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585A -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 Google Patents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585A
KR20120140585A KR1020110081501A KR20110081501A KR20120140585A KR 20120140585 A KR20120140585 A KR 20120140585A KR 1020110081501 A KR1020110081501 A KR 1020110081501A KR 20110081501 A KR20110081501 A KR 20110081501A KR 20120140585 A KR20120140585 A KR 20120140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olyte
electrokinetic
wast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2962B1 (en
Inventor
김계남
문제권
이기원
손동빈
박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1/00686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76956A1/en
Priority to US13/326,582 priority patent/US9127432B2/en
Priority to JP2011282018A priority patent/JP5579695B2/en
Publication of KR2012014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5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9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09C1/085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electrochemically, e.g. by electrokin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0Processing by floc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PURPOSE: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is provided to improve the decontamination efficiency of a soil polluted in radionuclide by a washing decontamination mode and a dynamic electricity decontamination mode. CONSTITUTION: An electrolyte feeding unit(110) supplies electrolyte. A dynamic electricity unit(120) includes an accommodating chamber. The dynamic electricity unit includes an inlet part and an outlet. The inlet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feeding unit. The outlet discharges wasted electrolytic agent passing through polluted soil. An electrode unit is formed in the dynamic electricity unit. A pH controlling unit(140) supplies pH control solvent.

Description

방사성핵종 제염을 위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for radionuclide decontamination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본 발명은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성핵종에 오염된 토양(soil)을 높은 제염(decontamination) 효율로 처리할 수 있고, 제염 처리 과정에서 폐액의 발생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treat soil contaminated with radionuclides with high decontamination efficiency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waste liquid generated during the decontamination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일반적으로, 원자력시설의 가동 및 해체에는 다량의 방사성토양이 발생한다. 특히, 관리 소홀 및 자연재해와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인해 원자력시설에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될 경우, 원자력시설에서 방출되는 방사성핵종에 의해서 주변의 토양이 오염될 수도 있다.In general, a large amount of radioactive soils are generated in the operation and decommissioning of nuclear facilities. In particular, if an unexpected accident occurs in a nuclear facility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neglect of management and natural disaster, the surrounding soil may be contaminated by radionuclides released from the nuclear facility.

그러므로, 최근에는 방사성폐기물의 발생량을 감소시키거나 방사성핵종에 오염된 토양을 단기간에 복구시키기 위해서, 방사성토양을 자체적으로 처분하는 토양제염기술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radioactive waste or to recover the soil contaminated with radionuclides in a short time, a soil decontamination technology that disposes of radioactive soil itself has been developed.

토양제염기술은 토양의 방사성 농도를 낮추기 위한 기술로써, 종래에는 토양 세척 방식의 제염기술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제염기술은 제염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폐액 발생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Soil decontamination technology is a technique for lowering the radioactive concentration of the soil, conventionally used a decontamination technique of soil washing method. Such a conventional decontamination technique ha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decontamination efficiency is low but also the amount of waste liquid generated.

따라서, 방사성핵종에 오염된 토양의 제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염시 발생되는 폐액의 발생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제염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decontamination technology that can not only improve the decontamination efficiency of soil contaminated with radionuclides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waste fluid generated during decontamin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척 제염 방식과 동전기 제염 방식을 복합시켜 방사성핵종(radionuclide)에 오염된 토양의 제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decontamination efficiency of soil contaminated with radionuclide by combining the washing decontamination method and th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염토양의 제염시 발생되는 폐액을 재사용하여 폐액의 배출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capable of remarkably reducing the amount of waste liquid by reusing waste liquid generated when decontaminating so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염토양을 제염하는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자동 조절하여 작동 안정성과 성능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conditions for decontaminating contaminated soil to an optimal state to ensure operational stability and performance reli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염토양으로부터 방사성핵종을 제거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for removing radionuclides from contaminated soi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액(electrolyte)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 유닛,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해액을 공급 받도록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과 연결된 입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염토양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염토양을 통과한 폐전해액(waste electrolyte)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구부가 타측에 형성된 동전기 유닛,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오염토양의 서로 다른 부위에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을 제공하도록 상기 동전기 유닛에 구비된 전극 유닛, 및 상기 동전기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 전원과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양극 전원과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에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pH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yte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electrolyte), an inlet portion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to receive the electrolyte from the electrolyte supply uni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s the soil contaminated A positive electrode power source and a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are provided inside the electrokinetic unit having an outlet portion formed at the other side to discharge waste electrolyte passing through the contaminated soil to the outside, and the contaminated soil contain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adjust the pH of the electrode unit provided in the electrokinetic unit, and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power sourc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so as to adjust the pH of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power sourc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It provides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including a pH adjusting unit for supplying a solution.

상기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는,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이 공급하는 전해액에 의해서 상기 오염토양의 방사성핵종이 세척 제염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상기 전극 유닛이 제공하는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에 의해서 상기 오염토양의 방사성핵종이 동전기 제염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염토양의 제염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오염 토양의 제염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In the composit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the radionuclide of the contaminated soil can be removed by washing and decontamination by the electrolyte supplied by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at the same time by the positive and negative power supplies provided by the electrode unit. The radionuclide of the contaminated soil can be removed by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Therefore, the decontamin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soil can be improved, and the decontamination time of the contaminated soil can also be shortened.

이와 같은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는 상기 오염토양으로부터 세슘, 우라늄, 코발트를 제거할 수 있다.Such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can remove cesium, uranium and cobalt from the contaminated soil.

뿐만 아니라, 상기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는, 상기 pH 조절 유닛이 공급하는 pH 조절 용액에 의해서 상기 양극 전원과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의 pH가 최적의 pH로 조절 및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의 부위가 최적의 pH로 조절 및 유지되면, 동전기 제염 과정시 발생되는 금속산화물의 양이 감소될 수 있고, 폐액의 발생량도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may be adjusted and maintained at an optimal pH by the pH adjusting solution supplied by the pH adjusting unit, the pH of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power sourc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ions of the anode power source and the cathode power source are adjusted and maintained at an optimal pH, the amount of metal oxide generated during th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process may be reduced, and the amount of waste liquid may be reduced.

상기 pH 조절 유닛은, 상기 양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양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의 pH를 제1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양극 pH 조절부, 및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의 pH를 제2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음극 pH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 pH 조절부와 상기 음극 pH 조절부가 상기 양극 전원과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의 pH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pH control unit, the positive electrode pH control unit for supplying the pH control solution to the site where the positive power is provided to adjust the pH of the site where the positive power is provided to a first set valu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is provided It may be provided with a negative pH control unit for supplying the pH control solution to the site to adjust the pH of the site provid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to a second set value. 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and the nega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may independently adjust the pH of the portion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power sourc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ar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1 설정값은 오염토양의 특성에 따라 0.5~1.5 pH일 수 있고, 상기 제2 설정값도 0.5~1.5 pH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H 조절 용액은 질산 용액일 수 있다.Here, the first set value may be 0.5 to 1.5 p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aminated soil, and the second set value may also be 0.5 to 1.5 pH. The pH adjusting solution may be nitric acid solution.

상기 동전기 유닛의 수용부는, 상기 오염토양이 수용되는 수용실, 상기 수용실과 상기 입구부 사이에 형성된 양극실, 및 상기 수용실과 상기 출구부 사이에 형성된 음극실을 구비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electrokinetic unit may include a accommodating chamber in which the contaminated soil is accommodated, an anode chamber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ng chamber and the inlet part, and a cathode chamber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ng chamber and the outlet part.

상기 전극 유닛은, 상기 양극실에 구비된 양전극부, 상기 음극실에 구비된 음전극부, 및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에 양극전원과 음극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electrode unit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unit provided in the anode chamber, a negative electrode unit provided in the cathode chamber,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a positive power source and a negative electrode power unit to the positive electrode unit and the negative electrode unit.

상기 pH 조절 유닛은, 상기 양극실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양극실의 pH를 제1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양극 pH 조절부, 및 상기 음극실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음극실의 pH를 제2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음극 pH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H adjusting unit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for supplying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the positive electrode chamber to adjust the pH of the positive electrode chamber to a first set value, and supplying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to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It may be provided with a nega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H of the second set value.

