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168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168A
KR20120137168A KR1020110056529A KR20110056529A KR20120137168A KR 20120137168 A KR20120137168 A KR 20120137168A KR 1020110056529 A KR1020110056529 A KR 1020110056529A KR 20110056529 A KR20110056529 A KR 20110056529A KR 20120137168 A KR20120137168 A KR 20120137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guide plate
light gu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036B1 (ko
Inventor
이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03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5Means for removing heat created by the light source from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예는 복수개의 모서리 영역에 오목한 입광부를 갖는 도광판; 및 상기 입광부에 광출사면이 대응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입광부와 대응되는 볼록한 측면을 가지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위에 형성되는 모듈 기판, 그리고 상기 모듈 기판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따라서, 연색성, 색재현 및 균일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의 적용 수량을 줄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THE BACKLIGHT UNIT AND THE DE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형성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GaAs 계열, AlGaAs 계열, GaN 계열, InGaN 계열 및 InGaAlP 계열 등의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발광원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패키지화되어 다양한 색을 방출하는 발광 장치로 이용되고 있으며, 발광 장치는 칼라를 표시하는 점등 표시기, 문자 표시기 및 영상 표시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복수개의 모서리 영역에 오목한 입광부를 갖는 도광판; 및 상기 입광부에 광출사면이 대응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입광부와 대응되는 볼록한 측면을 가지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위에 형성되는 모듈 기판, 그리고 상기 모듈 기판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한편, 실시예는 복수개의 모서리 영역에 오목한 입광부를 갖는 도광판; 상기 입광부에 광출사면이 대응되는 발광 모듈; 상기 도광판의 아래에 배치된 반사부재; 및 상기 도광판 위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입광부와 대응되는 볼록한 측면을 가지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위에 형성되는 모듈 기판, 그리고 상기 모듈 기판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색성, 색재현 및 균일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의 적용 수량을 줄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I-I'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광판 및 발광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발광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 및 발광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의 발광 모듈을 모서리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I-I'선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도광판 및 발광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발광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빛을 제공받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를 설명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도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바텀 프레임(10), 바텀 프레임(10) 내에 형성되는 발광 모듈(20), 반사 시트(25) 및 도광판(30)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발광 모듈(20), 반사 시트(25) 및 반사 시트(25) 위에 도광판(30)이 형성되어 발광부를 이루며, 도광판(30) 위에 광학 시트(40), 광학 시트(40) 위에 표시 패널(60)과 표시 패널(60) 위에 탑 프레임(70)이 형성된다.
바텀 프레임(10)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장변 및 장변과 수직하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4부분의 측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바텀 프레임(10)은 광학 시트(40) 위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50)와 결합하여 바텀 프레임(10) 내에 발광 모듈(20), 반사 시트(25), 도광판(30) 및 광학 시트(40)를 수납한다.
바텀 프레임(10)은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복수의 볼록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텀 프레임(10)의 바닥면 위에는 반사 시트(25)가 형성된다.
한편, 반사 시트(25)는 반사재, 반사 금속판 등으로 구성되어 도광판(30)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재반사한다. 이러한 반사 시트(25)는 바텀 프레임(10)의 바닥면 에서 도광판(30)의 하부 및 발광 모듈(2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반사 시트(25)가 도광판(30)과 발광 모듈(20) 사이의 이격 영역(h3)의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모듈(20) 및 복수의 반사 시트(25) 위로 발광 모듈(2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확산 및 반사하여 면 광원으로 표시 패널(60)에 조사하는 도광판(30)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30)은 표시 패널(60)이 정의하는 한 화면에 대응하는 일체(one-body)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형의 도광판(30)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며, 면 광원이 발생되는 상면은 평평하다.
상기 도광판(30)은 PC 재질 또는 PMMA(Poly methy methacry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에 반사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패턴은 각 코너를 기준으로 동심원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도광판(30)은 형광체를 혼합하여 제조되거나, 상면에 형광체가 코팅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도광판(30)은 한 화면에 대응하도록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화면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30)은 4개의 모서리 영역에 홈(35)을 가진다.
상기 도광판(30)의 모서리 영역은 도광판(30)의 중앙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35)을 가지며, 상기 4개의 홈(35)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홈(35)의 단면은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광판(30)의 모서리 영역에 상기 홈(35)은 입광부로서 기능하며, 상기홈(35)을 메우는 발광 모듈(20)이 배치된다.
