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141A -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141A
KR20120135141A KR1020120078569A KR20120078569A KR20120135141A KR 20120135141 A KR20120135141 A KR 20120135141A KR 1020120078569 A KR1020120078569 A KR 1020120078569A KR 20120078569 A KR20120078569 A KR 20120078569A KR 20120135141 A KR20120135141 A KR 20120135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ing
sterilization
flow path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123B1 (ko
Inventor
이수영
주일
박설희
오향균
권은숙
박지유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3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2Cata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수처리 기기의 저장탱크 및 이에 연결된 유로의 살균 및/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은 전극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을 포함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 살균모듈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를 살균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상기 전극 살균모듈의 유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전극 살균모듈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여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는,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정과, 상기 살균수 생성공정을 통하여 생성된 살균세정수를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공급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정은, 초기에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유로관 또는 탱크 입수 유로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며, 일정시간 경과후 수처리 기기의 출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STERILIZING METHOD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수처리 기기의 저장탱크 및 이에 연결된 유로의 살균 및/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및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살균물질 및/또는 세정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세정수(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살균세정수'이라는 용어가 전원이 인가된 전극에 의해 생성된 살균물질 및/또는 세정물질을 포함하는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를 생성하고, 수처리 기기 내부에 구비된 유로, 저장탱크 또는 출수코크에 살균세정수를 유입시킴으로써 수처리 기기 내부의 유로, 저장탱크 또는 출수코크를 살균 및/또는 세정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및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수처리 기기(수처리 장치)는 오폐수나 상수를 처리하거나 초순수를 제조하는 등 산업용이나 가정용(업소용을 포함)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음용을 위해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그 살균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음용을 위한 수처리 기기는 원수(상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음용을 위한 정수를 생성하므로 좁은 의미에서 정수기로 통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상수)를 공급받아 필터부에서 여과한 상온의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온의 정수를 가열/냉각하여 온수 및/또는 냉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음용을 위한 수처리 기기 중에는 정수뿐만 아니라, 이온수, 탄산수, 산소수와 같은 각종 기능수를 공급하는 기능수기도 있다. 이외에도, 물통 등의 물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거나 얼음을 생성하는 온수기, 냉수기, 제빙기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처리 기기라 함은 전술한, 정수기, 기능수기, 온수기, 냉수기, 제빙수기 등과 이들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지닌 기기를 총칭하는 의미로서 사용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수기를 예로 들기도 하지만 이러한 정수기는 단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일 예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 방식에 따라 크게 중공사막 방식과 역삼투막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역삼투막 방식의 정수기는 오염 물질의 제거에 있어서 지금까지 개발된 다른 정수 방식에 비해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역삼투막 방식의 정수기는 수도전 등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5미크론 정도의 미세한 필터를 통해 먼지, 찌꺼기, 각종 부유 물질이 제거되는 세디먼트필터와, 활성탄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잔류염소 등을 제거하는 프리 카본필터와, 0.0001미크론의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져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각종 병원균 등을 걸러주며 농축된 물은 드레인관을 통해 배출하는 역삼투막 필터(RO 멤브레인 필터)와, 상기 역삼투막 필터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을 제거하는 포스트 카본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 방식의 정수기는 상기 역삼투막 필터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한외여과 필터, UF)를 사용한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기공을 가진 기공성 필터로서, 막 표면에 분포하는 무수히 많은 미세기공을 통해 물속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수기는 포스트 카본필터의 기공에 잔류하는 미생물 또는 세균이 저장탱크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저장탱크에 미생물이 재증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저장탱크에 저장된 정수에 외부로부터 세균이나 미생물이 침투하여 번식할 수도 있고, 저장탱크의 내벽에 물때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장탱크에 증식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해 외부에서 저장탱크에 별도의 살균약품을 첨가하여 저장탱크를 살균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살균약품 공급 방식은 사용자나 정수기 관리자가 별도의 살균약품 공급작업을 통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살균작업이 번거롭고 살균관리가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살균약품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살균약품의 자동주입이 불가능하거나 자동주입된다고 해도 주기적으로 충진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살균약품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살균약품의 농도가 높을 수 있으며, 사용자나 관리자에 따라 살균약품 투입의 많고 적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세정 작업 후에 정수기 내부에 살균약품이 잔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정작업 후에 복수의 헹굼이 필수적이며 헹굼 작업이 완벽하지 않으면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약품 냄새로 인한 불만이 증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정수기 관리자가 살균약품 공급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정수기의 살균 처리를 위한 비용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서비스 비용에 부담을 느낄 수가 있다.
