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486A -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hard coat film,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hard coat layer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hard coat film,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hard coat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486A
KR20120135486A KR1020120060396A KR20120060396A KR20120135486A KR 20120135486 A KR20120135486 A KR 20120135486A KR 1020120060396 A KR1020120060396 A KR 1020120060396A KR 20120060396 A KR20120060396 A KR 20120060396A KR 20120135486 A KR20120135486 A KR 20120135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hard
composition
leveling age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유끼 쯔네까와
가나 야마모또
도시끼 이와사끼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486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7Level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PURPOSE: A composition for a hard coating layer is provided to form a hard coating layer with excellent blocking prevention performance and leveling performance. CONSTITUTION: A composition for a hard coating layer contains a leveling agent, a silica microparticle, and a binder resin. The leveling agent contains a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which is composed of 10-50 weight% of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10-50 weight% of polyethylene glycol monoacrylate, and 10-50 weight% of 2-(perfluorohexyl)ethylacrylate.

Description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하드 코팅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HARD COAT FILM,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HARD COAT LAYER}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 hard coating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ard coating film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HARD COAT FILM,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HARD COAT LAYER}

본 발명은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하드 코팅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a hard coating layer, a hard coating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전자 페이퍼, 터치 패널, 타블렛 PC,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최표면에는 반사 방지를 위한 광학 적층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 방지용 광학 적층체는, 광의 산란이나 간섭에 의해, 상의 투영을 억제하거나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것이다.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cathode ray tube display (CRT),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DP),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ELD), electronic paper, touch panel, tablet P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Generally, the optical laminated body for reflection prevention is provided in the outermost surface. Such an antireflection optical laminated body suppresses projection of an image or reduces reflectance by scattering or interference of light.

상기 광학 적층체로는, 투명성 기재의 표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하드 코팅 필름이 알려져 있다.As said optical laminated body, the hard coat film which provided the hard coat layer on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base material is known.

이러한 하드 코팅 필름은, 염가 및 대량 생산의 관점에서 길이가 길게 제조되고, 그 후 롤에 권취되지만, 하드 코팅 필름의 표면이 평활하면, 롤로부터 하드 코팅 필름을 풀어낼 때에 인접하는 하드 코팅 필름끼리가 부착되어, 블로킹이라 불리는 현상이 발생해서 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Such a hard coat film is produced with a long length from the viewpoint of inexpensiveness and mass production, and is then wound on a roll. However, whe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film is smooth, adjacent hard coat films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hard coat film is released from the roll. Is attached, a phenomenon called blocking occur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yield is lowered.

이러한 블로킹의 문제에 대하여, 예를 들어 하드 코팅층에 윤활 용이제를 첨가하고, 상기 하드 코팅층 표면에 존재하는 윤활 용이제에 의해, 하드 코팅층 표면에 미끄럼성(윤활 용이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With respect to the problem of blocking, for example, a method of adding a lubricating agent to the hard coating layer and providing a slipperiness (lubrication ease) to the hard coating layer surface by the lubricating agen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hard coating layer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종래의 윤활 용이제를 첨가하는 방법에서는, 상기 윤활 용이제가 하드 코팅층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충분한 윤활 용이성을 얻기 위해서는, 그의 첨가량을 많게 할 필요가 있어, 고비용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하드 코팅층의 투명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adding the lubricant, since the lubricant is uniformly dispersed in the hard coating layer,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lubricit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additive, which causes a problem of high cost. There was also a problem of impairing the transparency of the coating layer.

또한, 하드 코팅층에 윤활 용이제와 레벨링제를 첨가해서 하드 코팅층에 윤활 용이성을 부여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Moreover, the method of adding a lubricating agent and a leveling agent to a hard coat layer and providing an lubrication ease to a hard coat layer is also known.

이러한 하드 코팅층에 첨가되는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C8텔로머(퍼플루오로옥틸기(C8F17-))를 포함하는 불소계 레벨링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Leveling agents to be added to such a hard coat layer is, for example, C8 telomer (perfluoro-octyl (C 8 F 17 -)) has a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is known comprising a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2).

그러나, 최근 보다 높은 레벨에서의 블로킹 방지성이 요구되고 있어, 종래의 레벨링제를 병용한 하드 코팅 필름에서는, 최근 고레벨에서의 블로킹 방지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었다.However, the blocking prevention property at the higher level is calculated | required in recent years, and it was impossible to satisfy the blocking prevention property at the high level recently with the hard coat film which used the conventional leveling agent together.

또한, C8텔로머는, 그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퍼플루오로옥탄산의 환경 부하, 인체에의 영향이 염려되는 물질로, 보다 환경 부하 등이 적은 재료를 사용한 하드 코팅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C8 telomer is a substance which is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al load of human perfluorooctanoic acid produc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effect on the human body, and a hard coat film using a material having a lower environmental load is required.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9815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249815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1019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41019

본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우수한 블로킹 방지 성능과 레벨링 성능을 갖는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상기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하드 코팅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rd coating layer composition, a hard coating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hard coating layer composition which can form a hard coating layer having excellent blocking prevention performance and leveling performance in view of the present situation. It aims to do it.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실리카 미립자와, 특정한 단량체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불소계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경화시켜서 하드 코팅층으로 했을 때에, 소정의 하드 코팅성 이외에, 매우 우수한 블로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As a result of earnestly examin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containing a silica fine particle and the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ich consists of a specific monomer composition exhibits the outstanding blocking property besides predetermined | prescribed hard coat property when it hardens | cures and it is set as a hard coat layer. It discovered what was possible and came to complete this invention.

즉, 본 발명은 레벨링제와, 실리카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이며,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조성으로 하는 불소계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이다.That is, this invention is a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containing a leveling agent, a silica fine particle, and binder resin, The said leveling agent is a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polyethyleneglycol monoacrylate, and 2- (perfluorohexyl) ethyl. It is a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containing the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ich makes an acrylate the monomer composition.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를 구성하는 단량체 조성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가 10 내지 50질량%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가 10 내지 50질량%이며,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가 1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m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is 10 to 50% by mass of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10 to 50% by mass of polyethylene glycol monoacrylate, and 2- It is preferable that (perfluorohexyl) ethylacrylate is 10-50 mass%.

또한,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불소 원자 함유율이 7 내지 34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orine atom content rate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is 7-34 mass%.

또한,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00 내지 2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are 11000-25000.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상기 실리카 미립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를 5 내지 6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contains 5-60 mass parts of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said silica fine particles.

본 발명은 또한, 광투과성 기재 및 하드 코팅층을 갖고, 상기 하드 코팅층은,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 필름이기도 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light-transmissive substrate and a hard coat layer, wherein the hard coat layer is also a hard coat film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the composition for a hard coat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리카 미립자는, 상기 하드 코팅층의 광투과성 기재측과 반대측의 상층부에 편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ilica fine particle is localized in the upper layer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ight transmissive base material side of the said hard coat layer.

또한, 본 발명은 편광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이며, 상기 편광 소자의 표면에 상술한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이기도 하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a polarizing element, It is also a polarizing plate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hard coat film mentioned above on the surface of the said polarizing element.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하드 코팅 필름, 또는 상술한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기도 하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also an image display apparatu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hard coat film or the above-mentioned polarizing plate.

