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058A -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 Google Patents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058A
KR20120140058A KR1020110059678A KR20110059678A KR20120140058A KR 20120140058 A KR20120140058 A KR 20120140058A KR 1020110059678 A KR1020110059678 A KR 1020110059678A KR 20110059678 A KR20110059678 A KR 20110059678A KR 20120140058 A KR20120140058 A KR 20120140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astomer
shock absorbing
artificial turf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직
양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성
이봉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성, 이봉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성
Priority to KR102011005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40058A/ko
Publication of KR2012014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를 개시한다. 개시된 충격흡수패드는, 신율 50%이상의 고신장성 시트층;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을 통해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 및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SHOCK ABSORPTION PAD AND ARTIFICIAL TURF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인조잔디층 및 인조잔디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 흡수체로 구성된다. 탄성흡수체는 탄성고무칩, 규사, 충격흡수패드 등의 충격흡수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인조잔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파일(1a) 및 이를 지지하는 파일지지층(1b)의 인조잔디층(1); 인조잔디층(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층(3) 및 상기 인조잔디파일(1a)의 뿌리영역을 고무칩으로 충전하는 충전층(2)을 포함한다. 이러한 충전층(2)은 충격흡수층(3)과 더불어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칩의 충전층(2) 없이, 인조잔디파일(11a) 및 이를 지지하는 파일지지층(11b)의 인조잔디층(11); 인조잔디층(1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층(12)으로 구성된 인조잔디도 존재한다.
여기서, 도 1과 같은 인조잔디의 경우, 충전재로 사용된 고무칩이 소실됨으로써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하며 고무칩이 인체의 눈 또는 호흡기를 통해 유입될 수 있어 유해성의 문제가 있다. 특히, 고무칩 충전재의 경우 안정성 및 정착성을 돕기 위해 유기ㅇ무기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첨가제에는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어 위험하다.
또한, 도 2와 같이 충전층이 없는 타입의 인조잔디의 경우, 충격흡수를 위해 일정 두께 이상의 충격흡수층이 필요하다. 이 경우, 두껍고 비중이 낮은 단일층의 충격흡수층은 그 낮은 비중으로 인해 시공 시 지면과의 정착성이 떨어진다. 또한, 인조잔디층(11)과의 접합성이 떨어져서 인조잔디층(11)의 박리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충격흡수층(3, 12)의 기계적 강도(인장강도, 신율(elongation, 伸率))가 낮아 인조잔디가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면과의 정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충격흡수패드에 있어서, 신율 50%이상의 고신장성 시트층;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을 통해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 및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도보강층은,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과 상기 충격흡수층 사이,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의 상부 및 상기 충격흡수층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도보강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어마이드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타일렌, 폴리스타일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비틸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천연고무, 폴리부틸, 폴리부틸계 엘라스토머, 폴리아이소프렌, 폴리아이소프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계 엘라스토머, 폴리실리콘, 폴리실리콘계 엘라스토머, 폴리나이트릴계 엘라스토머, 폴리페놀, 폴리페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테라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라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어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멜라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은,그 두께가 0.1mm 이상 5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인조잔디에 있어서, 인조잔디파일과 상기 인조잔디파일을 지지하는 지지층으로 구성된 인조잔디층과; 상기 인조잔디층 하부에 배치된 상술한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조잔디층과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 상에 적층된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충격흡수패드가 외부 충격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나다.
둘째, 충격흡수패드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및 신율)이 월등히 뛰어나다.