특히, 정수기 자체로 살균세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주관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정수기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살균약품이 녹거나 용출되는 조건이 정수기 운전조건(예를 들어, 원수압, 유량 등)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일 예로서,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살균농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반대로 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살균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살균 제어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살균약품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악취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약품에 의해 발생하는 살균물질은 pH가 낮거나 매우 높은 OCl- 물질이 주가 되므로 악취가 많이 발생하며, 살균성능 역시 HOCl에 비해 1/70 정도에 불과하므로 동일한 탱크용량의 살균을 위해서는 다량의 살균물질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9-0047174호에는 살균약품을 이용하여 정수탱크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상기 특허출원의 경우에도, 살균약품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살균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살균약품의 독성으로 인하여 약품을 중화하는 중화공정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 및 중화, 그리고 이어지는 헹굼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출원은 살균약품 및 중화제를 직접 공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살균세정에 많은 수작업이 필요하다는 곤란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와는 다른 형태의 살균세정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간편한 방법으로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을 수행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및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살균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살균세정수를 생성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및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짧은 시간에 고농도의 살균세정수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및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살균세정 뿐만 아니라 헹굼작업까지도 가능한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및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처리 기기에 구비되는 저장탱크 뿐만 아니라 이와 연통되는 유로 및 출수코크를 살균세정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및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극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을 포함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 살균모듈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를 살균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상기 전극 살균모듈의 유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전극 살균모듈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여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는,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정과, 상기 살균수 생성공정을 통하여 생성된 살균세정수를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공급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정은, 초기에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유로관 또는 탱크 입수 유로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며, 일정시간 경과후 수처리 기기의 출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극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을 포함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 살균모듈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를 살균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상기 전극 살균모듈의 유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전극 살균모듈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여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는,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정과, 상기 살균수 생성공정을 통하여 생성된 살균세정수를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공급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정은, 초기에 사용자가 제공한 물을 수용하는 보조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며, 일정시간 경과후 수처리 기기의 출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는, 수처리 기기의 출수부에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연결하는 공정과,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유로관, 탱크 입수 유로관, 또는 저장탱크에 살균수 공급관을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유로관 또는 탱크 입수 유로관에 입수관을 연결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 공급관은 상기 입수관의 후단에 위치하는,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유로관, 탱크 입수 유로관 또는 저장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은 상기 출수부를 구성하는 출수코크와 드레인관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을 연결하는 공정은 상기 연결관의 연결 후에 상기 출수코크 및 드레인관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는, 상기 연결관 및/또는 입수관으로부터 상기 전극 살균모듈에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처리 기기에 연결관이나 살균수 공급관과 같은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살균세정장치의 전극부 등을 작동시키면 전극에 의해 살균세정수가 생성되므로 간편한 방법으로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연결관을 통하여 저장탱크뿐만 아니라 저장탱크와 연결된 유로 및 출수코크의 살균세정도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살균수 공급관을 저장탱크 전단의 필터부에 구비되는 유로관에 연결함으로써, 필터부에 구비되는 유로관의 살균세정까지도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처리 기기의 저장탱크에 수용된 물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공급된 물 또는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에 공급되는 물(원수 또는 정수)을 이용하여 전극부에 공급하게 되므로 역삼투막 필터 방식의 정수기에서도 고농도의 살균세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해질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역삼투막 필터 방식의 정수기에서도 살균세정 효율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살균세정을 완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농도센서를 통하여 원하는 살균세정수의 농도를 구현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전력이나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살균세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살균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전극장치를 이용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므로 살균약품의 독성을 줄이기 위한 중화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살균세정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하면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에 구비된 유로와 살균세정장치를 연결함으로써 고농도의 살균세정수 생성에 유리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된 물을 헹굼작업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살균세정 및 헹굼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탱크 뿐만 아니라, 필터부에 구비되는 필터부 유로관, 저장탱크에 물이 유입되는 탱크 입수 유로관 및/또는 출수코크를 살균세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를 수처리 기기에 연결한 여러가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를 수처리 기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를 수처리 기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를 다른 형태의 수처리 기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를 수처리 기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를 수처리 기기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0 및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살균세정장치의 제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는 전극 살균모듈(100a) 및 연결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살균모듈(100a)은 전극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이 포함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며, 상기 연결부재(190)는 상기 전극 살균모듈(100a)과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를 연결하여 수처리 기기(20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90)는, 수처리 기기(200)의 출수부(26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180)과, 수처리 기기(200)의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에 연결되는 살균수 공급관(191)을 구비한다. 