또한,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갖는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 상에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갖고, 상기 도막 중에서 불소계 레벨링제 및 실리카 미립자를 상기 광투과성 기재측과 반대측의 상층부에 편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이기도 하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ard coat film which has a hard coat layer on a light transmissive base material, The process of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to form a coating film on the said light transmissive base material, and hardens the said coating film. It is also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ard-coating film characterized by making the fluorine-type leveling agent and silica microparticles localize in the upper layer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aid light transmissive base material side in the said coating film.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레벨링제와, 실리카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한다.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this invention contains a leveling agent, a silica fine particle, and binder resin.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조성으로 하는 불소계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것이다.The leveling agent contains a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having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onoacrylate and 2- (perfluorohexyl) ethyl acrylate as monomer compositions.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는,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하드 코팅층을 형성했을 때에,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하드 코팅층의 상층부(광투과성 기재측과 반대측의 표면 부근)에 편재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의하면, 평면성이 양호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레벨링 성능이 우수한 하드 코팅 필름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forms a hard-coat layer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by interacting with the binder resin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the upper layer part (light transmittance) of the said hard-coat layer And near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bstrate side).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the hard coat layer with favorable planarity can be formed and the hard coat film excellent in the level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하드 코팅층을 형성했을 때, 상기 실리카 미립자는, 상기 하드 코팅층의 상층부에 편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드 코팅층은,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보다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는 단량체 조성으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친수성이 담보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면, 상기 하드 코팅층의 상부에 편재한 불소계 레벨링제가 상기 실리카 미립자를 끌어당겨, 상기 실리카 미립자가 하드 코팅층의 상층부에 편재하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의하면, 우수한 블로킹 방지 성능을 갖는 하드 코팅 필름을 얻을 수 있다.Moreover, when forming a hard coat layer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ilica fine particle is ubiquitous in the upper layer part of the said hard coat layer. Such a hard coat layer can be more suitably formed 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since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contains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and polyethyleneglycol monoacrylate as a monomer composition, some hydrophilicity is ensured. For this reason, when a hard-coat layer is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the fluorine-type leveling agent ubiquitous on the said hard-coat layer attracts the said silica microparticles, and the said silica microparticles will be unevenly distributed in the upper layer part of a hard-coat layer.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the hard coat film which has the outstanding blocking preven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이에 대해, 상술한 불소계 레벨링제와는 상이한 단량체 조성의 종래의 레벨링제와 실리카 미립자를 포함하는 종래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서는, 친수성인 실리카 미립자와의 상성에 의해, 상기 레벨링제가 하드 코팅층의 상층부에 편재했다고 해도 상기 레벨링제의 친수성이 불충분했기 때문에, 실리카 미립자를 끌어당기는 경우는 없고, 그 결과 실리카 미립자는 하드 코팅층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하드 코팅 필름의 블로킹 방지 성능은 불충분해진다고 생각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hard coating lay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ilica particle and the conventional leveling agent of the monomer composition different from the fluorine-type leveling agent mentioned above, the said leveling agent is formed in the upper layer part of a hard-coat layer by the compatibility with hydrophilic silica fine particles. Even if it is ubiquitous, since the hydrophilicity of the said leveling agent is inadequate, it does not attract silica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s a result, silica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re disperse | distributed uniformly to a hard coat layer, It is thought that the blocking prevention performance of a hard coat film becomes inadequate.

즉, 하드 코팅 필름에 우수한 레벨링 성능과 블로킹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첨가하는 레벨링제에 어느 정도의 친수성이 담보될 필요가 있다.That is, in order to give the hard coating film excellent leveling performance and blocking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ensure a certain degree of hydrophilicity to the leveling agent added to the hard coating layer composition.

또한, 상기 하드 코팅층의 상층부에 편재되어 있는 실리카 미립자는,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하드 코팅층은, 그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현미경 관찰시에,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의 1/2보다도 광투과성 기재측과 반대측의 영역에 상기 실리카 미립자의 60% 이상이 관찰된다.In addition, the silica fine particle localized in the upper layer part of the said hard coat layer can be confirmed by observing the cross section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aid hard coat layer with a microscope. For example, the hard coat layer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reg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ght transmissive substrate side than half of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at the time of cross-sectional microscope observ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At least 60% of the silica fine particles are observed.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를 구성하는 단량체 조성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가 1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0질량% 미만이면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에 의한 하드 코팅층의 상층부의 친수성의 정도가 저하되고, 실리카 미립자의 편재가 불충분해져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블로킹 방지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50질량%를 초과하면,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불소 원자 함유율이 적어지고,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의 레벨링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m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is preferably 10 to 50% by mass of the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If it is less than 10 mass%, the degree of hydrophilicity of the upper layer part of a hard coat layer by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may fall, and uneven distribution of silica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may become inadequate, and blocking prevention performance may become inadequate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50 mass%, the fluorine atom content rate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may become small, and the leveling performance at the time of setting it as a hard coat film may become inadequate.

또한,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단량체 조성 중,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가 1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0질량% 미만이면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친수성이 저하되고, 실리카 미립자의 편재가 불충분해져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블로킹 방지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50질량%를 초과하면,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불소 원자 함유율이 적어지고,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의 레벨링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polyethyleneglycol monoacrylate is 10-50 mass% in the monomer composition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If it is less than 10 mass%, the hydrophilicity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may fall, and uneven distribution of silica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may become inadequate, and blocking prevention performance may become inadequate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50 mass%, the fluorine atom content rate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may become small, and the leveling performance at the time of setting it as a hard coat film may become inadequate.

또한,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단량체 조성 중, 상기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가 1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0질량% 미만이면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불소 원자 함유율이 적어지고,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의 레벨링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50질량%를 초과하면,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친수성이 저하되고, 실리카 미립자의 편재가 불충분해져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블로킹 방지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 (perfluorohexyl) ethyl acrylate is 10-50 mass% in the monomer composition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If it is less than 10 mass%, the fluorine atom content rate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may become small, and the leveling performance at the time of using a hard coat film may become inadequate.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50 mass%, the hydrophilicity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falls, the uneven distribution of silica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may become inadequate, and blocking prevention performance may become inadequate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상술한 단량체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불소계 레벨링제는, 불소 원자 함유율이 7 내지 34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7질량% 미만이면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레벨링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34질량%를 초과하면,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블로킹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불소 원자 함유율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질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질량%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ich consists of the monomer composition mentioned above is 7-34 mass% of fluorine atom content rates. When it is less than 7 mass%,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leveling performance may become inadequate.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34 mass%, blocking performance may become inadequate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The minimum with more preferable fluorine atom content rate is 10 mass%, and a more preferable upper limit is 30 mass%.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00 내지 2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11000 미만이면 실리카 미립자를 충분히 끌어당길 수 없어,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블로킹 방지성이 불충분해지고, 25000을 초과하면 충분한 레벨링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3000이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만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is 11000-25000 by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f it is less than 11000, a silica fine particle cannot be attracted enough, and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blocking prevention property may become inadequate, and when it exceeds 25000, sufficient leveling performance may not be obtained. The minimum with more preferabl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13000, and a more preferable upper limit is 20,000.

또한, 상기 불소계 레벨링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법)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In addi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aid fluorine-type leveling agent is a value obtained by the method of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 (GPC method).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레벨링제로서 상술한 불소계 레벨링제만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그 밖의 레벨링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Although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contains only the fluorine-type leveling agent mentioned above as a leveling agent, as long as it is a range which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is invention, it may contain the other leveling agent.

상기 그 밖의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단량체 조성과 상이한 불소계 레벨링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아크릴계 레벨링제 등의 공지된 것을 들 수 있다.As said other leveling agent, well-known things, such as a fluorine-type leveling agent, a silicone-type leveling agent, and an acryl-type leveling agent different from the monomer composition mentioned above, are mentioned, for example.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이, 불소계 이외의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경우,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충분한 블로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이, 불소계 레벨링제 대신에 실리콘계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실리콘계 레벨링제와 상기 실리카 미립자와의 친화성이 강하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상층부에 편재화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In addition, when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contains a leveling agent other than a fluorine system, sufficient blocking property is not acquired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For example, when the composition for a hard coat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silicon leveling agent instead of a fluorine leveling agent, the affinity between the silicon leveling agent and the silica fine particles is strongly and uniformly dispersed, making it difficult to localize on the upper layer. Lose.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서는, 후술하는 실리카 미립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술한 불소계 레벨링제를 5 내지 6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질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질량부이다. 5질량부 미만이면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평활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60질량부를 초과하면,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충분한 블로킹 방지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tain 5-60 mass parts of fluorine-type leveling agents mentioned above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silica fine particles mentioned later, More preferably, a minimum is 7 mass parts, and a more preferable upper limit is 50 mass parts. It is wealth. When it is less than 5 mass parts, smoothness may not be obtained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and when it exceeds 60 mass parts, sufficient blocking prevention performance may not be obtained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한다.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this invention contains a silica fine particle.

상기 실리카 미립자는 블로킹 방지제(윤활 용이제)로서 기능하는 재료이며, 상기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함으로써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적합한 블로킹 방지 성능이 얻어진다.The said silica fine particle is a material which functions as an antiblocking agent (lubricating agent), and when it contains a said silica fine particle to make a hard coat film, suitable antiblocking performance is obtained.

상기 실리카 미립자로는, 반응기를 갖지 않는, 평균 1차 입경이 100 내지 600nm인 구형 입자를 적절하게 들 수 있다. 100nm 미만이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한 하드 코팅 필름에 블로킹 방지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600nm를 초과하면,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의 헤이즈가 높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평균 1차 입경은 100 내지 35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said silica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the spherical particle which does not have a reactor and whose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is 100-600 nm is mentioned suitably. If it is less than 100 nm,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blocking prevention property may not be exhibited in the hard coat film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When it exceeds 600 nm,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haze of the said hard coat film may become high. As for the said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0-350 nm.

