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740A -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740A
KR20120137740A KR1020110056773A KR20110056773A KR20120137740A KR 20120137740 A KR20120137740 A KR 20120137740A KR 1020110056773 A KR1020110056773 A KR 1020110056773A KR 20110056773 A KR20110056773 A KR 20110056773A KR 20120137740 A KR20120137740 A KR 20120137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authentication
smart
signal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814B1 (ko
Inventor
조태헌
윤정원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5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81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단지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도어를 열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수행시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까지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사/퇴사/분실로 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에 접근할 경우에 대한 무단 침입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공통 LF 신호의 전송에 의해서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과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인증 과정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THE DOOR-LOCK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MULTIPLE SMART-KEY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MULTIPLE SMART-KEY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수행시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까지도 확인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호텔, 아파트, 공장 등의 출입문 잠금 장치로는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 락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계식 도어 락은 사용자가 외출시 열쇠를 필히 휴대해야만 하고, 열쇠를 분실할 경우에는 출입문을 개폐할 수 없으며, 열쇠의 복제가 용이하여 보안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요즘에는 보안 카드 또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에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일련의 행위, 예컨대 보안 카드의 접촉, 비밀번호의 입력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전히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카드를 이용하는 도어락의 경우, 사용자가 보안 카드를 도어락에 접촉시키면 도어락 내부의 카드 리더기가 그 보안 카드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한 후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며, 이러한 잠금 해제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호주머니나 가방으로부터 보안 카드를 꺼내서 도어락 본체에 접촉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도어락의 경우, 사용자가 도어락에 장착된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기 등록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며, 잠금 해제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직접 눌러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연구소나 사내를 출입할 때에는 불특정 다수인이 많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누를 때 비밀번호 누출의 위험이 상존하며, 사용자의 부재시 방문자의 출입을 위해서는 방문자에게 비밀번호를 알려주어야만 하고, 이후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안 카드를 꺼내어 도어락에 접촉시키거나 비밀번호를 누르는 조작을 할 필요 없이, 스마트키를 단지 휴대하는 것만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강화시킨 도어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다른 사람이 분실된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접근할 경우, 해당 스마트키가 분실된 스마트키인지를 전혀 알 수가 없으므로,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도어를 언락 상태로 동작시키며, 이로 인해 무단 침입 및 도난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게다가, 인증이 필요한 스마트키가 다수개인 경우, 다수개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절차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인증 절차에서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수행시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까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에 접근할 경우에 대한 무단 침입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과정을 간소화하면서 인증 과정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는,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모드 및 인증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각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가 기록된 인증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인증 모드시 스마트키의 인증을 위한 LF(Low Frequency) 신호를 상기 각 스마트키로 전송하는 LF 송신부; 상기 각 스마트키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는 스마트키 인증부;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 도어를 언락 상태로 동작시키는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도어락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음향 및 영상으로 출력하는 음향/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테이블에는 각 스마트키에 대한 스마트키 ID, 권한, 최종 인증 일시, 응답 우선 순위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는,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해당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 해당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는, 상기 인증 테이블을 기초로 소정 기간 동안 인증을 거치지 않은 미인증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 미인증 스마트키가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미인증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는,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할 때마다 상기 각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각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수행시 상기 갱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은, (a) 인증 모드시 도어락 장치에서 스마트키의 인증을 위한 LF(Low Frequency) 신호를 다수의 스마트키로 전송하고, 상기 각 스마트키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테이블에는 각 스마트키에 대한 스마트키 ID, 권한 정보, 최종 인증 일시, 응답 우선 순위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해당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 해당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인증 테이블을 기초로 소정 기간 동안 인증을 거치지 않은 미인증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미인증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은,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할 때마다 상기 각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각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수행시 상기 갱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단지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도어를 열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수행시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까지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사/퇴사/분실로 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에 접근할 경우에 대한 무단 침입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가능 범위 내의 모든 스마트키가 공통으로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LF 신호의 전송에 의해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과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인증 