상기 발광 모듈(20)은 상기 모서리 영역의 수효와 동일한 수효만큼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4개의 발광 모듈(20)이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발광 모듈(2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 발광 모듈(20)은 단면이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기둥형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각각의 발광 모듈(20)은 브라켓(21), 방열 패드(26), 모듈 기판(24) 및 발광 소자 패키지(23)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21)은 상기 발광 모듈(20)의 형상을 이루며, 단면이 부채꼴인 기둥형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21)은 반사 시트(25) 위에 위치하는 바닥면, 표시 패널(60)을 향하는 상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면을 연결하는 3개의 측면을 포함한다.
2개의 측면은 서로 수직하고,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1개의 측면은 곡면으로서 단면이 원호를 이룬다.
상기 곡면에 발광소자 패키지(2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1)의 곡면 위에 방열 패드(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열 패드(26)는 일반적인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패드(26) 위에 모듈 기판(24)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모듈 기판(24)은 인쇄회로기판으로서, 모듈 기판(24)은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으며, 상기 곡면을 따라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21)과 상기 모듈 기판(24)의 연결은 상기 방열 패드(26)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물리적인 결합, 바람직하게는 스크류 또는 핀 등의 결합 부재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모듈 기판(24)은 도광판(30)으로 광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발광소자 패키지(23)에 전원을 제공하여, 발광소자 패키지(23)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듈 기판(24) 위에는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2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23)는 모듈 기판(24)에 대하여 상면으로 빛을 방출하는 상면 발광 타입(top view)으로 도광판(30)의 홈(35) 내에 배치되어 도광판(30)의 측면으로 광을 방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23)는 상부가 개방된 캐비티(115)를 포함하는 몸체(110)와, 캐비티(115) 내에 배치된 발광칩(160), 캐비티(115)에 배치되며, 발광칩(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리드 프레임(140) 및 제2 리드 프레임(150), 발광칩(16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투광성 수지층(18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폴리프탈아미드(PPA: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실리콘(Si),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AlOx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사출 성형, 에칭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몸체(110)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상기 몸체(110)의 표면에는 절연막(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와 상기 제1,2 리드 프레임(140,150) 등과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15)는 몸체(110)의 상부(120)에 컵 형상, 오목한 용기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티(115)의 내측면은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측면이거나 경사진 측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115)를 상면에서 바라본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 일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 프레임(140) 및 상기 제2 리드 프레임(150)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리드 프레임(140,150)은 상기 발광칩(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칩(16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 프레임(140) 및 상기 제2 리드 프레임(150)의 일단은 상기 몸체(110)의 상기 캐비티(115) 내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110)를 따라 상기 몸체(110)의 외측 또는 하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2 리드 프레임(140,150)은 상기 몸체(11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발광 소자(100)의 바닥면을 이룰 수도 있으며, 상기 제1,2 리드 프레임(140,150)의 구조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2 리드 프레임(140,150)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칩(160)은 상기 몸체(110) 또는 상기 제1,2 리드 프레임(140,150) 상에 직접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칩(160)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칩(160)이 발광 다이오드(LED)인 경우,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는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백색 빛을 방출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칩(160)은 3족-5족 원소의 화합물 반도체, 예를 들어,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계열의 반도체 재질로 형성되어, 반도체 재질 고유의 색을 갖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칩(160)은 와이어(170) 방식에 의해 상기 제1,2 리드 프레임(140,150) 중 어느 하나의 리드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칩(160)은 칩 본딩 방식, 플립 칩 방식 등에 의해 상기 제1,2 리드 프레임(140,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투광성 수지층(180)은 상기 발광칩(160)의 측면을 사방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115)의 둘레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성 수지층(180)은 광의 진행을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도록 