또한, 상기 평균 1차 입경은, 메틸이소부틸케톤 5중량% 분산액의 상태에서 레이저 회절 산란법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상기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 1차 입경은,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SEM 등의 현미경 관찰에 의해 측정한 실리카 미립자의 직경의 평균값으로서 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aid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i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by the laser diffraction scattering method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apparatus in the state of 5 weight% of methyl isobutyl ketone dispersion liquid. In addition, the averag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silica fine particle can also be computed as an average value of the diameter of the silica fine particle measured by microscope observation, such as SEM,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또한, 상기 실리카 미립자가 구형임으로써, 형성하는 하드 코팅층의 헤이즈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said silica fine particle is spherical, the raise of the haze of the hard-coat layer to form can be suppressed.

상기 실리카 미립자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1질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한 하드 코팅 필름에 블로킹 방지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4질량부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한 하드 코팅 필름의 헤이즈가 상승하는 등 광학 특성이 악화되거나, 분산성이 현저하게 악화되어, 응집?겔화의 원인이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하드 코팅 필름 표면의 외관상의 결점이나 헤이즈의 상승으로 연결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리카 미립자는 응집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said silica fine particle is 1-4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resin solid content of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If it is less than 1 mass par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blocking prevention property may not be exhibited in the hard coat film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If it exceeds 4 parts by mass,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hard coat film formed by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the dispersibility is remarkably deteriorated, resulting in agglomeration and gelation.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efects in the appearance of the surface of the hard coat film and the rise of haze may be connected. As such, the silica fine particles are preferably not aggregated.

본 발명의 하드 코팅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한다.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of this invention contains binder resin.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투명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인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용제 건조형 수지(열가소성 수지 등, 도포 시공시에 고형분을 조정하기 위해서 첨가한 용제를 건조시키는 것만으로 피막이 되는 수지)와의 혼합물, 또는 열경화형 수지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지"는, 단량체, 올리고머 등의 수지 성분도 포함하는 개념이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transparent as said binder resin, For exampl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which is resin hardened | cured by an ultraviolet-ray or an electron beam,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nd a solvent-drying resin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adjusting solid content at the time of application | coating construction) And a thermosetting resin, or a mixture with a resin to form a film only by drying the solvent added for the purpose. More preferably, it is an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type resi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resin" is a concept also containing resin components, such as a monomer and an oligomer.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등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둘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및 이들을 에틸렌옥시드(EO) 등으로 변성한 다관능 화합물, 또는 상기 다관능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반응 생성물(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가리키는 것이다.As said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the compound which has one or two or more unsaturated bonds, such as a compound which has an acrylate-type functional group, is mentioned, for example. As a compound which has one unsaturated bond, ethyl (meth) acrylate, ethylhexyl (meth) acrylate, styrene, methyl styrene, N-vinylpyrrolidon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s a compound which has two or more unsaturated bonds, For example, polymethylol propane tri (meth) acrylate, hexanediol (meth) 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 Latex,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1,6-hexanedioldi (meth) acrylate, neopentylglycol di (meth) acrylate and the like and these The polyfunctional compound modified | denatured with the seed (EO) etc., or reaction products (for example, poly (meth) acrylate ester of polyhydric alcohol), such as said polyfunctional compound and (meth) acrylate,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 acrylate" refers to methacrylate and acrylate.

상기 화합물 이외에,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등도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A polyether resin,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urethane resin, an alkyd resin, a spiroacetal resin, a polybutadiene resin, a polythiol polyene resin and the like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It can be used as a curable resin.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용제 건조형 수지와 병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용제 건조형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도포면의 피막 결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용제 건조형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said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an als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solvent drying type resin. By using solvent dry type resin together, the coating defect of an application surface can be prevented effectively. The solvent-drying resin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generally a thermoplastic resin can be used.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비결정성이고, 또한 유기 용매(특히 복수의 중합체나 경화성 화합물을 용해 가능한 공통 용매)에 가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막성, 투명성이나 내후성이라는 관점에서,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등) 등이 바람직하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aid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styrene resin, (meth) acrylic-type resin, vinyl acetate type resin, vinyl ether type resin, halogen containing resin, alicyclic olefin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ester resin, polyamide resin, a cellulose derivative, silicone resin, rubber | gum, an elastomer, etc. are mentioned. The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y amorphous and soluble in an organic solvent (in particular, a common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a plurality of polymers or curable compounds). In particular, styrene resins, (meth) acrylic resins, alicyclic olefin resins, polyester resins,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cellulose esters) and the like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film forming property, transparency and weather resistance.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As the thermosetting resin that can be used as the binder resin, a phenol resin, urea resin, diallyl phthalate resin, melamine resin, guanamine res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urethane resin, epoxy resin, aminoalkyd resin, melamine-urea ball Condensation resin, a silicon resin, polysiloxane resin, etc. are mentioned.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빔 세트 DT3(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아크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혼합물,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사제)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in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what is marketed can also be used for the said binder resin, For example, the beam set DT3 (a mixture of an acrylate monomer, an acrylate acrylate oligomer, and an acrylate polymer, Arakawa) Kagaku High School).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한 하드 코팅 필름은, 높은 경도와 우수한 복원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binder resin contains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has an isocyanur skeleton. By containing the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has the said isocyanur skeleton, the hard coat film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can be made to have high hardness and excellent resilience.

여기서 상기 "높은 경도"란, 구체적으로는 JIS K5600-5-4(1999)로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에서 "3H" 이상인 것이다.Here, the "high hardness" is specifically "3H" or more in the pencil hardness test prescribed by JIS K5600-5-4 (1999).

상기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이소시아누레이트의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다관능 단량체를 반응시킨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As a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has the said isocyanurate skeleton, the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made the polyfunctional monomer react with the isocyanate group of the terminal of the isocyanurate which consists of diisocyanate is mentioned.

상기 다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PPA),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s includ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PPA),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and the like.

상기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는, 관능기의 수가 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의 수가 9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관능기 수는 1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has the said isocyanuric skeleton is 9 or more. If the number of the said functional groups is less than 9,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hardness may not be obtained. As for the said functional group numb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2 or more,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15.

상기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 내지 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has the said isocyanuric skeleton are 1500-3000.

1500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3000을 초과하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해서 도포 시공이 곤란해지거나, 형성한 하드 코팅층의 경화 반응에 저해가 발생하여 충분한 경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If it is less than 1500, there is a fear that sufficient hardness cannot be obtained. When it exceeds 3000,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making coating difficult, or inhibiting the hardening reaction of the formed hard coating layer,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hardness may not be obtained.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00 내지 2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for th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800-2500.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한 값이다.In addition, th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the value calculated | required in polystyrene conversion by 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상기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그 중에서도,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의 삼량체로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형성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3군데의 말단 이소시아네이트에,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PPA)를 반응시킨 우레탄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관능기의 수가 많고, 분자량에 어느 정도의 크기가 있으며, 골격으로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기 때문에, 높은 경도를 실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특징으로서의 탄성을 갖고, 예를 들어 하드 코팅 필름의 연필 경도 시험에 의한 표면의 오목부의 회복과 같은 복원성도 실현할 수 있다.As a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has the said isocyanur skeleton, it is a dipenta to three terminal isocyanate of the isocyanurate which formed the isocyanur skeleton from the trimer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especially The urethane acrylate to which erythritol pentaacrylate (DPPA) was made to react is preferable. Since the urethane acrylate has a larg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has a certain size in molecular weight, and has an isocyanur skeleton as a skeleton, it can not only realize high hardness but also have elasticity as a characteristic of the urethane acrylate. For example, restorability, such as recovery of the recessed part of the surface by the pencil hardness test of a hard coat film, can also be realized.

상기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바인더 수지 성분 중, 고형분으로 3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30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50질량%를 초과하면, 하드 코팅 필름의 컬링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상기 함유량은 35 내지 5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has the said isocyanuric skeleton is 30-50 mass% in solid content among the binder resin components of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If it is less than 30 mas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hardness may not be obtained. When it exceeds 50 mas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curling of a hard coat film may arise easily. As for the said conte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5-50 mass%.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의 컬링이란, 하드 코팅층 형성시 자외선 경화 반응에 의해 경화 수축이 일어나고, 도막이 수축하기 때문에, 도막(하드 코팅층)과 기재 사이에 응력차가 발생해서 도막측에 필름이 컬링하는 현상을 말한다.In addition, curling of the hard coat film is a phenomenon in which a curing shrinkage occurs due to an ultraviolet curing reaction during formation of a hard coat layer, and the coating film shrinks, so that a stress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coating film (hard coating layer) and the substrate and the film curls on the coating film side. Say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 상기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경우, 추가로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rethane (meth) acrylate having the isocyanur skeleton is contained as the binder resi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ntain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상기 하드 코팅 필름끼리의 부착과 같은 블로킹을 보다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팅 필름의 컬링의 발생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By containing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the blocking such as adhesion of the said hard coat films can be prevented more suitably.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curling of the hard coat film may be appropriately prevented.