한편, 본 명세서(청구범위 포함)에서는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은 각각의 필터(210, 220, 230, 240)로 유입되는 유로관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며, 평상시 제1 유로관(L1)은 원수(상수)가 흐르게 되며, 제2 유로관(L2)은 세디먼트 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가 흐르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과 탱크 입수 유로관(L5)을 통칭하여 유로관이라 호칭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180)은 수처리 기기(200)의 출수부(260)를 구성하는 출수코크(261, 262)와 드레인관(263, 264)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살균수 공급관(191)은 수처리 기기(200)의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저장탱크(220)가 정수탱크(230), 냉수탱크(240), 온수탱크(250)를 포함하는 경우, 정수탱크(230) 및 냉수탱크(240)에 수용된 물을 출수하는 냉/정수 출수코크(261)와 유입구(111) 사이에 제1 연결관(181)이 연결될 수 있고, 온수탱크(240)에 수용된 물을 출수하는 온수 출수코크(262)와 유입구(112) 사이에 제2 연결관(18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수탱크(230) 및 냉수탱크(240)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는 냉/정수 드레인관(263)와 유입구(113) 사이에 제3 연결관(183)이 연결될 수 있고, 온수탱크(250)에 수용된 물을 배수하는 온수 드레인관(264)와 유입구(114) 사이에 제4 연결관(184)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180)의 개수나 연결관(180)이 연결되는 유로의 종류는 수처리 기기(200)의 구체적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탱크(240)가 없는 경우 또는 온수탱크(240)의 살균세정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온수 출수코크(262)와 온수 드레인관(264)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제2 및 제4 연결관(182, 184)이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가 추가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연결관(180)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살균수 공급관(191)은 수처리 기기(200)의 저장탱크(220) 및 이에 연결되는 유로(출수코크를 포함한다)를 살균세정하기 위하여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80)의 일단이 수처리 기기(200)의 출수부(260)와 연결되고, 연결관(180)의 타단이 전극 살균모듈(100a)의 유입구(111, 112, 113, 114)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7 내지 도 2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80)의 타단이 전극 살균모듈(100a)에 연결되지 않고 수처리 기기(200)의 출수부(260)에서 배출되는 살균세정수가 씽크대 등과 같은 배수구(살균세정수를 담기 위한 임시 저장용기를 포함함)(D1)를 통해 배출되도록 배수구에 놓여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관(180)을 수처리 기기(200)에 출수부(260)에 연결하지 않고, 저장용기를 이용하여 출수부(260)로부터 직접 살균세정수를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극 살균모듈(100a)은,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 구비되는 전극부(170)와 펌프(1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선택적으로 유로전환수단(110), 농도센서(120), 배수 유로전환밸브(160) 및 제어부(C)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70)는 내부에 전극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이 포함된 살균세정수(본 명세서에서는 '살균세정수'가 살균과 세정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를 생성하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전극부(170)는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본 명세서에서는 전기분해라는 용어가 '산화환원반응'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하여 산화성 혼합물질(MO: Mixed Oxidant) 등 살균기능 및/또는 세정기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세정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부(17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사이로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물속에 잔류된 미생물이나 세균을 살균 또는 소멸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기분해를 통한 정수의 살균은 양극에서 미생물을 직접 산화시키는 직접산화반응과, 양극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산화성 혼합물질(MO:Mixed Oxidant), 예를 들면 잔류염소, 오존, OH 라디칼, 산소 라디칼 등이 미생물을 산화시키게 되는 간접산화반응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전해질(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염, 염화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술한다)을 첨가하지 않고도 살균물질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양극전극의 전극몸체에 루테늄(Ru)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테늄(Ru)은 Cl-을 Cl2로 환원시킬 때 전위차를 낮추어주는 촉매 역할을 하며, 루테늄에 의해 물 속에서 생성된 Cl2는 물에 바로 녹아 HOCl(잔류염소)가 된다. 이러한 루테늄(Ru) 촉매의 활성도를 최고로 하도록 유량 및 전압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부(170)의 경우 양극전극의 전극몸체에 루테늄(Ru)을 코팅하게 된다(보다 정확히는 루테늄을 코팅한 후 루테늄 코팅된 전극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산화시킴으로써 루테늄옥사이드(RuOx)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전극표면에 잔류하는 것은 루테늄옥사이드이다. 다만, 전극생성초기에 코팅된 재료는 루테늄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루테늄이 코팅되었다'는 의미를 루테늄옥사이드로 변화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따라서, 루테늄(Ru) 촉매의 활성도 및 코팅손상 방지를 위하여 30볼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24볼트로 최대전압을 설정하고 전력도 12와트 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리고, 전극몸체에 루테늄(Ru)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는 전극수명이 짧아질 수 있지만, 저전류 구동이 가능하므로 전극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루테늄(Ru) 코팅 전극의 수명을 더욱 늘리기 위해 전류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대전극인 음극전극을 별도의 코팅 없이 티타늄(Ti) 전극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극전극으로 티타늄(Ti)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전압에서 전류가 낮아지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전류가 낮아지면 전력도 작아지고 이로 인해 음극전극 및 양극전극의 수명이 길어진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부(170)에 의하면 양극전극으로 루테늄(Ru) 코팅전극을 사용하고 음극전극을 티타늄(Ti)으로 사용하며, 전극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염화물(전해질) 첨가없이, 그리고 저전류나 저전력으로 원하는 농도의 살균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부(170)에 구비되는 전극의 재질은 상기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부(170)는, 하나의 양극전극과, 그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음극전극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양극전극이 2장, 음극전극이 1장 사용되거나, 양극전극과 음극전극 모두 1장씩 사용할 수도 있지만, 살균물질의 농도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전류값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양극전극 1장과 음극전극 2장이 사용되어, (-)전극, (+)전극, (-)전극의 배치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부(170)의 경우에는 저전류,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최대전류가 0.5A 이하, 바람직하게는 0.35A 이하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최대전압의 경우에도 50V 이하, 바람직하게는 24V 이하에서 구동될 수 있다. 물론, 전극부(170)의 소비전력도 12W 이내로 운용할 수 있다.
한편, 전원이 인가된 전극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살균세정수(전해살균수)는, pH에 따라 물속에 존재하는 염소의 형태가 달라지며, 그에 따른 살균력도 매우 다르며, pH에 따라 강산성전해수, 약산성전해수, 강알칼리성전해수, 전해차아염소산나트륨수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살균세정수(전해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재질과 간격, 인가되는 전원(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 전해질이나 염(염화물을 포함함)의 첨가 여부 및 첨가되는 전해질 또는 염(염화물을 포함함)의 종류 등을 달리 구성할 수 있으며, 전극을 통해 살균세정수(전해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면 모두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부(170)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해질 공급부(130)에서 공급된 전해질 또는 염(염화물을 포함함)을 이용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에 의한 전극부(170)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펌프(140)는 상기 전극부(170)에서 생성된 살균세정수를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에 공급하도록 가압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펌프(140)를 통하여 살균세정장치(100)에 유입된 물이 살균세정수로 변화되어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 예를 들어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서는 펌프(140)가 배수 유로전환밸브(160)와 농도센서(1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물의 가압하여 수처리 기기로 공급할 수 있다면 펌프(14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서 전극부(17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배수 유로전환밸브(160)와 전극부(170)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수단(110)는, 수처리 기기(200)의 출수부(26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180)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에서 일부 유로를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전환수단(110)은 복수의 유입구(111, 112, 113, 114)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개방하고 나머지 유입구는 차단하거나, 일부의 유입구를 무리지어 순차적으로 개방하고 나머지 유입구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관(181)이 연결된 제1 유입구(111), 제2 연결관(182)이 연결된 제2 유입구(112) 등을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도 있지만, 냉수탱크(240)와 연결된 제1 연결관(181) 및 