여기서, 상기 양극 pH 조절부는, 상기 양극실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실 pH 센서, 및 상기 양극실 pH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양극실의 내부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양극실 용액 공급기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anode pH control unit, an an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 the anode chamber, and the anode chamber solution supply for supplying the pH control solution to the interior of the anode chamb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anode chamber pH sensor It can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음극 pH 조절부는, 상기 음극실의 내부에 구비된 음극실 pH 센서, 및 상기 음극실 pH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음극실의 내부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음극실 용액 공급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and a negative electrode chamber solution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the pH control solution to the in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according to a detection value of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pH sensor. It can be provided.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pH 조절 유닛은, 상기 양극실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실 pH 센서, 상기 음극실의 내부에 구비된 음극실 pH 센서, 및 상기 양극실 pH 센서와 상기 음극실 pH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양극실 또는 상기 음극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공급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용액 공급기를 단수개만 사용하여 상기 양극실과 상기 음극실의 pH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unlike the above, the pH control unit, the an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side the anode chamber, the cath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side the cathode chamber, and the anode chamber pH sensor and the cathode chamber pH sensor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may be provided with a solution supply for supplying the pH control solution to at least one of the anode chamber or the cathode chamber. That is, the pH of the anode chamber and the cathode chamber may be selectively adjusted by using only one solution feeder.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는, 상기 동전기 유닛의 출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폐전해액을 처리하여 상기 동전기 유닛 내의 상기 음극전원 부위에서 발생되는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는 폐액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폐액 처리 유닛이 상기 동전기 유닛에서 배출되는 폐전해액을 처리하므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폐액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is genera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portion in the electrokinetic unit by treating the waste electrolyte discharged to the outlet and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electrokinetic unit A waste liquid treatment unit for removing the oxide particles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since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processes the wast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voltaic un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liq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상기 폐액 처리 유닛은, 상기 동전기 유닛의 상기 출구부와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 순환시키는 폐액 순환기, 및 상기 폐액 순환기에 의해 순환되는 상기 폐전해액으로부터 상기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도록 상기 폐액 순환기 상에 연통되게 연결된 금속산화물 분리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금속산화물 분리기가 상기 폐전해액으로부터 상기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여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전해액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상기 폐액 순화기가 상기 금속산화물 분리기에 의해 재생된 상기 전해액을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에서 발생되는 폐액이 모두 재사용되는 구조이므로, 폐액의 발생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is circulated by a waste liquid circulator formed between the outlet of the electrokinetic unit and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circulating the waste electrolyte discharged to the outlet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the waste liquid circulator. The metal oxide separator may b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te liquid circulator so as to remove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That is, the metal oxide separator may remove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to recover the waste electrolyte into the electrolyte, and the waste liquid purifier recovers the electrolyte solution recycled by the metal oxide separator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can do. Therefore, since the waste liquid generated in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is reused, the problem caused by the generation of the waste liquid can be solved.

여기서, 상기 폐액 순환기는, 상기 음극실과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에 연통되게 연결된 폐액 순환 유로, 및 상기 폐액 순환 유로 상에 구비된 폐액 순환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The waste liquid circulator may include a waste liquid circula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cathode chamber and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a waste liquid circulation pump provided on the waste liquid circulation passage.

그리고, 상기 금속산화물 분리기에는 상기 폐전해액으로부터 상기 금속산화물입자를 여과시키는 필터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metal oxide separator may be detachably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는,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폐전해액을 저장하도록 상기 동전기 유닛의 출구부에 연결된 폐액 저장 유닛, 상기 폐액 저장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폐액 저장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폐전해액에 의하여 상기 동전기 유닛에 공급될 오염토양 내의 방사성핵종의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토양 전처리 유닛, 상기 토양 전처리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토양 전처리 유닛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액(waste washing solution)을 침전물(precipitate)과 상층액(supernatant)으로 침전 분리하는 침전 분리 유닛, 및 상기 침전 분리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침전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침전물을 처리하는 폐액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ste liquid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electrokinetic unit to store the waste electrolyte discharged to the outlet, the waste liquid storage unit is connected to the waste liquid A soil pretreatment unit for reducing the content of radionuclides in the contaminated soil to be supplied to the electrokinetic unit by the waste electrolyte supplied from the storage unit, a waste washing liquid connected to the soil pretreatment unit and discharged from the soil pretreatment unit The solu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for precipitating and separating the solution into a precipitate and a supernatant, and a waste liquid treatment unit connected to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and processing the precipitate separated from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즉, 상기 토양 전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오염토양을 세척 제염 방식으로 전처리하므로, 상기 동전기 유닛에서의 제염 부하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오염토양의 제염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상기 토양 전처리 유닛의 전처리 공정에 의해서 상기 오염토양에 함유된 방사성핵종의 70%~80%가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동전기 유닛과 상기 전극 유닛의 동전기 제염 처리에 의해서 상기 토양 전처리 유닛에 의해 전처리된 오염토양의 방사성핵종의 95% 이상이 제거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ontaminated soil is pretreated by the washing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oil pretreatment unit, the decontamination load in the electrokinetic un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decontamin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soil can also be improved. In fact, 70% to 80% of the radionuclid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soil may be removed by the pretreatment process of the soil pretreatment unit, and the soil pretreatment unit may be removed by th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treatment of the electrokinetic unit and the electrode unit. By more than 95% of the radionuclide of the contaminated soil can be removed.

또한, 상기 침전 분리 유닛 및 상기 폐액 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폐세척액으로부터 상기 금속산화물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므로, 상기 폐세척액을 상기 전해액으로 원활하게 재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전해액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여 폐액의 발생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tal oxide particles are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waste washing liquid by using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and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the waste washing liquid can be smoothly regenerated into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electrolyte is repeatedly reused to generate waste liquid. Can solve the problem caused by.

상기 폐전해액 및 상기 폐세척액은 상기 동전기 유닛 내의 상기 음극전원 부위에서 발생되는 금속산화물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침전물은 상기 침전 분리 유닛의 하부에 침전되는 상기 금속산화물입자일 수 있다. 상기 상층액은 상기 침전 분리 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금속산화물입자와 분리된 전해액일 수 있다. The waste electrolyte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may contain metal oxide particles generated at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portion of the electrokinetic unit. The precipitate may be the metal oxide particles precipitated at the bottom of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The supernatant may be an electrolyte solution separated from the metal oxide particles on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상기 침전 분리 유닛은, 상기 상층액을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 순환시킬 수 있고, 상기 침전물을 함유한 폐세척액을 상기 폐액 처리 유닛으로 배출할 수 있다.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may circulate the supernatant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discharge the waste washing liquid containing the precipitate to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상기 침전 분리 유닛과 상기 폐액 처리 유닛의 사이에는 상기 침전 분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폐전해액을 농축시키는 농축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A concentration unit for concentrating the wast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and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상기 폐액 처리 유닛에는 상기 폐전해액으로부터 상기 금속산화물입자를 여과시키는 필터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액 처리 유닛은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상기 금속산화물입자가 제거된 전해액을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may be detachably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solution.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may circulate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which the metal oxide particles are removed by the filter member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한편,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은 상기 전해액의 수두차에 의해서 상기 전해액이 상기 수용부에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동전기 유닛의 입구부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전기 유닛에는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전해액의 수위를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해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te supply unit may be disposed above the inlet of the electrokinetic unit so that the electrolyte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receiving portion by the water head difference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kinetic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electrolyte to automatically maintain a constant level of the electrolyte in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는,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전해액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동전기 유닛의 내부에 구비된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입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입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the inlet portion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electrokinetic unit to detect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level detection sensor It may be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provid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또한, 상기 동전기 유닛과 상기 전극 유닛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 또는 상기 pH 조절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동전기 유닛들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전기 유닛과 상기 전극 유닛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의 처리 용량을 간단히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kinetic unit and the electrode uni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t least one of the electrolyte supply unit or the pH adjusting unit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electrokinetic units. Therefor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electrokinetic unit and the electrode unit, it is possible to simply increase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는, 전해액을 이용한 세척 제염 방식 및 전극 유닛을 이용한 동전기 제염 방식이 복합된 구조이므로, 오염토양으로부터 방사성핵종을 효과적으로 제염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의 제염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Since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washing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an electrolyte solution and an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an electrode unit are combined, the radionuclide can be effectively decontaminated from contaminated soil. Therefore, the decontamination efficiency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는, 침전 분리 유닛과 폐액 처리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폐전해액으로부터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므로, 오염토양의 제염시 발생되는 폐액을 전해액으로 재생시켜 제염 과정에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의 제염시 외부로 배출되는 폐액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using at least one of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and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the waste liquid generated during the 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soil is used as an electrolyte. Can be regenerated and reused in the decontamination process. Therefore, the amount of waste liq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decontamination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는, pH 조절 유닛을 이용하여 전극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음극 전원 부위 및 양극 전원 부위의 pH를 설정값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므로, 오염토양의 제염시 금속산화물입자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금속산화물입자의 증가로 인한 발열 현상 및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H of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upply portion and the positive electrode power supply portion provided by the electrode unit is constantly adjusted to a set value using a pH control unit, decontamination of contaminated soi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metal oxide particles generated, and to prevent heat generation and clogging due to the increase of the metal oxide particl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는,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를 이용하여 동전기 유닛 내의 전해액 수위에 따라 전해액의 공급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므로, 동전기 유닛 내의 전해액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동전기 유닛 내의 전해액 부족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control unit automatically adjusts the supply amount of the electrolyte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olyte level in the electrokinetic uni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level of the electrolyte in the electrokinetic un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ck of electrolyte in the electrokinetic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동전기 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mposit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voltaic unit shown in FIG.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shown in FIG. 2.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mposit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voltaic unit 120 shown in FIG. 2. And,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은 전해액 공급 유닛(110), 동전기 유닛(120), 전극 유닛(130), pH 조절 유닛(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1 to 4,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e supply unit 110, an electrokinetic unit 120, an electrode unit 130, and a pH adjusting unit ( 140, and a controller 150.

