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875A -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875A
KR20120139875A KR1020110059395A KR20110059395A KR20120139875A KR 20120139875 A KR20120139875 A KR 20120139875A KR 1020110059395 A KR1020110059395 A KR 1020110059395A KR 20110059395 A KR20110059395 A KR 20110059395A KR 20120139875 A KR20120139875 A KR 2012013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spatial image
spatial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수
김승철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9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9875A/ko
Publication of KR2012013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은, 광고주가 광고하기를 원하는 제품의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는 제스쳐 센서와, 사용자 동작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영상 표출부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도록 제어하고, 독출된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가 영상 표출부에 3차원 공간영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A system for an interactive advertising}
본 발명은 홀로그램형 공간영상 기반의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영상이란 2차원 평면 정보와는 달리 깊이 및 공간 형성 정보를 제공하는 보다 사실적인 영상을 말한다. 즉, 이미 학습한 경험이 있은 볼륨(Volume)을 갖는 환경을 인간의 양안(좌, 우측 눈)이 인식하여 뇌에서 정리하는 과정에서 종합되는 공간인식 개념의 영상으로, 3D(Dimension, 차원) 영상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공간영상은 현장에서 실물을 보는 듯한 임장감, 사실감 및 가상현실감 등을 제공하게 된다. 공간영상 투영장치는 기존의 2차원 평면 디스플레이에서는 불가능했던 깊이감(Depth)이 있는 3D 입체 영상을 표시함으로서 실물을 보는 것과 같은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는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도 1은 종래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러한 패럴렉스 배리어의 원리는 좌우 양안이 각기 보아야 할 화상을 교대로 세로무늬 모양으로 인쇄 또는 사진적으로 구어 내어, 이것을 극히 가느다란 세로 격자열(배리어)로 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좌안에 들어올 세로무늬 화상과 우안에 들어올 세로무늬 화상이 배리어에 의해 배분되어 좌우안으로 조금 엇갈린 다른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2는 종래 렌티큘러 렌즈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그래서 렌티큘러 렌즈의 원리 역시 좌우 화상의 배분을 생선묵형의 렌즈열에 의한 굴절 작용으로 실현한다. 즉, 반원통형의 형상을 한 렌티큘러 스크린으로 불리는 렌즈의 초점면에 좌우 화상을 스트라이프 상태로 배치하고, 이 렌즈판을 통해서 관찰하면 렌즈판의 지향성에 따라 좌우의 화상이 분리되어 안경없이 입체화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은 대부분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인간의 양안시차를 이용한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안경을 쓰고 입체 영상을 관람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안경이 없더라도 시역이 좁아 관찰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접근 방법으로서 도 3과 같이 렌즈나 오목 미러 또는 특수 스크린을 이용하여 공간상에 영상을 투영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도 3은 종래 렌즈/오목미러를 이용한 공간영상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하지만 렌즈나 오목미러를 이용한 방법은 공간상에 영상이 투영되어 안경 없이 관찰할 수 있지만, 영상의 왜곡이 생기고 시역이 좁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기나 수증기 등을 이용하는 특수 스크린 방식은 역시 안경이 없이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지만, 연기나 스크린 등에 영상을 맺히게 하는 방식이므로 화질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접근 방법으로서 반투과 미러를 이용하여 영상을 공중에 맺히게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4는 종래 반투과 미러를 이용한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 방법은 영상의 왜곡도 없고 시야각도 넓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 문제로서, 도 4와 같은 구성이 되기 때문에 아래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사용자에게 보이게 되어 현실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물론 반투과 미러에서 모니터를 멀리 떨어뜨려 놓으면 사용자의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지만, 이 경우 영상이 맺히는 곳이 너무 안쪽으로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두 번째 문제점으로서, 영상이 공중에 맺혀 입체감을 느낄 수 있지만, 실제로는 2차원 영상이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세 번째 문제는 영상의 왜곡이 없는 대신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된 영상의 사이즈 그대로 영상이 맺히게 되어 큰 영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같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야 했고, 이로 인해 시스템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다만 현재 3차원 광고 영상을 표현해 주고, 이에 대한 인터랙티브 기능을 이용하는 3차원 광고 영상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3차원 광고 영상을 표현해 주고, 3차원 광고 영상에 대해 인터랙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광고주가 광고하기를 원하는 제품의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는 제스쳐 센서와, 상가 사용자 동작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영상 표출부와,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독출된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가 상기 영상 표출부에 3차원 공간영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영상 표출부는, 상기 3차원 공간영상이 출력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에서 출력된 공간영상을 반투과시키는 반투과 미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동작은, 상기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좌우 이동, 축소, 확대 및 모양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은,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검출하는 거리인식 센서와, 상기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인식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광고주가 광고하기를 원하는 제품의 3차원 공간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출된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광고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은 영상을 띄워주기 위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이 보이지 않거나 다른 영상이 보이도록 해 기존보다 더욱 현실감이 있는 공간 영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3차원 영상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어 광고주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렌티큘러 렌즈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렌즈/오목미러를 이용한 공간영상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반투명 미러를 이용한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영상 표출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영상 표출부의 일 구현예이다.