제3 연결관(183)의 유로를 한꺼번에 개방하도록 이들에 연결된 제1 유입구(111) 및 제3 유입구(113)을 동시에 개방하고, 나머지 유입구(112, 114)를 차단하며, 이후 제2 유입구(112) 및 제4 유입구(114)을 동시에 개방하고 나머지 유입구(111, 113)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전환수단(110)이 일부의 유로를 순차적으로 개방함으로써 개방된 유입구에 해당하는 수처리 기기(200)의 저장탱크(220) 및 이에 연결된 유로를 순차적으로 살균세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로전환수단(110)은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고, 디스크 밸브를 사용할 수 있는 등, 공지의 다양한 밸브 또는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도센서(120)는 전극부(170)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농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농도센서(120)는 이온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지만,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면 농도센서(120)의 설치위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출수 유로전환밸브(160)는 전극 살균모듈(100a)에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하여 배수구(161) 측으로 유로를 전환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 유로전환밸브(160)는 입수구(111, 112, 113, 114)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전극부(170)를 통하여 출수구(171) 측으로 보내는 유로와, 배수구(161)에 연결된 배수관(195)을 통해 배출하는 유로 사이에서 유로를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출수 유로전환밸브(160)는 수처리 기기(200)의 살균세정 작업이 완료된 후 살균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헹굼수를 외부로 배출할 때 출수구(171) 측으로 유로를 전환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수단(110), 농도센서(120), 펌프(140), 배수 유로전환밸브(160) 및 전극부(17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C)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C)는 살균세정 작업 초기에 펌프(140)와 전극부(170)를 구동시키며, 수처리 기기(200)의 여러 유로를 순차적으로 살균세정할 수 있도록 유로전환수단(110)의 유로개폐를 제어하게 되며, 농도센서(120)에서 감지된 농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펌프(140)와 전극부(17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C)는 살균세정 작업 완료시에 배수 유로전환밸브(160)의 유로를 전환하고 전극부(170)를 구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펌프(140) 만을 구동시켜 배수구(161)를 통해 살균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 유로전환밸브(160), 펌프(140) 및 전극부(17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전극 살균모듈(100a)은 전극 살균모듈(100a)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D)와, 전극 살균모듈(100a)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내용과 조작내용은 다양하게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작부(B)에는 살균개시 버튼, 살균중단 버튼, 유입구 선택버튼 등 다양한 선택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D)에는 살균상태, 대기상태, 헹굼상태, 완료 상태, 에러 상태 등을 조명이나 알람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는 수처리 기기(200)의 일 예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정수기(200)를 예를 들어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정수기(200)는 필터부(210)와, 저장탱크(220)와, 출수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210)는 원수를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세디먼트 필터(211)와, 프리 카본필터(212)와, 역삼투막 필터(213){또는 중공사막(한외여과) 필터}와, 포스트 카본필터(214)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수처리 기기(정수기)의 여과방식 또는 수처리 기기(정수기)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삼투막 필터(213)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공사막 필터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기공을 가진 기공성 필터로서, 막 표면에 분포하는 무수히 많은 미세기공을 통해 물속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필터(211, 212, 213, 214)는 필터 엘리먼트를 내장한 필터 케이스와, 필터 케이스를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그 외장 케이스 내부로 입수된 원수가 필터 케이스 내부의 필터 엘리먼트에 의해 여과된 후 외장 케이스의 외부로 출수되는 카트리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210)의 각 필터(211, 212, 213, 214)가 독립적인 카트리지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필터의 기능을 갖는 복합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211)와 프리 카본필터(212)가 단일의 전처리 복합 필터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211)는 원수 공급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상의 부유 물질, 모래 등의 고형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세디먼트 필터(211)의 전단에는 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원수 차단밸브(V)가 설치될 수 있으나, 원수 차단밸브(V)가 원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면 원수 차단밸브(V)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프리 카본필터(212)는 상기 세디먼트 필터(211)를 통과한 물을 공급받아 활성탄의 흡착 방식을 통해 물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잔류염소(예를 들어, HOCl 또는 ClO)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역삼투막 필터(213)는 프리 카본필터(212)에서 여과된 물을 제공받아 미세한 기공을 지닌 멤브레인을 통해 물에 포함된 중금속 및 기타 금속이온과 세균 같은 미세한 유기/무기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역삼투막 필터(213)에는 원수의 여과 중에 발생된 생활용수 즉, 폐수(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농축수" 라고도 한다)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DL)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 카본필터(214)는 역삼투막 필터(213)를 거치며 여과된 물의 불쾌한 맛, 냄새, 색소 등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포스트 카본필터(214)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는 정수라인을 통하여 저장탱크(220)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210)는 역삼투막 필터(213)가 미세한 기공을 지닌 멤브레인을 통해 물을 정수하기 때문에, 펌핑 압력으로서 물을 역삼투막 필터(213)로 공급할 수 있는 가압 펌프(2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부(210)에는 유로관(L1, L2, L3, L4, L5)이 연결되며, 필터부(210)의 마지막 필터(214)와 저장탱크(220)는 탱크 입수 유로관(L5)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탱크 입수 유로관(L5)와 저장탱크(220) 사이에 센서나 밸브 등 다른 부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른 부재가 설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필터부(210)의 마지막 필터(214)와 저장탱크(220)를 연결하는 전체 유로관을 탱크 입수 유로관(L5)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220)는 필터부(210)를 통과하며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며 그 정수를 출수코크(261, 262)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탱크(220)는 필터부(210)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는바, 정수를 상온상태로 저장하는 정수탱크(230)와, 정수를 냉각시켜 저장하는 냉수탱크(240)와, 정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탱크(230)와 냉수탱크(240)는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물의 유통이 가능한 격벽(세퍼레이터)을 통해 하나의 공간 내에 구분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장탱크(220)에 수용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출수부(260)로서, 출수코크(261, 2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냉/정수 출수코크(261)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정수나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온수 출수코크(262)는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냉/정수 출수코크(261) 하나를 통해 정수와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정수와 냉수를 공급하는 별도의 출수코크가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저장탱크(220)에 연결된 출수부(260)로서 드레인관(263, 26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관(263, 264)은 저장탱크(220)의 세척, 살균세정수 배출, 헹굼수 배출 등을 수행할 때 저장탱크(220)를 비우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냉/정수 드레인관(263)은 냉수탱크(240)에 연결되어 정수와 냉수를 배수하게 되며, 온수 드레인관(264)은 온수탱크(250)에 연결되어 온수를 배수하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에 살균세정장치(100)를 연결하는 과정은 살균세정장치(100)의 연결관(180)과 살균수 공급관(191)을 수처리 기기(200)에 연결함으로써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관(181)을 통해 냉/정수 출수코크(261)와 제1 유입구(111)를 연결하며, 제2 연결관(182)을 통해 온수 출수코크(262)와 제2 유입구(112)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제3 연결관(183)을 통해 냉/정수 드레인관(263)과 제3 유입구(113)를 연결하고, 제4 연결관(184)을 통해 온수 드레인관(264)과 제4 유입구(114)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해 저장탱크(220)[또는 정수탱크(230)]와 출수구(171)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 공급관(191)을 탱크 입수 유로관(L5)에 커넥터(265) 등을 통해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10)에 구비되는 필터들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고,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을 튜빙, 커넥터 등의 