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760A -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760A
KR20120138760A KR1020127023768A KR20127023768A KR20120138760A KR 20120138760 A KR20120138760 A KR 20120138760A KR 1020127023768 A KR1020127023768 A KR 1020127023768A KR 20127023768 A KR20127023768 A KR 20127023768A KR 20120138760 A KR20120138760 A KR 20120138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vel
signals
power
value
in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2917B1 (ko
Inventor
희춘 이
샤라드 디파크 삼브와니
웨슬리 에이. 샘슨
해리스 에스. 시몬
비제이 케이. 첼라파
단루 장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3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듀얼 수신 채널들 상에서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고 듀얼 송신 채널들 상에서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 안테나로부터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고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운반하도록 안테나에 커플링된 트랜시버;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최대 공칭 전력 레벨이 제 1 전력 레벨이 되도록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도록 트랜시버에 커플링된 전력 제어기; 및 인바운드 신호들 중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면,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최대 공칭 전력 레벨이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력 레벨이도록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전력 제어기가 제어하게 하도록 트랜시버 및 안테나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 2 전력 레벨은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다.

Description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HIGH SPEED PACKET ACCESS(HSPA) NETWORKS}
35 U.S.C.§119 하의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 with Dual Uplink Transmissions in HSPA" 이고 2010년 2월 11일자로 출원된 가출원 제 61/303,588호; 및 발명의 명칭이 "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 with Dual Uplink Transmissions in HSPA" 이고 2010년 2월 12일자로 출원된 가출원 제 61/304,23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양자는 본 특허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그에 의해 여기에 인용으로서 명백히 포함된다.
본 발명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네트워크들에서의 듀얼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전화통신,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그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그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이다. UTRAN은,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즉,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의 일부로서 정의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이다. 모바일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기술들에 대한 후계자(successor)인 UMTS는 광대역-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시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CDMA), 및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와 같은 다양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현재 지원한다. UMTS는, 관련 UMTS 네트워크들에게 더 높은 데이터 전달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고속 패킷 액세스(HSPA)와 같은 향상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또한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다중-입력-신호-출력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송신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공간 채널들로서 또한 지칭되는 NS개의 독립적인 채널들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NS≤min{NT,NR}이다. NS개의 독립적인 채널들 각각은 차원에 대응한다. MIMO 시스템은,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부가적인 차원수(dimensionality)들이 이용되면,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큰 신뢰도)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회로-교환(흔히 일정한 비트-레이트임) 서비스들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 교환 서비스들로의 현저한 시프트가 가까운 미래에 기대되기 때문에, UMTS는 패킷 교환 서비스들을 더 효율적으로 지원하도록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당 전용 리소스 할당에 기초한 UMTS 릴리즈99는 IP 패킷 데이터 트래픽에 매우 적합하지는 않다. 따라서, UMTS에 대한 새로운 특성들을 제공하고 IP-기반 서비스들에 대한 엔드-투-엔드 서비스 프로비져닝(provisioning)에서 향상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고속 패킷 액세스(HSPA)로서 지칭되는 기술이 도입되었다.
HSPA는 2개의 모바일 전화통신 프로토콜들, 즉,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로 구성된다. HSDPA는 UMTS에 기초한 네트워크들이 증가된 다운링크 전달 속도들 및 용량을 갖게 한다. HSUPA는, 증가된 업링크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기술 개선이다. 듀얼-셀 HSUPA(DC-HSUPA)는 업링크에서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에 의한 HSPA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이다. 이러한 멀티캐리어 특성의 기본적인 개념은, 업링크 캐리어들에 걸친 조인트(joint) 리소스 할당 및 로딩 밸런싱에 의해 더 양호한 리소스 이용 및 스펙트럼 효율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DC-HSUPA에서, 업링크에서의 증가된 대역폭으로 인해, DC-HSDPA 수신의 보호를 보조하기 위해 단일 업링크 송신과 비교하여 더 큰 주파수 분리도가 송신 및 수신 주파수들 사이에서 사용된다. 송신과 수신 주파수들 사이에서 충분한 분리도를 갖지 않는 그들 대역들에 대해, UE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의 누설은 UE의 수신 체인에서 신호들의 수신에 영향을 주며, 수신 신호-대-잡음비(SNR)의 열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은, DC-HSUPA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이 UE에서 DC-HSDPA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방해할 경우 2차 업링크 주파수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단일 업링크 주파수 동작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그러나, 2차 업링크 주파수의 비활성화는 그것이 네트워크 동작인 것처럼 UE의 제어가 미치지 않는다.