상기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상기 바인더 수지 성분 중, 고형분으로 15 내지 3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5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고, 35질량%를 초과하면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에 컬링이 발생하거나, 블로킹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함유량은 20 내지 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said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is 15-35 mass% in solid content among the said binder resin components. If it is less than 15 mass%, sufficient hardness may not be obtained, and when it exceeds 35 mass%, curling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or blocking may occur when it is set as a hard coat film. As for the said conte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0-35 mass%.

상기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추가로 바인더 수지로서, 관능기의 수가 6 이하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contains urethane (meth) acrylate whos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s 6 or less as binder resin further.

상술한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에, 관능기의 수가 비교적 적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병용함으로써, 높은 연필 경도를 유지하면서, 또한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의 컬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urethane (meth) acrylate having the isocyanuric skeleton described above, by using a urethane (meth) acrylate with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functional groups, curling can be prevented while maintaining a high pencil hardness and making a hard coating film. Can be.

상기 관능기의 수가 6 이하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및/또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로 이루어지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관능기의 수가 2 내지 3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부가시킨 것이 바람직하다.As a urethane (meth) acrylate with the number of the said functional groups 6 or less, it is a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consists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and / or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and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s 2-3. It is preferable to add a functional acrylate monomer.

상기 관능기의 수가 6 이하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바인더 수지 성분 중, 고형분으로 15 내지 3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5질량% 미만이면 하드 코팅 필름으로 했을 때의 컬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35질량%를 초과하면, 충분한 경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whose number of the said functional groups is 6 or less is 15-35 mass% in solid content among the binder resin components of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If it is less than 15 mass%, curling at the time of using a hard coat film may arise. When it exceeds 35 mas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hardness may not be obtained.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 상술한 수지 성분 이외에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에,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함으로써, 하드 코팅 필름의 컬링이나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다.As said binder resin,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meth) acryl polymer other than the resin component mentioned above. Curing and damage of a hard coat film can be prevented by containing the said (meth) acryl polymer other than the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has the said isocyanur skeleton.

상기 데미지란, 하드 코팅층 형성시 자외선 경화 반응에 의한 발열이나, 상기 발열에 의해 급격하게 가열되어, 자외선 조사가 단숨에 종료됨으로써 급격하게 냉각됨으로써, 경화 수축과 더불어 하드 코팅층과 기재가 흐름 방향으로 줄무늬 형상으로 물결치는 현상을 말한다.The damage is a heat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curing reaction when forming the hard coating layer, or rapidly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and suddenly cooled by the end of ultraviolet irradiation, so that the hard coating layer and the substrate in the flow direction along with curing shrinkage The phenomenon of waving.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3만을 초과하면, 도막 밀착성이 저하되거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해서 도포 시공면이 악화되거나, 핸들링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하한이 1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이 2만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the said (meth) acryl polymer are 10,000-30,000. If th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10,000,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hardness may not be obtained. When it exceeds 30,000,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coating film adhesiveness may fall,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rises, a coating surface may worsen, or handling may worsen. It is preferable that a minimum is 10,000, and, as for th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t is preferable that an upper limit is 20,000.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법)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Th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a value obtained by the method of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 (GPC method).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이 200 내지 300이다. 상기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이 200 미만이면 합성하는 것도 어려우며, 유리 전이 온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300을 초과하면, 이중 결합이 적고,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하드 코팅층의 경도나 내찰상성이 저하된다.The (meth) acryl polymer has an acrylic double bond equivalent of 200 to 300. It is also difficult to synthesize | combine that the said acrylic double bond equivalent is less than 200,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ill fall. When it exceeds 300, there are few double bonds, and the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of the hard coat layer obtained by hardening fall.

상기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은 하한이 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이 270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is 210, and, as for the said acrylic double bond equivalent, it is preferable that an upper limit is 270.

상기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은, 배합한 단량체로부터 산출되는 이중 결합량과 중량 평균 분자량에 의해 구한 값이다.The said acrylic double bond equivalent is the valu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double bond amount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computed from the mix | blended monomer.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과 상기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과의 비(중량 평균 분자량/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가 5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ratio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acrylic double bond equivalent) of the said (meth) acrylic polymer with the sai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the said acrylic double bond equivalent is 50-80.

상기 비가 50 미만이면 경도, 내찰상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80을 초과하면, 밀착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If the said ratio is less than 50,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hardness and abrasion resistance may deteriorate. When it exceeds 80,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dhesiveness may deteriorate.

상기 비는 하한이 50이며, 상한이 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aid minimum is 50, and an upper limit is 70.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 Tg가 4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40℃ 미만이면 경도, 내찰상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100 ℃를 초과하면,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거나, 상기 조성물이 겔화할 우려가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의 하한은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은 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meth) acryl polymer is 40-100 degreeC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40 degreeC,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may become inadequate. When it exceeds 100 degreeC,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may rise, or the said composition may gelatiniz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 degreeC, and, as for the minimum of the sai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70 degreeC.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Tg로부터 계산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The sai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a value obtained by the method of calculating from Tg of the monomer which comprises a polymer.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산값이 1mgKOH/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값이 1mgKOH/g을 초과하면, 원하는 경도를 갖는 하드 코팅층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블로킹 방지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meth) acryl polymer has an acid value of 1 mgKOH / g or less. If the acid value exceeds 1 mgKOH / g, there is a fear that a hard coat layer having a desired hardness may not be obtained. Moreover,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blocking prevention property may be inferior.

상기 산값은 0.8mgKOH/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for the said acid valu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8 mgKOH / g or less.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바인더 수지 중, 고형분으로 5 내지 20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질량% 미만이면 마킹 자국 잔여물을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20질량%를 초과하면, 하드 코팅층의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함유량은 10 내지 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meth) acryl polymer is contained 5-20 mass% in solid content in binder resin of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If it is less than 5 mas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rking mark residue cannot be prevented. When it exceeds 20 mas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hardness of a hard coat layer may fall. As for content of the said (meth) acryl polym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20 mass%.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contains a photoinitiator.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공지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예를 들어,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의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제의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메타세론 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토페논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know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cetophenones (for example,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manufactured by Ciba Specialty Chemicals, Inc. Cure 907,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e-1-one by C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benzophenones, thioxanthones, benzoin, benzo Phosphorus methyl ether, aromatic diazonium salt, aromatic sulfonium salt, aromatic iodonium salt, metaceron compound, benzoin sulfonic acid ester, etc. are mentioned.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cetophenones.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중 수지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7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1질량부 미만이면 광중합 개시제의 양이 부족하고, 경화 부족이 될 우려가 있다. 7질량부를 초과하면 광중합 개시제가 과잉이 되고, 과잉한 것에 의한 광중합 반응의 차이가 발생하여, 오히려 경도 부족을 일으키거나, 용해 잔여물에 의한 결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said photoinitiator is 1-7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resin solid content in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If it is less than 1 mass part, the quantity of a photoinitiator will run short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become hardening. When it exceeds 7 mass parts, a photoinitiator will become excess, and the difference of the photoinitiation reaction by the excess may arise, and it may cause the hardness shortage or the fault by melt residue rather.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수지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for content of the said photoinitiato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5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said resin solid content.

상기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The said hard-coat layer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other components as needed other than the component mentioned above.

상기 다른 성분으로는 열 중합 개시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가교제, 경화제, 중합 촉진제, 점도 조정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오염 방지제, 슬립제, 굴절률 조정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said other component,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 crosslinking agent, a hardening | curing agent, a polymerization accelerator, a viscosity modifier, an antistatic agent, antioxidant, an antifouling agent, a slip agent, a refractive index regulator, a dispersing agent, etc. are mentioned. These can use a well-known thing.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상술한 레벨링제, 실리카 미립자, 바인더 수지 및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및 다른 성분을 용매 중에 혼합 분산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this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mixing and disperse | distributing the above-mentioned leveling agent, a silica fine particle, binder resin, and a photoinitiator, and other components in a solvent as needed.

