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599A - 점도 프로파일이 개선된,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 Google Patents

점도 프로파일이 개선된,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599A
KR20120139599A KR1020120064484A KR20120064484A KR20120139599A KR 20120139599 A KR20120139599 A KR 20120139599A KR 1020120064484 A KR1020120064484 A KR 1020120064484A KR 20120064484 A KR20120064484 A KR 20120064484A KR 20120139599 A KR20120139599 A KR 20120139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oxylated
alkylene oxide
hydrophobically modified
alkoxylated polyol
capp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945B1 (ko
Inventor
링 리
바렛 봅세인
Original Assignee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filed Critical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12013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3Chemically mod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12Mixtures of polyetherdiols with polyether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7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antimony, bismuth or arse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28Pigm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글리콜, 50 내지 250개의 반복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폴리올,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캡핑제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팅 조성물의 리올로지 개질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점도 프로파일이 개선된,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HYDROPHOBICALLY MODIFIED ALKYLENE OXIDE URETHANE POLYMER WITH IMPROVED VISCOSITY PROFILE}
본 발명은 수성 코팅 제제에 리올로지 개질제로서 사용되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우레탄 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리올로지 개질제는 수성 코팅 제제에서 광범위 전단 속도에 걸쳐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회합성(분산상(dispersed phase)과 회합)이거나, 또는 비회합성(수상(water phase)을 농후화 시킴)일 수 있다. 회합성 증점제는 소수성 개질 셀룰로스 에테르와 같은 천연 산물로부터 유래할 수 있거나, 소수성 개질 에틸렌 옥사이드 우레탄(hydrophobically modified ethylene oxide urethane, HEUR) 폴리머와 같은 합성 폴리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4,155,892호(Emmons 등)는 별도의 실시예에서 분지형 HEUR 폴리머 뿐만 아니라 선형 HEUR 폴리머 제조에 대해 기술하였다.
리올로지 개질제는 전형적으로 저 전단속도 점도 빌더(low shear rate viscosity builder)(스토머(Stomer) 점도 빌더, KU 점도 빌더로도 알려짐) 또는 고 전단속도 점도 빌더(ICI 빌더)로 분류된다. KU 점도 증가는 제제에 KU 빌딩 리올로지 개질제를 첨가하기 위한 포뮬레이터(formulator)의 능력을 제한하기 때문에, KU 점도의 증가 수반없이 ICI 점도 및 ICI 빌딩 리올로지 개질제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충분한 KU 빌딩 리올로지 개질제가 첨가된 제제는 기재에 적용되었을 시 불량한 내새깅성 및 드립성(resistance to sagging and dripping)을 나타낼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제1 측면으로, a)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12000 달톤 범위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50 내지 250개의 반복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폴리올을 반응 조건하에서 함께 접촉시켜 잔여 NCO 그룹을 함유하는 중간체 폴리머를 형성한 후; b) 상기 중간체 폴리머를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6-C14 알칸올 또는 C10-C16-(OX)n-OH 알콕실화 알콜인 캡핑제와 반응시켜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상기 각 X는 독립적으로 CH2CH2 또는 CH2CH(CH3)이고; n은 1 내지 50이며; 단계 a)에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OH 그룹 몰당량비는 3:1 내지 12:1 범위이며; 단계 a)에서 NCO 대 OH 몰당량비는 1:0.70 내지 1:0.95 범위이고; 캡핑제는 단계 a)로부터의 잔여 NCO 그룹에 대해 화학양론적 양 또는 이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되며; 알콕실화 폴리올은 알콕실화 트리올 또는 테트라올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을 제공함으로써 당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다룬다.