설명된 특성들은 일반적으로, HSPA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전력 제어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개선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듀얼 수신 채널들 상에서 인바운드(inbound)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듀얼 송신 채널들 상에서 아웃바운드(outbound)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안테나에 커플링되며, 안테나로부터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안테나로 운반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트랜시버에 커플링되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최대 공칭 전력 레벨이 제 1 전력 레벨이도록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력 제어기; 및 트랜시버 및 안테나에 커플링되며, 인바운드 신호들 중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면 - 제 2 전력 레벨은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음 -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최대 공칭 전력 레벨이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제 2 전력 레벨이도록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전력 제어기가 제어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프로세서로 하여금,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게 하고;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고;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동안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공칭 최대 전력 레벨이 제 1 전력 레벨이도록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게 하며; 그리고,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값 미만인 동안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공칭 최대 전력 레벨이 제 2 전력 레벨이도록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게 하도록 - 제 2 전력 레벨은 제 1 전력 레벨보다 더 낮음 - 구성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듀얼 수신 채널들 상에서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고 듀얼 송신 채널들 상에서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안테나에 커플링되며, 안테나로부터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고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안테나에 운반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트랜시버에 커플링되며,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동안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공칭 전력 레벨이 제 1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보장하고, 그리고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값 미만인 동안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공칭 전력 레벨이 제 2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도록 - 제 2 전력 레벨은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음 - 구성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인바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인바운드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동안 아웃바운드 신호들이 제 1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송신되는 것을 보장하는 단계; 및 인바운드 신호들 중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면 아웃바운드 신호들이 제 2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송신되는 것을 보장하는 단계 - 제 2 전력 레벨은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음 - 를 포함하는, 신호들을 송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듀얼 수신 채널들 상에서 인바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인바운드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동안 아웃바운드 신호들이 제 1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송신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 및 인바운드 신호들 중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면 아웃바운드 신호들이 제 2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송신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 - 제 2 전력 레벨은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음 -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적용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들, 및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특정한 예들은, 선호되는 실시형태들을 표시하면서,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
기재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특성들, 목적들, 및 이점들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질 때 아래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전반에 걸쳐 대응적으로 식별한다.
도 1은, HSPA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전력 제어의 다양한 양상들이 구현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UE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송신기의 구조들을 통한 신호들의 기능 블록 흐름도이다.
도 4는 여기에 기재된 전력 제어 접근법의 일 양상에 따른 듀얼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전력 제어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여기에 기재된 전력 제어 접근법의 일 양상에 따른 전력 제어 프로세스를 UE가 적용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전력 제어 검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여기에 기재된 전력 제어 접근법의 일 양상에 따른 전력 제어 프로세스를 UE가 적용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전력 제어 검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재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여기에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구성들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한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몇몇 예시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노드 B들(110, 111, 및 114)에 커플링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들(141 내지 144)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노드 B들(110, 111, 114)은 대응하는 무선 접속들(155, 167, 182, 192, 193, 194)을 통해 UE(123 내지 127)와 통신한다. 통신 채널은 노드 B들(110, 111, 114)로부터 UE들(123 내지 127)로의 송신들을 위한 다운링크로서 또한 알려진 순방향 링크(FL), 및 UE들(123 내지 127)로부터 노드 B(110, 111, 114)로의 송신들을 위한 업링크로서 또한 알려진 역방향 링크(RL)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141 내지 14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노드 B들에 대하 제어 기능들을 제공한다. RNC들(141 내지 144)은, 각각, 모바일 스위칭 센터들(MSC) 또는 패킷 데이터 서버 노드들(PDSN)(151, 152)을 통해 공용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또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PSN)(148)에 커플링된다. PSTN 및 PSN은 RNC들(141 내지 144)에 대해 제공하기 위한 단지 동일한 엔티티로서 도 1에 일반적으로 도시되고, RNC들(141 내지 144)은 임의의 것(미도시)을 통해 (148)에 커플링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141 내지 144) 및 패킷 데이터 서버 노드와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데이터 교환은 임의의 수의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비동기식 전달 모드(ATM) 프로토콜, T1, E1, 프레임 지연, 또는 다른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UE 디바이스(123 내지 127)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에 라우팅된다. 수신기는 신호를 필터링, 증폭, 직교 복조, 및 양자화한다. 디지털화된 신호는 복조기(DEMOD)에 제공되며, 여기서, 디지털화된 신호는 짧은 PNI 및 PNQ 코드들로 역확산되고 왈시 커버로 디커버링된다. 복조된 데이터는, 노드 B들(110, 111, 114)에서 행해진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의 역(inverse), 상세하게는 디-인터리빙, 디코딩, 및 CRC 체크 기능들을 수행하는 디코더에 제공된다. 디코딩된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에 제공된다.
