를 겹치지 않도록 맵핑한다. 예를 들면, 그때의 오프셋 량 N_offset은 N_offset=N_size/N_level로 한다.
또, NCCE가 N_size×Ncc보다도 작을 때는, CCE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하의 오프셋 량 N_offset을 산출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오프셋의 단위는, 각 레벨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 SS의 수이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NCCE=41에 대해, CC 수 NCC=5개분의 서치 스페이스 SS를 맵핑하는 경우를 검증한다. N_level=2과 8일 때, N_size×Ncc가 각각, 60과 80(>41)이 되기 때문에, 상기 식을 이용하여, 오프셋을 산출한다. 이때의 오프셋 량은, 각각 N_offset=41이 된다. 도 15에 이 오프셋을 적용했을 때의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나타낸다. CCE 애그리게이션수=2에 대해 검증하면, Ncc=1인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가 SS 번호 1이지만, Ncc=2는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가 SS 번호 1에 오프셋 량=4를 더한 SS 번호 5가 되어 있다. 즉, Ncc=1과 Ncc=2와의 사이에서의 서치 스페이스의 겹침은 SS 수=2가 되어 있다. 다른 CC간에 있어서도 서치 스페이스의 겹침은 SS수=2가 되어 있다. 또, CCE 애그리게이션수=8에 대해 검증하면, Ncc=1은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가 SS 번호 0이지만, Ncc=2는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가 SS 번호 0에 오프셋 량=1을 더한 SS 번호 1이 되어 있다. 즉, Ncc=1과 Ncc=2와의 사이에서의 서치 스페이스의 겹침은 SS 수=1이 되어 있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 CCN의 PDSCH에서 송신 데이터가 없는 경우, 파워 세이브의 목적으로, PDSCH의 송신 파워의 저감 또는 0으로 하는 비활성화가 수행된다. PDSCH가 비활성화된 경우라도, PDCCH만큼은 활성화되어 있었다(소요의 송신전력으로 하향 제어정보의 송신을 유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에도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위한 ON/OFF 기능을 갖게 한다. 어느 컴포넌트 캐리어 CC_N의 PDSCH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그 컴포넌트 캐리어 CC_N의 PDCCH도 비활성화한다. 또, 어느 컴포넌트 캐리어 CC_N만큼 PDSCH가 ON(활성화)이지만 PDCCH는 OFF할 수 있도록 한다.
DCI에 CIF를 부가하고 있는 경우, PDSCH가 OFF(비활성화)했다면, 해당 PDSCH에 대응하는 유저 개별 서치 스페이스를 비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는,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기지국 및 이동국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LTE 이외의 통신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UE)(10) 및 기지국(Node B)(20)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10) 및 기지국(20)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이동통신시스템(1)은, 예를 들면, LTE 시스템 혹은, SUPER 3G가 포함되는 시스템이다. 또, 이 이동통신시스템(1)은, IMT―Advanced라 불려도 좋으며, 4G라 불려도 좋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시스템(1)은, 기지국장치(20)와, 이 기지국장치(20)와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단말장치(10(101, 102, 103, …, 10n, n은 n>0의 정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장치(20)는, 상위국장치(30)와 접속되고, 이 상위국장치(30)는, 코어 네트워크(40)와 접속된다. 이동단말장치(10)는,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위국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메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위국장치(30)는 코어 네트워크(40)에 포함되어도 좋다.
각 이동단말장치(101, 102, 103, …, 10n)는, LTE 단말 및 LTE―A 단말을 포함하나, 이하에 있어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이동단말장치(10)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장치(20)와 무선통신하는 것은 이동단말장치(10)인 것으로서 설명하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단말장치도 고정단말장치도 포함하는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여도 좋다.
이동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직교 주파수분할 다원접속)가,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분할 다원접속) 및 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이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대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은, 비연속적인 클러스터화된 서브캐리어의 그룹(클러스터)을 한 대의 이동국(UE)에 할당하고, 각 클러스터에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을 적용함으로써, 업링크의 다원접속을 실현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LTE 및 LTE―A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의 통신채널은, 각 이동단말장치(10)에서 공유되는 PDSCH와, 하향 L1/L2 제어채널(PDCCH, PCFICH, PHICH)을 갖는다. 이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및 상위 제어신호가 전송된다. 상위 제어신호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수의 추가/삭감, 각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적용되는 상향링크의 무선 액세스 방식(SC―FDMA/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을 이동단말장치(10)에 대해 통지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또, PDSCH 및 또는 PDCCH를 활성화/비활성화하는 모드를 서포트하는 경우는,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PDSCH, PDCCH의 활성화/비활성화를 ON/OFF하는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상향링크의 통신채널은, 각 이동단말장치(10)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PUSCH와, 상향링크의 제어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갖는다. 이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PUCCH는,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ACK/NACK 등이 전송되고, SC―FDMA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내 주파수 홉핑이 적용되나, 클러스터화 DFT 확산 OFDM에서는 서브프레임 내 주파수 홉핑하지 않아도 주파수 스케줄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서브프레임 내 주파수 홉핑은 적용하지 않는다.
도 1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2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장치(20)는,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와, 호처리부(2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구비하고 있다.