상기 혼합 분산은 페인트 셰이커, 비드밀, 니이더 등의 공지된 장치를 사용해서 행하면 좋다.The mixing and dispersion may be performed using a known apparatus such as a paint shaker, bead mill, kneader or the like.

상기 용매로는 물,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부탄올, t-부탄올, 벤질알코올, PGME, 에틸렌글리콜), 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헵타논, 디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지방족 탄화수소(예: 헥산, 시클로헥산), 할로겐화탄화수소(예: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방향족 탄화수소(예: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아미드(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테르(예: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테르알코올(예: 1-메톡시-2-프로판올), 에스테르(예: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The solvent may be water, alcohol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s-butanol, t-butanol, benzyl alcohol, PGME, ethylene glycol), ketone (e.g.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cyclopentanone, cyclohexanone, heptanone, diisobutyl ketone, diethyl ketone), aliphatic hydrocarbons (e.g. hexane, cyclohexane), halogenated hydrocarbons (e.g. methylene chloride, chloroform, carbon tetrachloride), aromatic Hydrocarbons (e.g. benzene, toluene, xylene), amides (e.g. dimethylformamide, dimethylacetamide, n-methylpyrrolidone), ethers (e.g. diethyl ether, dioxane, tetrahydrofuran), ether alcohol ( Examples include 1-methoxy-2-propanol) and ester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and isopropyl acetate.

그 중에서도, 상기 용매로는 상술한 수지 성분 및 다른 첨가제를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적절하게 도포 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메틸이소부틸케톤 및/또는 메틸에틸케톤이 바람직하다.Among them, methyl isobutyl ketone and / or methyl ethyl ketone are preferable as the solvent can dissolve or disperse the above-described resin component and other additives and apply the composition for the hard coa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ly. Do.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총 고형분이 30 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30% 미만이면 잔류 용제가 남거나, 백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45%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고, 도포 시공성이 저하되어 표면에 얼룩이나 줄무늬가 발생하거나, 간섭 줄무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고형분은 35 내지 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is 30 to 45% of total solids. If it is less than 30%, a residual solvent may remain and whitening may arise. When it exceeds 45%,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becomes high, coating property falls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stain and a streak may arise on the surface, or interference streaks may arise. As for the said solid conte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5 to 45%.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후술하는 광투과성 기재 상에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 후, 상기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After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on the light transmissive base material mentioned later, and forming a coating film, it is made to dry as needed, and a hard-coat layer can be formed by hardening the said coating film.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스핀 코팅법, 침지법, 스프레이법, 다이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터법, 메니스커스 코터법, 플렉소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비드 코터법 등의 공지된 각종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and forming a coating film, for example, a spin coating method, an immersion method, a spray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bar coating method, a roll coater method, a meniscus coater method, a platter Various well-known methods, such as a flexographic printing method, the screen printing method, the bead coater method, are mentioned.

또한, 도포량(건조 도포량)은 3 내지 15g/㎡인 것이 바람직하다. 3g/㎡ 미만이면 원하는 경도의 하드 코팅층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15g/㎡를 초과하면, 컬링이나 데미지의 방지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도포량은 4 내지 9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application amount (dry application amount) is 3-15 g / m <2>. If it is less than 3 g / m <2>,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hard coat layer of desired hardness may not be obtained. When it exceeds 15 g / m <2>,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prevention of curling and damage may become inadequate. As for the said application amou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9 g / m <2>.

상기 건조의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30 내지 120℃에서 3 내지 120초간 건조를 행하면 좋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aid drying method, Generally,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ry for 3 to 120 second at 30-120 degreeC.

상기 도막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내용 등에 따라서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이 자외선 경화형이면, 도막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키면 좋다.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a well-known method suitably according to the content etc. of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as a method of hardening the said coating film. For exampl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harden by irradiating an ultraviolet-ray to a coating film, when the resin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is an ultraviolet curable type.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량이 80m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mJ/㎠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mJ/㎠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다.When irradiating the said ultraviolet-ray,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ultraviolet irradiation is 80 mJ / cm <2> or m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0 mJ / cm <2> or m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30 mJ / cm <2> or more.

상기 하드 코팅층은 층 두께가 3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layer preferably has a layer thickness of 3 to 15 µm.

3㎛ 미만이면 경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15㎛를 초과하면, 잔류 용제가 남거나, 도막 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의 층 두께는 4 내지 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f it is less than 3 micrometer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hardness may become inadequate. When it exceeds 15 micrometers, a residual solvent may remain and coating film adhesiveness may fall. As for the layer thickness of the said hard-coat lay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9 micrometers.

상기 층 두께는 하드 코팅층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SEM, TEM, STEM)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해서 얻어진 값이다.The layer thickness i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cross section of the hard coat layer with an electron microscope (SEM, TEM, STEM).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평활성, 내열성을 구비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light transmissive base material has smoothness and heat resistance, and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상기 광투과성 기재를 형성하는 재료의 구체예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light-transmissive substrate include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polyamide, polyimide, polyether sulfone, polysulfone And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polymethylpenten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acetal, polyether keto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carbonate, or polyurethane, and preferably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triacetyl cellulos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상기 광투과성 기재로는, 또한 지환 구조를 가진 비정질 올레핀 중합체(Cyclo-Olefin-Polymer: COP)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환상 공액 디엔계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중합체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는 기재이며, 예를 들어 닛본 제온사제의 제오넥스나 제오노아(노르보르넨계 수지),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사제 스미라이트 FS-1700, JSR사제 아톤(변성 노르보르넨계 수지), 미쯔이 가가꾸사제 아펠(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티코나(Ticona)사제의 토파스(Topas)(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히따찌 가세이사제 옵트 렛츠 OZ-1000 시리즈(지환식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대체 기재로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사제의 FV 시리즈(저복굴절률, 저광탄성율 필름)도 바람직하다.As the light transmissive substrate, an amorphous olefin polymer (Cyclo-Olefin-Polymer: COP) film having an alicyclic structure can also be used. These are substrates in which norbornene-based polymers, monocyclic cyclic olefin polymers, cyclic conjugated diene polymers, vinyl alicyclic hydrocarbon-based polymer resins, and the like are used. ), Sumitomo Bakelite company Sumilite FS-1700, JSR company Aton (modified norbornene-based resin), Mitsui Chemicals Co., Ltd. Apel (cyclic olefin copolymer), Ticona company Topas (cyclic olefin) Copolymer), the Hitachi Kasei Co., Ltd. optlets OZ-1000 series (alicyclic acrylic resin), etc. are mentioned. Moreover, the FV series (low birefringence and low photoelasticity film) by Asahi Kasei Chemicals Co., Ltd. is also preferable as an alternative base material of triacetyl cellulose.

상기 광투과성 기재로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유연성이 풍부한 필름 형상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화성이 요구되는 사용 형태에 따라, 이들 열가소성 수지의 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유리판의 판상체를 사용해도 좋다.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ermoplastic resin as a film-rich body having flexibility as the light-transmissive base material,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plates of these thermoplastic resins depending on the use form in which curability is required, or the plate-shaped body of the glass plate. You may use it.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로는 5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200㎛이며, 하한이 30㎛이다. 광투과성 기재가 판상체인 경우에는 이들의 두께를 초과하는 두께여도 좋다.As thickness of the said transparent base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30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an upper limit is 200 micrometers and a minimum is 30 micrometers. In the case where the light transmissive substrate is a plate-like body, a thickness exceeding these thicknesses may be used.

또한,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그 위에 방현층을 형성할 때에, 접착성 향상을 위해 코로나 방전 처리, 산화 처리 등의 물리적인 처리 이외에, 앵커제 혹은 프라이머라 불리는 도료의 도포를 미리 행해도 좋다.In addition, when forming an anti-glare layer on the said light-transmissive base material, in addition to physical treatments, such as a corona discharge process and an oxidation process, in order to improve adhesiveness, you may apply the coating material called an anchor agent or a primer beforehand.