도 2는 UE 디바이스들(123 내지 127)과 같은 UE 디바이스들의 일 실시형태인 UE 디바이스(200)를 도시한다. UE 디바이스(200)는 전력 증폭기(PA)(108)를 포함한 송신 회로(164), 수신 회로(109), 전력 제어기(107), 디코드 프로세서(158), 신호들을 프로세싱할 시의 사용을 위한 프로세싱 유닛(103), 및 메모리(116)를 포함한다. UE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데이터 버스에 부가하여,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도 있는 버스 시스템(130)에 의해 함께 커플링된다. 명확화를 위해, 다양한 버스들이 버스 시스템(130)으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송신 회로(164) 및 수신 회로(109)는, 각각, UE 디바이스(200)와 또 다른 UE 디바이스 또는 노드 B와 같은 또 다른 무선 노드 사이의 오디오 또는 데이터 통신들과 같은 정보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한다. 송신 회로(164) 및 수신 회로(109)는 안테나(118)에 커플링된다. 안테나(118), 수신 회로(109), 및 프로세싱 유닛(103)은 DC-HSDPA 신호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고, 안테나(118), 송신 회로(164), 및 프로세싱 유닛(103)은 DC-HSUPA 신호들을 프로세싱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W-CDMA에서, 패킷들이 별개로 송신되며, 전달 포맷 조합들(TFC)은 패킷들을 송신할 경우 PA(108)에 대한 전력 제어를 정의한다. PA(108)의 출력 전력 레벨은 최대 통신 디바이스 송신 전력 제한 또는 최대 송신 전력 제한(MTPL), 즉, PA(108)가 특정된 또는 타겟팅된 인접 채널 누설 비율(ACLR) 요건들을 충족하면서 기준 송신기 구성을 이용하여 생성된 파형을 지원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레벨을 초과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W-CDMA에서, MTPL은 UE 전력 클래스에 기초하며, 여기서, 하나의 그러한 클래스는 24dBm의 MTPL를 갖는다. MTPL는 PMAX로서 또한 지칭된다. PA(018)의 출력 전력 레벨이 MTPL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필요에 따라 PA(108)에 진입하는 입력 파형을 스캐일링(scale)하거나 PA(108) 자체에서의 이득 레벨들을 변경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특정한 제한 내에서 전력 증폭기의 ACLR 레벨들을 유지하는 것은, 입력 파형 전력 레벨 변화들이 비선형 왜곡을 회피하기 위해(예를 들어, 3차 상호변조 생성물들을 회피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전력 증폭기의 선형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요구한다. 상이한 송신기 구성들로부터 생성된 상이한 송신 파형들은 PA(108)의 상이한 양들의 선형성 또는 선형 헤드룸을 요구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싱 유닛(103)은, 전력 제어를 포함하는 UE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동작 양상들을 관리한다. 프로세싱 유닛(103)은 CPU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판독-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는 메모리(116)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프로세싱 유닛(103)에 제공한다. 메모리(116)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UE 디바이스들(123 내지 127)과 같은 UE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송신기 구조 및/또는 프로세스(3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기능들 및 컴포넌트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기능들은 도 3에 도시된 기능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데이터 소스(302)는 데이터(d(t) 또는 302a)를 프레임 품질 표시자(FQI)/인코더(304)에 제공한다. FQI/인코더(304)는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CRC)와 같은 FQI를 데이터 d(t)에 추가할 수도 있다. FQI/인코더(304)는 인코딩된 심볼들(304a)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코딩 방식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및 FQI를 추가적으로 인코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코딩 방식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입들의 코딩, 예를 들어, 콘볼루션 코딩, 터보 코딩, 블록 코딩, 반복 코딩, 다른 타입들의 코딩, 또는 전혀 코딩없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코딩 방식들은 자동 반복 요청(ARQ), 하이브리드 ARQ(H-ARQ), 및 증분 리던던시 반복 기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타입들의 데이터가 상이한 코딩 방식들을 이용하여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인터리버(306)는 페이딩에 대처하기 위해 시간에 있어서 인코딩된 데이터 심볼들(306a)을 인터리빙하고, 심볼들(306a)을 생성한다. 신호의 인터리빙된 심볼들(306a)은 프레임(308a)을 생성하기 위해 프레임 포맷 블록(308)에 의하여 사전-정의된 프레임 포맷으로 매핑될 수도 있다. 프레임 포맷은 복수의 서브-세그먼트들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프레임을 특정할 수도 있다. 서브-세그먼트들은 주어진 차원,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코드, 또는 임의의 다른 차원을 따른 프레임의 임의의 연속하는 부분들일 수도 있다. 프레임은 고정된 복수의 그러한 서브-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서브-세그먼트는 프레임에 할당된 총 수의 심볼들의 일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W-CDMA 표준에 따르면, 서브-세그먼트는 슬롯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cdma2000 표준에 따르면, 서브-세그먼트는 전력 제어 그룹(PCG)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인터리빙된 심볼들(306a)은 프레임(308a)을 구성하는 복수(S)의 서브-세그먼트들로 세그먼트화된다.