하향링크에 의해 기지국장치(20)로부터 이동단말장치(1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는, PDCP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 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가 수행된다. 또,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나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된다.
또,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는, 알림채널에 의해, 동일 셀(50)에 접속하는 이동단말장치(10)에 대해, 각 이동단말장치(10)가 기지국장치(20)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통지한다. 해당 셀(50)에 있어서의 통신을 위한 알림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시스템 대역폭이나, PRACH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루트 계열의 식별정보(Root Sequence Index) 등이 포함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주파수 변환한다. 앰프부(202)는 주파수 변환된 송신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201)로 출력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이동단말장치(10)로부터 기지국장치(20)로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202)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는,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베이스밴드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복호된 신호는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상위국장치(30)로 전송된다.
호처리부(205)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처리나, 기지국장치(20)의 상태 관리나,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1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LTE 단말도 LTE―A 단말도 하드웨어의 주요부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구별하지 않고 설명한다. 이동단말장치(10)는,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4)와, 애플리케이션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신호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4)에서 FFT 처리나,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이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1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10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알림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105)로 전송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105)로부터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4)에 있어서는, 재송 제어(H―ARQ(Hybrid ARQ))의 송신처리나, 채널 부호화, DFT 처리, IFFT 처리를 수행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한다. 그 후, 앰프부(102)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20)가 갖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 및 일부의 상위 레이어의 기능 블록도이며, 주로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는 송신 처리부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는, 최대 M개(CC#1∼CC#M)의 컴포넌트 캐리어 수에 대응 가능한 기지국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기지국장치(20)의 배하가 되는 이동단말장치(10)에 대한 송신 데이터가 상위국장치(30)로부터 기지국장치(20)에 대해 전송된다.
제어정보 생성부(300)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하는 상위 제어신호를 유저 단위로 생성한다. 상위 제어신호는, 컴포넌트 캐리어 CC의 추가/삭제를 요구하는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301)는, 상위국장치(30)로부터 전송된 송신 데이터를 유저별로 유저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컴포넌트 캐리어 선택부(302)는, 이동단말장치(10)와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유저마다 선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로부터 이동단말장치(10)에 대해 RRC 시그널링에 의해 컴포넌트 캐리어의 추가/삭제를 통지하고, 이동단말장치(10)로부터 Complete message를 수신한다. 이 Complete message의 수신에 의해 해당 유저에 대해 컴포넌트 캐리어의 할당(추가/삭제)이 확정하고, 확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의 할당이 컴포넌트 캐리어 선택부(302)에 컴포넌트 캐리어의 할당정보로서 설정된다. 컴포넌트 캐리어 선택부(302)에 유저마다 설정된 컴포넌트 캐리어의 할당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채널 부호화부(303)로 상위 제어신호 및 송신 데이터가 분배된다. 또, 이동단말장치(10)와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의 서치 스페이스가 집약되는 특정한 컴포넌트 캐리어(이하,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한다)가 선택된다.
스케줄링부(310)는, 시스템대역 전체의 통신품질에 따라, 배하의 이동단말장치(10)에 대한 컴포넌트 캐리어의 할당을 제어한다. 스케줄링부(310)가 이동단말장치(10)와의 통신에 할당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추가/삭제를 판단한다. 컴포넌트 캐리어의 추가/삭제에 관한 판단결과가 제어정보 생성부(300)로 통지된다. 또, 유저단말마다 선택된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가 결정된다.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는 다이나믹하게 전환해도 좋으며, 준정적으로 전환해도 좋다.
또, 스케줄링부(310)는, 각 컴포넌트 캐리어 CC#1∼CC#M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제어하고 있다. LTE 단말 유저와 LTE―A 단말 유저를 구별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스케줄링부(310)는, 상위국장치(30)로부터 송신 데이터 및 재송 지시가 입력됨과 함께, 상위링크의 수신신호를 측정한 수신부로부터 채널 추정값이나 리소스 블록의 CQI가 입력된다. 스케줄링부(310)는, 상위국장치(30)로부터 입력된 재송 지시, 채널 추정값 및 CQI를 참조하면서, 하향링크 할당정보, 상향링크 할당정보, 및 상하 공유채널 신호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동통신에 있어서의 전파로는,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에 의해 주파수마다 변동이 다르다. 그래서, 이동단말장치(10)로의 유저 데이터 송신시에, 각 이동단말장치(10)에 대해 서브프레임마다 통신품질이 양호한 리소스 블록을 할당한다(적응 주파수 스케줄링이라 불린다). 적응 주파수 스케줄링에서는, 각 리소스 블록에 대해 전파로 품질이 양호한 이동단말장치(10)를 선택하여 할당한다. 그 때문에, 스케줄링부(310)는, 각 이동단말장치(10)로부터 피드백되는 리소스 블록마다의 CQI를 이용하여 스루풋의 개선이 기대되는 리소스 블록을 할당한다. 또, 이동단말장치(10)와의 사이의 전파로 상황에 따라 CEE 애그리게이션수를 제어한다. 셀 단 유저에 대해서는 CEE 애그리게이션수를 올리게 된다. 또, 할당한 리소스 블록에서 소정의 블록 오류율을 만족시키는 MCS(부호화율, 변조방식)를 결정한다. 스케줄링부(310)가 결정한 MCS(부호화율, 변조방식)를 만족시키는 파라미터가 채널 부호화부(303, 308, 312), 변조부(304, 309, 313)에 설정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는, 1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서의 최대 유저 다중수 N에 대응한 채널 부호화부(303), 변조부(304), 맵핑부(305)를 구비하고 있다. 채널 부호화부(303)는, 데이터 생성부(301)로부터 출력되는 유저 데이터(일부의 상위 제어신호를 포함한다)에서 구성되는 공유 데이터채널(PDSCH)을, 유저마다 채널 부호화한다. 변조부(304)는, 채널 부호화된 유저 데이터를 유저마다 변조한다. 맵핑부(305)는, 변조된 유저 데이터를 무선 리소스로 맵핑한다.