에폭시, 실리콘 및 레진등과 같은 투명한 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투광성 수지층(180)에는 상기 발광칩(160)에서 발생된 빛을 백색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형광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의 발광소자 패키지(23)는 모듈 기판(24) 위에 도 4와 같이 한 행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의 행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23)는 이웃한 발광소자 패키지(23)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발광소자 패키지(23)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 기판(24)의 중앙 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23) 사이의 거리가 좁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23) 사이의 거리가 모듈 기판(24)의 중앙 영역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우, 도광판(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원 모듈(20)까지의 거리가 가장 먼 모듈 기판(24)의 중앙 영역에 많은 수의 발광소자 패키지(23)가 밀집되어 광량이 많아짐으로 도광판(30) 전체에 대하여 균일하게 빛이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 모듈(20)의 곡면, 즉, 모듈 기판(24)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홈(35)까지는 소정 거리(h3)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되어 있는 거리(h3)는 발광소자 패키지(23)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23)의 상면은 도광판(30)의 홈(35)과 밀착되지 않고 일정하게 이격되어 발광 소자 패키지(23)로부터의 열에 의해 도광판(30)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광 모듈(20)을 도광판(30)의 측면에 형성하는 경우, 적은 수량의 발광소자 패키지(23)를 이용하여 색재현 및 균일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브라켓(21) 위에 바로 모듈 기판(24)을 접착함으로써 간편하게 발광 모듈(20)을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광판(30) 위에는 광학 시트(4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40)는 제1 확산 시트(41), 프리즘 시트(42), 제2 확산 시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41, 43)는 도광판(30)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주며, 확산된 광은 프리즘 시트(42)에 의해 발광 영역(EA)으로 집광된다. 여기서, 프리즘 시트(42)는 수평 또는/및 수직 프리즘 시트, 한 장 이상의 휘도 강화 필름 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시트(40)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하나의 확산 시트(41, 43)만 형성되거나 하나의 프리즘 시트(42)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 시트(40)의 수와 종류는 요구되는 휘도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광학 시트(40) 위에는 지지 부재(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50)는 바텀 프레임(10)과 결합되어 반사 시트(25), 발광 모듈, 도광판(30) 및 광학 시트(40)가 바텀 프레임(10)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의 표시 패널(60)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 부재(50)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 위로 표시 패널(60)이 배치되어 있다.
표시 패널(60)은 도광판(30)으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60)은 상부 기판, 하부 기판, 두 기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상부 기판의 상부면 및 하부 기판의 하부면에 각각 밀착된 편광시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60)은 로컬 디밍 구동 방식 또는 임펄시브 구동 방식에 대응하여 복수의 표시 영역(DA)(display area)으로 분할되어 구동될 수 있다.
표시 패널(60) 위로 탑 프레임(70)이 형성되어 있다.
탑 프레임(70)은 표시 장치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부와 전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표시 장치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측면부가 지지 부재(50)와 스크류(도시하지 않음) 등의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 6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 및 발광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도광판(30) 및 발광 모듈(20)은 도 6과 같이,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광판(30)은 모서리 영역에 도광판(30)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35)을 가지나, 상기 홈(35)의 단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다.
도 6의 경우, 마주보는 두 개의 모서리 영역의 홈(35)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이웃한 홈(35)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홈(35)의 형상은 발광 모듈(20A-20D)의 형상과 대응된다.
각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는 발광 모듈(20A-20D)은 3개의 측면을 가지는 브라켓(21)과 방열 패드(26), 모듈기판(24) 및 발광소자 패키지(23)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 패드(26), 모듈 기판(24) 및 발광소자 패키지(23)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4개의 발광 모듈(20A-20D)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발광 모듈(20A-20D)을 제1 및 제3 발광모듈(20A,20C)이라 하고, 이와 이웃하는 발광 모듈(20A-20D)을 제2 및 제4 발광모듈(20B,20D)이라 할 때, 상기 제1 및 제3 발광 모듈(20A,20C)의 브라켓(21)의 형상이 동일하고, 제2 및 제4 발광 모듈(20B,20D)의 브라켓(21)의 형상이 동일하며, 제1 및 제2 발광 모듈(20A,20B)의 브라켓(21)의 형상은 서로 다르다.
일 예로 도 6과 같이 제1 및 제3 발광 모듈(20A,20C)의 브라켓(21)은 단면이 4분타원을 가지고, 제2 및 제4 발광 모듈(20B,20D)의 브라켓(21)은 단면이 4분원을 가질 수 있다.
도 6과 같이, 도광판(30)의 중앙 영역(CA)을 4등분하고, 상기 각 분면(CA1-CA4)에 촛점(f1-f4)을 잡을 때, 상기 촛점(f1-f4)과 브라켓(21)의 꼭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 사이에 상기 곡면의 중심이 지나도록 상기 브라켓(21)의 단면을 결정한다.