프레임 포맷은, 예를 들어, 인터리빙된 심볼들(306a)과 함께 제어 심볼들(미도시)의 포함을 추가적으로 특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제어 심볼들은, 예를 들어, 전력 제어 심볼들, 프레임 포맷 정보 심볼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변조기(310)는 변조된 데이터(310a)를 생성하기 위해 프레임(308a)을 변조한다. 변조 기술들의 예들은 바이너리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및 직교위상 시프트 키잉(QPSK)을 포함한다. 또한, 변조기(310)는 변조된 데이터의 시퀀스를 반복할 수도 있다.
기저대역-투-무선-주파수(RF) 변환 블록(312)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노드 B 스테이션 수신기들로의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한 신호(316)로서 안테나(314)를 통해 송신하기 위하여 RF 신호들로 변조된 신호(310a)를 변환할 수도 있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은, 멀티-안테나 기술, 즉, 다중 송신 안테나들(채널로의 다중 입력들) 및 다중 수신 안테나들(채널로부터의 다중 출력들)을 지칭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MIMO 시스템들은, 다중 경로 페이딩을 감소시키고 송신 품질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이버시티 이득들 및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간 멀티플렉싱 이득들을 가능하게 하여, 데이터 송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안테나들이 송신 및 수신 다이버시티 모두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상이한 데이터의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 UE로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UE들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이것은,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하고 그 후, 다운링크 상에서 상이한 송신 안테나를 통해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상이한 공간 서명들을 가지고 UE(들)에 도달하며, 그 공간 서명들은 UE(들)의 각각이 그 UE에 예정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원할 수 있게 한다. 업링크 상에서, 각각의 UE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는 노드 B가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공간 멀티플렉싱은 채널 조건들이 양호할 경우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조건들이 덜 적합할 경우, 빔포밍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방향들에서 송신 에너지를 포커싱(focus)하거나 채널의 특성에 기초하여 송신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을 위해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 양호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스트림 빔포밍 송신이 송신 다이버시티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103)은, 안테나(118)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 예를 들어, 안테나(310)에 의해 송신된 신호(316)의 전력 레벨에 영향을 주도록 전력 제어기(107)에게 명령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접근법의 일 양상에서, 프로세싱 유닛(103)은 부가적인 최대 전력 감소(A-MPR)를 선택적으로 구현/시행함으로써 UE 디바이스의 최대 전력 감소(MPR)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공칭 최대 출력 전력은 규격 3GPP TS 25.101의 UE 전력 클래스들에 의해 정의된다. DC-HSUPA에 대해, 공칭 송신 전력은 UE 디바이스에서의 각각의 캐리어의 브로드밴드 송신 전력의 합에 의해 정의된다. 채널화 코드들의 전력에 관련된 파형에 관해, UE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MPR에 의해 공칭 최대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허용된다. 예를 들어, MPR이 1.5dB일 수도 있어서, 23dBm의 수용가능한 전력 및 1.5dB의 MPR에 대해 최대 전력이 21.5dBm일 것이다. A-MPR은 파형에 의해 결정된 MPR 외에 부가적으로 허용된 MPR이다. 따라서, 본 예를 계속하면, A-MPR이 3dB일 경우, 인보킹(invoke)된 A-MPR을 갖는 최대 전력은 18.5dBm일 것이다.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UE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최대 전력에서의 감소는 MPR 플러스 A-MPR보다 작을 수도 있다. 감소는, 예를 들어, 최근에 수신된 HSDPA 신호 또는 신호들의 신호-대-잡음비(SNR) 및/또는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에 의존할 수도 있다.