제2 측면으로, 본 발명은 a)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12000 달톤 범위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b)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c) 50 내지 250개의 반복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폴리올; 및 d)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6-C14 알칸올 또는 C10-C16-(OX)n-OH 알콕실화 알콜인 캡핑제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CH2CH2 또는 CH2CH(CH3)이고; n은 1 내지 50이며; 폴리알킬렌 글리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비는 3:1 내지 12:1 범위이고; 캡핑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은 0.4 내지 6.5 범위이며, 알콕실화 폴리올은 알콕실화 트리올 또는 테트라올인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소수성으로 개질된 우레탄 폴리머는 수성 코팅 제제에 리올로지 개질제로서 사용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 측면으로, 본 발명은 a)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12000 달톤 범위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50 내지 250개의 반복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폴리올을 반응 조건하에서 함께 접촉시켜 잔여 NCO 그룹을 함유하는 중간체 폴리머를 형성한 후; b) 상기 중간체 폴리머를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6-C14 알칸올 또는 C10-C16-(OX)n-OH 알콕실화 알콜인 캡핑제와 반응시켜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CH2CH2 또는 CH2CH(CH3)이고; n은 1 내지 50이며; 단계 a)에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OH 그룹 몰당량비는 3:1 내지 12:1 범위이며; 단계 a)에서 NCO 대 OH 몰당량비는 1:0.70 내지 1:0.95 범위이고; 캡핑제는 단계 a)로부터의 잔여 NCO 그룹에 대해 화학양론적 양 또는 이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되며; 알콕실화 폴리올은 알콕실화 트리올 또는 테트라올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코폴리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부틸렌 글리콜 코폴리머를 가리킨다. 바람직하게,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 내지 9000 달톤 범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CARBOWAXTM 8000 폴리에틸렌 글리콜(다우 케미칼 컴퍼니사(Dow Chemical Company) 또는 그의 제휴사의 상표)은 시판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일례이다.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포화 또는 부분 포화일 수 있으며 및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적합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1,10-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1,4-사이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5-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4,4'-메틸렌비스(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을 포함한다.
알콕실화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의 에톡실화 트리올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환형 또는 이들의 조합인 C3-C12 알킬 그룹이고;
각 X는 독립적으로 CH2CH2 또는 CH2CH(CH3)이며;
a + b + c의 합계는 5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2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2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0이다.
RO3 그룹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상기에서, 점선은 X 그룹에 결합됨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RO3
Figure pat00003
이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 "OH 그룹 몰당량"은 방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예시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1몰은 2개의 OH 그룹을 가지는데 반해, 에톡실화 트리올은 3개의 OH 그룹을 가진다. 따라서, 3몰의 글리콜은 2몰의 트리올과 동일한 수의 OH 그룹을 가지며; OH 당량으로 3:1의 글리콜 대 트리올 비는 9:2의 몰 대 몰비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폴리알킬렌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대 에톡실화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트리올의 OH 그룹 몰당량비는 4:1 내지 7:1 범위이다.
마찬가지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알콕실화 폴리올의 총합에 대해 몰 그룹 당량비가 계산된다. 단계 a)에서 바람직한 NCO:OH 몰당량비는 1:0.80 내지 1:0.90이다.
제2 단계에서, 캡핑제를 중간체 폴리머에 첨가하여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에틸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캡핑 시약은 실질적으로 NCO 그룹이 완전히 전환되도록 NCO 그룹에 대해 화학양론적 과량으로 첨가된다. 바람직하게, 캡핑제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6-C14 알칸올이며, 그의 예로는 n-헥산올, 사이클로헥산올, n-옥탄올, n-노난올, n-데칸올 및 n-도데칸올을 들 수 있다. 캡핑제가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10-C16-(OX)n-OH 알콕실화 알콜인 경우, X는 바람직하게는 CH-2CH2이고, n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다.
제2 측면으로, 본 발명은 a)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12000 달톤 범위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b)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c) 50 내지 250개의 반복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폴리올; 및 d)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6-C14 알칸올 또는 C10-C16-(OX)n-OH 알콕실화 알콜인 캡핑제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CH2CH2 또는 CH2CH(CH3), 바람직하게는 CH2CH2이고; n은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며; 폴리알킬렌 글리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비는 3:1 내지 12:1 범위이고; 캡핑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은 0.4 내지 6.5 범위이며, 알콕실화 폴리올은 알콕실화 트리올 또는 테트라올인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폴리알킬렌 글리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비는 4:1 내지 7:1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캡핑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비는 0.6 내지 2.0 범위이다.
본 원에 사용된, 용어 "구조 단위"는 물질들의 반응으로 폴리머에 형성된 반복 그룹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디이소시아네이트 OCN-R'-NCO의 구조 단위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4
상기에서,
R'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지방족 그룹이다.
