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805A -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805A
KR20120136805A KR1020110055969A KR20110055969A KR20120136805A KR 20120136805 A KR20120136805 A KR 20120136805A KR 1020110055969 A KR1020110055969 A KR 1020110055969A KR 20110055969 A KR20110055969 A KR 20110055969A KR 20120136805 A KR20120136805 A KR 2012013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door
fixing
elevator
prote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11005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6805A/ko
Publication of KR2012013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에 설치되는 장식용 유리판의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유리판의 안쪽 가장자리나 상하단 가장자리에 간단히 설치하기 위한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유리판(20)의 가장자리와 바깥면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해 유리판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L형 단면의 기다란 지지대(A1); 및 상기 지지대(A1)를 관통해 도어(D)의 표면에 고정하는 나사, 볼트를 포함한 체결구(A2);를 포함하고, 유리판(20)의 안쪽 가장자리나 상하단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유리판(20)을 도어(D) 표면에 고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a glass sheet for Elevator's do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의 장식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도어 표면에 설치되는 장식용 유리판의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유리판의 측면이나 상하단 가장자리만을 지지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엘리베이터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엘리베이터 표면에 유리판을 덧대어 장식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2008년 12월 16일 출원한 본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2008-127686호는 엘리베이터 겉면에 설치된 유리판을 엘리베이터 외부에서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도 1~2는 위의 특허출원을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은 유리판 가장자리를 도어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고, 도 2에 도시된 것은 유리판 가장자리와 도어 가장자리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다.
이런 고정수단은 유리판을 엘리베이터 도어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있지만, 도 2의 고정수단은 나사와 같은 체결구의 머리를 덮는 덮개가 있어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이때문에 지지대(F2)의 길이가 길어져 고정수단의 일부가 엘리베이터 도어 앞의 벽면 밖으로 보일 수 밖에 없다. 즉, 유리판 고정기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수 있다. 물론, 구조적으로 부품수가 많아 작업에 시간이 많이 들고 제작비도 상승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리판 고정기구가 유리판의 가장자리만 지지하도록 하여 고정기구 전체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기구의 부품수를 줄여 작업을 단순화하고 제작비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L)의 바깥면에 부착되는 보호시트(H1)를 통해 유리판(H)을 엘리베이터 도어(L)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에 있어서:
유리판(H)의 양쪽 측면과 하단의 가장자리만 지지하도록 도어(L)에 체결구(F)로 고정되는 기다란 판형의 지지대(E4,E5); 및
상기 유리판(H)과 보호시트(H1)를 관통해 도어(L)의 표면에 유리판(H)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F1);를 포함하고,
도어(L)의 표면에 체결구(F1)로 고정된 유리판(H)이 상기 지지대(E4,E5)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견고하게 도어(L)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L)의 바깥면에 부착되는 보호시트(H1)를 통해 유리판(H)을 엘리베이터 도어(L)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에 있어서:
유리판(H)의 양쪽 측면과 하단의 가장자리만 지지하도록 도어(L)에 체결구(F)로 고정되는 기다란 판형의 지지대(E4,E5); 및
상기 보호시트(H1)와 도어(L)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보호시트(H1)와 유리판(H)을 도어에 접착고정하기 위한 접착수단(N);을 포함하고,
도어(L)의 표면에 접착수단(N)으로 고정된 유리판(H)이 상기 지지대(E4,E5)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견고하게 도어(L)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기구도 제공한다.
전술한 체결구(F1)는 유리판 보호를 위해 탄성링(I)과 탄성와셔(J)를 통해 유리판(H)과 보호시트(H1)를 관통해 도어(L)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고정기구에 있어서, 유리판(H)의 가장자리와 지지대(E4,E5) 사이에 완충재(M)가 배치되면 더 좋다.
한편, 접착수단(N)은 보호시트(H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구에 의하면, 고정기구의 지지대가 유리판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유리판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지지대 전체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장식용 유리판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미적으로 더 아름답게 보일 수 있다.