또,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는, 유저 고유의 하향 제어정보인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와, 유저 공통의 하향 제어정보인 하향 공통 제어채널용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하향 공통채널용 제어정보 생성부(307)를 구비하고 있다.
DCI Format 1의 하향링크 할당정보(D0)가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이다.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는, 유저마다 결정한 리소스 할당 정보, MCS 정보, HARQ용 정보, PUCCH의 송신전력 제어 커맨드 등으로부터 하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예를 들면, DCI Format 1)를 생성한다. 하향링크 제어정보(예를 들면, DCI Format 1)는 본 발명에 의한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는, 1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서의 최대 유저 다중수 N에 대응한 채널 부호화부(308), 변조부(309)를 구비하고 있다. 채널 부호화부(308)는,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 및 하향 공통채널용 제어정보 생성부(307)에서 생성되는 제어정보를 유저마다 채널 부호화한다. 변조부(309)는, 채널 부호화된 하향 제어정보를 변조한다.
또,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204)는,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PUSCH)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인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유저마다 생성하는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와, 생성한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유저마다 채널 부호화하는 채널 부호화부(312)와, 채널 부호화한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유저마다 변조하는 변조부(313)를 구비한다.
DCI Format 0의 상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U0)가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이다.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는, 유저마다 결정한 상향링크의 리소스 할당 정보(싱글 캐리어/클러스터), MCS 정보 및 용장화 버전(RV), 신규 데이터인지 재송 데이터인지를 구별하는 식별자(New Data Indicator), PUSCH의 송신전력 제어 커맨드(TPC), 복조용 레퍼런스 시그널의 사이클릭 시프트(CS for DMRS), CQI 리퀘스트 등으로부터 상향링크 할당정보를 생성한다. 상향링크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SC―FDMA가 선택된 서브프레임(컴포넌트 캐리어)에서는 LTE에 규정된 규칙에 따라 DCI Format 0의 상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정보(U0)를 생성한다. 하향링크 제어정보(예를 들면, DCI Format 0)는 본 발명에 의한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된다.
상기 변조부(309, 313)에서 유저마다 변조된 제어정보는 제어채널 다중부(314)에서 다중되고, 또한 인터리브부(315)에서 인터리브된다. 인터리브부(315)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및 맵핑부(305)로부터 출력되는 유저 데이터는 하향 채널 신호로서 IFFT부(316)로 입력된다. IFFT부(316)는, 하향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영역의 신호로부터 시계열의 신호로 변환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 삽입부(317)는, 하향 채널 신호의 시계열 신호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삽입한다. 또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는, 멀티패스 전파지연의 차를 흡수하기 위한 가드 인터벌로서 기능한다.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부가된 송신 데이터는, 송수신부(203)로 송출된다.
도 20은, 이동단말장치(10)가 갖는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4)의 기능 블록도이며, LTE―A를 서포트하는 LTE―A 단말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이동단말장치(10)의 하향링크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기지국장치(20)로부터 수신 데이터로서 수신된 하향링크 신호는, CP 제거부(401)에서 CP가 제거된다. CP가 제거된 하향링크 신호는, FFT부(402)로 입력된다. FFT부(402)는, 하향링크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FT: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시간영역의 신호로부터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디맵핑부(403)로 입력한다. 디맵핑부(403)는, 하향링크 신호를 디맵핑하고, 하향링크 신호로부터 복수의 제어정보가 다중된 다중제어정보, 유저 데이터, 상위 제어신호를 취출한다. 또한, 디맵핑부(403)에 의한 디맵핑 처리는, 애플리케이션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상위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디맵핑부(403)로부터 출력된 다중 제어정보는, 디인터리브부(404)에서 디인터리브된다.
또,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4)는, 제어정보를 복조하는 제어정보 복조부(405), 하향 공유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406) 및 채널 추정부(407)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정보 복조부(405)는, 하향 제어채널로부터 하향 공통 제어채널용 제어정보를 복조하는 공통 제어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a)와, 하향 제어채널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서치 스페이스를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복조하는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b)와, 하향 제어채널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서치 스페이스를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복조하는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c)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복조부(406)는, 유저 데이터 및 상위 제어신호를 복조하는 하향 공유 데이터 복조부(406a)와, 하향 공유채널 데이터를 복조하는 하향 공유채널 데이터 복조부(406b)를 구비하고 있다.