상술한 광투과성 기재 및 하드 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하드 코팅층은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하드 코팅 필름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The hard coat film which has the above-mentioned light-transmissive base material and a hard coat layer, and the said hard coat layer consists of hardened | cured material of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is also one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경도가 JIS K5600-5-4(1999)에 의한 연필 경도 시험(하중 4.9N)에 있어서 3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3H or more in a pencil hardness test (load 4.9N) by JISK5600-5-4 (1999), and, as for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H or more.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90%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한 경우에, 색 재현성이나 시인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콘트라스트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은 9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s 90% or more. If it is less than 90%, when mounted on the display surface, it may not only damage color reproducibility and visibility, but also a desired contrast may not be obtained. As for the said total light transmittanc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91% or more.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은, 헤이즈 미터(무라까미 시끼사이 기쥬쯔 겡뀨쇼제, 제품 번호; HM-150)를 사용해서 JIS K-7361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said total light transmittance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based on JISK-7361 using the haze meter (made by Murakami Shikisai Kijutsu Co., Ltd., product number; HM-150).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헤이즈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를 초과하면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지 않고,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을 화상 표시 표면에 설치했을 때의 시인성이 저하된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haze is 1% or less of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When it exceeds 1%, a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 will not be obtained, and the visibility at the time of installing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on the image display surface falls.

상기 헤이즈는 헤이즈 미터(무라까미 시끼사이 기쥬쯔 겡뀨쇼제, 제품 번호; HM-150)를 사용해서 JIS K-7136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said haze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based on JISK-7136 using a haze meter (made by Murakami Shikisai Kijutsu Co., Ltd., product number; HM-150).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레벨링제 및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갖는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우수한 레벨링성 및 블로킹 방지성을 갖는다.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has a hard coat layer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containing a specific leveling agent and a silica microparticle as mentioned above. Therefore,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has the outstanding leveling property and antiblocking property.

또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바인더 수지로서 이소시아누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높은 경도와 우수한 복원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Moreover,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can be made to have high hardness and excellent resilience by containing urethane (meth) acrylate which has an isocyanur skeleton as binder resin.

이러한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The method for producing such a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은, 광투과성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갖는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 상에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서 상기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도막 중에서 불소계 레벨링제 및 실리카 미립자를 상기 광투과성 기재측과 반대측의 상층부에 편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ard coat film which has a hard coat layer on a light transmissive base material, The coating composition is formed by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on the said light transmissive base material, And a step of curing the coating film to form the hard coating layer, wherein the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and the silica fine particles are localized in the upper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side in the coating film.

상기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는, 상술한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할 수 있다.As a process of forming the said hard coat layer, it can carry out similarly to the method of forming a hard coat layer mentioned above.

또한, 편광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이며, 상기 편광 소자의 표면에 광투과성 기재를 접합하는 것 등을 해서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도 본 발명 중 하나이다.Moreover, it is a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a polarizing element, It is one of this invention also to equip the surface of the said polarizing element with a light-transmitting base material, etc., and to provide the hard-coating film of this invention.

상기 편광 소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요오드 등에 의해 염색하고,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포르말 필름, 폴리비닐아세탈 필름,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비누화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소자와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과의 라미네이트 처리에 있어서는, 광투과성 기재에 비누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 처리에 의해 접착성이 양호해진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aid polarizing element, For example, the polyvinyl alcohol film, the polyvinyl formal film, the polyvinyl acetal film, th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ization saponification film etc. which were dyed with iodine etc. and extended | stretched can be used. . In the lamination process of the said polarizing element and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saponification process to a light transmissive base material. Adhesiveness improves by saponification proces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하드 코팅 필름 또는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이기도 하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LCD, PDP, FED, ELD(유기 EL, 무기 EL), CRT,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This invention is also an image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id hard coat film or the said polarizing plate. Example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 LCD, PDP, FED, ELD (organic EL, inorganic EL), CRT, touch panel, electronic paper, and the like.

상기 LCD는 투과성 표시체와, 상기 투과성 표시체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LCD일 경우, 이 투과성 표시체의 표면에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LCD includes a transmissive display and a light source device for irradiating the transmissive display from the back side.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LCD,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or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is transmissive display body.

본 발명이 상기 하드 코팅 필름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광원 장치의 광원은 하드 코팅 필름의 하측(기재측)으로부터 조사된다. 또한, STN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판 사이에 위상차판이 삽입될 수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각 층간에는 필요에 따라 접착제층이 설치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hard coa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device is irradiated from the bottom side (base side) of the hard coat film. In addition, in the ST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retardation plate may be insert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the polarizing plate. An adhesive layer can be provided between each layer of thi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needed.

상기 PDP는, 표면 유리 기판과 당해 표면 유리 기판을 대향해서 사이에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서 배치된 배면 유리 기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PDP일 경우, 상기 표면 유리 기판의 표면, 또는 그의 전면판(유리 기판 또는 필름 기판)에 상술한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기도 하다.The said PDP is provided with the back glass substrat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discharge gas may be sealed between the surface glass substrate and the said surface glass substrate.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DP, the above-mentioned hard coat film may also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glass substrate or the front plate (glass substrate or film substrate) thereof.

그 밖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전압을 가하면 발광하는 황화아연, 디아민류 물질 등의 발광체를 유리 기판에 증착하고, 기판에 가하는 전압을 제어해서 표시를 행하는 ELD 장치, 또는 전기 신호를 광으로 변환하여, 인간의 눈으로 보이는 상을 발생시키는 CRT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각 표시 장치의 최표면 또는 그의 전면판의 표면에 상술한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다.The other image display device deposits a light emitting material such as zinc sulfide or a diamine substance, which emits light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glass substrate, and converts the ELD device or the electric signal to display the light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substrate,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CRT that generates an image visible to the human eye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hard coat film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each display device or the front plate thereof.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어느 경우에도 텔레비전,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액정 패널, PDP, ELD,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의 고정밀 화상용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can be used for display indication of a television, a computer, etc. in any case. In particular, it can use suitably for the surface of high-definition image displays,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PDP, ELD, a touch panel, and an electronic paper.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우수한 레벨링 성능과 블로킹 성능을 갖는 하드 코팅층을 구비한 하드 코팅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하드 코팅 필름은,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전자 페이퍼 등의 디스플레이, 특히 고정밀화 디스플레이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consists of a structure mentioned above, the hard coat film provided with the hard-coat layer which has the outstanding leveling performance and block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For this reason, the hard coat film of this invention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this invention is a cathode ray tube display apparatus (CR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DP),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D). , Electronic paper and the like, in particular, high-definition display can be used suitably.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an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are given to the following an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Examples and a comparative example.

또한, 명세서 중 "부"또는 "%"로 되어 있는 것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In addition, it is a mass reference | standard unless there is particular notice that it is "part" or "%" in this specification.

(실시예 1) (Example 1)

이르가큐어 184(광중합 개시제, 바스프(BASF) 재팬사제) 4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MEK)/메틸이소부틸케톤(MIBK)의 혼합 용제 중에 첨가해서 교반하고 용해시켜서, 최종 고형분이 40질량%인 용액을 제조했다. 이 용액에 수지 성분으로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와 U-4HA(4관능 우레탄 올리고머, 중량 평균 분자량 600, 신나까무라 가가꾸사제)와 U-15HA(15관능 우레탄 올리고머, 중량 평균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사제)와 중합체(7975-D41,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 250, 중량 평균 분자량 15000, 히따치 가세이 고교사제)를, 고형분비로 25질량부:25질량부:40질량부:10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해서 교반했다. 이 용액에 레벨링제(제품명: 메가팩스 F-477, DIC사제)를 고형분비로 0.2질량부 첨가해서 교반하고, 추가로 실리카 미립자(SIRMIBK15WT%-E65, CIK 나노테크사제)를 고형분비로 2질량부 첨가해서 교반하여,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했다.4 parts by mass of Irgacure 184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nufactured by BASF Japan Co., Ltd.) was added to a mixed solvent of methyl ethyl ketone (MEK) / methyl isobutyl ketone (MIBK), stirred, and dissolved to obtain a final solid of 40 mass%. The solution was prepare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and U-4HA (4-functional urethane oligomer,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600, made by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and U-15HA (15 functional urethane oligomer,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s a resin component to this solution. 25 parts by mass: 25 parts by mass: 40 parts by mass: 10 parts by mass of 2300, manufactured by Shinnakamura Kagaku Co., Ltd., and a polymer (7975-D41, acrylic double bond equivalent 250,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5000, Hitachi Kasei Kogyo Co., Ltd.). It added so that it might add and stirred. 0.2 mass part of leveling agents (product name: Megafax F-477, DIC make) are added to this solution by solid content, and it stirred, and 2 mass parts of silica fine particles (SIRMIBK15WT% -E65, CIK Nanotech Co., Ltd.) were added by solid content. The mixture was stirred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a hard coating layer.