용어 "OH 그룹 몰당량비"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 관련하여, 폴리머중 글리콜, 알콕실화 폴리올 또는 캡핑제의 구조 단위를 가리킨다. 즉, 예를 들어, 글리세린의 구조 단위는 3 OH 그룹 몰당량을 가지는데 반해, n-데칸올의 구조 단위는 1 OH 그룹 몰당량을 가진다:
Figure pat00005
3 OH 그룹 몰당량 1 OH 그룹 몰당량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하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매; 충전제; 안료, 예컨대 이산화티탄, 마이카, 탄산칼슘, 실리카, 산화아연, 분쇄 유리, 알루미늄 삼수화물, 탈크, 삼산화안티몬, 비산회 및 클레이; 폴리머 캡슐화 안료, 예컨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또는 리소폰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캡슐화 또는 부분 캡슐화된 불투명 안료 입자; 이산화티탄과 같은 안료 표면에 흡착 또는 결합되는 폴리머 또는 폴리머 에멀젼; 하나 이상의 공극을 갖는 안료를 비롯한 중공 안료; 분산제, 예컨대 아미노알콜 및 폴리카복실레이트; 계면활성제; 소포제; 보존제, 예컨대 살생물제, 방미제, 살진균제, 살조제 및 이들의 조합; 유동제; 레벨링제; 및 추가의 중화제, 예컨대 하이드록사이드, 아민, 암모니아 및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코팅 조성물은 i) 직경이 100 nm 내지 500 nm 범위이고 굴절율이 적어도 1.8인 불투명 안료 입자, 예컨대 이산화티탄 입자; ii) 캡슐화 폴리머 및 iii) 불투명 안료 입자 및 폴리머를 캡슐화하기 위한 폴리머 분산제를 포함하는 폴리머-캡슐화 불투명 안료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캡슐화 불투명 안료 입자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개 제US 2010/0298483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예로, 코팅 조성물은 WO 2007/112503A1를 포함할 수 있는 폴리머-캡슐화 불투명 안료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설명만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지 않는다.
비교 실시예 1 및 2 및 실시예 1 내지 5는 모두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Mw 82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캡핑 시약으로 n-데칸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HEUR을 예시한다. 트리올 에틸렌 옥사이드(EO)의 길이는 0 내지 200 EO 단위로 다양하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각각에서 비는 OH 및 NCO 그룹 당량을 기초로 0.75 PEG/0.15 트리올/1.1 디이소시아네이트//0.25 캡핑제이다.
비교 실시예 1 - EO 단위를 갖지 않는 트리올로부터의 HEUR
CARBOWAXTM 8000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g Mw = 8200, 18.29 mmol, 36.58 OH mmol 당량), 1,1,1-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 (0.33 g, 2.46 mmol, 7.39 OH mmol 당량) 및 톨루엔 (400.0 g)의 혼합물을 2 시간동안 공비 증류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90 ℃로 냉각하면서 HDI (4.51 g, 26.84 mmol, 52.69 NCO mmol 당량) 및 비스무스 옥토에이트 용액 (0.16 g, 28 중량%)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n-데칸올 (1.93 g, 12.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동안 80 ℃로 유지하였다. 톨루엔을 진공중에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 폴리머를 분리하였다.
비교 실시예 2 및 실시예 1 내지 5의 절차는 트리올 종류가 상이한 것만을 제외하고, 비교 실시예 1의 절차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표 1은 사용한 트리올 및 그의 해당 분자량과, EO 길이에 대한 ICI 및 ICI/KU 점도 비의 효과를 예시한다. 1,1,1-THMP는 1,1,1-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을 의미한다.
증점제 성능:
회합 증점제를 사용하여 얻은 성능을 라텍스 페인트 조성물에서 입증하였다. Pre-페인트 #1은 하기 성분들을 차례로 조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Figure pat00006
RHOPLEXTM VSR-2015 바인더는 VERSAIRTM 기술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TAMOLTM, RHOPLEXTM 및 VERSAIR은 모두 다우 케미칼 컴퍼니사(Dow Chemical Company) 또는 그의 제휴사의 상표임). 배합 페인트는 Pre-페인트 #1 (905.4 g)에 증점제 및 물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여 얻었다 (배합 중량 158.9 g). 교반을 10 분동안 계속하였다. 완전 배합된 페인트의 밀도는 1064 lb/100 gal (1.3 Kg/L)이었다. 완전 배합된 페인트의 pH 값은 8.5 내지 9.0 범위였다.