공통 제어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a)는, 하향 제어채널(PDCCH)의 공통 서치 스페이스의 블라인드 디코딩 처리, 복조 처리, 채널 복호 처리 등에 의해 유저 공통의 제어정보인 공통 제어채널용 제어정보를 추출한다. 공통 제어채널용 제어정보는, 하향링크의 채널품질정보(CQI)를 포함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맵핑부(115)에 입력되고, 무선기지국장치(20)로의 송신 데이터의 일부로서 맵핑된다.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b)는, 하향 제어채널(PDCCH)의 유저 개별 서치 스페이스의 블라인드 디코딩 처리, 복조 처리, 채널 복호 처리 등에 의해 유저 고유의 상향링크 할당정보인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취출한다. 특히, 유저 개별 서치 스페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에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가 집약되어 있기 때문에, 복조된 DCI를, CIF를 이용하여 어느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어정보인지 식별한다. 상향링크 할당정보는,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PUSCH)의 제어에 사용되고, 하향 공통채널 데이터 복조부(406b)로 입력된다.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c)는, 하향 제어채널(PDCCH)의 유저 개별 서치 스페이스의 블라인드 디코딩 처리, 복조 처리, 채널 복호 처리 등에 의해 유저 고유의 하향 제어신호인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취출한다. 특히, 유저 개별 서치 스페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에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가 집약되어 있기 때문에, 복조된 DCI를, CIF를 이용하여 어느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어정보인지 식별한다.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는,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PDSCH)의 제어에 사용되고, 하향 공유 데이터 복조부(406)로 입력된다.
또,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c)는, 하향 공유 데이터 복조부(406a)에서 복조된 상위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PDCCH 및 PDSCH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고유 서치 스페이스의 블라인드 디코딩 처리를 수행한다. 상위 제어신호에 의해 유저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관한 정보(PDSCH/PDCCH의 활성화/비활성화의 ON, OFF를 포함해도 좋다)가 시그널링된다.
하향 공유 데이터 복조부(406a)는,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c)로부터 입력된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데이터나 상위 제어정보를 취득한다. 상위 제어정보(모드정보를 포함한다)는, 채널 추정부(407)로 출력된다. 하향 공통채널 데이터 복조부(406b)는,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b)로부터 입력된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하향 공통채널 데이터를 복조한다.
채널 추정부(407)는, 공통참조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한다. 추정된 채널 변동을, 공통 제어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a),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b),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c) 및 하향 공유 데이터 복조부(406a)로 출력한다. 이들의 복조부에 있어서는, 추정된 채널 변동 및 복조용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할당정보를 복조한다.
베이스밴드신호 처리부(104)는, 송신 처리계의 기능 블록으로서, 데이터 생성부(411), 채널 부호화부(412), 변조부(413), DFT부(414), 맵핑부(415), IFFT부(416), CP 삽입부(417)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생성부(411)는, 애프리케이션부(105)로부터 입력되는 비트 데이터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채널 부호화부(412)는, 송신 데이터에 대해 오류 정정 등의 채널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고, 변조부(413)는 채널 부호화된 송신 데이터를 QPSK 등으로 변조한다. DFT부(414)는, 변조된 송신 데이터를 이산 푸리에 변환한다. 맵핑부(415)는, DFT 후의 데이터 심볼의 각 주파수 성분을, 기지국장치에 지시된 서브캐리어 위치로 맵핑한다. IFFT부(416)는, 시스템대역에 상당하는 입력 데이터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하고, CP 삽입부(417)는 시계열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단락에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이동국장치(10)와 기지국장치(20)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에 이용하는 시스템대역에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을 할당한 경우에, CC0∼CC3의 하향링크 제어정보(DCI)가 배치되는 서치 스페이스의 제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b에 도시하는 서치 스페이스에 CC0∼CC3의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를 배치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UE#1에 대한 제어정보 생성부(300)(UE#1)가,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을, 이동국장치(10)에 대해 상위 제어신호로 RRC 시그널링한다. 또, 제어정보 생성부(300)(UE#1)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집약하는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 CC0을 이동국장치(10)에 대해 상위 제어신호로 RRC 시그널링한다. 이때,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CCH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CC1의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를 기준으로서,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서치 스페이스를 나열하는 경우는, PDCCH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번호(CC1)와, PDSCH를 송신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번호(CC2, CC3)와 상위 제어신호로 RRC 시그널링한다.
또, PDSCH가 비활성화되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정보 생성부(300)(UE#1)가 비활성화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CC 번호를 RRC 시그널링한다. RRC 시그널링되는 상위 제어신호는 PDSCH에 배치되어 송신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04)에 있어서 컴포넌트 캐리어 CC0∼CC3의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UE#1)가 제어정보 D0∼D3을 생성하고,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UE#1)가 제어정보 U0∼U3을 생성한다. 제어정보 D0∼D3, U0∼U3에는 CIF가 각각 부여된다. 생성한 제어정보는,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CC0)의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UE#1),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UE#1)로 전해진다.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CC0)의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UE#1) 및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UE#1)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 서치 스페이스에 제어정보 D0~D3, U0~U3를 배치한다. 도 5b에 도시하는 서치 스페이스는, 노멀 사이즈의 SS1과 콤팩트 사이즈의 SS2의 2종류이다.