전해액 공급 유닛(110)은 동전기 유닛(120)에 전해액(E)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전해액(E)은 전류의 흐름을 매개하는 물질이되, 방사성핵종에 오염된 토양(S)을 세척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전해액(E)이 0.1M의 농도를 갖는 질산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전해액(E)이 사용될 수 있다.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is a device for supplying the electrolyte solution E to the electrokinetic unit 120. Electrolyte (E) is a material that mediates the flow of current, it may also play a role of washing the soil (S) contaminated with radionuclides.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lyte E is described as being nitric acid having a concentration of 0.1 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inds of electrolytes E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This can be us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동전기 유닛(120)은 전해액(E)에 의한 오염토양(S)의 세척 제염 및 전극 유닛(130)에 의한 오염토양(S)의 동전기 제염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치이다. 1 to 4, the electrokinetic unit 120 simultaneously performs washing and decontamination of the contaminated soil S by the electrolyte E and electroconductive decontamination of the contaminated soil S by the electrode unit 130. Device.

동전기 유닛(120)의 일측에는 전해액(E)이 유입되는 입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동전기 유닛(120)의 타측에는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에서 제염에 이용된 폐전해액(WE)이 배출되는 출구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구부(121)는 전해액 공급 유닛(110)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액 공급 유닛(110) 내의 전해액(E)은 입구부(121)를 통해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동전기 유닛(120) 내의 폐전해액(WE)은 출구부(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n inlet 121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E is introduced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voltaic unit 120, and the waste used for decontamination inside the voltaic unit 120 may be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voltaic unit 120. An outlet 122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WE is discharged may be formed. The inlet 121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electrolyte E in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voltaic unit 120 through the inlet 121, and the waste electrolyte WE in the voltaic unit 120 is the outlet. Through the 12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에는 오염토양(S)이 수용되는 수용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오염토양(S)은 매쉬 타입의 포장부재(128)에 포장된 상태로 수용부(12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포장부재(128)는 토양의 투과는 불가능하고 전해액의 투과는 가능한 매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부재(128)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n accommodating part 123 in which the contaminated soil S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e contaminated soil S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3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minated soil S is packaged in the mesh type pavement member 128. The packing member 128 may not be permeable to the soil, but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in which permeation of the electrolyte is possible. For example, the packaging member 128 may be formed of a nonwoven material.

상기와 같은 수용부(123)는, 오염토양(S)이 수용되는 수용실(124), 수용실(124)과 입구부(121) 사이에 형성된 양극실(125), 및 수용실(124)과 출구부(122) 사이에 형성된 음극실(126)로 구획될 수 있다. 수용부(123)의 내부에는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 공간을 수용실(124)과 양극실(125) 및 음극실(126)로 구획하는 격벽(127)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127)은 전해액(E)이 통과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123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accommodating chamber 124 in which the contaminated soil S is accommodated, an anode chamber 125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ng chamber 124 and the inlet part 121, and the accommodating chamber 124. And a cathode chamber 126 formed between the outlet 122 and the outlet 122. In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part 123, a partition wall 127 may be provided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into the accommodating chamber 124,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The partition wall 127 may have a structure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E passes.

한편, 전해액 공급 유닛(110)은 동전기 유닛(120)의 입구부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액 공급 유닛(110) 내의 전해액(E)은 전해액(E)의 수두차에 의해서 동전기 유닛(120)의 수용부(123)로 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전해액 공급 유닛(110)에서 동전기 유닛(120)으로 전해액(E)을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같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may be disposed above the inlet portion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erefore, the electrolyte E in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may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3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by the water head of the electrolyte E, and in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A configuration such as a pump forcibly supplying the electrolyte solution E to the electrokinetic unit 120 may be omitted.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에는 전해액 공급 유닛(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전해액(E)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129)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129)는 수용부(123) 내의 전해액(E) 수위에 따라 전해액(E)의 공급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전해액(E)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electrolytic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29 for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E flowing from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That is,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29 may automatically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solution E in the accommodating part 123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solution E constant.

상기와 같은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129)는 수위 감지 센서(129a) 및 개폐 밸브(129b)를 구비할 수 있다. 수위 감지 센서(129a)는 수용부(123) 내의 전해액(E) 수위를 감지하도록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 밸브(129b)는 수위 감지 센서(129a)의 감지값에 따라 입구부(12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입구부(121)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29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129a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129b. The level sensor 129a may be provided inside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o detect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solution E in the accommodation part 123. The opening / closing valve 129b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inlet 121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121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129a.

예를 들면, 수위 감지 센서(129a)는 전해액(E)의 수면에 위치하는 플로팅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폐 밸브(129b)는 플로팅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제어부(150)에 의해 전자적으로 조절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129)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서와 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vel sensor 129a may be configured as a floating sensor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E,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129b is electronically adjusted by the controller 150 according to the detected value of the floating sensor. It can be configured as a solenoid valve.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29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types of sensors and valves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유닛(130)은 동전기 유닛(120)의 수용부(123)에 수용된 오염토양(S)의 서로 다른 부위에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을 제공하여 오염토양(S)의 동전기 제염을 실시하는 장치이다. 전극 유닛(130)은 동전기 유닛(120)에 구비될 수 있다.1 to 3, the electrode unit 130 provides a positive and negative power to different portions of the contaminated soil 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23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o contaminate soil ( It is the apparatus which performs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of S). The electrode unit 130 may be provided in the electrokinetic unit 120.