도 9a는 시야각 조절을 위한 패럴렉스 배리어의 변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9b는 시역에 따라 다른 영상을 관찰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변형된 패럴렉스 배리어를 이용한 공간영상 디스플레이의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영상 표출부에 표출된 공간영상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실시예에 대해 사용자의 동작(제스쳐)에 따른 공간영상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은 거리인식 센서(110), 제스쳐 센서(120), 전원부(130), 메모리(140), 3차원 공간영상 처리부(150), 제어부(160) 및 영상 표출부(170)를 포함한다.
거리인식 센서(110)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검출한다. 거리인식 센서(110)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에 한 개 이상 장착될 수 있다.
제스쳐 센서(120)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에 접근한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한다. 특히, 제스쳐 센서(120)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 앞에서 사용자의 손동작을 검출한다. 즉, 제스쳐 센서(120)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의 영상 표출부(170) 상에 표출된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손동작을 검출한다. 제스쳐 센서(120)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된다. 사용자 동작(제스쳐)으로는 사용자 손의 움직임 방향, 사용자 손의 모양,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확대, 축소 동작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원부(130)는 거리인식 센서(110)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를 통해 온/오프(on/off)된다. 이 경우, 전원부(130)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 중 일부 핵심 부품에는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 전체에 전원 공급을 확장시킨다.
메모리(140)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는 제어부(160)의 제어하에 독출된다. 특히 메모리(140)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의 영상 표출부(170)를 통해 표출되는 각종 3차원 영상공간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에 저장된 각종 3차원 영상공간 데이터는 제어부(160)에 제어 하에 독출되어 3차원 공간영상 처리부(150)로 전달된다.
3차원 공간영상 처리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메모리(140)로부터 독출된 각종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한다.
제어부(160)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 내의 각 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어부(160)는 제스쳐 센서(12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기초로, 현재 표출되는 3차원 공간영상과 관련된 데이터가 메모리(140)로부터 독출되도록 제어한다.
영상 표출부(170)는 사용자가 거리인식 센서(110)에 의해 검출되기 전까지는, 기설정된 인트로 영상 재생 화면을 표출할 수 있다. 영상 표출부(170)는 3차원 공간영상 처리부(150)에서 처리된 3차원 공간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출한다. 이 경우 3차원 공간영상으로는 어느 것이나 상관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은 스탠드형이며,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의 하단에는 거리인식 센서(110)가 구비된다. 또한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의 상단에는 제스쳐 센서(120)가 구비된다. 영상 표출부(170) 상에 표출된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해, 제스쳐 센서(120)에 의해 검출된 제스쳐 정보에 따라 다양한 3차원 공간영상이 추가적으로 표출될 것이다.
도 7은 도 5의 영상 표출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영상 표출부의 일 구현예이다. 이하에서는 영상 표출부를 공간영상 투영장치로 기재하였다.
도 7에 따르면, 공간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171)와; 상기 모니터(171)에서 출력된 공간영상의 방향을 조절하여 시야각을 조절하는 영상방향 조절부(173)와; 상기 영상방향 조절부(173)에 의해 방향이 조절된 공간영상을 반투과시키는 반투과 미러(17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171)는,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는 모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171)는,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방향 조절부(173)는, 편광에 의해 시야각을 조절하는 시야각 조절 필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야각 조절 필터는, 사용자가 상기 반투과 미러를 통해서는 3차원 허상을 볼 수 있지만,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171)를 직접 보았을 때는 영상을 볼 수 없도록 시야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방향 조절부(173)는, 변형된 패럴렉스 배리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형된 패럴렉스 배리어는, 사용자가 상기 반투과 미러를 통해서는 3차원을 허상을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171)를 직접 보았을 때는 3차원 허상이 아닌 다른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시야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투과 미러(175)는, 1면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영상 투영장치는, 상기 반투과 미러(30)를 4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모니터(171)는 전, 후, 좌, 우의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영상방향 조절부(173)는 상기 반투과 미러의 4면에 대한 시야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과 같은 구성을 적용하면, 디스플레이에서 나온 영상은 반투과 미러를 향하게 되고, 반투과 미러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향하게 되어 사용자에게는 공간에 영상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았을 때에는 디스플레이의 영상이 시야각 조절 필터에 의해 차단되어 보이지 않게 된다. 이 필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전부를 덮어주게 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조차 보지 못하게 되고 공간에 투영된 영상만을 보게 되어 더욱 현실감 있는 영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시야각 조절을 위한 패럴렉스 배리어의 변형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9b는 시역에 따라 다른 영상을 관찰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래서 도 9a를 보면 기존의 패럴렉스 배리어를 변형하여, 도 9b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심으로 좌측 영역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영상만 보이고 우측 영역에서는 역시 그에 해당하는 영상만 보이게 된다.
즉, 좌측용의 영상은 좌측에서만 보이고 우측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우측용의 영상도 마찬가지로 우측에서만 보이게 된다.