또,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UE#1) 및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UE#1)는, 서치 스페이스의 사이즈를, 상술한 도 12 내지 도 15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적용하여 결정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방식이라면, 단순히 기본 사이즈(6CCE)를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 N으로 N배시킨다. 도 13에 도시하는 방법이라면, CC 수 1에서 3까지는 기본 사이즈(6CCE)를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 N으로 N배시킨 사이즈로 하나, 그 이상의 CC 수에서는 CC 수=3에서의 사이즈로 고정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방식이라면, CC 고유의 오프셋을 부여하여 컴포넌트 캐리어 사이에 일부 겹치는 서치 스페이스 사이즈를 구성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방식이라면, 컴포넌트 캐리어 간의 겹침을 적게 되도록 맵핑한다.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UE#1)에서 생성된 제어정보(D0 또는 D0') 및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UE#1)에서 생성된 제어정보(U0 또는 U0')가 제어채널 다중부(314)에서 겹치지 않도록 다중되고, 도 5b에 도시하는 서치 스페이스 배치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서치 스페이스에 제어정보 D0~D3, U0~U3이 배치된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 CC0의 PDCCH가 송신된다.
또, PDSCH가 비활성화되는 컴포넌트 캐리어가 포함되어 있었던 경우, 그 비활성화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어정보를 배치하는 서치 스페이스도 비활성화한다. 도 12b에는 컴포넌트 캐리어 CC2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는, PDSCH가 비활성화된 컴포넌트 캐리어 CC2의 서치 스페이스에는 제어정보를 배치하지 않고, 송신 파워도 할당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PDSCH가 비활성화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를 동시에 비활성화시켜도 좋다. 제어정보 생성부(300)는, 비활성화된 PDSCH 및 또는 PDCCH에 대해 채널 "OFF"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단말장치(10)로 RRC 시그널링한다.
한편, 유저 UE#1이 되는 이동단말장치(10)는, 하향링크에서 PDCCH를 수신한다. 디인터리브부(404)가 서브프레임 선두의 1∼3 OFDM 심볼에 맵핑된 PDCCH를 디인터리브한다. 이동단말장치(10)에서는, 레이트 맵칭 파라미터(CCE 수), 및 CCE의 개시위치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제어정보 복조부(405)는, CCE 단위로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유저 ID로 마스크된 CRC가 OK가 되는 CCE를 탐색한다.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a)는, PDCCH의 서치 스페이스 SS1을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자신 앞으로의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탐색한다. 이때. 이미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 CC0가 통지되어 있기 때문에, PDCCH가 송신되지 않는 컴포넌트 캐리어 CC1∼CC3에 대해서는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은 하지 않는다. 서치 스페이스 SS1을 블라인드 디코딩함으로써 제어정보 D0∼D3이 복조된다. 제어정보 D0∼D3에 부가되어 있는 CIF에 기초하여 컴포넌트 캐리어 CC1∼CC3의 제어정보를 특정한다.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b)는, PDCCH의 서치 스페이스 SS2를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자신 앞으로의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를 탐색한다. PDCCH가 송신되지 않는 컴포넌트 캐리어 CC1∼CC3에 대해서는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은 하지 않는다. 서치 스페이스 SS2를 블라인드 디코딩함으로써 제어정보 U0∼U3이 복조된다. 제어정보 U0∼U3에 부가되어 있는 CIF에 기초하여 컴포넌트 캐리어 CC1∼CC3의 제어정보를 특정한다.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b)는, 탐색한 자신 앞으로의 제어정보 U0∼U3을 해석한다. 그리고, DCI Format 0으로부터 리소스 할당 정보, 및 그 외의 파라미터(MCS 정보 등)를 추출한다. 리소스 할당 정보는 맵핑부(415)로 부여되고, 그 외의 파라미터는, 채널 부호화부(412), 변조부(413) 등의 해당 블록으로 부여된다.
도 5c에 도시하는 서치 스페이스 CC0∼CC3의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를 배치하는 경우, 컴포넌트 캐리어 CC0이 앵커 캐리어로서 시그널링된다. 이동국장치(10)와 기지국장치(20)와의 사이에서 앵커 캐리어를 인식한다.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UE#1),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UE#1)는, 앵커 캐리어의 제어정보 D0, U0에는 CIF를 부여하지 않고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한다.
이동단말장치(10)에서는,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a) 및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b)는, CIF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제어정보 D0, U0은 컴포넌트 캐리어 CC0(앵커 캐리어)의 제어정보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6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CC1∼CC3을 DCI 사이즈에 따라 그룹화하는 경우는, 그룹마다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를 결정하여, 그룹마다 도 5b 또는 도 5c에 도시하는 서치 스페이스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그룹마다 PDCCH를 송신하는 CC가 되는 SS 집약 컴포넌트 캐리어, PDSCH를 송신하는 CC의 CC 번호를 RRC 시그널링한다.
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종류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정의하여, 블라인드 디코딩 종별마다 서치 스페이스를 마련해도 좋다.