예를 들면, 전극 유닛(130)은, 양극실(125)에 구비된 양전극부(132), 음극실(126)에 구비된 음전극부(134), 및 양전극부(132)와 음전극부(134)에 양극전원과 음극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양전극부(132)와 음전극부(134)는 양극실(125)과 음극실(126) 내의 전해액(E)에 잠겨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전원공급부(136)는 동전기 유닛(1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de unit 130 includes the positive electrode portion 132 provided in the anode chamber 125,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134 provided in the cathode chamber 126, and the positive electrode portion 132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134. It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36 for supplying a positive power and a negative power respectively. The positive electrode unit 132 and the negative electrode unit 134 may be disposed to be immers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E in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and the power supply unit 136 is external to the electrokinetic unit 120. Can be placed in.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부(136)의 전원을 양전극부(132)와 음전극부(134)에 전달하는 전원 공급 단자(138)가 동전기 유닛(120)에 관통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전원공급부(136)의 양극 전원은 양극 전원 공급 단자(138)를 통해서 양전극부(132)에 공급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36)의 음극 전원은 음극 전원 공급 단자(138)를 통해서 음전극부(134)에 공급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138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36 to the positive electrode unit 132 and the negative electrode unit 134 is formed to penetrate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at is, the positiv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36 may be su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unit 132 through the positive power supply terminal 138, and the negativ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36 may be the negative electrode through the negative power supply terminal 138. May be supplied to the unit 13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situations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pH 조절 유닛(140)은 동전기 유닛(120)의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의 pH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pH 조절 유닛(140)은 동전기 유닛(120)에 구비되되,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에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H 조절 유닛(140)은 특정 pH의 pH 조절 용액을 양극실(125)과 음극실(126)에 공급하여 양극실(125)과 음극실(126)의 전해액(E)의 pH를 설정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1 to 4, the pH adjusting unit 140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pH of a portion where the positive power supply and the negative power supply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are provided. The pH adjusting unit 140 may be provided in the electrokinetic unit 120, and may have a structure for supplying a pH adjusting solution to a portion where a positive power and a negative power are provided. In detail, the pH adjusting unit 140 supplies a pH adjusting solution having a specific pH to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so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E of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may be discharged. The pH can be adjusted to the set value.

예를 들면, pH 조절 유닛(140)은, 양극실(125)에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양극실(125)의 pH를 제1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양극 pH 조절부(140a), 및 음극실(126)에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음극실(126)의 pH를 제2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음극 pH 조절부(140b)를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H adjusting unit 140 supplies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the anode chamber 125 to adjust the pH of the anode chamber 125 to a first set value, and the cathode pH adjusting unit 140a and the cathode chamber. The nega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140b may be provided to supply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126 to adjust the pH of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126 to a second set value.

양극 pH 조절부(140a)는, 양극실(125)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실 pH 센서(142), 및 양극실 pH 센서(142)의 감지값에 따라 양극실(125)의 내부에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양극실 용액 공급기(144)를 구비할 수 있다. 음극 pH 조절부(140b)는, 음극실(126)의 내부에 구비된 음극실 pH 센서(146), 및 음극실 pH 센서(146)의 감지값에 따라 음극실(126)의 내부에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음극실 용액 공급기(148)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양극실(125)과 음극실(126)의 pH는 양극 pH 조절부(140a)와 음극 pH 조절부(140b)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140a adjusts the pH of the positive electrode chamber 125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positive electrode chamber pH sensor 142 and the positive electrode chamber pH sensor 142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anode chamber 125. A cathode chamber solution supply 144 for supplying a solution may be provided. The nega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140b adjusts the pH of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126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pH sensor 146 and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pH sensor 146 provided inside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126. Cathode chamber solution supply 148 for supplying a solu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 pH of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may b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the anode pH adjusting unit 140a and the cathode pH adjusting unit 140b.

여기서, 제1 설정값은 0.5~1.5 pH일 수 있고, 제2 설정값은 0.5~1.5 pH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설정값과 제2 설정값이 설정되면, 음극실(126)에서 생성되는 금속산화물입자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설정값과 제2 설정값은 오염토양의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set value may be 0.5 to 1.5 pH, and the second set value may be 0.5 to 1.5 pH. Whe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are set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metal oxide particles generated in the cathode chamber 126 may be reduced. However, the first setpoint and the second setpoi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ntaminated soil.

또한, pH 조절 용액은 산성의 질산 용액일 수 있다. pH 조절 용액이 전해액(E)과 동일한 질산 용액으로 형성되면, pH 조절 용액과 전해액(E)이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에서 혼합되더라도 불필요한 화학 반응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로 투입된 pH 조절 용액이 전해액(E)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질산 용액만 취급되기 때문에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설계 조건이 간단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H adjusting solution may be an acidic nitric acid solution. If the pH adjusting solution is formed of the same nitric acid solution as the electrolyte (E), even if the pH adjusting solution and the electrolyte (E) are mixed inside the electrokinetic unit 120, unnecessary chemical reaction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pH control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electrokinetic unit 120 may be used as the electrolyte (E), and because only the nitric acid solution is handled,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may be simplified.

또는 상기와 다르게, pH 조절 유닛(140)은, 양극실(125)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실 pH 센서, 음극실(126)의 내부에 구비된 음극실 pH 센서, 및 양극실 pH 센서와 음극실 pH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양극실 또는 음극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공급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단수개의 용액 공급기를 이용하여 양극실(125)과 음극실(126)의 pH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unlike the above, the pH control unit 140, the an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 the anode chamber 125, the cath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 the cathode chamber 126, and the anode chamber pH sensor and the cathode It may be provided with a solution supply for supplying a pH adjusting solution to at least one of the anode chamber or the cathode chamb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actual pH sensor.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adjust the pH of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using a single solution feeder.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H 조절 유닛(140)이 양극 pH 조절부(140a)와 음극 pH 조절부(140b)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H adjusting unit 140 is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the positive pH adjusting unit 140a and the negative pH adjusting unit 140b,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and the situation of 100).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특히, 제어부(150)는 pH 조절 유닛(140)과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129)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2 to 4, the controller 15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H adjusting unit 140 and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29.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양극실 pH 센서(142)와 음극실 pH 센서(146)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값에 따라 양극 pH 조절부(140a)와 음극 pH 조절부(140b)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수위 감지 센서(129a)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값에 따라 개폐 밸브(129b)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node pH adjusting unit 140a and the cathode pH adjusting unit 140b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s transmitted from the anode chamber pH sensor 142 and the cathode chamber pH sensor 146.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129b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transmitted from the level sensor 129a.

한편, 동전기 유닛(120)과 전극 유닛(130)는 오염토양(S)의 처리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설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동전기 유닛(120)과 전극 유닛(130)을 높은 용량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동전기 유닛(120)과 전극 유닛(130)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은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동전기 유닛(120)과 전극 유닛(130)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처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kinetic unit 120 and the electrode unit 130 may increas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as the throughput of the contaminated soil S increases. That is, although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voltaic unit 120 and the electrode unit 130 at a high capacity,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capacities of the voltaic unit 120 and the electrode unit 130. Therefore, the treatment capacity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and the electrode unit 130.

상기와 같이 동전기 유닛(120)과 전극 유닛(130)이 복수개로 증가될 경우, 전해액 공급 유닛(110) 또는 pH 조절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는 동전기 유닛(12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액 공급 유닛(110) 또는 pH 조절 유닛(140)은 동전기 유닛(120)과 전극 유닛(130)의 개수 증가에 비례하여 설치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성이 없다. 즉,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처리 용량을 간단히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kinetic unit 120 and the electrode unit 130 are increased in plural numbers, at least one of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or the pH adjusting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kinetic unit 120 in parallel. have. Therefore,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or the pH adjusting unit 140 does not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and the electrode unit 130. That is,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can be simply increas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는 폐액 처리 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폐액 처리 유닛(160)은 출구부(122)로 배출되는 폐전해액(WE)을 처리하여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폐액 처리 유닛(160)은 동전기 유닛(120)의 출구부(122)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폐액 처리 유닛(160)이 동전기 유닛(120)에서 배출되는 폐전해액(WE)을 처리하므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폐액의 배출량이 감소될 수 있다. 1 to 3,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160.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160 is a device for treating metal electrolyte particles WE discharged to the outlet 122 to remove metal oxide particles.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160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122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erefore, since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160 processes the waste electrolyte WE discharged from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e amount of waste liq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may be reduced.

예를 들면, 폐액 처리 유닛(160)은 폐액 순환기(162) 및 금속산화물 분리기(164)를 구비할 수 있다. 폐액 순환기(162)는 출구부(122)로 배출된 폐전해액(WE)을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 순환시키는 장치로써, 출구부(122)와 전해액 공급 유닛(1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금속산화물 분리기(164)는 폐액 순환기(162)에 의해 순환되는 폐전해액(WE)으로부터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는 장치로써, 폐액 순환기(162) 상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가압 여과 방식으로 금속산화물입자를 여과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160 may include a waste liquid circulator 162 and a metal oxide separator 164. The waste liquid circulator 162 is a device for circulating the waste electrolyte WE discharged to the outlet 122 in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let 122 and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The metal oxide separator 164 is a device for removing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WE) circulated by the waste liquid circulator 162. The metal oxide separator 164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te liquid circulator 162. It may be formed into a structure for filtering the particles.