최대 UE 디바이스 송신 전력 및 대응하는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 코드 전력의 비율인 UE 송신 전력 헤드룸(UPH)은,
Figure pct00001
에 의해 주어지며, 여기서, Pmax,tx는 UE 디바이스 최대 송신 전력이고, PDPCCH는 DPCCH 상의 송신된 코드 전력이다. 전력 제어의 일 양상에서, Pmax,tx는,
Figure pct00002
에 의해 주어지며, 여기서, 최대 허용된 UL TX 전력은 UTRAN에 의해 셋팅되고; Pmax는 UE 디바이스 전력 클래스에 따른 UE 디바이스 공칭 최대 출력 전력이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싱 유닛(103)은 DC-HSUP에서 A-MPR(파형에 의해 결정된 MPR 외에 부가적인 MPR)의 적용가능성을 결정 및 구현한다. A-MPR에 따라 전력 제어기(107)에 명령함으로써, DC-HSDPA 신호들의 수용가능한 수신을 보장하는 것을 도우면서 듀얼 업링크 송신을 이용하기 위해 Rx 주파수로의 Tx 누설의 양이 감소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03)은 A-MPR을 적용하기 위한 2개의 옵션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이 특정한 임계치 미만이면, 프로세싱 유닛(103)은 전력 제어기(107)가 A-MPR을 적용하게 할 수 있다. 둘째로, 프로세싱 유닛은 전력 제어기(107)가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과 관계없이 A-MPR을 적용하게 할 수 있다. 이들 경우들 중 어느 경우에서든, UE 디바이스가 Rx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면, UE 디바이스가 Rx 다이버시티없이 동작하고 있을 경우, 프로세싱 유닛(107)은 전력 제어기(107)가 A-MPR을 적용하게 할 수도 있다. UE 디바이스에서의 A-MPR의 적용은 Pmax의 계산에 반영될 것이며, 이는 UPH 및 향상된 업링크 전달 포맷 결합(E-TFC)들에 대해 사용되고, UE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에 이용가능한 전력을 노드 B에 표시한다. UE 공칭 최대 출력 전력 레벨 Pmax는 A-MPR의 양만큼 백오프(back off)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듀얼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전력 제어 접근법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다양한 방법들을 도시한다. 설명의 간략화의 목적들을 위해 방법들이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몇몇 동작들이 여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동작과 상이한 순서들로 및/또는 그 동작과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청구된 요지가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 및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들은, 방법이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 및 인식할 것이다. 또한, 도시된 모든 동작들이 청구된 요지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는데 요구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아래에 기재되고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된 방법들이 그러한 방법들을 컴퓨터들로 전달 및 전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조 물품 상에 저장될 수 있음을 추가적으로 인식해야 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조 물품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들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듀얼 업링크 송신을 위한 전력 제어 프로세스(400)가 도시된다. 전력 제어 프로세스(400)는,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이 특정한 임계치 미만일 경우 UE 디바이스에 의한 A-MPR의 사용을 허용한다.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A-MPR을 적용함으로써, DC-HSDPA의 수신이 듀얼 업링크 송신을 이용하더라도 보장될 수도 있도록 Rx 주파수로의 Tx 누설의 양이 제한될 수도 있다.
UE 디바이스가 Rx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402)에서, UE 디바이스가 Rx 다이버시티를 현재 이용하고 있는지가 결정된다. 전력 제어기는, UE 디바이스가 Rx 다이버시티없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 A-MPR을 적용하도록 허용될 것이다.
(404)에서, UE 디바이스는, 인바운드 DC-HSDPA 신호를 수신할 시에,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이 특정한 임계치 미만인지를 결정할 것이다. 기재된 접근법의 일 양상에서, 임계치는 수신된 신호의 SNR 또는 SINR에 또한 기초할 수도 있다.
(406)에서, UE는,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동안 아웃바운드 DC-HSUPA 신호들이 제 1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송신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제 1 전력 레벨은 MPR에 기초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UE는, 인바운드 신호들 중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면, 아웃바운드 DC-HSUPA 신호들이 제 2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송신된다는 것을 보장할 것이며, 여기서, 제 2 전력 레벨은 제 1 전력 레벨보다 작다. 일 양상에서, 제 1 및 제 2 전력 레벨들과 같은 상이한 전력 레벨들 사이에서 변하기 위해, UE는 A-MPR을 적용할 것이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UE 디바이스에서의 A-MPR의 적용은 Pmax의 계산에 반영될 것이다.
(408)에서, UE 공칭 최대 출력 전력 레벨 Pmax는 A-MPR의 양만큼 백오프될 것이다. Pmax는 UPH 및 E-TFC들에 대해 사용될 것이며, UE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에 이용가능한 전력을 노드 B에 표시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듀얼 업링크 송신을 위한 전력 제어 검출 프로세스(500)가 도시된다. 전력 제어 검출 프로세스(500)는,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이 특정한 임계치 미만일 경우 UE 디바이스에 의한 A-MPR의 사용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검출 접근법의 일 양상에서, 시뮬레이팅된 노드 B는 A-MPR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테스트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502)에서, DC-HSUPA에 대한 기준 측정 채널의 송신에 관하여, MPR의 양이 미리-결정된다. 따라서, UE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은, MPR의 양이 미리-결정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결정가능하다.