연결기구(C1, C2, C3, C4)에 의해 서로 연결한 후 살균수 공급관(191)을 커넥터(265) 등을 통해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과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만, 도 4에서는 모든 필터를 제거한 후 살균수 공급관(191)을 세디먼트 필터(210) 전단에서 커넥터(265) 등을 통해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세디먼트 필터(210)를 남겨 놓고 그 이후의 필터(220, 230, 240)를 제거하고 분리된 필터 사이의 필터부 유로관(L2, L3, L4)을 연결기구(C2, C3, C4)에 의해 서로 연결한 후 살균수 공급관(191)을 유로관(L2)과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살균수 공급관(191)을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에 연결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후술하는 제2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대응하는 살균수 공급관(191) 연결구조를 생략하였지만, 제2 내지 제7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4 또는 이와 유사하게 살균수 공급관(191)을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구(161)에 배수관(195)을 연결하면 유로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출수코크(261, 262)와 드레인관(263, 264)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펌프(140)가 작동하면 곧바로 수처리 기기(200)와 살균세정장치(100) 사이에 물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C)는 유로전환수단(110)이 유입구(111, 112, 113, 114) 중 하나 또는 일부를 개방하고, 펌프(140)와 전극부(170)를 구동시키면 전극부(170)에서 생성된 살균세정수가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하여 저장탱크(220)(도 2 참조), 탱크 입수 유로관(L5)(도 3 참조) 또는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도 4 참조)으로 이동하고, 출수부(260)를 통하여 다시 전극 살균모듈(100a)로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이 일정시간 수행되어 농도센서(120)에서 감지된 살균세정수의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농도가 일정값에 다다르게 되면 펌프(140)와 전극부(17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대기상태는 살균세정수가 물속 또는 저장탱크(220) 및 이와 연결된 유로(출수코크를 포함함) 상의 벽면을 살균세정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후, 유로전환수단(110)의 유로를 변경하여 다른 탱크의 살균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적으로 제1 유입구(111)와 제3 유입구(113)가 개방되어 정수탱크(230)와 냉수탱크(240) 및 냉/정수 출수코크(261)의 살균세정이 이루어졌다면, 2차적으로 제2 유입구(112)와 제4 유입구(114)를 개방하여 온수탱크(250) 및 온수 출수코크(262)의 살균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농도센서(120)에서 감지된 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라면 온수탱크(250) 등의 살균세정을 위하여 전극부(170)를 추가로 구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 경우에는 펌프(140)만을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는 달리, 유입구(111, 112, 113, 114)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이와 연결된 유로를 하나씩 세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세정 작업이 완료되면 살균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C)는 배수 유로전환밸브(160)의 유로를 배수구(161) 측으로 전환함으로써 살균세정수의 외부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수작업의 완료는 저장탱크(220)에 설치된 저수위 센서의 감지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저장탱크(220)의 용량을 고려하여 일정시간 동안 펌프(140)를 구동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고, 또는 펌프(140)에 물이 유입되지 않아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살균세정작업이 완료되면 수작업으로 또는 필터부(110)를 통과한 물을 이용하여 저장탱크(220)의 헹굼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헹굼작업 전후에 살균세정 장치는 수처리 기기(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살균세정장치의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유로전환수단(110) 대신에 매니폴드(110')가 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매니폴드(110')는 연결관(180)에 접속된 다수의 유입구(111, 112, 113, 114)와 연결된 다기관으로서, 유입된 물을 합수하여 전극부(170)에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매니폴드(11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연결관(180)이 연결된 수처리 기기(200)의 모든 유로의 세척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살균세정 시간이 단축된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와 수처리 기기(200)의 연결구조는 유입구(111, 112, 113, 114)에 대한 유로전환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살균세정장치의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전해질 공급부(130)가 추가 설치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상기 전해질 공급부(130)는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생성을 원활히 하여 고농도의 살균세정수를 얻기 위하여 전극부(170)에 전해질 또는 염(염화물 포함)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통상적인 전극장치에 있어서, 전해질이 첨가되면 전기분해 반응(산화환원 반응을 포함함)이 원활히 수행되므로 동일한 전류 또는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고농도의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해질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전해질 또는 염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지만 살균물질 생성에 도움이 되도록 NaCl, KCl, NaOCl 등의 염화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염화물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염이나 전해질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해질 공급부(130)는 전해질을 액체상태로 도징(dosing)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의 간편화를 위하여 고형의 전해질이나 염(염화물 포함)이 전해질 공급부(1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해질 공급부(130) 내부로 물이 흐르면서 고형의 전해질 또는 염이 용해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전해질 공급부(130)에 다수의 유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해질 또는 염의 공급을 위하여 전해질 공급부(130)의 상단에 커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질 공급부(130)는 전극부(170)의 입수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해질 공급부(130)와 전극부(170) 사이에 거리를 둠으로써(예를 들어, 펌프를 통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의 전해질 또는 염(염화물 포함)이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극부(170)에 설치되는 전극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질 공급부(130)에서 공급된 전해질 또는 염(염화물 포함)이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해 저장탱크(220)로 유입된 후 충분히 용해되고 섞인 상태에서 전극부(170)로 공급되도록 전극부(170)의 토출측에 전해질 공급부(130)를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와 수처리 기기(200)의 연결구조는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살균세정장치의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입수구(151)와, 입수 유로전환밸브(150)가 설치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도 9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입수구(151)와 입수 유로전환밸브(150)가 추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는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관(L1, L2, L3, L4, L5)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입수구(151)와, 상기 입수구(151)로 유입된 물과 상기 연결관(18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전극부(170)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입수 유로전환밸브(150)를 구비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 기기(200)가 역삼투막 필터(21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수구(151)와 연결되는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관(L1, L2, L3, L4, L5)은 상기 역삼투막 필터(213)의 전단에 구비되는 유로관(L1, L2, L3)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역삼투막 필터(213)를 통과하는 물의 경우에는 총용존 고형물질(TDS)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이러한 물을 전극부(170)에 유입시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양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역삼투막 필터(213)를 통과하지 못한 물은 드레인관(DL)을 통해 생활용수(폐수, 농축수)로 버려지게 되므로 물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역삼투막 필터(213)의 전단에 구비되는 필터부 유로관(L1, L2, L3)을 입수구(151)와 연결하고, 전극부(170)에 유입되는 물로 상기 필터부 유로관(L1, L2, L3)을 흐르는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극부에 유입되는 총용존 고형물질(TDS)의 양이 증가하므로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생성량이 증대되므로 빠른 시간 이내에 살균세정에 필요한 살균세정수의 농도(예를 들어, 0.05ppm 이상으로서, 살균세정에 필요한 안정값을 고려하여 0.07 내지 수 ppm 정도로 설정될 수 있음)에 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낭비도 막을 수 있고 역삼투막 필터(213)의 수명을 단축시키지 않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때, 제1 유로관(L1)과 입수구(151)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전극부(170)에 원수가 직접 공급되며, 제2 유로관(L2) 및 제3 유로관(L3)과 입수구(151)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전극부(170)에 세디먼트필터(211) 또는 프리 카본필터(212)를 통해 여과된 정수가 유입된다.