따라서, 금속산화물 분리기(164)는 폐액 순환기(162)를 따라 순환하는 폐전해액(WE)으로부터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여 폐전해액(WE)을 전해액(E)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폐액 순환기(162)는 폐전해액(WE)으로부터 재생된 전해액(E)을 전해액 공급 유닛(110)에 순환 공급하여 전해액(E)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즉,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에서는 동전기 유닛(120)에서 배출되는 폐전해액이 모두 재사용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외부로 폐액이 배출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metal oxide separator 164 may remove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WE circulated along the waste liquid circulator 162 to regenerate the waste electrolyte WE as the electrolyte E. In addition, the waste liquid circulator 162 may circulate and supply the electrolyte solution E regenerated from the waste electrolyte solution WE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to reuse the electrolyte solution E repeatedly. That is, in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since all of the wast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electrokinetic unit 120 can be reused, the waste liquid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예를 들면, 폐액 순환기(162)는, 음극실(126)과 전해액 공급 유닛(110)에 연통되게 연결된 폐액 순환 유로(162a), 및 폐액 순환 유로(162a) 상에 구비된 폐액 순환 펌프(162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금속산화물 분리기(164)는 폐전해액(WE)으로부터 금속산화물입자를 여과시키는 필터 부재(166)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 부재(166)는 금속산화물 분리기(164)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부재(166)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된 후 교체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 분리기(164)에서 분리된 필터 부재(166)는 방사성폐기물과 함께 처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ste liquid circulator 162 includes a waste liquid circulation passage 162a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athode chamber 126 and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and a waste liquid circulation pump 162b provided on the waste liquid circulation passage 162a. )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metal oxide separator 164 may include a filter member 166 that filters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WE. Such a filter member 166 may b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metal oxide separator 164. Accordingly, the filter member 166 may be replaced after being used for a certain time, and the filter member 166 separated from the metal oxide separator 164 may be treated with radioactive was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mposit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방사성핵종에 의해 오염된 토양(S)을 동전기 유닛(120)의 수용부(123)에 수용하고, 오염토양(S)의 제염에 사용되는 전해액(E)을 전해액 공급 유닛(110)에 채운다. 이때, 오염토양(S)은 포장부재(128)에 담긴 상태로 수용부(123)의 수용실(124)에 배치된다.First, the soil (S) contaminated by radionuclides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3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E used for decontamination of the contaminated soil S is supplied to the electrolyte solution unit 110. Fill in. At this time, the contaminated soil S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124 of the accommodating part 123 in a state contained in the packaging member 128.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를 작동시키면, 전해액(E)은 전해액 공급 유닛(110)과 동전기 유닛(120) 사이의 수두차에 의해서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에 자동적으로 공급된다. 즉, 전해액 공급 유닛(110)의 전해액(E)은 입구부(121)를 통해 동전기 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동전기 유닛(120)의 수용부(123)를 따라 출구부(122)로 유동된다. 이 과정에서, 오염토양(S)에 함유된 방사성핵종은 동전기 유닛(120) 내의 전해액(E)에 의해서 세척될 수 있다. When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is operated, the electrolyte solution E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by the water head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and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at is, the electrolyte E of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voltaic unit 120 through the inlet 121 and then exits along the receiving portion 123 of the voltaic unit 120. 122). In this process, radionuclide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soil S may be washed by the electrolyte solution E in the electrokinetic unit 120.

한편, 동전기 유닛(120) 내의 전해액(E) 수위는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129)에 의해 설정 수위로 자동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129)는 수위 감지 센서(129a)의 수위 감지값을 이용하여 개폐 밸브(129b)의 개폐 동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전기 유닛(120) 내의 전해액(E) 수위를 별도로 체크하지 않더라도 전해액(E)의 수위가 최적 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해액(E)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이 해소될 수 있다.Meanwhile,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solution E in the electrokinetic unit 120 may be automatically maintained at the set level by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29. That is,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129 may appropriately adjust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on / off valve 129b by using the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level sensor 129a. Therefore, even if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E) in the electrokinetic unit 120 is not checked separately,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E) can maintain the optimum level, and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the electrolyte (E) can be solved.

그런 다음에, 전극 유닛(130)의 전원공급부(136)가 전원 공급 단자(138)를 통해 양전극부(132)와 음전극부(134)에 양극전원과 음극전원을 각각 공급한다. 따라서, 오염토양(S) 내의 방사성핵종은 양전극부(132)와 음전극부(134) 간의 전위차에 의해서 동전기 제염될 수 있다. 이때, 음극실(126)에서는 Fe, Mg, Al 등이 금속산화물입자 형태로 배출될 수 있다. Then, the power supply unit 136 of the electrode unit 130 supplies the positive electrode power sourc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to the positive electrode unit 132 and the negative electrode unit 134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138, respectively. Therefore, radionuclides in the contaminated soil S may be electrokinetic decontaminated by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ortion 132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134. In this case, the cathode chamber 126 may be discharged in the form of metal oxide particles, such as Fe, Mg, Al.

상기와 같은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는, 전해액 공급 유닛(110)이 공급하는 전해액(E)에 의해서 오염토양(S)의 방사성핵종이 세척 제염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전극 유닛(130)이 제공하는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에 의해서 오염토양(S)의 방사성핵종이 동전기 제염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토양(S)의 제염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오염 토양(S)의 제염 기간도 단축될 수 있다.In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the radionuclides of the contaminated soil S may be removed by a decontamination method by the electrolyte E supplied by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ode Radionuclides of the contaminated soil S may be removed by an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method by the positive and negative power supplies provided by the unit 130. Therefore, the decontamin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soil S can be improved, and the decontamination period of the contaminated soil S can also be shortened.

뿐만 아니라,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의 세척 제염과 동전기 제염으로 인하여 오염토양(S)으로부터 세슘, 우라늄, 코발트가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cesium, uranium, and cobalt may be removed from the contaminated soil S due to the cleaning decontamination and th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한편, 음극실(126)에서 발생되는 금속산화물입자는 방사성핵종의 제염시 전해액의 유동을 방해하거나 또는 동전기 유닛(120) 내의 발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는 금속산화물입자가 크고 많이 생성될수록 증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pH 조절 유닛(140)이 양극실(125)과 음극실(126)의 pH를 적절히 조절하여 금속산화물입자의 크기 및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al oxide particles generated in the cathode chamber 126 may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electrolyte during decontamination of radionuclides or cause heat generation in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is increases as the number of metal oxide particles is large and larg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 adjusting unit 140 may appropriately adjust the pH of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to reduce the size and amount of metal oxide particles.

즉, 양극 pH 조절부(140a)는 양극실 pH 센서(142)에 감지되는 양극실(125)의 pH에 따라 양극실 용액 공급기(144)에 의해 공급되는 pH 조절 용액의 양을 조절하고, 음극 pH 조절부(140b)는 음극실 pH 센서(146)에 감지되는 음극실(126)의 pH에 따라 음극실 용액 공급기(148)에 의해 공급되는 pH 조절 용액의 양을 조절한다. 따라서, 질산 용액으로 형성된 pH 조절 용액에 의해서 양극실(125)과 음극실(126)의 pH가 조절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140a adjusts the amount of the pH adjusting solution supplied by the positive electrode chamber solution supplier 144 according to the pH of the positive electrode chamber 125 sensed by the positive electrode chamber pH sensor 142,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pH adjusting unit 140b adjusts the amount of the pH adjusting solution supplied by the cathode chamber solution supplier 148 according to the pH of the cathode chamber 126 sensed by the cathode chamber pH sensor 146. Therefore, the pH of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may be adjusted by the pH adjusting solution formed of the nitric acid solution.

구체적으로, 양극실(125)과 음극실(126)의 pH는 0.5~1.5 pH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양극실(125)과 음극실(126)의 pH가 조절되면, 음극실(126)에서 생성되는 금속산화물입자의 발생량과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H of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may be adjusted to 0.5 ~ 1.5 pH. When the pH of the anode chamber 125 and the cathode chamber 126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and size of the metal oxide particles generated in the cathode chamber 126 may be reduced.