(504)에서, UE 디바이스는 그의 최대 전력 레벨로 기준 측정 채널 상에서 송신하도록 초래될 것이다. 기재된 접근법의 일 양상에서, 시뮬레이팅된 노드 B가 UE 디바이스에 연속적으로 전력 제어 UP 커맨드를 전송할 것이기 때문에, UE 디바이스는 그의 최대 전력 레벨로 송신할 것이다.
(506)에서, UE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신호의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결국 UE 디바이스는 그의 최대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것이다. A-MPR이 UE 디바이스에 의해 적용되고 있으면, 측정된 UE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은 (502)에서 결정된 최대 송신 전력보다 더 낮아야 한다.
따라서, UE 디바이스에서의 수신된 전력 레벨이 임계치 미만이면 A-MPR이 UE 디바이스에 의해 적용되는 경우에서, UE 디바이스에서의 수신된 신호의 전력은 감소될 것이며, 수신된 신호 전력이 임계값 미만이기 때문에 UE 디바이스가 A-MPR에 의해 최대 송신 전력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검증하도록 송신 전력이 측정될 수도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듀얼 업링크 송신을 위한 전력 제어 검출 프로세스(600)가 도시된다. 전력 제어 검출 프로세스(600)는, 수신된 신호 전력 레벨이 특정한 임계치 미만일 경우 UE 디바이스에 의한 A-MPR의 사용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검출 접근법의 일 양상에서, 시뮬레이팅된 노드 B가 A-MPR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테스트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602)에서, DC-HSUPA에 대한 기준 측정 채널의 송신에 관하여, MPR의 양이 미리-결정된다. 따라서, UE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은, MPR의 양이 미리-결정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결정가능하다.
(604)에서, UE 디바이스는 그의 최대 전력 레벨로 기준 측정 채널 상에서 송신하도록 초래될 것이다. 기재된 접근법의 일 양상에서, 시뮬레이팅된 노드 B가 UE 디바이스에 연속적으로 전력 제어 UP 커맨드를 전송할 것이기 때문에, UE 디바이스는 그의 최대 전력 레벨로 송신할 것이다.
(606)에서,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과 관계없이 A-MPR이 UE 디바이스에 의해 적용되는 경우에서, UE 디바이스 송신 전력 레벨은, 수신된 신호 전력과 관계없이 파형(기준 측정 채널) 및 UE 디바이스 전력 클래스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최대 송신 전력보다 더 작은 것으로 확인될 것이다.
여기에 기재된 전력 제어 검출 프로세스들의 일 양상에서, UE 디바이스에서 Rx 다이버시티 없이 그 결정이 수행된다. 전력 제어 검출을 위한 기재된 접근법의 또 다른 양상에서, UE 디바이스가 Rx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경우, 상술된 테스트들이 Rx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Rx 다이버시티 없는 테스트와는 달리, 최대 송신 전력이 MPR에 부가하여 감소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송신 전력이 측정된다.
원격통신 시스템의 수 개의 양상들은 W-CDMA 시스템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다른 원격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확장될 수도 있다.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서로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기술 및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일부,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설명 언어 등으로서 지칭되지는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 스레드,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일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k)),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가능 ROM(PROM), 소거가능한 P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PROM(EEPROM), 레지스터, 착탈형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예로서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캐리어 파, 송신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예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 내에,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상주할 수도 있거나,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예로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 내에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당업자들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제공되는 설명된 기능을 최상으로 구현할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기재된 방법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구조가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의 예시임을 이해할 것이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방법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구조가 재배열될 수도 있음을 이해한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샘플 순서로 제공하며, 여기에서 달리 특별히 언급되지 않으면 제공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구조로 제한되도록 의미되지는 않는다.