도 7에는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3종류의 서치 스페이스 SS1, SS2, SS3을 마련하고 있다. 상향링크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복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콤팩트 타입의 DCI Format 0보다도 사이즈가 큰 DCI Format 0A에서 상향 할당정보고 구성되는 제어정보(U0)를 생성한다.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는, 스케줄링부(310)로부터 사이즈가 큰 DCI Format 0A가 지시되면, DCI Format 0A에서 상향 할당정보로 구성되는 제어정보(U0)를 생성한다. 사이즈가 큰 DCI Format 0A에서 생성된 제어정보(U0)는 제3 서치 스페이스 SS3에 배치된다.
이동단말장치(10)에서는, 상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b)는, 제3 서치 스페이스 SS3을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DCI Format 0A에서 생성된 제어정보(U0)를 복조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팩트 타입의 제2 서치 스페이스 SS2는, 앵커 캐리어(CC0)에서만 서포트하도록 해도 좋다. 앵커 캐리어(CC0)에서는 사이즈가 큰 DCI Format 0A로부터 콤팩트 사이즈의 DCI Format 0으로 폴백 가능하게 하는 서치 스페이스 구성으로 한다. 상향 제어정보 생성부(311)는, 스케줄링부(310)로부터 DCI Format 0으로 폴백이 지시되면, 상향링크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의 생성을 콤팩트 사이즈의 DCI Format 0으로 전환하고, 제2 서치 스페이스 SS2에 콤팩트 사이즈의 제어정보(U0')를 배치한다.
또, 도 9, 10에 도시하는 컴포넌트 캐리어 CC1과 같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서 비대칭의 할당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옵션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0의 옵션 2를 선택한 것으로서 설명한다. 하향 제어정보 생성부(306)(UE#1)는, 콤팩트 사이즈의 DCI Format 1A에서 제어정보(D1')를 생성하는 경우, 도 10의 옵션 2에 도시하는 서치 스페이스를 이용한다. 즉, 상향링크의 제어정보(UL)의 할당이 없고 제어정보(D1')만이 할당된 콤팩트 사이즈의 서치 스페이스 SS2를, 비대칭 컴포넌트 캐리어 CC1의 PDCCH에 배치한다.
이동단말장치(10)에서는, 하향 공유 데이터채널용 제어정보 복조부(405a)는, 제2 서치 스페이스 SS2를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DCI Format 1A에서 생성된 제어정보(D0')를 복조한다.
또한, 도 10의 옵션 3을 선택한 경우에는, 서치 스페이스 SS2에는 제어정보(D0')도 배치되지 않고, 노멀 사이즈의 DCI Format 1만이 제1 서치 스페이스 SS1에 배치되어 송신된다.
본 출원은, 2010년 4월 5일 출원의 특원 2010―087383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17)

  1. 유저단말과의 사이의 무선통신에 이용되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시스템대역을 기본 주파수 블록 단위로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된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개별로 보내지는 데이터채널을 각각 복조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의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에,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된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하는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상기 서치 스페이스 내에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하여 배치된 상기 하향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기본 주파수 블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상기 각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노멀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와, 상기 노멀 사이즈에 비해 비트 사이즈가 작은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생성 가능하고, 상기 노멀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되는 제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되는 제2 서치 스페이스의 적어도 2종류의 서치 스페이스를, 상기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선택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에, 하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만이 할당되고, 상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이 할당되지 않는 비대칭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비대칭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에, 하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되는 노멀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배치하는 제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노멀 사이즈에 비해 비트 사이즈가 작은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배치하는 제2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제2 서치 스페이스에는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만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선택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에, 하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만이 할당되지만 상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이 할당되지 않는 비대칭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비대칭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에, 하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되는 노멀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배치하는 제1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노멀 사이즈에 비해 비트 사이즈가 작은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배치하는 제2 서치 스페이스는 배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선택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에, 하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만이 할당되지만 상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이 할당되지 않는 비대칭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비대칭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에, 하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되는 노멀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배치하는 제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노멀 사이즈에 비해 비트 사이즈가 작은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배치하는 제2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하고, 상기 제2 서치 스페이스에서는 상기 비대칭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과 다른 대칭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과의 페어로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비대칭측의 하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정보에 패딩 비트를 부가하여 해당 하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과 페어를 구성하는 대칭측의 상향링크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상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비트 사이즈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상기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용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기본 주파수 블록수에 따른 횟수만큼 동일 사이즈의 서치 스페이스를 연속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수가 소정 수 N보다 작으면 기본 주파수 블록수에 비례하여 서치 스페이스의 전체 사이즈를 동적으로 확대하고, 기본 주파수 블록수가 소정 수 N보다 크면 서치 스페이스의 전체 사이즈를 최대값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상기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용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기본 주파수 블록 고유의 오프셋을 부여하여 서치 스페이스 사이즈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할당하는 비트수의 기본 단위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의 애그리게이션수를 Ncc, CCE 애그리게이션수를 나타내는 CCE 애그리게이션 레벨을 Nlevel, 서치 스페이스의 사이즈를 Nsize, 서치 스페이스의 오프셋량을 Noffset, 각 Nlevel={1, 2, 4, 8}에 있어서의 각 Nsize={6, 12, 8, 16}, 기본 주파수 블록수를 Ncc로 하고,
    Ncc가 Nsize×Ncc보다도 큰 경우는, Noffset=Nsize/Nlevel로 하여,
    Ncc가 Nsize×Ncc보다도 작은 경우는, 하기 식에 기초하여 Noffset을 계산하고,
    [수학식 1]
    Figure pct00002