한편, 음극실(126)에 발생된 금속산화물입자는 폐전해액(WE)과 함께 출구부(122)를 통해 동전기 유닛(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동전기 유닛(120)의 외부로 배출된 폐전해액(WE)은 폐액 처리 유닛(160)에 의해 처리된 후 재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tal oxide particles generated in the cathode chamber 12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rough the outlet portion 122 together with the waste electrolyte (WE). In this way, the waste electrolyte W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may be reused after being processed by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160.

즉, 폐액 처리 유닛(160)의 금속산화물 분리기(164)는 폐전해액(WE)으로부터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여 폐전해액(WE)을 전해액(E)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폐액 처리 유닛(160)의 폐액 순환기(162)는 재생된 전해액(E)을 전해액 공급 유닛(110)으로 안내하여 전해액(E)의 순환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폐전해액(WE)은 폐액 순환기(162)에 의해 전해액 공급 유닛(110)으로 순환되되, 순환 과정에서 금속산화물 분리기(164)에 의해 금속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다. That is, the metal oxide separator 164 of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160 may remove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solution WE to regenerate the waste electrolyte solution WE into the electrolyte solution E. In addition, the waste solution circulator 162 of the waste solution processing unit 160 may guide the regenerated electrolyte solution E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to implement circul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E. FIG. As described above, the waste electrolyte WE is circulated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by the waste liquid circulator 162, and the metal oxide may be removed by the metal oxide separator 164 during the circulation process.

폐액 처리 유닛(160)에 의해 재생된 전해액(E)은, 전해액 공급 유닛(11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으며, 전해액 공급 유닛(110)에 의해서 동전기 유닛(120)에 다시 공급될 수 있다.
The electrolyte E regenerated by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160 may be recovered in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and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kinetic unit 120 by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again.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2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2.

도 5 및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5 and 6,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4 denote the same members. Hereinafter, descriptions will be made mainly on points different from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200)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동전기 유닛(120)에 공급되는 오염토양을 전처리하는 구성 및 동전기 유닛(120)에서 배출된 폐전해액(WE)을 처리하여 재사용하는 구성에 있다.5 and 6,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mposit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ures 1 to 4, the electrokinetic unit Pre-contaminated soil supplied to 120 and the waste electrolyte (WE) discharged from the electrokinetic unit 120 is processed and reu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200)는 전해액 공급 유닛(110), 동전기 유닛(120), 전극 유닛(130), pH 조절 유닛(140), 제어부(150), 폐액 저장 유닛(210), 토양 전처리 유닛(220), 침전 분리 유닛(230), 폐액 처리 유닛(240)을 포함한다.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electrokinetic unit 120, electrode unit 130, pH control unit 140, control unit 150, waste liquid Storage unit 210, soil pretreatment unit 220,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230, and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여기서, 전해액 공급 유닛(110), 동전기 유닛(120), 전극 유닛(130), pH 조절 유닛(140), 및 제어부(1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전해액 공급 유닛(110), 동전기 유닛(120), 전극 유닛(130), pH 조절 유닛(140), 및 제어부(150)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전해액 공급 유닛(110), 동전기 유닛(120), 전극 유닛(130), pH 조절 유닛(140), 및 제어부(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참조번호도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하게 표시하기로 한다.Here,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e electrode unit 130, the pH adjusting unit 140, and the controller 150 are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shown in FIGS. 1 to 4. , Similar to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e electrode unit 130, the pH adjusting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50.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e electrode unit 130, the pH adjusting unit 140, and the controller 150 will be omitted. Same as in 1 to 4 will be shown.

폐액 저장 유닛(210)은 출구부(122)로 배출되는 폐전해액(WE)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이다. 폐액 저장 유닛(210)은 동전기 유닛(120)의 출구부(122)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The waste liquid storage unit 210 is a devic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aste electrolyte WE discharged to the outlet 122. The waste liquid storage unit 210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122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토양 전처리 유닛(220)은 동전기 유닛(120)에 공급될 오염토양(S)을 미리 처리하여 오염토양(S) 내의 방사성핵종의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양 전처리 유닛(220)이 폐액 저장 유닛(210) 내의 폐전해액(WE)을 이용하여 오염토양(S)을 세척 제염 방식으로 세척한다. 따라서, 토양 전처리 유닛(220)은 폐액 저장 유닛(21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양 전처리 유닛(220)은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오염토양(S)을 전처리할 수 있다.Soil pretreatment unit 220 is a device for reducing the content of radionuclide in the contaminated soil (S) in advance by processing the contaminated soil (S) to be supplied to the electrokinetic unit (120). In this embodiment, the soil pretreatment unit 220 washes the contaminated soil S using the waste electrolyte solution WE in the waste liquid storage unit 210 in a washing decontamination method. Thus, the soil pretreatment unit 220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te liquid storage unit 2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oil pretreatment unit 220 may pretreat the contaminated soil 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상기와 같이 토양 전처리 유닛(220)을 사용하면, 동전기 유닛(120)에서 배출된 폐전해액(WE)을 오염토양(S)의 세척에 한번 더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해액(E)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토양 전처리 유닛(220)에 의해 오염토양(S)이 전처리되므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200)의 제염 성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전기 유닛(120)의 제염 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토양 전처리 유닛(220)은 오염토양(S)의 세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반, 회전, 또는 진동될 수도 있다. When the soil pretreatment unit 220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waste electrolyte (WE) discharged from the electrokinetic unit 120 can be used once more for washing the contaminated soil (S), thereby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electrolyte (E).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contaminated soil S is pretreated by the soil pretreatment unit 220, the decontamination performance of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200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decontamination load of the electrokinetic unit 120 is reduced. You can. In addition, the soil pretreatment unit 220 may be stirred, rotated, or vibrated to improve the cleaning performance of the contaminated soil (S).

실제로, 오염토양(S) 내의 방사성핵종은 토양 전처리 유닛(220)의 토양 전처리 공정에서 75%~80%가 제거될 수 있으며, 전처리된 오염토양(S) 내의 방사성핵종은 동전기 유닛(120)과 전극 유닛(130)의 제염 공정에서 95% 이상이 제거될 수 있다.In practice, the radionuclide in the contaminated soil (S) may be removed from the soil pretreatment process of the soil pretreatment unit 220, 75% to 80%, the radionuclide in the pretreated contaminated soil (S) is electrokinetic unit 120 In the decontamination process of the electrode unit 130 and more than 95% may be removed.

침전 분리 유닛(230)은 침전 방식을 이용하여 토양 전처리 유닛(220)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액(WW)을 침전물(232)과 상층액(234)으로 분리하는 장치이다. 침전 분리 유닛(230)은 토양 전처리 유닛(220)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230 is a device for separating the waste washing liquid (WW) discharged from the soil pretreatment unit 220 into the sediment 232 and the supernatant 234 by using the precipitation method.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230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oil pretreatment unit 220.

여기서, 침전물(232)은 금속산화물입자 또는 토양입자 등과 같은 입자성 물질이고, 상층액(234)은 입자성 물질과 분리된 전해액(E)이다. 이와 같은 상층액(234)은 전해액 공급 유닛(110)으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침전 분리 유닛(230)은 전해액 공급 유닛(11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침전 분리 유닛(230)은 상측액(234)을 전해액 공급 유닛(110)에 직접 전달하지 않고 별도의 저장 용기에 모아서 상층액(234)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precipitate 232 is a particulate matter such as metal oxide particles or soil particles, and the supernatant 234 is an electrolyte E separated from the particulate matter. Such a supernatant 234 may be supplied back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Thus,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230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However,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230 may transfer the supernatant 234 by collecting the supernatant 234 into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without directly transferring the supernatant 234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폐액 처리 유닛(240)은 침전 분리 유닛(230)에서 전달된 침전물(232)이 함유된 폐세척액(WW)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즉, 폐액 처리 유닛(240)은 침전 분리 유닛(230)으로부터 전달되는 다량의 침전물(232)이 포함된 폐세척액(WW)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폐액 처리 유닛(240)은 침전 분리 유닛(230)으로부터 폐세척액(WW)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침전 분리 유닛(23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is a device for treating the waste washing liquid (WW) containing the precipitate 232 delivered from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230). That is,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may process the waste washing liquid (WW)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precipitate 232 delivered from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230. Therefore,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230 to receive the waste washing liquid (WW) from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230.