도 1~2는 종래의 본 발명자에 의한 고정장치의 2가지 타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로서,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4B는 도 4A의 한쪽 도어의 분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A에 대응하는 분해도.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로서,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4B는 도 4A의 한쪽 도어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구는 엘리베이터 도어(L)의 정면에 부착되는 유리판(H), 도어(L)와 유리판(H) 사이에 배치되어 유리판(H)을 보호하는 보호시트(H1), 기다란 판형의 지지대(E4,E5), 및 유리판(H)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F1)로 이루어진다. 유리판(H)으로는 강화유리를 많이 사용하지만, 투명하거나 색상이 들어간 투명재 또는 반투명재 플라스틱 등의 개념을 모두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일단, 유리판(H)은 보호시트(H1)를 관통해 도어(L)의 표면에 체결되는 체결구(F1)에 의해 도어(L)에 고정된다. 이런 체결구(F1)의 갯수는 4개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갯수를 가감할 수 있다. 체결구(F1)는 유리판을 보호하기 위해 탄성링(I)과 탄성와셔(J)를 통해 유리판(H)과 보호시트(H1)를 관통해 도어(L)의 뒷면의 너트(K)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링과 탄성와셔의 재료로는 고무가 바람직하지만, 유리판을 보호할 수 있는 탄성을 갖기만 하면 어떤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는 2가지 종류를 사용한다. 우선 제1 지지대(E4)는 도어(L)의 측면에 체결구(F)로 지지되는 것이다. 체결구(F)로 도어(L)의 측면에 지지된 지지대(E4)는 유리판(H)의 측면(도면에서는 우측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게 된다(도 4A 참조). 이때,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보호하기 위해 지지대(E4)와의 사이에 완충재(M)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완충재의 재료로는 탄성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필요하다면, 이런 완충재(M)는 유리판의 가장자리와 다른 지지대(E5)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 조여진 체결구(F)를 보호하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양쪽 도어가 닫히면서 중앙에서 부딪칠 때 충격을 완화하도록 캡(G)을 씌워 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대(E5)는 도어(L)의 정면에, 구체적으로는 유리판(H)의 바로 옆에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할 때, 지지대(E5)의 한쪽 가장자리가 유리판(H)의 가장자리를 단단히 맞물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보통 제2 지지대(E5)는 조립된 상태에서 건물의 벽면에 가려져 보이지 않으므로, 이 지지대의 체결구(F)는 캡으로 가릴 필요가 없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에 보이는 제1 지지대(E4)는 도어(L)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그 구조는 도 4의 제1 지지대(E4)와 동일하다. 물론, 이 경우 체결구를 가리는 캡은 불필요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고정기구의 지지대(E4~5)는 각각 유리판의 양쪽 측면과 하단부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지지대 없이 체결구(F1)로만 유리판을 도어에 고정할 경우, 엘리베이터의 양쪽 도어가 닫힐 때 부딪치는 충격에 의해 유리판이 파손될 우려가 크다. 일반적으로 유리판, 특히 강화유리는 정면의 충격에는 강하지만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에는 약하기 때문에, 도어가 닫혀 부딛치는 충격에 쉽게 파손된다. 뿐만 아니라, 유리판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도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런 문제는, 본 발명의 지지대(E4~5)와 완충재(M)를 사용하면 쉽게 극복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A에 대응하는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판을 고정할 때 체결구가 아닌 접착수단을 사용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보호시트(H1)와 도어(L)의 표면 사이에, 구체적으로는 보호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2cm 정도의 폭으로 접착수단(N)을 배치하여, 보호시트(H1)와 유리판(H)을 도어에 접착고정한다. 이런 접착수단(N)은 접착시트,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을 모두 포함하고, 도면에는 표면 전체에 접착수단이 분포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일부분만 접착할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접착시트가 보호시트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접착수단(N)은 연속적일 수도 있고 단속적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보호시트(H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용된 접착수단(N)은 도어의 가장자리와 하단부의 지지대(E4)를 분리한 다음 도어 가장자리를 따라 보호시트(H1)와 도어(L) 사이의 접착수단(N)을 칼과 같은 수단으로 잘라내면 보호시트에 붙어있는 유리(H)를 쉽게 도어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장식판으로서 유리판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를 든 것일 뿐이고, 유리판이 아닌 불투명 재질이나 기타 모든 장식판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도어(L)의 바깥면에 부착되는 보호시트(H1)를 통해 유리판(H)을 엘리베이터 도어(L)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에 있어서:
    유리판(H)의 양쪽 측면과 하단의 가장자리만 지지하도록 도어(L)에 체결구(F)로 고정되는 기다란 판형의 지지대(E4,E5); 및
    상기 유리판(H)과 보호시트(H1)를 관통해 도어(L)의 표면에 유리판(H)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F1);를 포함하고,
    도어(L)의 표면에 체결구(F1)로 고정된 유리판(H)이 상기 지지대(E4,E5)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견고하게 도어(L)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기구.