이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기재(상품명 KC4UAW, 두께 40㎛, 코니카 미놀타 옵토사제) 상에 슬릿 리버스 코팅에 의해, 건조 도포량 8g/㎡가 되도록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했다. 얻어진 도막을 70℃에서 1분간 건조시킨 후, 자외선 조사량 150mJ/㎠로 자외선을 조사해서 도막을 경화시켜 두께 7㎛의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This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was apply | coated so that it might become a dry application amount of 8 g / m <2> by slit reverse coating on the triacetyl cellulose (TAC) base material (brand name KC4UAW, thickness 40 micrometers, the product made by Konica Minolta Opto Corporation), and the coating film was formed. After drying the obtained coating film for 1 minute at 70 degreeC, the ultraviolet-ray was irradiated with the ultraviolet irradiation amount 150mJ / cm <2>, the coating film was hardened, the hard-coat layer of thickness 7micrometer was formed, and the hard coat film of Example 1 was obtained.

또한, "메가팩스 F-477"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조성으로 하는 불소계 레벨링제이다.In addition, "Megafax F-477" is a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ich uses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polyethyleneglycol monoacrylate, and 2- (perfluorohexyl) ethyl acrylate as a monomer composition.

(실시예 2) (Example 2)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의 배합량을 0.1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the hard coating layer was formed on the TAC base material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set the compounding quantity of a leveling agent to 0.1 mass part, and the hard coat film was obtained.

(실시예 3) (Example 3)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의 배합량을 0.6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the hard coating layer was formed on the TAC base material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set the compounding quantity of a leveling agent to 0.6 mass parts, and the hard coat film was obtained.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량을 1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the hard coating layer was formed on the TAC base material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made the compounding quantity of a silica fine particle into 1 mass part, and the hard coat film was obtained.

(실시예 5) (Example 5)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량을 1.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Example 1, the hard coat layer was formed on the TAC base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silica fine particles was 1.5 parts by mass to obtain a hard coat film.

(실시예 6) (Example 6)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량을 3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the hard coating layer was formed on the TAC base material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made the compounding quantity of a silica fine particle 3 mass parts, and the hard coat film was obtained.

(실시예 7) (Example 7)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의 배합량을 0.6질량부로 하고,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량을 1.3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a hard coating layer was formed on a TAC subst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blending amount of the leveling agent was 0.6 parts by mass, and the blending amount of the silica fine particles was 1.3 parts by mass, A coating film was obtained.

(실시예 8) (Example 8)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수지 성분으로서 빔 세트 DT3(아크릴 단량체, 아크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혼합물,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사제) 100질량부를 사용하고,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량을 1.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100 parts by mass of the beam set DT3 (a mixture of an acrylic monomer, an acrylic acrylate oligomer, and an acrylic acrylate polymer,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is used as a resin component. Except having made the compounding quantity 1.5 mass parts, the hard coat layer was formed on the TAC base material similarly to Example 1, and the hard coat film was obtained.

(비교예1) (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제품명: 메가팩스 F-477, DIC사제) 대신에 레벨링제(제품명: 메가팩스 F-444, DIC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a hard coat layer of Example 1, except that a leveling agent (product name: Megafax F-444,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was used instead of a leveling agent (product name: MegaFax F-477,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In the same manner, a hard coat layer was formed on the TAC substrate to obtain a hard coat film.

또한, "메가팩스 F-444"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불소계 레벨링제이다.In addition, "Megafax F-444" is a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ich consists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Lt; Formula 1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제품명: 메가팩스 F-477, DIC사제) 대신에 레벨링제(제품명: 메가팩스 F-554, DIC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a hard coat layer of Example 1, except that a leveling agent (product name: Megafax F-554, DIC Corporation) was used instead of a leveling agent (product name: Megafax F-477, DIC Corporation) In the same manner, a hard coat layer was formed on the TAC substrate to obtain a hard coat film.

또한, "메가팩스 F-554"는 폴리이소부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조성으로 하는 불소계 레벨링제이다.In addition, "Megafax F-554" is a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ich uses polyisobutylene glycol monoacrylate and 2- (perfluorohexyl) ethyl acrylate as a monomer composition.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제품명: 메가팩스 F-477, DIC사제) 대신에 레벨링제(제품명: 메가팩스 F-552, DIC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a hard coat layer of Example 1, except that a leveling agent (product name: Megafax F-552, manufactured by DIC) was used instead of a leveling agent (product name: MegaFax F-477, manufactured by DIC) In the same manner, a hard coat layer was formed on the TAC substrate to obtain a hard coat film.

또한, "메가팩스 F-552"는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옥타데실 및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조성으로 하는 불소계 레벨링제이다.In addition, "Megafax F-552" is a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ose monomer composition is methyl methacrylate, octadecyl acrylate, and 2- (perfluorohexyl) ethyl acrylate.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제품명: 메가팩스 F-477, DIC사제) 대신에 레벨링제(제품명: 메가팩스 MCF-350, DIC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a hard coating layer of Example 1, except that a leveling agent (product name: MegaFax MCF-350,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was used instead of a leveling agent (product name: MegaFax F-477,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In the same manner, a hard coat layer was formed on the TAC substrate to obtain a hard coat film.

또한, "메가팩스 MCF-350"은 메타크릴산메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2-(퍼플루오로옥틸)에틸아크릴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단량체 조성으로 한 C8텔로머인 불소계 레벨링제이다.In addition, "Megafax MCF-350" is represented by methyl 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tolylene diisocyanate (TDI), 2- (perfluorooctyl) ethyl acrylate and the following formula (2) It is a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ich is a C8 telomer which has a compound as a monomer composition.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참고예 1) (Reference Example 1)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의 배합량을 0.0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of Example 1, the hard coat layer was formed on the TAC base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leveling agent was 0.05 parts by mass, to obtain a hard coat film.

(참고예 2) (Reference Example 2)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량을 0.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a hard coat layer was formed on a TAC subst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unding quantity of the silica fine particles was 0.5 parts by mass, to obtain a hard coat film.

(참고예 3) (Reference Example 3)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의 배합량을 0.7질량부로 하고,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량을 1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a hard coating layer was formed on a TAC subst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leveling agent was 0.7 parts by mass, and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silica fine particles was 1 part by mass, A coating film was obtained.

(참고예 4) (Reference Example 4)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the hard coating layer was formed on the TAC base material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set the compounding quantity of silica microparticles to 5 mass parts, and the hard coat film was obtained.

(참고예 5) (Reference Example 5)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수지 성분으로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만을 100질량부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a hard coat layer was formed on a TAC subst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only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was used as the resin component at 100 parts by mass, and the hard coating film Got.

(참고예 6) (Reference Example 6)

실시예 1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 있어서, 레벨링제의 배합량을 0.4질량부로 하고,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량을 5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 필름을 얻었다.In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of Example 1, a hard coating layer was formed on a TAC subst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leveling agent was 0.4 parts by mass, and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silica fine particles was 5 parts by mass. A coating film was obtained.

얻어진 하드 코팅 필름에 대해서, 하기의 항목에 있어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The obtained hard coat film was evaluated in the following items.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연필 경도 시험> <Pencil hardness test>

각 하드 코팅 필름을 온도 25℃, 상대 습도 60%의 조건으로 2시간 동안 조습한 후, JIS-S-6006이 규정하는 시험용 연필(경도 HB 내지 3H)을 사용하여, JIS K5600-5-4(1999)가 규정하는 연필 경도 평가 방법에 따라, 4.9N의 하중으로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 표면의 연필 경도를 측정했다.After each hard-coating film was humidified for 2 hour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JIS K5600-5-4 (with hardness HB to 3H) specified in JIS-S-6006 was used. According to the pencil hardness evaluation method prescribed by 1999), the pencil hardness of the surface on which the hard coat layer was formed was measured under a load of 4.9 N.

<블로킹 방지성> <Antiblocking>

각 하드 코팅 필름을 2장 준비하고, 각각의 하드 코팅층끼리를 서로 문질러서 미끄러지기 쉬움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Two hard coating films were prepared, and each hard coating layer was rubbed with each other, and the slipperiness | lubricacy was evaluated on the following reference | standard.

◎: 잘 미끄러지는 것 ◎: sliding well

○: 미끄러지기 쉬운 것 ○: slippery

△: 약간 미끄러지는 것 △: slightly slippery

×: 미끄러지지 않는 것 ×: non-slip

<레벨링성> <Leveling property>

하드 코팅 필름을 형광등 아래에서 투과?반사하여 육안으로 평가했다.The hard coat film was visually evaluated by transmitting and reflecting under a fluorescent lamp.