이를 도 10와 같이 적용을 하여 구성을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A와 영상 B를 각각 띄워준다. 여기서 도 10은 도 8에서 변형된 패럴렉스 배리어를 이용한 공간영상 디스플레이의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여기서 패럴렉스 배리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열한 것이다. 한편, 패럴렉스 배리어의 변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디스플레이에 뜬 두 영상 중 영상 A는 반투과 미러를 향하게 되고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향하게 되어 사용자는 공간에 영상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디스플레이에 뜬 다른 영상 B는 반투과 미러를 향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직접 향하게 된다. 이 경우 영상 A에는 3차원으로 투영할 영상을 입력하고, 영상 B에는 영상 A에 대한 설명 등을 띄워줌으로써, 더욱 현실감 있고 그에 대한 설명 등도 같이 만들어 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영상 표출부에 표출된 공간영상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일실시예에 대해 사용자의 동작(제스쳐)에 따른 공간영상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광고주에 의해 광고하고자 하는 제품은 스마트폰이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3차원 공간영상은 중앙에 스마트폰의 메뉴화면이다. 한편, 중앙의 스마트폰의 메뉴화면 좌우에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3차원 공간영상들이 표시되고 있다.
이 때, 도 12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우에서 좌로 이동한 경우, 중앙의 스마트폰의 메뉴화면 우측에는 있는 공간영상들 중 중앙의 스마트폰 메뉴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공간영상이 중앙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주에 의해 광고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사용자의 제스쳐(예로는 손동작)을 통해 3차원 공간영상으로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의 메뉴화면의 이동을 그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광고대상 제품 자체의 변경, 해당 광고대상 제품의 좌우 상하 회전 등도 사용자의 제스쳐를 통해 3차원 공간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에 접근하면, 거리인식 센서(110)의 검출을 통해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의 전원이 온(on)된다(S210). 이때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100)에는 광고주에 의해 광고하고자 하는 제품의 공간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제품의 공간영상에 대해 제스쳐를 수행하면, 제스쳐 센서(120)에 의해 해당 제스쳐가 인식된다(S220).
그러면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60)에 의해 인지되고, 제어부(160)는 해당 제스쳐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게 메모리(140)로부터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해당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3차원 공간영상 처리부(150)에서 영상 표출부(170)를 통해 표출되도록 재구성된다(S230).
그리고 재구성된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데이터는 영상 표출부(170)에 디스플레이된다(S240).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110 : 거리인식 센서 120 : 제스쳐 센서
130 : 전원부 140 : 메모리
150 : 3차원 공간영상 처리부 160 : 제어부
170 : 영상 표출부

Claims (5)

  1. 광고주가 광고하기를 원하는 제품의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는 제스쳐 센서;
    상가 사용자 동작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상 표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독출된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가 상기 영상 표출부에 3차원 공간영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출부는,
    상기 3차원 공간영상이 출력되는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에서 출력된 공간영상을 반투과시키는 반투과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은, 상기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좌우 이동, 축소, 확대 및 모양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검출하는 거리인식 센서; 및
    상기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인식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5. 광고주가 광고하기를 원하는 제품의 3차원 공간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되는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3차원 공간영상 데이터를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광고 방법.
KR1020110059395A 2011-06-20 2011-06-20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KR20120139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395A KR20120139875A (ko) 2011-06-20 2011-06-20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395A KR20120139875A (ko) 2011-06-20 2011-06-20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875A true KR20120139875A (ko) 2012-12-28

Family

ID=4790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395A KR20120139875A (ko) 2011-06-20 2011-06-20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9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3156A1 (en) * 2013-07-23 2015-0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creating effective interactive advertising con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3156A1 (en) * 2013-07-23 2015-0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creating effective interactive advertising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10463B (zh) 头戴式显示系统和设备以及头戴式显示中产生图像的方法
JP4546505B2 (ja) 空間映像投映装置及びその方法
WO2013074753A1 (en)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imulating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89761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JP2008146221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40116880A (ko) 3 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
JPWO2006061959A1 (ja) 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方法
US10672311B2 (en) Head tracking based depth fusion
US10955685B2 (en) Volumetric display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representing content of an image
KR20160016468A (ko) 리얼 3d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JPH09238369A (ja) 3次元像表示装置
CN204496117U (zh) 3d眼镜
JP2018151459A (ja) ステレオ立体視装置
CN102879995A (zh) 显示设备
KR20130070304A (ko) 무안경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JP4284158B2 (ja) 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5172969A (ja) 3次元表示装置
KR20120139875A (ko) 인터랙티브 광고 시스템
JP2020106587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4106330A (ja) 3次元表示装置及び3次元表示方法
KR20110107988A (ko)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6285113A (ja) 3次元表示装置
JP2009237310A (ja) 疑似3次元表示方法および疑似3次元表示装置
JP2006221128A (ja) 3次元表示方法および3次元表示装置
Park et al. 3D display simulator based on mix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