이전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에 설명된 양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언어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허여하려는 것이며, 여기서, 단수로의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달리 특별히 그렇게 나타내지 않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 를 의미하기보다는 오히려 "하나 또는 그 초과" 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그렇게 특별히 나타내지 않으면, "몇몇" 이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일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 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해서 그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b, 및 c 를 커버링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졌거나 추후에 알려지게 될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으로서 여기에 명백히 포함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어느 것도 그러한 본 발명이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되는지와는 관계없이 공용으로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어떤 청구항 엘리먼트도, 그 엘리먼트가 "하기 위한 수단" 이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서는 그 엘리먼트가 "하는 단계" 라는 어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으면, 35 U.S.C.§112 단락 6의 규정들 하에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30)

  1.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로서,
    듀얼 수신 채널들 상에서 인바운드(inbound) 신호들을 수신하고 듀얼 송신 채널들 상에서 아웃바운드(outbound)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커플링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안테나로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상기 트랜시버에 커플링되며,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최대 공칭 전력 레벨이 제 1 전력 레벨이 되도록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력 제어기; 및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안테나에 커플링되며,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중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최대 공칭 전력 레벨이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상기 제 2 전력 레벨이도록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상기 전력 제어기가 제어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및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은 DC-HSDPA 신호들이고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은 DC-HSUPA 신호들이고,
    상기 제 1 전력 레벨은 최대 전력 감소(MPR) 값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MPR 값 및 부가적인 최대 전력 감소(A-MPR) 값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제어기가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중 적어도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 또는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MPR 값 또는 A-MPR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UE 송신 전력 헤드룸(UPH) 값을 결정하고, 노드 B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UPH 값을 상기 트랜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7.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하고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듀얼 수신 채널들 상에서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게 하고;
    듀얼 송신 채널들 상에서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고;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동안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공칭 최대 전력 레벨이 제 1 전력 레벨이도록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상기 임계값 미만인 동안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공칭 최대 전력 레벨이 제 2 전력 레벨이도록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은 DC-HSDPA 신호들이고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은 DC-HSUPA 신호들이며,
    상기 제 1 전력 레벨은 최대 전력 감소(MPR) 값의 함수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MPR 값 및 부가적인 최대 전력 감소(A-MPR) 값의 함수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중 적어도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 또는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MPR 값 또는 A-MPR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UE 송신 전력 헤드룸(UPH) 값을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UPH 값의 표시를 노드 B에 전송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3.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로서,
    듀얼 수신 채널들 상에서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고 듀얼 송신 채널들 상에서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커플링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안테나로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상기 트랜시버에 커플링되며,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동안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공칭 전력 레벨이 제 1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보장하고,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값 미만인 동안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공칭 전력 레벨이 제 2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및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은 DC-HSDPA 신호들이고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은 DC-HSUPA 신호들이고,
    상기 제 1 전력 레벨은 최대 전력 감소(MPR) 값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MPR 값 및 부가적인 최대 전력 감소(A-MPR) 값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중 적어도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 또는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MPR 값 또는 A-MPR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UE 송신 전력 헤드룸(UPH) 값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UPH 값의 표시를 노드 B에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디바이스.
  19.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듀얼 수신 채널들 상에서 인바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바운드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동안 제 1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아웃바운드 신호들이 송신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중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면 제 2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이 송신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바운드 신호는 DC-HSDPA 신호이고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은 DC-HSUPA 신호들이며,
    상기 제 1 전력 레벨은 최대 전력 감소(MPR) 값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MPR 값 및 부가적인 최대 전력 감소(A-MPR) 값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중 적어도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 또는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MPR 값 또는 A-MPR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UE 송신 전력 헤드룸(UPH)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UPH 값의 표시를 노드 B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5.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듀얼 수신 채널들 상에서 인바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인바운드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의 전력 레벨들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동안 제 1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아웃바운드 신호들이 송신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중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면 제 2 전력 레벨보다 작거나 같은 전력 레벨들로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이 송신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제 1 전력 레벨보다 낮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바운드 신호는 DC-HSDPA 신호이고 상기 아웃바운드 신호들은 DC-HSUPA 신호들이며, 상기 제 1 전력 레벨은 최대 전력 감소(MPR) 값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은 상기 MPR 값 및 부가적인 최대 전력 감소(A-MPR) 값의 함수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인바운드 신호들 중 적어도 최근에 수신된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 또는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NR)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제 25 항에 있어서,