셋째, 충격흡수패드가 배치되는 지면에 용이하게 정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도 1은, 종래의 인조잔디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다른 유형의 인조잔디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를 구비한 인조잔디의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를 구비한 인조잔디의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신장성 시트층(110); 강도보강층(120); 및 충격흡수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신율(伸率) 중 적어도 하나가 50%이상인 시트층이다.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타일렌, 폴리스타일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비틸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천연고무, 폴리부틸, 폴리부틸계 엘라스토머, 폴리아이소프렌, 폴리아이소프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계 엘라스토머, 폴리실리콘, 폴리실리콘계 엘라스토머, 폴리나이트릴계 엘라스토머, 폴리페놀, 폴리페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테라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라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어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멜라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열거한 재료외에도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된 다른 재료로 치환 또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은, 황산바륨, 탄산칼슘, 미분규산, 실리카샌드, 질석, 운모, 산화철 및 카올린클레이로 등의 유기ㅇ무기 충전제와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가소제, 안료 및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은 경화를 위한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 아민류, 폴리아미드 등일 수 있다.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은 상기 충격흡수패드(100)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인열강도, 연신율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은 상기 충격흡수패드(100)에 일정한 중량을 부여하여 지면과의 정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후수할 인조잔디층(1) 및 하부의 강도보강층(120)과 결합 시 열 또는 접착 마감실링을 용이하게 하여 각 층이 부분적으로 들떠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은 0.1mm 이상 5mm이하가 바람직하다. 시트층(110)의 두께가 0.1mm 보다 작으면 상술한 시트층(110)의 역할인 신율향상의 정도가 미미하고 하부의 상기 강도보강층(120)과의 만족할 만한 접착강도를 얻기가 곤란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패드(100)를 지면에 장착 후 상기 인조잔디층(1)과의 실링이 곤란하다.
한편, 시트층(110)의 두께가 5mm를 초과하면 전체 두께가 한정된 충격흡수패드에서 나머지 다른 2개층(120, 130)의 두께가 줄어들므로 반발탄성이 과도하게 줄어든다. 이에, 시트층(110)의 두께가 0.1mm이상 5mm이하가 상술한 시트층(110)의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한계치수라고 볼 수 있다.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3mmm이하인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3mm 이상 2mm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도보강층(120)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어마이드,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층(120)은 두께 0.05mm이상 2mm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층(120)은 직조물 또는 부직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층(120)은 단위체적당 중량이 낮고 두께가 벌키(bulky)한 특성을 갖는다. 상기 강도보강층(120)은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도보강층(120)은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에 열 또는 초음파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층(120)은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과 상기 충격흡수층(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강도보강층(120)은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강도보강층(120)은 상기 충격흡수층(130)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층(130)은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 및 상기 강도보강층(120)을 통해 전달된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격흡수층(130)은, 올레핀계 탄성체, 스타일렌계 탄성체, 부타디엔계 탄성체, 니트로 부타디엔계 탄성체, 비닐아세테이트계 탄성체, 우레탄계 탄성체, 비닐클로라이드계 탄성체, 천연고무 탄성체, 불소계 탄성체, 클로로설폰계 탄성체, 멜라민계 탄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열거한 재질 외에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한 공지된 재질로 변경 또는 치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140); 고신장성 시트층(110); 강도보강층(120); 및 충격흡수층(130)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실시예의 충격흡수패드(100a)는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 상면에 설치될 충격전달부재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필름층(14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격전달부재는 상술한 인조잔디층(1)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충격전달부재는 인조잔디층(1)외에도 타일 또는 마루마감재일 수도 있다. 상기 충격전달부재는 상기 충격흡수패드(1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충격흡수패드(100)는 인조잔디 충격흡수용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필름층(140)은 OPP(Oriented Polypropylene),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PET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잔디파일(1a) 및 상기 인조잔디파일(1a)을 지지하는 지지층(1b)을 구비한 인조잔디층(1)과; 상기 충격흡수패드(100, 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조잔디파일(1a)은 직물 또는 실괘 상태의 파일 섬유이다. 상기 인조잔디파일(1a)은 용융온도 110℃ 이상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패드(100, 100a)가 인조잔디층(1)의 충격흡수용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인조잔디층(1)의 배수를 위해 배수용 홀(150)을 상기 충격흡수패드(100, 100a)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용 홀(150)은 상기 충격흡수패드(100, 100a)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충격흡수패드(100, 100a)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 100a)의 실험결과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조건 1] : 제1실시예의 충격흡수패드(100)
인조잔디파일(1a)은 용융온도가 130℃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재질이며 파일(1a)의 평균길이는 45mm이고 단위면적당 파일(1a)의 중량은 2,200g/㎡이다. 인조잔디파일(1a)의 용융온도, 파일길이, 단위면적당 파일의 중량은 KS M 3888-1에 명기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고신장성 시트층(110)은, 용융지수 7.5g/10min, 밀도 0.918g/㎤, 파단점의 인장강도와 신율이 각각 115Kg/㎠와 550%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100중량부와, 비중 2.7의 탄산칼슘 20중량부, 비중이 0.886이고 동점도가 55(40℃)cSt인 파라핀계 가공유 10중량부와, 계면활성제인 스테아린산(stearic acid) 0.5중량부의 조성을 가열하지 않은 75L의 가압 챔버를 통해 15분간 혼련하여 압출기와 T-DIE를 이용하여 1mm두께의 시트로 형성하였다.