한편, 역삼투막 필터(213)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를 사용하는 중공사막 방식의 정수기에서는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하더라도 총용존 고형물질의 양이 크게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필터부(210)에 구비되는 유로관(L1, L2, L3, L4, L5) 중에서 어떠한 유로관을 입수구(151)에 연결하더라도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생성량에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다만, 전극부(170)의 전극이 원수와 바로 접촉하는 경우에는 전극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거친 정수가 전극부(170)에 유입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210)가 역삼투막 필터(213)를 포함하는 경우, 입수구(151)와 연결되는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은 상기 필터부(210)에 구비된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거친 후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유입되기 전의 정수가 흐르는 제2 유로관(L2) 및 제3 유로관(L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관(L1, L2, L3, L4, L5)을 통해 총용존 고형물질의 양이 많은 원수(L1의 경우) 또는 정수(L2, L3의 경우)가 공급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전해질 공급부(130)까지 구비하는 경우에는 보다 빠른 속도로 살균세정수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필터부 유로관의 제1 유로관(L1)과 입수구(151)를 연결한 경우에는, 제1 유로관(L1)에서 유입되는 원수와, 전해질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전해질 등을 이용하여 전극부(170)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 유로관의 제2 또는 제3 유로관(L2, L3)과 입수구(151)를 연결한 경우에는, 세디먼트 필터(210), 또는 세디먼트 필터(210)와 프리카본 필터(220)를 통해 여과된 정수와, 전해질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전해질 등을 이용하여 전극부(170)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역삼투막 필터(213)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필터부 유로관의 제4 유로관(L4)이나 탱크 입수 유로관(L5)에서 유입된 물에도 총용존 고형물질의 양이 많으므로, 제4 유로관(L4)이나 탱크 입수 유로관(L5)에서 입수구(151)로 유입된 물과, 전해질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전해질 등을 이용하여 전극부(170)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수구(151)로 유입되는 물에 총용존 고형물질의 양이 많은 경우라 하더라도 전해질 공급부(130)를 구비하면, 저전력으로도 고농도의 살균세정수를 빨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살균세정수의 농도는 농도센서(120)에서 측정되어 측정농도를 토대로 제어부(C)가 전극부(17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농도의 살균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서는 펌프(140)가 입수 유로전환밸브(150)와 농도센서(120) 또는 전해질 공급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펌프(14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서 전극부(17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입수 유로전환밸브(150)와 전극부(170)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와 수처리 기기(200)의 연결구조는 입수구(151)의 추가 연결을 제외하고는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세정장치(100)의 입수구(151)는 입수관(185)을 통하여, 또는 직접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관(L1, L2, L3, L4, L5){필터부(210)에 역삼투막 필터(213)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역삼투막 필터(213)의 전단에 구비되는 유로관(L1, L2, L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수관(185)은 역삼투막 필터(213)의 전단에 구비되는 유로관(L1, L2, L3) 중 어느 하나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유로관(L1, L2, L3)과 별도의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역삼투막 필터(213)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과 탱크 입수 유로관(L5) 중 어느 하나를 입수관(185)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 유로관에 별도의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탱크 입수 유로관(L5)과 입수구(151)가 연결된 경우에는 살균수 공급관(191)은 저장탱크(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관(L1, L2, L3)과 입수구(151)가 연결된 상태에서, 도 2와 유사하게 살균세정 작업이 수행된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경우에는 살균세정 작업 초기에 전극부(170)에 유로관(L1, L2, L3; 단, 중공사막 필터의 경우에는 L4와 L5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0은 역삼투막 필터를 기준으로 함)을 통해 총용존 고형물질의 양이 많은 물(원수 또는 정수)이 유입되어 전극부(170)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살균세정수를 생성하여 수처리 기기(200)의 저장탱크(220) 등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 경과 후 입수 유로전환밸브(150)의 유로를 전환하여 전극부(170)에 연결관(180)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유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즉, 유로관(L1, L2, L3, L4, L5)을 통해 유입된 물을 이용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고 저장탱크(220)에 공급하는 경우 저장탱크(220)의 수위가 너무 높아져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220)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일정시간 동안만 유로관(L1, L2, L3, L4, L5)을 통해 물을 공급하고, 이후에는 저장탱크(220)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농도센서(120)에서 감지된 살균세정수의 농도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펌프(140)와 전극부(17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배수 유로전환밸브(160)의 유로를 배수구(161) 측으로 전환하여 살균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경우에는 유로관(L1, L2, L3; 단, 중공사막 필터의 경우에는 L4와 L5 포함할 수 있음)으로부터 입수구(151)로 물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이를 헹굼수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헹굼을 위해서 입수 유로전환밸브(150)의 유로를 입수구(151)와 전극부(170)가 연결된 상태로 전환하고, 전극부(170)를 구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펌프(140)를 구동시키면 유로관(L1, L2, L3, L4, L5)을 통해 입수된 물이 살균세정장치(100)를 통해 저장탱크(22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220)에 헹굼수가 채워지면 다시 헹굼수 배출을 위해 배수 유로전환밸브(160)의 유로를 전환하여 헹굼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헹굼수로 제1 내지 제3 유로관(L1, L2, L3)을 통해 입수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고가의 필터인 역삼투막 필터(213) 또는 중공사막 필터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생활용수로 배출되는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역삼투막 필터(213) 등의 수명을 불필요하게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제어부(C)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C)는 유로전환수단(110), 전극부(170), 펌프(140), 입수 유로전환밸브(150), 배수 유로전환밸브(16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살균세정장치의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보조탱크(155)와, 입수 유로전환밸브(150)가 설치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도 12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보조탱크(155)가 추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보조탱크(155)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탱크(155)는 사용자가 공급한 물을 저장하며, 보조탱크(155)에 수용된 물은 전극부(170)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보조탱크(155)에 수용된 물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 유로전환밸브(150)를 통해 전극부(170)에 공급될 수 있으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두차에 의해 직접 전극부(17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5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수도수 등 총용존 고형물질의 양이 많은 물을 보조탱크(155)에 공급할 수 있고, 전극부(170)는 이러한 물을 통해 살균세정수를 생성하게 되므로 초기에 고농도의 살균세정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조작부(B)를 