또한, 폐액 처리 유닛(240)은 금속화합물입자와 같은 입자성 물질을 여과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폐액 처리 유닛(240)의 내부에는 폐세척액(WW)으로부터 침전물(232)를 여과시켜 키는 필터 부재(2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 부재(242)는 도 1에 도시된 폐액 처리 유닛(160)의 필터 부재(166)과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for filtering particulate matter such as metal compound particles. That is, the inside of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242 for filtering the precipitate 232 from the waste washing liquid (WW). Such a filter member 242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filter member 166 of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160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폐액 처리 유닛(240)은, 침전 분리 유닛(230)으로부터 전달받은 폐세척액(WW)을 전해액(E)과 침전물(232)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다시 재생된 전해액(E)은 전해액 공급 유닛(11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폐액 처리 유닛(240)은 전해액 공급 유닛(11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may separate the waste washing liquid (WW) received from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230 into the electrolyte solution E and the precipitate 232, and the regenerated electrolyte solution E is again an electrolyte solution. It may be recovered into the supply unit 110. Therefore,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lyte supply unit 110.

한편, 침전 분리 유닛(230)과 폐액 처리 유닛(240)의 사이에는 침전 분리 유닛(23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세척액(WW)을 농축시키는 농축 유닛(25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폐액 처리 유닛(240)에서 처리할 폐세척액(WW)의 양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230 and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may be provided with a concentration unit 250 for concentrating the waste washing liquid (WW) discharged from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23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the waste washing liquid (WW) to be processed in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240.

또한, 폐액 처리 유닛(240)의 필터 부재(242)는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된 후 교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 부재(242)는 건조 유닛(260)에 의해 건조된 후 방사성폐기물과 함께 처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242 of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may be formed to be mounted or detachable, and may be replaced after being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Such a filter member 242 may be dried by the drying unit 260 and then treated with radioactive wast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200)는, 동전기 유닛(120)에서 배출되는 폐전해액(WE)을 이용하여 오염토양(S)을 전처리할 수 있으며, 오염토양(S)의 전처리에 사용된 폐세척액(WW)을 침전 분리 유닛(230)과 폐액 처리 유닛(240)에서 2중으로 처리하여 전해액(E)으로 원활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treat the contaminated soil S by using the waste electrolyte WE discharged from the electrokinetic unit 120. The waste washing liquid (WW) used for the pretreatment of the contaminated soil (S) can be smoothly regenerated by the electrolyte (E) by treating twice in the sediment separation unit 230 and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24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200: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110: 전해액 공급 유닛
120: 동전기 유닛
129: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
130: 전극 유닛
140: pH 조절 유닛
150: 제어부
160, 240: 폐액 처리 유닛
210: 폐액 저장 유닛
220: 토양 전처리 유닛
230: 침전 분리 유닛
250: 농축 유닛
260: 건조 유닛
E: 전해액
WE: 폐전해액
WW: 폐세척액
S: 오염토양
100, 200: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110: electrolyte supply unit
120: Galvanic unit
129: electrolyte supply amount control unit
130: electrode unit
140: pH adjusting unit
150:
160, 240: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210: waste liquid storage unit
220: soil pretreatment unit
230: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250: concentration unit
260: drying unit
E: electrolyte
WE: Waste electrolyte
WW: Waste Wash
S: contaminated soil

Claims (19)