○: 외관상 하등 문제가 보이지 않음○: no problems at all

×: 얼룩?줄무늬?백화?헤이즈의 상승 등 레벨링제 부족 또는 과잉, 상용성의 나쁨 등에 의한 외관의 악화가 보임 X: Deterioration of appearance due to lack of leveling agent such as unevenness, stripes, whitening or haze or excessiveness or poor compatibility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표 1로부터,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조성으로 한 불소계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의 하드 코팅 필름은, 연필 경도 시험, 블로킹 방지성 및 레벨링성이 모두 양호한 결과였다.From Table 1, the hard coat film of the Example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containing the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ich made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polyethyleneglycol monoacrylate, and 2- (perfluorohexyl) ethylacrylate the monomer composition. Silver pencil hardness test, blocking prevention property, and leveling property were all favorable results.

한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조성으로 하지 않은 불소계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비교예의 하드 코팅 필름은, 모두 블로킹 방지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On the other hand, the hard coat film of the comparative example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containing the fluorine-type leveling agent which does not make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onoacrylate, and 2- (perfluorohexyl) ethyl acrylate as a monomer composition is In all cases, the antiblocking property was inferior.

또한, 불소계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적은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참고예 1의 하드 코팅 필름 및 실리카 미립자의 함유량이 적은 참고예 2의 하드 코팅 필름은, 모두 실시예와 비교해서 블로킹 방지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많은 참고예 3의 하드 코팅 필름은, 백화 및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기포가 발생했기 때문에, 레벨링성의 평가가 떨어지고, 실리카 미립자의 함유량이 많은 참고예 4의 하드 코팅 필름은, 헤이즈가 높고 레벨링성의 평가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수지 성분으로서 PETA만을 사용한 참고예 5의 하드 코팅 필름은, 연필 경도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실리카 미립자의 함유량이 많은 참고예 6의 하드 코팅 필름은, 레벨링제를 많이 배합해도 헤이즈가 높고 레벨링성의 평가가 떨어지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hard coat film of the reference example 1 using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with few content of a fluorine-type leveling agent, and the hard coat film of the reference example 2 with little content of a silica fine particle were inferior to blocking prevention property compared with an Example. . In addition, since the bubble of the composition for whitening and a hard-coat layer generate | occur | produced the hard coat film of the reference example 3 with many content of a leveling agent, the evaluation of leveling property fell, and the hard coat film of the reference example 4 with much content of silica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The higher the haze, the lower the leveling was. In addition, the hard-coating film of Reference Example 5 using only PETA as the resin component was inferior in pencil hardness. Moreover, even if the hard coat film of the reference example 6 with many content of a silica fine particle mix | blended many leveling agents, haze was high and leveling property evaluation was inferior.

본 발명의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하드 코팅 필름은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의 디스플레이, 특히 고정밀화 디스플레이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hard coat film using the composition for a hard coat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such as cathode ray tube display (CRT),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DP),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ELD), touch panel, electronic paper, etc. In particular, it can be suitably used for high-definition display.

Claims (11)

레벨링제와, 실리카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이며,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 조성으로 하는 불소계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It is a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containing a leveling agent, a silica fine particle, and binder resin,
The leveling agent contains a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having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onoacrylate and 2- (perfluorohexyl) ethyl acrylate as monomer compositions.
Hard coating layer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불소계 레벨링제를 구성하는 단량체 조성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가 10 내지 50질량%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가 10 내지 50질량%이며, 2-(퍼플루오로헥실)에틸아크릴레이트가 10 내지 50질량%인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The monom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is 10 to 50% by mass of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10 to 50% by mass of polyethylene glycol monoacrylate, and 2- (perfluorohexyl )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whose ethyl acrylate is 10-50 ma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소계 레벨링제의 불소 원자 함유율이 7 내지 34질량%인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The hard coating layer composition of Claim 1 or 2 whose fluorine atom content rate of a fluorine-type leveling agent is 7-34 mas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소계 레벨링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00 내지 25000인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is 11000 to 2500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카 미립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불소계 레벨링제를 5 내지 60질량부 함유하는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contains 5 to 60 parts by mass of the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silica fine particle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카 미립자는 응집하고 있지 않은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layer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ilica fine particles are not aggregated. 광투과성 기재 및 하드 코팅층을 갖고,
상기 하드 코팅층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 필름.
Having a light transmissive substrate and a hard coating layer,
The said hard coat layer consists of hardened | cured material of the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s in any one of Claims 1-6.
Hard coat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실리카 미립자는 하드 코팅층의 광투과성 기재측과 반대측의 상층부에 편재하고 있는 하드 코팅 필름.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ilica fine particles are ubiquitous in the upper layer port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light transmissive substrate side of the hard coat layer. 편광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이며,
상기 편광 소자의 표면에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It is a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a polarizing element,
The hard coat film of Claim 7 or 8 is provided in the surface of the said polarizing element, The polarizing plat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 필름 또는 제9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The hard coat film of Claim 7 or 8, or the polarizing plate of Claim 9 is provide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광투과성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갖는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광투과성 기재 상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서 상기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도막 중에서 불소계 레벨링제 및 실리카 미립자를 상기 광투과성 기재측과 반대측의 상층부에 편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ard coat film which has a hard coat layer on a transparent base material,
It has a process of apply | coating the composition for hard-coat layers in any one of Claims 1-6 on the said transparent base material, forming a coating film, hardening the said coating film, and forming the said hard coating layer,
In the coating film, the fluorine-based leveling agent and the silica fine particles are localized on the upper layer portion opposite to the light transmissive substrate side.
Method for producing a hard coat fil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20060396A 2011-06-06 2012-06-05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hard coat film,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hard coat layer KR2012013548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6617 2011-06-06
JP2011126617A JP5899663B2 (en) 2011-06-06 2011-06-06 Hard coat layer composition,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486A true KR20120135486A (en) 2012-12-14

Family

ID=4752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396A KR20120135486A (en) 2011-06-06 2012-06-05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hard coat film,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hard coat lay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99663B2 (en)
KR (1) KR2012013548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986A (en) 2015-09-18 2017-03-28 한국전기연구원 A sheet including hybrid coating layer exellent in antistatic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1082B2 (en) 2013-07-04 2017-10-11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nti-blocking hard coat film
JP6197472B2 (en) * 2013-08-13 2017-09-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Hard coat film and radiation image conversion panel using the same
JP6348745B2 (en) 2014-03-26 2018-06-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Hard coat film,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capacitive touch panel
JP2018127512A (en) * 2017-02-06 2018-08-16 横浜ゴム株式会社 Ultraviolet-curable resin composition, cured coat and laminate
CN113396190B (en) * 2019-02-06 2023-05-02 日产化学株式会社 Curable composition for antiglare flexible hard coat lay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5136B2 (en) * 2000-03-31 2011-09-07 日本製紙株式会社 UV curable resin composition, plastic film coating composition using the same, and hard coat film
JP2009155521A (en) * 2007-12-27 2009-07-16 Mitsubishi Rayon Co Ltd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and article coated with the cured product thereof
JP5531509B2 (en) * 2008-09-05 2014-06-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5468765B2 (en) * 2008-11-07 2014-04-09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Anti-glare hard coat film
JP2010122603A (en) * 2008-11-21 2010-06-03 Dainippon Printing Co Ltd Composition for forming low refractive index layer, optical laminated body and image display device
JP5359652B2 (en) * 2009-07-29 2013-1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986A (en) 2015-09-18 2017-03-28 한국전기연구원 A sheet including hybrid coating layer exellent in antistatic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52275A (en) 2012-12-20
JP5899663B2 (en)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982B1 (en)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9097844B2 (en)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TWI652298B (en) Optical film,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CN109564300B (en) Protective film for optical display, optical member and optical display
KR20120135486A (en)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hard coat film, polarize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hard coat layer
JP5929460B2 (en)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front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TWI776297B (en) Anti-glare film and polarizer with the same
TWI667303B (en) Hard coating layered optical film , polarizer compri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comprising the hard coating layered optical film and/or the polarizer comprising the same
CN112540421B (en)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having the same
KR20210035331A (en) Optical laminate
JP6004603B2 (en)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200363561A1 (en) Anti-glare film and polarizer with the same
KR101809757B1 (en) Hard coat film, method of producing hard coat film, polarizer, display front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JP5672806B2 (en)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155657B2 (en)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TWI827243B (en) Display
CN103443661B (en) Optical laminate, polaroid and image display device
TW202411066A (e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