통해 살균세정 작업을 시작한 경우 보조탱크(155)에 유입된 물을 일정시간 동안 전원이 인가된 전극부(170) 내부에서 유지시킴으로써 고농도의 살균세정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펌프(140)를 구동시켜 수처리 기기(200) 내부의 물이 살균세정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는 달리, 사용자가 조작부(B)를 구동시키는 경우 전극부(170)와 펌프(140)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5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해질 공급부(130)의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으며, 보조탱크(155)에 직접 전해질 또는 염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사항 이외의 유로구조 및 살균세정 작동은 제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살균세정장치의 제6 실시예]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제6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제4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이에 연결되는 수처리 기기(200)가 변경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는 도 2 내지 도 4,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와는 달리 저장탱크(220) 대신에 온도변화부(220')가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220)를 구비하지만 도 14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는 저장탱크(220)를 구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의 온도변화부(220')는 사용자의 출수요구가 있을 때, 필터부(210)를 통과한 물을 상온의 상태로 출수하는 상온공급부(270)와, 냉각하여 공급하도록 순간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냉수공급부(280)와, 가열하여 공급하도록 순간가열장치를 구비하는 온수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온수공급부(270), 냉수공급부(280) 및 온수공급부(290)로의 물 공급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유로전환밸브(V1)를 통해 유로가 전환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는 탱크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드레인관을 구비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도 2 등의 드레인관(263, 264)과 연결되는 연결관(183, 184)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살균수 공급관(191)은 커넥터(265)를 통하여 탱크 입수 유로관(L5)에 연결될 수 있으나, 탱크 입수 유로관(L5)의 길이가 충분하다면 출수구(171)에 직접 탱크 입수 유로관(L5)을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처리 기기(200)에 연결된 살균세정장치(100)는 유입구(113, 114)가 미연결 상태이므로 유로전환수단(110)을 통해 유로를 선택할 때 상기 미연결 유입구(113, 114)에 대응하는 유로를 개방하지 않도록 작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살균세정장치(100)의 조작부(B)에는 유입구 선택 버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14에 도시된 입수 유로전환밸브(150)는 살균세정 초기에 수처리 기기(200)에 공급할 살균세정수 생성을 위하여 입수구(151)와 전극부(170) 사이의 유로를 연결하게 되고, 이후 살균세정장치(100)와 수처리 기기(200) 사이에 살균세정수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량의 물이 공급된 뒤에는 유입구(111, 112, 113, 114)와 전극부(170) 사이의 유로를 연결하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와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 연결상태는 미연결된 연결관(183, 184)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살균세정 및 헹굼 작동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살균세정장치의 제7 실시예]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제7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는 보조탱크(155)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5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지만, 보조탱크(155)의 설치 위치 및 기능에 차이가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는 도 14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와 동일하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에 구비된 보조탱크(155)는 수처리 기기(200)의 살균세정을 위하여 수처리 기기(2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에 구비되는 보조탱크(155)는 살균세정장치(100)와 수처리 기기(200) 사이에 살균세정수의 순환이 유지될 수 있는 용량의 물을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 도 10 및 도 13 등에 도시된 수처리 기기(200)에서의 저장탱크(220)의 기능을 수행하는 탱크를 보조탱크(155)로서 구비하게 된다.
제7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는 보조탱크(155)를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구체적인 살균세정 작업이 다른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살균세정장치의 제8 실시예]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농도센서(120)와 펌프(140)의 위치가 변경되었고, 연결관(180)에 유입구(111, 112, 113, 114)에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제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제8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는 연결부재(180)가 입수관(185)과 살균수 공급관(19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처리 기기(200)의 출수부(260)에서 출수되는 물을 폐수로 버리기 위하여 수처리 기기(200)의 출수부(26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결관(18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수관(185)는 일측이 수처리 기기(200)의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또는 탱크 입수 유로관(L5)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또는 탱크 입수 유로관(L5)과 별도의 커넥터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전극 살균모듈(100a)의 입수구(15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살균모듈(100a)에는 원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하여 여과되어 유입된 물을 통하여 전극부(170)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 공급관(191)은 상기 입수관(185)의 후단에 위치하는, 수처리 기기(200)의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185)으로서 필터부 유로관(L1, L2, L3)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살균수 공급관(191)은 상기 필터부 유로관(L1, L2, L3) 후단에 위치하는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80)은 일측이 출수부(262)에 연결되지만 타측이 씽크대 등의 배수구(D1)를 통해 살균세정수(또는 헹굼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전극 살균모듈(100a)와 연결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출수부(262)에서 저장용기를 통해 물을 직접 받아내는 경우에는 연결관(180)이 설치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제8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는 입수 유로전환밸브(150)의 유로전환을 통하여, 유입구(111, 112, 113, 114)와 연결관(180)이 연결되는 경우 살균세정수를 전극 살균모듈(100a)과 수처리 기기 사이에서 순환하는 구성뿐만 아니라, 유입구(111, 112, 113, 114)와 연결관(180)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살균세정수를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200)에 공급한 후 전극 살균모듈(100a)로 순환시키지 않고 출수부(260)를 통해 살균세정수를 배출하는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제8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는 입수관(185) 및 입수구(15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입수구(151) 후단에 펌프(1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세정장치(100)는 전극부(170)에서 생성된 살균세정수에 포함된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극부(170)의 후단에 농도센서(1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살균세정장치(100)의 입수구(151)는 입수관(185){수처리 기기(200)의 유로관(L1, L2, L3, L4, L5)을 포함함}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관(L1, L2, L3, L4, L5)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입수관(185)을 통하여 전극 살균모듈(100a)에 물이 유입된다. 이때, 유입구(111, 112, 113, 114)에 연결관(180)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입수 유로전환밸브(180)는 입수구(151)와 전극부(170)를 연통하도록 유로가 전환된 상태이다.