오염토양으로부터 방사성핵종을 제거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에 있어서,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 유닛;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해액을 공급 받도록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과 연결된 입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염토양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염토양을 통과한 폐전해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구부가 타측에 형성된 동전기 유닛;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오염토양의 서로 다른 부위에 양극 전원과 음극 전원을 제공하도록 상기 동전기 유닛에 구비된 전극 유닛; 및
상기 동전기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 전원과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양극 전원과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에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pH 조절 유닛;
을 포함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In the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which removes radionuclides from contaminated soil,
An electrolyte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solution;
An inlet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to receive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the electrolyte supply unit is formed at one side, and an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contaminated soil is formed therein, and an outlet is discharged to discharge the waste electrolyte passing through the contaminated soil to the outside. Galvanic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An electrode unit provided in the electrokinetic unit to provide a positive power and a negative power to different portions of the soil contamin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pH adjusting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electrokinetic unit and supplies a pH adjusting solution to a portion where the anode power and the cathode power are provided to adjust the pH of the portion where the cathode power and the cathode power are provided;
Compoun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 유닛은,
상기 양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양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의 pH를 제1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양극 pH 조절부; 및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음극 전원이 제공되는 부위의 pH를 제2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음극 pH 조절부;
를 구비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H control unit,
A posi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for supplying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a portion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power is provided to adjust the pH of the portion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power is provided to a first set value; And
A nega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for supplying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a port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is provided to adjust the pH of the port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is provided to a second set value;
Compoun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값과 상기 제2 설정값은 0.5~1.5 p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is a composit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0.5 ~ 1.5 p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 용액은 질산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H control solution is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nitric acid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기 유닛의 수용부는, 상기 오염토양이 수용되는 수용실; 상기 수용실과 상기 입구부 사이에 형성된 양극실; 및 상기 수용실과 상기 출구부 사이에 형성된 음극실;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유닛은, 상기 양극실에 구비된 양전극부; 상기 음극실에 구비된 음전극부; 및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에 양극전원과 음극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electrokinetic unit includes: an accommodation chamber in which the contaminated soil is accommodated; An anode chamber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on chamber and the inlet portion; And a cathode chamber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on chamber and the outlet portion.
The electrode unit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unit provided in the anode chamber; A negative electrode unit provided in the cathode chambe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ositive power source and a negative power source to the positive electrode unit and the negative electrode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 유닛은,
상기 양극실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양극실의 pH를 제1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양극 pH 조절부; 및
상기 음극실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음극실의 pH를 제2 설정값으로 조절하는 음극 pH 조절부;
를 구비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H control unit,
An anode pH adjusting unit supplying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the anode chamber to adjust the pH of the anode chamber to a first set value; And
A negative electrode pH adjusting unit which supplies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to adjust the pH of the negative electrode chamber to a second set value;
Compoun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pH 조절부는, 상기 양극실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실 pH 센서; 및 상기 양극실 pH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양극실의 내부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양극실 용액 공급기;를 구비하고,
상기 음극 pH 조절부는, 상기 음극실의 내부에 구비된 음극실 pH 센서; 및 상기 음극실 pH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음극실의 내부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음극실 용액 공급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node pH control unit, an an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side the anode chamber; And an anode chamber solution supplyer supplying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the inside of the anode chamb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anode chamber pH sensor.
The cathode pH control unit, the cath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side the cathode chamber; And a cathode chamber solution supplyer for supplying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the inside of the cathode chamb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cathode chamber pH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 유닛은,
상기 양극실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실 pH 센서;
상기 음극실의 내부에 구비된 음극실 pH 센서; 및
상기 양극실 pH 센서와 상기 음극실 pH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양극실 또는 상기 음극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pH 조절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 공급기;
를 구비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H control unit,
An an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 the anode chamber;
A cathode chamber pH sensor provided inside the cathode chamber; And
A solution supplier for supplying the pH adjusting solution to at least one of the anode chamber and the cathode chamb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s of the anode chamber pH sensor and the cathode chamber pH sensor;
Compoun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기 유닛의 출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폐전해액을 처리하여 상기 동전기 유닛 내의 상기 음극전원 부위에서 발생되는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는 폐액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waste liquid treatment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voltaic unit and treating the waste electrolyte discharged to the outlet to remove metal oxide particles generated at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in the voltaic unit.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액 처리 유닛은,
상기 동전기 유닛의 상기 출구부와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 순환시키는 폐액 순환기; 및
상기 폐액 순환기에 의해 순환되는 상기 폐전해액으로부터 상기 금속산화물입자를 제거하도록 상기 폐액 순환기 상에 연통되게 연결된 금속산화물 분리기;
를 구비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A waste liquid circulator formed between the outlet portion of the electrokinetic unit and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circulating the waste electrolyte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ion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A metal oxide separator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te liquid circulator to remove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circulated by the waste liquid circulator;
Compoun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hav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기 유닛의 수용부는, 상기 오염토양(S)이 수용되는 수용실; 상기 수용실과 상기 입구부 사이에 형성된 양극실; 및 상기 수용실과 상기 출구부 사이에 형성된 음극실;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 유닛은, 상기 양극실에 구비된 양전극부; 상기 음극실에 구비된 음전극부; 및 상기 양전극부와 상기 음전극부에 양극전원과 음극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폐액 순환기는, 상기 음극실과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에 연통되게 연결된 폐액 순환 유로; 및 상기 폐액 순환 유로 상에 구비된 폐액 순환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electrokinetic unit includes: an accommodation chamber in which the contaminated soil S is accommodated; An anode chamber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on chamber and the inlet portion; And a cathode chamber formed between the accommodation chamber and the outlet portion.
The electrode unit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unit provided in the anode chamber; A negative electrode unit provided in the cathode chamber;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a positive power and a negative power to the positive electrode part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rt.
The waste liquid circulator comprises: a waste liquid circulation passag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athode chamber and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a waste liquid circulation pump provided on the waste liquid circulation pass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분리기에는 상기 폐전해액으로부터 상기 금속산화물입자를 여과시키는 필터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metal oxide separator is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for separating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electrolyt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폐전해액을 저장하도록 상기 동전기 유닛의 출구부에 연결된 폐액 저장 유닛;
상기 폐액 저장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폐액 저장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폐전해액에 의하여 상기 동전기 유닛에 공급될 오염토양 내의 방사성핵종의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토양 전처리 유닛;
상기 토양 전처리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토양 전처리 유닛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액을 침전물과 상층액으로 침전 분리하는 침전 분리 유닛; 및
상기 침전 분리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침전 분리 유닛에서 분리된 침전물을 처리하는 폐액 처리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waste liquid storage unit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electrokinetic unit to store the waste electrolyte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ion;
A soil pretreatment unit connected to the waste liquid storage unit and reducing the content of radionuclides in the contaminated soil to be supplied to the electrokinetic unit by the waste electrolyte supplied from the waste liquid storage unit;
A sediment separation unit connected to the soil pretreatment unit and configured to sediment and separate the waste wash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soil pretreatment unit into a precipitate and a supernatant; And
A waste liquid treatment unit connected to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and processing the sediment separated in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Compoun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폐전해액과 상기 폐세척액은 상기 동전기 유닛 내의 상기 음극전원 부위에서 발생되는 금속산화물입자를 함유하며, 상기 침전물은 상기 침전 분리 유닛의 하부에 침전되는 상기 금속산화물입자이고, 상기 상층액은 상기 침전 분리 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금속산화물입자와 분리된 전해액이며,
상기 침전 분리 유닛은, 상기 상층액을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 순환시키고, 상기 침전물을 함유한 폐세척액을 상기 폐액 처리 유닛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waste electrolyte and the waste washing liquid contain metal oxide particles generated at the negative electrode power source portion in the electrokinetic unit, the precipitate is the metal oxide particles precipitated under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and the supernatant is the Electrolyte is separated from the metal oxide particles in the upper part of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The sediment separation unit circulates the supernatant to the electrolyte supply unit, and discharges the waste washing liquid containing the precipitate to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분리 유닛과 상기 폐액 처리 유닛의 사이에는 상기 침전 분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폐세척액을 농축시키는 농축 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concentration unit for concentrating the waste wash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between the precipitation separation unit and the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액 처리 유닛에는 상기 폐세척액으로부터 상기 금속산화물입자를 여과시키는 필터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폐액 처리 유닛은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상기 금속산화물입자가 제거된 전해액을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waste liquid treatment unit is provided with a filter member for separating the metal oxide particles from the waste washing liquid.
And said waste liquid processing unit circulates the electrolyte in which said metal oxide particles are removed by said filter member to said electrolyte supply uni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은 상기 전해액의 수두차에 의해서 상기 전해액이 상기 수용부에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동전기 유닛의 입구부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전기 유닛에는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전해액의 수위를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해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electrolyte supply unit is disposed above the inlet of the electrokinetic unit so that the electrolyte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receiving portion by the water head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kinetic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electrolyte to automatically maintain a constant level of the electrolyte in the receiving por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공급량 조절부는,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전해액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동전기 유닛의 내부에 구비된 수위 감지 센서;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입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상기 입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 밸브;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electrolyt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A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side the electrokinetic unit to sense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in the container;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according to a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Compoun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기 유닛과 상기 전극 유닛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전해액 공급 유닛 또는 상기 pH 조절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동전기 유닛들에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electrokinetic unit and the electrode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t least one of the electrolyte supply unit or the pH control unit is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electrokinetic units in parallel.
KR1020110081501A 2011-06-21 2011-08-17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KR1012929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6861 WO2012176956A1 (en) 2011-06-21 2011-09-16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apparatus for decontamination of radionuclide
US13/326,582 US9127432B2 (en) 2011-06-21 2011-12-15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equipment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and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11282018A JP5579695B2 (en) 2011-06-21 2011-12-22 Combine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equipment for radionuclide deconta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0156 2011-06-21
KR1020110060156 2011-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585A true KR20120140585A (en) 2012-12-31
KR101292962B1 KR101292962B1 (en) 2013-08-02

Family

ID=4790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501A KR101292962B1 (en) 2011-06-21 2011-08-17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9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388A (en) * 2015-09-09 2017-03-17 한국원자력연구원 High efficiency electrokinetic treatment method for uranium contaminated soil using the ion-exchange resi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811B1 (en) 2015-01-12 2016-05-02 한국원자력연구원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equipment
KR101685503B1 (en) * 2015-11-06 2016-12-13 한국원자력연구원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in micro soi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66B1 (en) * 2001-10-05 2003-11-21 주식회사 에코필 Method for decontamination of soil using electrokinetic
KR100419317B1 (en) * 2001-11-27 2004-02-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radio nuclides using acetic acid and sodium acetate on dicomtaminating the soil contaminated radio nuclides by electrokinetic method
KR100473675B1 (en) * 2002-08-14 2005-03-10 김수삼 In-Situ immobilization of heavy-metal contaminated soil by electrokinetic phosphoric acid injection
KR100928216B1 (en) * 2007-11-26 2009-11-30 한국전기연구원 Soil Restoration System Using Electrodynamics and Its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388A (en) * 2015-09-09 2017-03-17 한국원자력연구원 High efficiency electrokinetic treatment method for uranium contaminated soil using the ion-exchange res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962B1 (en) 201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9695B2 (en) Combine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equipment for radionuclide decontamination
TW200307647A (en) Ion exchange regeneration system for UPW treatment
WO2005035149A1 (en) Method of purifying matter contaminated by heavy met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1292962B1 (en)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US6682646B2 (en) Electrochemical process for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materials
CN102930912A (en) System for treating overproof radioactive laundry waste water
JP61508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aqueous organic waste
US5078842A (en) Process for removing radioactive burden from spent nuclear reactor decontamination solutions using electrochemical ion exchange
JPH07140296A (en) Treating method of chelating agent solution containing radioactive contaminant
CN110959183B (en) Electrochemical decontamination device for metal radioactive waste
KR101238354B1 (en)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KR101746134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magnetite
KR101171865B1 (en) A Decontamin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by Removing Clays
CN110491540B (en) Method for treating radioactive waste
KR101725258B1 (en) High efficiency electrokinetic treatment method for uranium contaminated soil using the ion-exchange resins
JP47811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out ion exchange resin from desalinator
KR101624453B1 (en) Equipment for decontamination of waste ionexchange resin and activated carbon polluted radioactive substance and method therefor
CN211628716U (en) Solid nuclear waste treatment device
CN104944649A (en) Chemical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device
KR101741232B1 (en) Radioactive liquid waste multi process treatment unit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CN219817466U (en) Electric-chemical leaching combined restoration device for uranium mine soil pollution
CN220371903U (en) Leaching-regenerating cyclic utilization device for soil heavy metals
CN110240231B (en) Fluid purification system and purification method
JPS604895A (en) Electrolytic decontaminating waste liquor regenerating treating device
KR200300897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on of Precious metals from Plating Waste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