    상기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용 서치 스페이스의 개시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계산한 오프셋량 Noffset을 부여하여 기본 주파수 블록간의 서치 스페이스의 겹침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일부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데이터채널이 비활성화된 경우, 데이터채널이 비활성화된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기본 주파수 블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상기 각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부여하고,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일부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데이터채널이 비활성화된 경우, 비활성화된 데이터채널 복조용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서치 스페이스 영역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 이외의 다른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을 개별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제어정보 생성수단은,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마다, 하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되는 노멀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와, 상기 노멀 사이즈에 비해 비트 사이즈가 작은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와, 상향링크 할당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콤팩트 사이즈보다도 큰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생성 가능하며, 상기 노멀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배치되는 제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콤팩트 사이즈의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배치되는 제2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콤팩트 사이즈보다도 큰 사이즈의 상향링크 할당정보용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배치되는 제3 서치 스페이스의 3종류의 서치 스페이스를, 각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6.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수신하고, 상기 기본 주파수 블록 중의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에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된 서치 스페이스가 포함되어 있는 수신수단;
    상기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의 서치 스페이스를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복조하는 제어정보 복조부;
    상기 제어정보 복조부에서 복조된 상기 각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상기 각 기본 주파수 블록의 데이터채널을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17. 유저단말과의 사이의 무선통신에 이용되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시스템대역을 기본 주파수 블록 단위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개별로 보내지는 데이터채널을 각각 복조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의 특정한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 제어채널에,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된 서치 스페이스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서치 스페이스 내에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집약하여 배치된 상기 하향 제어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KR1020127026866A 2010-04-05 2011-03-30 기지국장치 및 유저단말 KR101466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7383 2010-04-05
JP2010087383A JP5455228B2 (ja) 2010-04-05 2010-04-05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端末
PCT/JP2011/057954 WO2011125701A1 (ja) 2010-04-05 2011-03-30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673A true KR20120140673A (ko) 2012-12-31
KR101466619B1 KR101466619B1 (ko) 2014-12-01

Family

ID=4476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866A KR101466619B1 (ko) 2010-04-05 2011-03-30 기지국장치 및 유저단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982752B2 (ko)
EP (1) EP2557871A4 (ko)
JP (1) JP5455228B2 (ko)
KR (1) KR101466619B1 (ko)
CN (1) CN102934503B (ko)
AU (1) AU2011237214B2 (ko)
CA (1) CA2795321C (ko)
CL (1) CL2012002776A1 (ko)
RU (1) RU2533199C2 (ko)
WO (1) WO2011125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5068B2 (en) 2010-06-04 2015-09-01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imulating realistic movement of user equipment in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CN101867953B (zh) * 2010-06-13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场景下下行控制信息的检测方法和用户设备
JP5569652B2 (ja) 2010-09-28 2014-08-13 富士通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リングされている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の確定方法、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5009410B2 (ja) * 2010-10-29 2012-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520975B2 (en) 2011-05-03 2016-1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to a user equipment
KR102031031B1 (ko) 2011-06-20 2019-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복식 프레임 구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291736B (zh) * 2011-08-08 2017-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道的检测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9826514B2 (en) 2011-11-16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design for low cost devices
US9154979B2 (en) 2011-12-14 2015-10-06 Ixia Scalable architecture for long term evolution (LTE) multiple user equipment (multi-UE) simulation
US8855070B2 (en) 2011-12-14 2014-10-07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improved long term evolution (LTE)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processing
US9204325B2 (en) * 2011-12-20 2015-12-01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educing the impact of fals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detection in long term evolution (LT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data
US9071995B2 (en) 2012-01-17 2015-06-30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long term evolution (LTE) uplink data processing
US8908535B2 (en) 2012-02-10 2014-12-09 Ixia Methods, traffic simulator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validating long term evolution (LTE) code blocks and transport blocks
US8724498B2 (en) 2012-02-14 2014-05-13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erforming long term evolution (LTE) channel delineation
US8892829B2 (en) 2012-02-29 2014-11-18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integrated sub-block interleaving and rate matching
US8738985B2 (en) 2012-03-28 2014-05-27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 turbo decoding process in a long term evolution (LTE) multi-user equipment (UE) traffic simulator
US9131000B2 (en) 2012-04-13 2015-09-08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heuristics-based adaptive protocol parsing
TWI658740B (zh) 2012-09-24 2019-05-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動態頻譜管理系統中頻道品質測量及傳送功率分配
US8937882B2 (en) 2012-10-26 2015-01-20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utomatically decoding uplink data
US8929294B2 (en) 2012-11-20 2015-01-06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apid decoding of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plink data
CN104038963A (zh) * 2013-03-06 2014-09-10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系统中控制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US9198065B2 (en) 2013-03-15 2015-11-24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utilizing adaptive symbol processing in a multiple user equipment (multi-UE) simulator
US9179355B2 (en) * 2014-01-09 2015-11-03 Apple Inc. Cell utilization estimation by a wireless device