이하 데이터에서, 페인트내 증점제 농도는 수성 증점제 조성물이 페인트에 혼합되더라도, 첨가된 증점제의 건조 그램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20% 활성 고체 증점제 용액 25 g을 첨가하여 페인트에서 증점제 5 g (건조)을 제공할 수 있다. 실온에서 24-시간 평형화 후, 점도값을 측정하기 전에 증점 페인트를 실험실용 믹서에서 1 분간 교반하였다.
KU 점도는 크렙스(Krebs) 점도계로 측정된 중전단 점도의 척도이다. 크렙스 점도계는 ASTM-D562에 준한 회전 패들 점도계이다. KU 점도는 브룩필드 엔지니어링 랩스사(Brookfield Engineering Labs)(Middleboro, MA, USA) 제품인 브룩필드 크렙스 유닛 점도계 KU-1+에서 측정되었다. KU는 크렙스 단위를 의미한다.
ICI 점도는 ASTM D4287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고전단 속도, 콘 및 플레이트 점도계[ICI 점도계로서 알려져 있음]로 측정된 포아즈 단위의 점도이다. 점도계는 페인트 점도를 약 10,000 sec-1에서 측정한다. 페인트의 ICI 점도는 리서치 이큅먼트 런던 엘티디사(Research Equipment London, Ltd)(London, UK) 제품의 점도계에서 측정되었다. ICI 점도계와 동등한 것으로는 엘코미터 인코포레이티사(Elcometer, Incorporated)(Rochester Hills, MI, USA) 제품인 Elcometer 2205이 있다. 페인트의 ICI 점도는 전형적으로 페인트를 브러시로 도포하는 동안 겪게 되는 견인력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다.
Figure pat00007
표 1은 ICI 점도 및 ICI/KU에 미치는 트리올 EO 길이의 놀라운 효과를 나타낸다: 데이터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I 값은 유리하게는 KU 점도 증가의 수반없이 증가한다.
비교 실시예 3 및 실시예 6에서는, n-노난올이 캡핑제로 사용되었다. 비교 실시예 3에서는 Poe(26) 글리세린이 트리올로 사용되었고, 실시예 6에서는 Poe(200) 글리세린이 트리올로 사용되었다.
비교 실시예 3 - n -노난올 캡핑 시약으로 26개의 EO 단위를 갖는 트리올로부터의 HEUR
CARBOWAXTM 8000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 g Mw = 8200), Poe(26) 글리세린(4.02 g) 및 톨루엔 (400.0 g)의 혼합물을 2 시간동안 공비 증류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90 ℃로 냉각하면서 HDI (6.01 g) 및 비스무스 옥토에이트 용액 (0.21 g, 28 중량%)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n-노난올 (2.35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동안 80 ℃로 유지하였다. 톨루엔을 진공중에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 폴리머를 분리하였다. Pre-페인트 #1에서 배합 후, KU는 73이고; ICI는 1.20이며; 100*ICI/KU는 1.6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6 - n -노난올 캡핑 시약으로 200개의 EO 단위를 갖는 트리올로부터의 HEUR
CARBOWAXTM 8000 폴리에틸렌 글리콜 (120.0 g Mw = 8200), Poe(200) 글리세린(16.84 g) 및 톨루엔 (400.0 g)의 혼합물을 2 시간동안 공비 증류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90 ℃로 냉각하면서 HDI (3.61 g) 및 비스무스 옥토에이트 용액 (0.16 g, 28 중량%)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n-노난올 (1.41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동안 80 ℃로 유지하였다. 톨루엔을 진공중에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 폴리머를 분리하였다. Pre-페인트 #1에서 배합 후, KU는 83이고; ICI는 1.55이며; 100*ICI/KU는 1.87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 - HDMI 및 n -헥산올을 사용한 HEUR의 제조
CARBOWAXTM 8000 폴리에틸렌 글리콜 (120.0 g Mw = 8200), Poe(200) 글리세린(16.84 g) 및 톨루엔 (400.0 g)의 혼합물을 2 시간동안 공비 증류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90 ℃로 냉각하면서 4,4'-메틸렌비스(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HDMI, 5.62 g) 및 비스무스 옥토에이트 용액 (0.16 g, 28 중량%)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n-헥산올 (1.00 g)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동안 80 ℃로 유지하였다. 톨루엔을 진공중에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 폴리머를 분리하였다. Pre-페인트 #1에서 배합 후, KU는 107이고; ICI는 1.90이며; 100*ICI/KU는 1.77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8 - IPDI 및 n -노난올을 사용한 HEUR의 제조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4.77 g)를 사용하고, 캡핑 시약으로 n-노난올 (1.41 g)을 사용하는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실시예 7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폴리머를 제조하였다. Pre-페인트 #1에서 배합 후, KU는 115이고; ICI는 2.30이며; 100*ICI/KU는 2.0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1)

  1. a)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12000 달톤 범위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50 내지 250개의 반복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폴리올을 반응 조건하에서 함께 접촉시켜 잔여 NCO 그룹을 함유하는 중간체 폴리머를 형성한 후;