용융지수와 밀도는 각각 기술표준 ASTM D1238과 ASTM D1505에 준하여 측정하였고 기계적 물성은 ASTM D638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강도보강층(120)은 중량과 두께가 각각 15g/㎡과 0.21mm인 폴리에스터 부직포로 인장강도가 MD(가로방향) 23N/5㎝, CD(세로방향) 11N/5㎝이며 신율은 MD와 CD 모두 120%이다. 중량, 두께 인장강도, 신율은 ASTM D -1117에 준한 결과이다.
충격흡수층(130)은 두께 9mm, 밀도 180K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인장강도가 MD(가로방향) 0.41Mpa, CD(세로방향) 0.38Mpa이고 파단점에서의 신율이 MD(가로) 31%, CD(세로) 30%이다. 여기서, 인용된 인장강도 및 신율은 로 KS M 6518에 명기된 시험방법에 의해 테스트 되었다.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에 핫멜트(hot melt) 접합방식으로 강도보강층(120)과 충격흡수층(130)이 접합되었다.
[실험조건 2] : 제1실시예의 충격흡수패드(100)
상술한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충격흡수층(130)은, 인장강도가 MD(가로) 0.48Mpa, CD(세로) 0.41Mpa이고 파단점에서의 신율이 (가로) 40%, CD(세로) 35%인 두께 9mm, 밀도 230K인 폴리우레탄 폼이다.
[실험조건 3] : 제1실시예의 충격흡수패드(100)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를 2mm로 증가시키고 폴리우레탄 충격흡수층(130)의 두께를 8mm로 줄였다.
[실험조건 4] : 제1실시예의 충격흡수패드(100)
실험조건1과 비교하여 강도보강층(120)의 중량과 두께를 각각 30g/㎡과 0.28mm인 폴리에스터 부직포로 변경하였다. 변경된 폴리에스터 부직포의 인장강도는 MD(가로) 60N/5㎝, CD(세로) 40N/5㎝이며 신율은 MD와 CD 모두 140%이다.
[실험조건 5] : 제2실시예의 충격흡수패드(100a)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상면에 0.01mm 두께의 OPP(Oriented Polypropylene) 필름의 필름층(140)을 열 합지하였다.
[실험조건 6]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고신장성 시트층(110)은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상품명: VERSIFY 3401, 제조사: 미국 DOW CHEMICAL) 100중량부에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중량부의 조성으로 변경되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는 용융지수 8.0g/10min, 밀도 0.863g/㎤, 파단점의 인장강도와 신율이 각각 70 Kg/㎠와 600%이고 용융지수와 밀도는 ASTM D1238과 ASTM D792에 준하여 측정하였고 기계적 물성은 ASTM D638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외에는 실험조건 1과 동일하다. 참고로,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는 실험조건 1과 동일한 1mm이다.
[실험조건 7]
실험조건 6과 비교하여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가 0.09mm로 변경되었다.
[실험조건 8]
실험조건 6과 비교하여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가 0.1mm로 변경되었다.
[실험조건 9]
실험조건 6과 비교하여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가 5mm로 조정되었다.