과정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스마트키의 인증에 이용되는 인증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2a에 있어서 각 스마트키의 인증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 각 스마트키의 인증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스마트키에 설정된 응답 우선 순위 및 응답 시간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00)는, 스마트키(Kn, n은 정수)를 소지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상기 스마트키(Kn)로 인증을 위한 LF(Low Frequency)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Kn)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스마트 ID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키(Kn)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이 성공하면 도어를 언락 상태로 동작시킨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사용자가 스마트키(Kn)를 단지 소지하기만 하여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마트키(Kn)에는 스마트키 ID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키 ID는 해당 스마트키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 ID로서, 일례로 암호화된 RFID를 스마트키 ID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입력부(110), 메모리(120), LF 송신부(130), RF 수신부(140), 스마트키 인증부(150), 도어락 제어부(160) 및 음향/영상 출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부의 동작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입력부(110)는 관리자로부터 인증 모드 및 인증이 필요한 스마트키의 총 개수를 포함하여 인증 과정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메모리(120)에는 상기 각 스마트키(Kn)의 인증 정보가 기록된 인증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인증 테이블에 대하여 도 2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스마트키의 인증에 이용되는 인증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 테이블에는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스마트키 ID, 권한 정보, 최종 인증 일시, 응답 우선 순위,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증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권한 정보는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실패시 그 권한 정보가 고정인지 변동인지에 따라 해당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응답 우선 순위는 상기 각 스마트키에서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RF 신호를 전송하는 순서를 나타내며, 상기 권한 정보 및 상기 응답 우선 순위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LF 송신부(130)는 인증 모드시 스마트키의 인증을 위한 LF(Low Frequency) 신호를 상기 각 스마트키(Kn)로 전송하며, 상기 각 스마트키(Kn)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LF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스마트키 ID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RF 수신부(140)는 상기 각 스마트키(Kn)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RF 신호를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150)로 전달한다.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150)는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150)는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한다.
즉, 종래의 도어락 장치에서는 다른 사람이 분실된 스마트키(예를 들어, 제3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접근할 경우, 해당 스마트키가 분실된 스마트키인지를 전혀 알 수가 없으므로,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도어를 언락 상태로 동작시키며, 이로 인해 무단 침입 및 도난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150)가 각 스마트키(Kn)에 대한 인증이 성공할 때마다 스마트키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고, 각 스마트키(Kn)에 대한 인증 수행시 상기 갱신된 스마트키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까지도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므로, 이사/퇴사/분실로 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에 접근할 경우에 대한 무단 침입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제어부(160)는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150)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 도어를 언락 상태로 동작시키며, 상기 음향/영상 출력부(170)는 상기 도어락 제어부(160)의 동작 상태를 음향 및 영상으로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 인증 방법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 각 스마트키의 인증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스마트키가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개별 LF 신호를 다수의 스마트키로 각각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개별 인증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LF 통신 및 RF 통신 가능 범위 내에 2개의 제1, 2 스마트키(K1, K2)가 존재하고, 제3 스마트키(K3)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LF 통신 및 RF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먼저 개별 인증 모드가 선택되면(S301),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해당 스마트키가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개별 LF 신호를 제1, 2, 3 스마트키(K1, K2, K3)로 각각 순차적으로 전송한다(S311, S321, S331).
여기에서, 개별 인증 모드의 선택시, 인증이 필요한 스마트키의 총 개수를 포함하여 인증 과정에 필요한 설정 정보도 함께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입력되는 설정 정보를 음향 및 영상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 2 스마트키(K1, K2)에서는 상기 개별 LF 신호가 수신되면(S313, S323), 상기 개별 LF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키 ID를 추출하고(S315, S325), 상기 추출된 스마트키 ID를 RF 신호에 포함시켜 RF 신호를 생성한다(S317, S327). 그리고, 상기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 신호를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 각각 전송한다(S319, S329).
이 때, 상기 제3 스마트키(K3)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LF 통신 및 RF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LF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스마트키(K3)에서는 RF 신호의 생성 및 전송이 아예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상기 제1 스마트키(K1)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면(S341),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343).
다음으로,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면,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확인한다(S345).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한다(S347).
만약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해당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S349), 해당 스마트키가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S351), 해당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한다(S353).
그 다음,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다른 스마트키(예를 들어 제2 스마트키)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면(S355),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지,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한다(S343~S347).
즉, 유효한 스마트키인 제1, 2 스마트키(K1, K2)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에 접근할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스마트키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제1, 2 스마트키(K1, K2)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을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도어를 언락 상태로 동작시킨다.