    b) 상기 중간체 폴리머를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6-C14 알칸올 또는 C10-C16-(OX)n-OH[여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CH2CH2 또는 CH2CH(CH3)임] 알콕실화 알콜인 캡핑제와 반응시켜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OH 그룹 몰당량비는 3:1 내지 12:1 범위이며; 단계 a)에서 NCO 대 OH 몰당량비는 1:0.70 내지 1:0.95 범위이고; 캡핑제는 단계 a)로부터의 잔여 NCO 그룹에 대해 화학양론적 양 또는 이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되며; 알콕실화 폴리올은 알콕실화 트리올 또는 테트라올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알콕실화 폴리올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올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9000 달톤 범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알콕실화 폴리올이 60 내지 220개의 반복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 트리올인 방법.
  4.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알콕실화 폴리올이 90 내지 200개의 반복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 트리올이고, 단계 a)에서 NCO 대 OH 그룹 몰당량비가 1:0.80 내지 1:0.90 범위인 방법.
  5. 제 1 항 내지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OH 그룹 몰당량 비가 4:1 내지 7:1이고; 알콕실화 폴리올이 120 내지 180개의 반복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 트리올인 방법.
  6. 제 1 항 내지 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캡핑제가 n-헥산올, n-노난올, 또는 n--데칸올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7. a)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12000 달톤 범위인 폴리알킬렌 글리콜;
    b)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c) 50 내지 250개의 반복 알킬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폴리올; 및
    d)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6-C14 알칸올 또는 C10-C16-(OX)n-OH 알콕실화 알콜인 캡핑제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각 X는 독립적으로 CH2CH2 또는 CH2CH(CH3)이고; 폴리알킬렌 글리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비는 3:1 내지 12:1 범위이며; 캡핑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은 0.4 내지 6.5 범위이고, 알콕실화 폴리올은 알콕실화 트리올 또는 테트라올인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8. 제 7 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9000 달톤 범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알콕실화 폴리올이 60 내지 220개의 반복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트리올이며; 캡핑제가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6-C14-알칸올인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9. 제 7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비가 4:1 내지 7:1 범위이고; 알콕실화 폴리올이 90 내지 200개의 반복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트리올이며; 캡핑제 대 알콕실화 폴리올의 구조 단위의 OH 그룹 몰당량이 0.6 내지 2.0 범위인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10. 제 7 항 내지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알콕실화 폴리올이 120 내지 180개의 반복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콕실화 트리올이고;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캡핑제가 n-헥산올, n-노난올 또는 n--데칸올, 또는 이들의 조합인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11. 제 7 항 내지 10 항중 어느 한항의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라텍스 바인더 및 이산화티탄 또는 캡슐화 또는 부분 캡슐화된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KR1020120064484A 2011-06-17 2012-06-15 점도 프로파일이 개선된,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KR101429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98135P 2011-06-17 2011-06-17
US61/498,135 2011-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599A true KR20120139599A (ko) 2012-12-27
KR101429945B1 KR101429945B1 (ko) 2014-08-13

Family