    MPR 값 또는 A-MPR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UE 송신 전력 헤드룸(UPH)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UPH 값의 표시를 노드 B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27023768A 2010-02-11 2011-02-11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72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358810P 2010-02-11 2010-02-11
US61/303,588 2010-02-11
US30423110P 2010-02-12 2010-02-12
US61/304,231 2010-02-12
US13/024,058 US9137757B2 (en) 2010-02-11 2011-02-09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networks
US13/024,058 2011-02-09
PCT/US2011/024638 WO2011100622A1 (en) 2010-02-11 2011-02-11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760A true KR20120138760A (ko) 2012-12-26
KR101372917B1 KR101372917B1 (ko) 2014-03-10

Family

ID=4390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768A KR101372917B1 (ko) 2010-02-11 2011-02-11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37757B2 (ko)
EP (1) EP2534894B1 (ko)
JP (1) JP5667216B2 (ko)
KR (1) KR101372917B1 (ko)
CN (1) CN102754492B (ko)
TW (1) TW201204118A (ko)
WO (1) WO2011100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457B1 (ko) 2010-03-01 2018-06-0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하이브리드형 스테이션별 및 플로우별 업링크 할당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046989A2 (en) * 2010-10-04 2012-04-12 Lg Electronics Inc. Power limited case signalling
KR101947555B1 (ko) * 2011-06-15 201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767626B2 (en) 2011-10-20 2014-07-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reduction for correlated carrier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GB2496138B (en) * 2011-11-01 2014-12-17 Broadcom Corp Power regulation in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US8725193B2 (en) 2011-11-03 2014-05-13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A-MPR in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US9137801B2 (en) * 2012-01-17 2015-09-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 table based on control channel location indices
US8644183B2 (en) 2012-06-26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efficient storage and extraction of maximum power reduction (MPR) values in two-carrier wireless data systems
US9282523B2 (en) * 2013-04-26 2016-03-08 Mediatek Inc. Maximum output power configuration with UE preference in carrier aggregation
CN105007570B (zh) * 2015-06-19 2018-11-20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olsr协议的移动自组织网络拥塞控制方法
WO2018191974A1 (zh) * 2017-04-21 2018-10-25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小区重选的方法和装置
CN109451861B (zh) * 2017-11-29 2023-07-11 小米通讯技术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装置、用户设备及基站
CN112567824B (zh) * 2018-08-10 2024-04-23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确定双载波操作的每载波附加最大功率降低的方法和装置
WO2020031161A1 (en) * 2018-08-10 2020-02-13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er carrier 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 for dual carrier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995A (en) 1986-12-22 1988-10-04 Motorola, Inc. Adaptive splatter control
US5524275A (en) 1993-12-17 1996-06-0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Averaged RF exposure control
JP3355295B2 (ja) 1997-11-13 2002-1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送受信装置
JP4186619B2 (ja) 2002-12-25 2008-11-2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装置、送信制御方法、閾値制御方法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586458B2 (en) 2007-03-19 2009-09-08 Ahmadreza Rofougara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transformer for FM transmit and FM receive functionality
US8203987B2 (en) 2007-03-30 2012-06-19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28100A (ko) 2007-07-06 2010-03-1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및 지향성 제어방법
JP2009065307A (ja) 2007-09-05 2009-03-26 Sii Ido Tsushin Kk 無線装置
US9084201B2 (en) 2008-01-2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09267653A (ja) 2008-04-23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8929301B2 (en) 2008-04-25 2015-01-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on two carriers and perform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dual 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US8239721B2 (en) 2008-04-25 2012-08-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HARQ process utilization in multiple 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CN101626610A (zh) 2008-07-08 2010-0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小区能力信息指示方法、无线网络控制器
EP2374316B1 (en) * 2008-10-31 2013-11-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carrier uplink transmission
US8358614B2 (en) * 2008-10-31 2013-01-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uplink transmissions using multiple uplink carriers
RU2565030C2 (ru) * 2009-02-09 2015-10-10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использующего множество несущих
EP2409529B1 (en) * 2009-03-17 2013-09-18 Unwired Planet, LLC Power backoff for multi-carrier uplink transmissions
US8472535B2 (en) * 2009-03-17 2013-06-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carrier transmitter back-off estimation
KR101377680B1 (ko) 2009-04-23 2014-03-2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멀티 캐리어 무선 단말기를 위한 전력 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EP2443851B1 (en) * 2009-06-17 2018-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ing data transmissions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54492A (zh) 2012-10-24
US20110199949A1 (en) 2011-08-18
TW201204118A (en) 2012-01-16
JP2013519338A (ja) 2013-05-23
EP2534894B1 (en) 2014-01-01
JP5667216B2 (ja) 2015-02-12
EP2534894A1 (en) 2012-12-19
US9137757B2 (en) 2015-09-15
WO2011100622A1 (en) 2011-08-18
KR101372917B1 (ko) 2014-03-10
CN102754492B (zh)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917B1 (ko)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5981054B2 (ja) ダウンリンクmimo構成を動的に改変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451886B1 (ko) 폐쇄 루프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스위칭
EP22980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virtual noise fig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391192B2 (en) Carrier switching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301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reliable E-DCH reception for transmission of scheduling information
KR102195753B1 (ko) 업링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송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891387B2 (en) UE based conditional enabling of ULTD
KR102223075B1 (ko) 전용 채널들 상에서의 불연속 송신들을 사용하는 감소된 회선-교환 음성 사용자 장비 전류
JP6235734B2 (ja) ユーザ機器における電池消費量を削減すること
KR20140074947A (ko) 동적으로 조정된 측정 전력 오프셋을 사용하는 채널 품질 보고
Holma et al. HSPA+ Evolution to release 12: performance and optimization
KR100934882B1 (ko) 다운링크 공유채널 (dsch) 의 전력제어
GB2477537A (en) Femto cell access poin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1401264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cch-aligned receive diversity
Holma et al. HSPA Evolution
WO201318826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lving a serving grant deadlock at a mobile station configured for enhanced uplink (eul)
Kwon et al. The regularized FPGA development platform verification flow for wireless mobile So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