[실험조건 10]
실험조건 6과 비교하여 고신장성 시트층(100)의 두께가 5.1mm로 조정되었다.
[비교조건 1] : 도 2의 종래 인조잔디에 사용된 충격흡수층(12)
실험조건 1과 비교하여 고신장성 시트층(110)과 강도보강층(120)을 삭제하고 폴리우레탄 충격흡수층(130)을 10mm로 하여 도 2와 같이 종래의 인조잔디층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만으로 구성된 충격흡수패드이다.
[비교조건 2]
실험조건 2와 비교하여 고신장성 시트층(110)과 강도보강층(120)을 삭제하고 폴리우레탄 충격흡수층(130)을 10mm로 하여 도 2와 같이 종래의 인조잔디층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만으로 구성된 충격흡수패드이다.
이상의 실험조건에 따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영구압축률(%)은 재료를 일정하게 압축하여 일정온도에서 일정시간 방치한 후 줄어든 변형값을 기록한 것으로서, 영구압축률이 크다는 것은 재료가 그만큼 시간과 열에 변화 될 수 있는 인자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구압축률과 반발탄성(충격흡수)은 서로 반비례관계에 있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패드(100, 100a)와 종래의 충격흡수층을 비교하면, 상술한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충격흡수층(12) 단독으로 구성된 비교조건에 비해 영구압축률과 반발탄성은 크게 변하지 않으면서 인장강도 신장율의 기계적 물성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비교조건 1은 두께 9mm, 밀도 180K의 폴리우레탄 폼의 충격흡수층(12)의 결과이고, 비교조건 2는 두께 10mm, 밀도 230K의 폴리우레탄 폼의 충격흡수층(12)의 결과이다. 단순히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으로 대체하더라도 인장강도 및 신율에서는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고신장성 시트층(110)과 강도보강층(120)을 채용함으로써, 인장강도는 대략 200%이상, 신율(신장율)은 800~1000%이상 월등히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표 1] 기술표준 KS M 6518의 충격흡수패드 품질기준
Figure pat00002
위의 [표 1]은 KS 표준에서 충격흡수패드 품질 기준으로 규정한 것으로 반발탄성은 30%이상, 신장율은 50%이상, 인장강도는 0.55Mpa 이상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100, 100a)는 [실험조건 7] 및 [실험조건 10]을 제외한 모든 조건에서 상기 [표 1]의 KS 표준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실험조건 7]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가0.09mm인데, 이 경우 신장율이 35%로서 [표 1]의 KS 표준인 50%에 미달한다.
반면, [실험조건 8]은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를 0.1mm로 한 것인데, 이 경우에는 신장율이 가로 51%, 세로 50%로서 KS 표준을 만족한다. 특히, 단지 두께를 0.01mm 증가한 것에 불과한데 신장율은 0.09mm 대비 43%이상으로 월등히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조건 10]은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가 5.1mm인데, 이 경우, 반발탄성이 29%로서 [표 1]의 KS 표준에서 요구하는 30%에 미달한다.
따라서, 고신장성 시트층(110)의 두께가 0.1mm 이상 5mm이하 인 경우, [표 1]의 KS 표준을 만족하는 임계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패드 제조방법을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신장성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밤바리 또는 니더 혼련기에 넣어 가압 혼련한다(S10).
그 다음에, 혼련된 고신장성 시트 조성물(컴파운드)를 압출기와 T-다이로 압출 및 가압하여 시트를 형성한다(S20).