ID=4629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484A KR101429945B1 (ko) 2011-06-17 2012-06-15 점도 프로파일이 개선된,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322936A1 (ko)
EP (1) EP2535363B1 (ko)
JP (1) JP2013001905A (ko)
KR (1) KR101429945B1 (ko)
CN (1) CN102887987B (ko)
AU (1) AU2012203191B2 (ko)
CA (1) CA2778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5669B2 (ja) * 2012-06-26 2017-05-31 旭硝子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剤、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塗膜およびフィルム
CN106349451B (zh) * 2015-07-14 2020-11-13 罗门哈斯公司 用于制备疏水改性环氧烷氨基甲酸酯聚合物的方法
CA2940734C (en) 2015-09-17 2023-09-26 Rohm And Haas Company Pigmented paint formulation with a phosphorus acid functionalized latex binder and an associative thickener
CA2948961C (en) 2015-12-28 2023-12-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ether-urethane-urea additives for block resistance and open time
EP3481880B1 (en) * 2016-07-05 2023-07-12 Rohm and Haas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polyether-urethane-urea additives for block resistance and open time
CN106632946B (zh) * 2017-01-03 2019-07-16 华南理工大学 以二异氰酸酯为核的低黏度端羟基树脂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4127080A4 (en) * 2020-03-31 2023-12-13 Clariant International Ltd HYDROPHOBIC MODIFIED POLYURETHANE THICKEN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892A (en) * 1975-10-03 1979-05-22 Rohm And Haas Company Polyurethane thickeners for aqueous compositions
US4079028A (en) * 1975-10-03 1978-03-14 Rohm And Haas Company Polyurethane thickeners in latex compositions
KR100404774B1 (ko) * 1995-09-06 2004-04-01 아사히 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성조정제
DE19643802A1 (de) * 1996-10-30 1998-05-07 Herberts Gmbh Wäßrige Bindemitteldispersion für physikalisch trocknende Überzugsmittel und deren Verwendung
DE10111792A1 (de) * 2001-03-12 2002-09-26 Borchers Gmbh Neue Polyurethane und ihre Verwendung zur Verdickung wässriger Systeme
EP1541643B1 (en) * 2003-12-10 2013-03-13 Rohm And Haas Company Nonionic associative thickener containing condensation polymer backbone
US7432325B2 (en) * 2004-11-15 2008-10-07 Rohm And Haas Company Nonionic associative thickener containing condensation polymer backbone
AU2007233579A1 (en) 2006-04-03 2007-10-11 The University Of Sydney Polymer product and interfacial polymerisation process using RAFT agent
EP2253677B1 (en) 2009-05-19 2017-01-25 Rohm and Haas Company Opacifying pigment p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01905A (ja) 2013-01-07
CN102887987B (zh) 2014-10-29
EP2535363A2 (en) 2012-12-19
US20120322936A1 (en) 2012-12-20
CA2778023A1 (en) 2012-12-17
AU2012203191B2 (en) 2014-05-22
KR101429945B1 (ko) 2014-08-13
EP2535363A3 (en) 2013-06-05
AU2012203191A1 (en) 2013-01-10
CN102887987A (zh) 2013-01-23
EP2535363B1 (en)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945B1 (ko) 점도 프로파일이 개선된,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KR101422541B1 (ko)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킬렌 옥사이드 우레탄 폴리머
JP5542897B2 (ja) レオロジー調整剤
JP5813431B2 (ja) レオロジー調節剤
KR101509146B1 (ko) 디벤질아민 소수성분
KR101972185B1 (ko) 시클로헥실올 알킬을 함유하는 비이온성 회합성 증점제, 이를 함유하는 제제 및 이들의 용도
KR101517468B1 (ko) 벤질아민 소수성분
AU2016200842B2 (en) Acid suppressible rheology modifier stabilized with phosphoric acid ester surfactant
CA2940732C (en) Pigmented paint formulation with a phosphorus acid functionalized latex binder and an associative thickener
JP6939699B2 (ja) 土木建築用コーティング樹脂組成物、硬化物、土木建築構造物、及び土木建築構造物のコーティ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