  2. 엘리베이터 도어(L)의 바깥면에 부착되는 보호시트(H1)를 통해 유리판(H)을 엘리베이터 도어(L)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에 있어서:
    유리판(H)의 양쪽 측면과 하단의 가장자리만 지지하도록 도어(L)에 체결구(F)로 고정되는 기다란 판형의 지지대(E4,E5); 및
    상기 보호시트(H1)와 도어(L)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보호시트(H1)와 유리판(H)을 도어에 접착고정하기 위한 접착수단(N);을 포함하고,
    도어(L)의 표면에 접착수단(N)으로 고정된 유리판(H)이 상기 지지대(E4,E5)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견고하게 도어(L)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F1)가 탄성링(I)과 탄성와셔(J)를 통해 유리판(H)과 보호시트(H1)를 관통해 도어(L)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리판(H)의 가장자리와 지지대(E4,E5) 사이에 완충재(M)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N)이 보호시트(H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기구.
KR1020110055969A 2011-06-10 2011-06-10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KR20120136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969A KR20120136805A (ko) 2011-06-10 2011-06-10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969A KR20120136805A (ko) 2011-06-10 2011-06-10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805A true KR20120136805A (ko) 2012-12-20

Family

ID=4790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969A KR20120136805A (ko) 2011-06-10 2011-06-10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68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5767A (zh) * 2013-07-29 2014-10-08 尹一植 电梯门的显示器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5767A (zh) * 2013-07-29 2014-10-08 尹一植 电梯门的显示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6805B (zh) 固定玻璃片於電梯門之裝置
EP3235636B1 (en) Glass resin laminate
JP2013539742A5 (ko)
WO2007143510A3 (en) Wall mountable frame structure for mounting equipment
RU2007140354A (ru) Дверь для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IL188132A0 (en) Transparent glass pane provided with a surface structure
ATE550497T1 (de) Insbesondere für explosionssichere vorhangfassaden geeignetes element
BRPI0819004A2 (pt) "estrutura de favo de mel e painel estrutural com uma estrutura de favo de mel"
BRPI0511182A (pt) estrutura de janela para aeronave
EA200970547A1 (ru) Система отдел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USD666478S1 (en) Bracket for decorative frame for a window curtain rail
ATE354714T1 (de) Befestigungsvorrichtung einer verbundglasscheibe
JPS6471951A (en) Construction glass fixture
KR20120136805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ATE536447T1 (de) Wandbausystem mit glasplatten
PL1561894T3 (pl) Oszklenie
JP2018071324A (ja) パネル装置
BR0204391A (pt) Estrutura de armação de divisória, conjunto de painel para fixar uma pluralidade de painéis a uma estrutura de armação de divisória, e, estrutura de divisória
CN103362270B (zh) 墙面安装结构
KR20090053038A (ko) 유리판재가 장착된 난간대의 구조
KR100803767B1 (ko) 불연성 보드의 조립구조
JP2006104724A (ja) 間仕切りパネルの構造
JP6513497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RU95016U1 (ru) Дверное полотно
JP5619097B2 (ja) 装飾板付き引き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