하지만, 이사/퇴사/분실로 인하여 설정된 기간 동안 인증을 거치지 않은, 다시 말해 유효하지 않은 제3 스마트키(K3)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에 접근할 경우, 제3 스마트키(K3)의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한다 하더라도,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도어는 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개별 LF 신호를 다수의 스마트키로 각각 전송하는 개별 인증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개별 인증 모드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마트키 인증을 위해 개별 LF 신호를 모든 스마트키로 각각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전력 소모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모든 스마트키가 공통으로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공통 LF 신호의 전송을 통해 다수의 스마트키를 인증하는 공통 인증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 각 스마트키의 인증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스마트키에 설정된 응답 우선 순위 및 응답 시간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 LF 신호의 전송을 통해 다수의 스마트키를 인증하는 공통 인증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LF 통신 및 RF 통신 가능 범위 내에 2개의 제1, 2 스마트키(K1, K2)가 존재하고, 제3 스마트키(K3)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LF 통신 및 RF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공통 인증 모드가 선택되면(S401),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통신 가능 범위 내의 모든 스마트키가 공통으로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공통 LF 신호를 제1, 2, 3 스마트키(K1, K2, K3)로 전송한다(S411).
여기에서, 공통 인증 모드의 선택시, 인증이 필요한 스마트키의 총 개수를 포함하여 인증 과정에 필요한 설정 정보도 함께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100)는 입력되는 설정 정보를 음향 및 영상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2 스마트키(K1, K2)에서는 상기 공통 LF 신호가 수신되면(S421, S431), 상기 공통 LF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키 ID를 추출하고(S423, S433), 상기 추출된 스마트키 ID를 RF 신호에 포함시켜 RF 신호를 생성한다(S425, S435).
이 때, 상기 제3 스마트키(K3)는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LF 통신 및 RF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LF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스마트키(K3)에서는 RF 신호의 생성이 아예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제1, 2 스마트키(K1, K2)에서 생성된 RF 신호가 동시에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되면,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어느 하나의 RF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마트키의 내부 메모리에 각 스마트키의 응답 우선 순위와 응답 시간을 미리 설정해놓고, 상기 응답 우선 순위에 따른 응답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S427, S437), 각 스마트키에서 상기 RF 신호를 상기 도어락 장치(100)로 각각 전송하도록 한다(S429, S439).
다음으로,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어느 하나의 스마트키(예를 들어 제1 스마트키)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면(S451),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S453), 일치하면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확인한다(S455).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한다(S457).
만약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해당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S459), 해당 스마트키가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S461), 해당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한다(S463).
그리고,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다른 스마트키(예를 들어 제2 스마트키)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면(S465),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지,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한다(S453~S457).
즉, 공통 인증 모드의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락 장치(100)에서는 각 스마트키의 인증을 위해 하나의 공통 LF 신호만 전송하고, 각 스마트키에서는 상기 공통 LF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응답 우선 순위에 따른 응답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 신호를 상기 도어락 장치(200)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개별 인증 모드에 비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실패시, 해당 스마트키가 변동 권한을 가진 경우 해당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각 스마트키의 최종 인증 일시 및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100)에 의하면, 각 스마트키(Kn)에 대한 인증이 성공할 때마다 스마트키 인증 정보를 갱신하여 기록함으로써, 각 스마트키(Kn)에 대한 인증 수행시 상기 갱신된 스마트키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까지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사/퇴사/분실로 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도어에 접근할 경우에 대한 무단 침입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100)에 의하면, 통신 가능 범위 내의 모든 스마트키가 공통으로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공통 LF 신호의 전송에 의해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과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인증 과정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
110 : 입력부
120 : 메모리
130 : LF 송신부
140 : RF 수신부
150 : 스마트키 인증부
160 : 도어락 제어부
170 : 음향/영상 출력부
K1, K2, K3, …, Kn : 제1, 2, 3, …, n 스마트키

Claims (14)

  1.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모드 및 인증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각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가 기록된 인증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인증 모드시 스마트키의 인증을 위한 LF(Low Frequency) 신호를 상기 각 스마트키로 전송하는 LF 송신부;
    상기 각 스마트키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는 스마트키 인증부;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를 통해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 도어를 언락 상태로 동작시키는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도어락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음향 및 영상으로 출력하는 음향/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테이블에는 각 스마트키에 대한 스마트키 ID, 권한, 최종 인증 일시, 응답 우선 순위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개별 인증 모드시, 상기 LF 송신부에서 상기 각 스마트키가 각각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개별 LF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RF 수신부에서 상기 각 스마트키로부터 상기 개별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 신호를 각각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공통 인증 모드시, 상기 LF 송신부에서 모든 스마트키가 공통으로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공통 LF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각 스마트키에서 상기 공통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 신호를, 미리 설정된 응답 우선 순위에 따른 응답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RF 수신부에서 상기 각 스마트키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된 상기 RF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는,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해당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 해당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인증부는,