WO2015141418A1 (ja) * 2014-03-20 2015-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555317B2 (en) * 2014-08-07 2020-02-04 Sharp Kabushiki Kaisha Selective configuration of UL/DL information by a base station apparatus
RU2690778C1 (ru) * 2015-05-15 2019-06-05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ы установления соответствия cif и обслуживающих сот
US10609696B2 (en) * 2015-05-29 2020-03-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661513B2 (en) 2015-06-09 2017-05-23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enhanced channel control element (CCE) decoding in LTE networks
WO2017026777A1 (ko) * 2015-08-12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수신 또는 상향링크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55417B2 (en) 2016-02-03 2020-12-0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signaling techniques in wireless systems with multiple possib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JP6490308B2 (ja) * 2016-02-05 2019-03-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WO2017213274A1 (ko) * 2016-06-08 2017-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mwave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US10630346B2 (en) * 2016-08-25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under different subframe structures
CN107889226B (zh) * 2016-09-29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确定时序的方法和设备
US10412627B2 (en) 2016-11-11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strategy for advanced receiver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suppression
EP3566518A4 (en) 2017-01-05 2020-09-02 Nokia Technologies Oy OPTIMIZING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FOR CONTINUOUS RECEPTION MODE AND / OR NARROW BAND OPERATION
US10326578B2 (en) 2017-02-13 2019-06-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arly termination scheme for blind decoding of a downlink control channel
EP3622651A1 (en) 2017-05-12 2020-03-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arch space monitoring
JP7449693B2 (ja) * 2017-06-15 2024-03-1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CN109391417B (zh) 2017-08-11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下行控制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US11546896B2 (en) * 2017-09-11 2023-01-03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012922B2 (en) * 2017-09-18 2021-05-18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search space design for coverage enhanc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133912B2 (en) * 2017-10-02 2021-09-28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part activation, deactivation, and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ES2942771T3 (es) * 2018-01-11 2023-06-06 Ntt Docomo Inc Terminal, método de comunicación por radio, estación base y sistema
US11089582B2 (en) * 2018-04-05 2021-08-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payload size determination
CN112425229A (zh) * 2018-05-21 2021-02-26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
CN111356215B (zh) 2018-12-20 2021-09-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870736B2 (en) 2020-08-07 2024-01-09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 set activation
CN112911720A (zh) * 2021-02-28 2021-06-04 北京贝耀信科技有限公司 一种对存储在区块链系统中的数据进行管理的方法及系统
US20230042490A1 (en) * 2021-08-04 2023-02-09 Qualcomm Incorporated Aggregate component carrier for full-duplex operation
CN114079556B (zh) * 2021-10-29 2023-11-14 深圳大学 一种基于空间位置的多址接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066B1 (ko) * 2003-05-17 201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 구조 및 이를이용한 시간-코드 할당방법
MY143970A (en) * 2005-10-07 2011-07-29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supporting high speed downlink and uplink
CN104883745B (zh) * 2007-01-09 2019-06-1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装置、移动台装置、控制信息发送方法、控制信息接收方法及程序
JP5103340B2 (ja) * 2008-09-22 2012-12-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共有チャネル信号送信方法
JP5194177B2 (ja) * 2009-01-30 2013-05-0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連続及び非連続周波数帯域にわたる送信のための制御シグナリング
KR101553097B1 (ko) 2009-03-12 2015-09-14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단말, 기지국, 제어 채널 수신 방법, 제어 채널 형성 방법 및 집적 회로
WO2010141616A1 (en) * 2009-06-02 2010-12-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lind decoding for carrier aggregation and for randomly generating search spaces as a function of the carrier index, rnti and subframe index
US8432859B2 (en) * 2009-06-22 2013-04-30 Alcatel Lucent Indicating dynamic allocation of component carriers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s
EP2472949A1 (en) 2009-08-25 2012-07-04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351293B2 (en) * 2009-09-1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carrier indication an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teraction
US8638815B2 (en) * 2010-01-08 2014-01-2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for uplink carrier aggregation
US9306723B2 (en) * 2010-02-20 2016-04-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carrier control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5701A1 (ja) 2011-10-13
US8982752B2 (en) 2015-03-17
AU2011237214A1 (en) 2012-11-01
RU2533199C2 (ru) 2014-11-20
AU2011237214B2 (en) 2014-06-12
JP5455228B2 (ja) 2014-03-26
CN102934503B (zh) 2016-04-06
CA2795321C (en) 2015-10-13
CA2795321A1 (en) 2011-10-13
JP2011223112A (ja) 2011-11-04
EP2557871A4 (en) 2017-06-14
CL2012002776A1 (es) 2013-03-01
CN102934503A (zh) 2013-02-13
KR101466619B1 (ko) 2014-12-01
US20130058294A1 (en) 2013-03-07
EP2557871A1 (en) 2013-02-13
RU2012145231A (ru)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619B1 (ko) 기지국장치 및 유저단말
JP5072999B2 (ja) 無線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5285117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569812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方法
JP507298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端末
JP5462085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2656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80169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5073779B2 (ja)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端末
WO2013069745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1223333A (ja)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9077532B2 (en)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apparatus
WO2010073477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方法
JP2014053955A (ja) ユーザ端末、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AU2014202400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user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