고신장성 시트를 형성한 후, 강도보강층(120) 및 충격흡수층(130)을 결합한다(S30). 여기서, 고신장성 시트와 결합되기 전에, 상기 강도보강층(120) 및 상기 충격흡수층(130)은 미리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고신장성 조성물(컴파운드)이 T-다이에서 분출됨과 동시에 고신장성 조성물(컴파운드)의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고신장성시트와 상기 강도보강층(120) 및 충격흡수층(130)을 접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고신장성 시트와 상기 강도보강층(120) 및 상기 충격흡수층(130)은 접착제 또는 잠열이 아닌 별도의 열원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110), 상기 강도보강층(120) 및 상기 충격흡수층(130)이 적층된 충격흡수패드(100)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완성된 충격흡수패드(100)가 인조잔디층(1)의 충격흡수용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충격흡수패드(100)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배수용 홀을 뚫는 단계(S40)가 더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100a: 충격흡수패드 110: 고신장성 시트층
120: 강도보강층 130: 충격흡수층
140: 필름층 150: 배수용 홀

Claims (7)

  1. 충격흡수패드에 있어서,
    신율 50%이상의 고신장성 시트층;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을 통해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층; 및
    상기 충격흡수패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층은,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과 상기 충격흡수층 사이,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의 상부 및 상기 충격흡수층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어마이드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은,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타일렌, 폴리스타일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비틸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천연고무, 폴리부틸, 폴리부틸계 엘라스토머, 폴리아이소프렌, 폴리아이소프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계 엘라스토머, 폴리실리콘, 폴리실리콘계 엘라스토머, 폴리나이트릴계 엘라스토머, 폴리페놀, 폴리페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테라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라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어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멜라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은,
    그 두께가 0.1mm 이상 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패드.
  6. 인조잔디에 있어서,
    인조잔디파일과 상기 인조잔디파일을 지지하는 지지층으로 구성된 인조잔디층과;
    상기 인조잔디층 하부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층과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고신장성 시트층 상에 적층된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KR1020110059678A 2011-06-20 2011-06-20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KR20120140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678A KR20120140058A (ko) 2011-06-20 2011-06-20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678A KR20120140058A (ko) 2011-06-20 2011-06-20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058A true KR20120140058A (ko) 2012-12-28

Family

ID=4790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678A KR20120140058A (ko) 2011-06-20 2011-06-20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4005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372A (ko) 2015-09-09 2017-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20180046852A (ko) * 2017-07-25 2018-05-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20180124580A (ko) * 2017-05-12 2018-11-2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20220033972A (ko) * 2020-09-10 2022-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KR20230152290A (ko) * 2022-04-27 2023-11-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372A (ko) 2015-09-09 2017-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20180124580A (ko) * 2017-05-12 2018-11-2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20180046852A (ko) * 2017-07-25 2018-05-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20220033972A (ko) * 2020-09-10 2022-03-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KR20230152290A (ko) * 2022-04-27 2023-11-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에어 탄성층이 포함된 인조잔디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40058A (ko)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US20240052639A1 (en) Thermoplastic roofing membranes for fully-adhered roofing systems
KR101395714B1 (ko) Pvc 대체용 폴리올레핀계 친환경 바닥재
US20220120084A1 (en) Thermoplastic roofing membranes for fully-adhered roofing systems
US9802391B2 (en) Non-black rubber membranes
CN102171281A (zh) 交联的聚合物组合物
TW565507B (en) Foamed laminate based on olefin and use thereof
KR102424160B1 (ko)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KR20210026805A (ko) 인조잔디매트
CA3122924A1 (en) Synthetic flashing material
CN114269440A (zh) 用于运动装备的阻尼器以及包括阻尼器的运动装备
KR102294457B1 (ko) 난연성 충격흡수패드
KR101959828B1 (ko) 스포츠시설용 조립식 바닥재
US10392807B2 (en) Non-black EPDM roof membranes with improved weathering
KR101847031B1 (ko) 충격 흡수용 골프 매트
JP2021118859A (ja) 靴インソールおよび靴
CN109416146A (zh) 非下垂柔性绝缘体
JP7181677B2 (ja) 包装体
KR102105955B1 (ko) 코너부 방수부재
KR101491407B1 (ko) 아스팔트 보강재용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보강재
KR102532874B1 (ko) 과열 방지 인조잔디 시스템
KR100934735B1 (ko) 천연 소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 방법
CN201784224U (zh) 手套面料
KR102171181B1 (ko)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조성물
JP2002146072A (ja) ゴム系加硫発泡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