    상기 인증 테이블을 기초로 소정 기간 동안 인증을 거치지 않은 미인증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 미인증 스마트키가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미인증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7.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할 때마다 상기 각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각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수행시 상기 갱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8. (a) 인증 모드시 도어락 장치에서 스마트키의 인증을 위한 LF(Low Frequency) 신호를 다수의 스마트키로 전송하고, 상기 각 스마트키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테이블에는 각 스마트키에 대한 스마트키 ID, 권한 정보, 최종 인증 일시, 응답 우선 순위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개별 인증 모드시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각 스마트키가 각각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개별 LF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각 스마트키에서 상기 개별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 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각 스마트키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된 상기 RF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공통 인증 모드시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모든 스마트키가 공통으로 수신하여 응답할 수 있는 공통 LF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각 스마트키에서 상기 공통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마트키 ID가 포함된 RF 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응답 우선 순위에 따른 응답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각 스마트키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송된 상기 RF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키 ID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등록된 스마트키 ID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테이블에 기록된 최종 인증 일시가 설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키인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해당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 해당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인증 테이블을 기초로 소정 기간 동안 인증을 거치지 않은 미인증 스마트키의 권한을 확인하여 변동 권한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미인증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14. 다수의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성공할 때마다 상기 각 스마트키의 인증 정보를 인증 테이블에 갱신하여 기록하고, 상기 각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수행시 상기 갱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키가 유효한 스마트키인지를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KR1020110056773A 2011-06-13 2011-06-13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KR101232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773A KR101232814B1 (ko) 2011-06-13 2011-06-13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773A KR101232814B1 (ko) 2011-06-13 2011-06-13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740A true KR20120137740A (ko) 2012-12-24
KR101232814B1 KR101232814B1 (ko) 2013-02-13

Family

ID=4790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773A KR101232814B1 (ko) 2011-06-13 2011-06-13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953A1 (en) * 2019-04-26 2020-10-29 Nok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keyholder digital lockout
CN114189662A (zh) * 2022-02-17 2022-03-15 云丁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数据交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7157B2 (ja) * 2006-12-15 2010-07-0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キーレスシステム
KR101028997B1 (ko) * 2010-07-19 2011-04-14 주식회사 빅텍 Rfid태그 분실에 대한 보안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9953A1 (en) * 2019-04-26 2020-10-29 Nok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keyholder digital lockout
US11104297B2 (en) 2019-04-26 2021-08-31 Nok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keyholder digital lockout
CN114189662A (zh) * 2022-02-17 2022-03-15 云丁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数据交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814B1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8525B2 (en) Vehicle digital key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RU250306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контролем доступа
KR101296863B1 (ko)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KR102427635B1 (ko) 동적 키 액세스 제어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
KR101733453B1 (ko) 스마트폰 모바일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050742A (zh) 一种智能门以及一种智能门控制方法和系统
US9641510B2 (en) Control system operable by mobile devices
KR102261462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KR101232814B1 (ko)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KR20120134607A (ko) 해킹 방지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키 인증 방법
KR101208744B1 (ko) 지능형 보안 도어락 및 그를 이용한 운용 방법
KR101688633B1 (ko) 인증 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개폐 처리 방법
KR100992802B1 (ko) 도어락 임시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5733B1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JP200805711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7091019B (zh) 一种多锁体智能锁的方法、装置
JP2003253940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KR102227461B1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KR10063456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218707B1 (ko) 임대물용 otp인증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927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JP2015176411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CN108990043A (zh) 一种基于核心网通信的远程开锁方法及其智能门锁
US20220406113A1 (en) Multifamily electronic lock credential management
JP7250370B1 (ja) 認証システム、電気錠装置、認証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