제2 및 제4 발광 모듈(20B,20D)이 동일한 원호의 형상을 가질 때, 도광판(30)의 직사각형에 의해 각 원호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은 서로 만나지 않고, 도광판(30)의 중앙 영역(CA)에서 제2 촛점(f2) 및 제4 촛점(f4)을 형성한다.
제2 촛점(f2)과 제4 촛점(f4)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촛점(f1)과 제3 촛점(f3)을 잡은 뒤, 각 초점(f1,f3) 상기 브라켓(21)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그으면, 상기 가상선 위에 중심이 지나는 곡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면은 상기 제2 및 제4 발광 모듈(20B,20D)의 원호의 길이와 유사 범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발광 모듈(20A-20D)을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가장 강한 빛이 방출되는 중심 영역(CA)을 분산시킴으로써 도광판(30) 중앙에서 빛이 수렴하여 핫스팟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바텀 프레임,
20: 발광 모듈
25: 반사 시트,
30: 도광판,
40: 광학 시트,
50: 지지 부재,
60: 표시 패널,
70: 탑 프레임

Claims (13)

  1. 복수개의 모서리 영역에 오목한 입광부를 갖는 도광판; 및
    상기 입광부에 광출사면이 대응되는 발광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입광부와 대응되는 볼록한 측면을 가지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위에 형성되는 모듈 기판, 그리고
    상기 모듈 기판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홈인 라이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세 개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측면은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측면 및 상기 두 개의 측면을 연결하는 상기 곡면을 가지는 라이트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은 상기 브라켓의 곡면을 가지는 상기 측면 위에 형성되는 플렉시블 기판인 라이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모듈 기판 위에 행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는 라이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모듈 기판의 중앙 영역에 밀집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라이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모듈 기판 사이에 방열 패드를 더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라이트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 중 이웃한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는 발광 모듈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라이트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홈과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상면은 이격되어 있는 라이트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형성된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12. 복수개의 모서리 영역에 오목한 입광부를 갖는 도광판;
    상기 입광부에 광출사면이 대응되는 발광 모듈;
    상기 도광판의 아래에 배치된 반사부재; 및
    상기 도광판 위에 배치된 표시 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입광부와 대응되는 볼록한 측면을 가지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위에 형성되는 모듈 기판, 그리고
    상기 모듈 기판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홈인 표시 장치.
KR1020110056529A 2011-06-10 2011-06-1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9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529A KR101795036B1 (ko) 2011-06-10 2011-06-1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529A KR101795036B1 (ko) 2011-06-10 2011-06-1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168A true KR20120137168A (ko) 2012-12-20
KR101795036B1 KR101795036B1 (ko) 2017-12-01

Family

ID=4790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529A KR101795036B1 (ko) 2011-06-10 2011-06-1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0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661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884998A (zh) * 2017-10-23 2018-04-0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具有该背光模组的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3933A (ja) * 2000-10-26 2002-05-10 Rohm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この照明装置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TWI345103B (en) * 2005-09-30 2011-07-11 Chimei Innolux Corp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BR112012000040A2 (pt) * 2009-07-03 2016-03-15 Sharp Kk dispositivo de exibiçã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661A (ko) * 2013-11-29 2015-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884998A (zh) * 2017-10-23 2018-04-0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具有该背光模组的显示装置
CN107884998B (zh) * 2017-10-23 2020-02-0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具有该背光模组的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036B1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719B1 (ko) 측면 발광용 렌즈 및 그를 이용한 발광 패키지
US8704263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with an opening par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ght unit
KR101469473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1028195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JP4430585B2 (ja) 面光源装置
US20080123021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039881B1 (ko) 발광소자 및 그를 이용한 라이트 유닛
KR102094829B1 (ko) 백색 발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04034B1 (ko) 발광다이오드,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99809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JP2005322866A (ja) バックライト用発光ダイオードアレ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具備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16184721A (zh) 白光发射装置和使用该白光发射装置的显示装置
TW200924238A (en) Concave wide emitting lens for LED useful for backlighting
KR20120064524A (ko) Led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8305714A (ja) 光源装置および平面照明装置
KR101023960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183611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9503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683888B1 (ko)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120074456A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1327124B1 (ko) 발광 장치
KR100765712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86000B1 (ko)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62259A (ko) 광원소자, 그 제조방법,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액정표시장치
KR10183611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