따라서, 유입된 물은 전극부(170)에 유입되어 살균세정수가 되고, 이에 포함된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농도는 농도센서(120)에서 측정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살균세정수는 펌프(140)의 가압에 의해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해 수처리 기기(200)로 공급된다.
이때, 살균수 공급관(191)은 입수관(185)이 설치된 유로의 후단에 위치하는 필터부 유로관이나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로 살균 세정수를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수처리 기기(200)에 유입된 살균세정수는 일정 시간 동안 수처리 기기에 잔류하면서 수처리 기기의 유로관 또는 저장탱크(220)를 살균세정하게 된다.
이후, 출수부(260)를 통해 살균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관(180)의 일단을 출수부(260)와 연결하되 타단을 씽크대 등의 배수구(D1)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출수부(260) 개방에 의한 살균세정수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후 수동으로 저장탱크(220)의 헹굼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전극부(170)를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입수관(185)을 통해 전극살균모듈(100a)로 헹굼수(원수 또는 적어도 일부의 필터에서 여과된 물)를 공급하고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해 수처리 기기(200)에 공급함으로써 헹굼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살균세정장치의 제9 실시예]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에서 유입구((111, 112, 113, 114), 유로전환수단(110), 입수 유로전환밸브(150), 배수 유로전환밸브(160), 배수구(161)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의 제8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고, 도 19의 경우에는 전해질 공급부(130)가 추가되어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살균세정장치(100)는 입수 유로전환 밸브(150) 등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입수구(185)를 통해 유입된 물을 이용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고, 이를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해 공급하게 된다.
또한, 살균세정이 완료된 후, 수처리 기기(200)에서의 살균세정수의 배출은 출수부(260)의 개방을 통해 수행되며, 출수부(260)에 연결관(180)을 설치하여 씽크대 등의 배수구(D1)로 물을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입수구(185)를 통해 유입된 물을 이용하여 수처리 기기(200)의 헹굼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전극부(170)를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수처리 기기(200)의 살균세정방법(S100)에 대해 살펴본다.
이러한 살균세정방법(S100)은 전극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을 포함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전극부(170)를 포함하는 전극 살균모듈(100a)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200)를 살균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술한 살균세정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세정방법의 제1 실시예]
먼저, 도 2 내지 도 4, 도 10, 도 13 내지 도 15, 도 17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200)의 살균세정방법(S10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200)의 살균세정방법(S10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와 전극 살균모듈(100a)의 유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90)를 설치하는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S110)와, 상기 전극 살균모듈(100a)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여 수처리 기기(200)에 공급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S120)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S120)가 수행된 후 일정시간 경과후 또는 상기 전극부(170)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농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극부(170)의 구동을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는 대기 단계(S130)와, 상기 대기 단계(S130) 이후에, 살균세정수를 상기 전극살균장치(100)의 배수구(161)를 통하여 배출하는 살균세정수 배수단계(S140)와, 상기 살균세정수 배수단계(S140) 이후에,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와 상기 전극 살균모듈(100a)의 유로에 연결된 연결부재(190)를 분리하는 살균세정장치 분리단계(S17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S110)는, 수처리 기기(200)의 출수부(260)에 하나 이상의 연결관(180)을 연결하는 공정과, 수처리 기기(200)의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에 살균수 공급관(191)을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80)은 상기 출수부(260)를 구성하는 출수코크(261, 262)와 드레인관(263, 264)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S110)는 살균세정장치(100)가 작동할 때 물의 유입이 일어날 수 있도록 출수코크(261, 262)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출수코크(261, 262)가 기계식 밸브인 경우에는 출수코크(261, 262)를 개방상태로 위치시키면 되고, 출수코크(261, 262)가 전자식 밸브인 경우에는 수처리 기기(200)에 구비된 전자식 밸브 개방 버튼을 누르거나, 전자식 밸브에 개방신호를 인가하도록 별도의 케이블을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밸브를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관(263, 264)과 원수 차단밸브(V)도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151)가 설치된 경우에는 수처리 기기(200)의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또는 탱크 입수 유로관(L5)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또는 탱크 입수 유로관(L5)과 연결되는 입수관(185)을 전극 살균모듈(100a)의 입수구(151)에 연결하는 공정과, 상기 입수관(185)의 후단에 위치하는, 수처리 기기(200)의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에 살균수 공급관(191)을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80)은 일측이 출수부(262)에 연결되지만 타측이 씽크대 등의 배수구(D1)를 통해 살균세정수(또는 헹굼수)를 폐수로 버릴 수 있도록 전극 살균모듈(100a)와 연결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출수부(262)에서 저장용기를 통해 물을 직접 받아내는 경우에는 연결관(180)이 설치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S120)는, 상기 연결관(180) 또는 입수관(185)으로부터 상기 전극 살균모듈(100a)에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공정과, 상기 전극부(170)에 전원을 인가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정과, 상기 살균수 공급관(191)을 통하여 살균세정수를 상기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로 공급하는 공급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유입공정, 살균세정수 생성공정 및 공급공정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나, 살균세정장치(100)의 구체적 구성에 따라 그 전후 순서가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경우에는 펌프(140)의 구동에 의해 공급공정과 물 유입공정이 동시에 수행되고, 이에 따라 전극부(170)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전극부(170)의 구동에 의한 살균세정수 생성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0의 경우에는 전극부(170)에 입수구(151)를 통한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전극부(170)가 가동하고, 이후 펌프(140)가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두 공정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물 유입공정은 유로전환수단(110)을 통하여 연결관(180)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에서 일부 유로를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입구(111)로부터 제4 유입구(114)까지 순차적으로 하나씩의 유로를 개방할 수도 있지만, 저장탱크(220) 별로 살균세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수탱크(230) 및 냉수탱크(240)와 연결된 냉/정수 출수코크(261) 및 냉/정수 드레인관(263)과 연결된 제1 유입구(111) 및 제3 유입구(113)를 먼저 개방하여 살균세정 작업을 완료한 후에 온수탱크(250)에 연결된 제2 유입구(112) 및 제4 유입구(114)를 개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정은, 상기 전극부(170)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센서(120)에서 감지된 농도가 설정값이 될 때까지 상기 전극부(17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정은, 상기 전극부(170)에 전해질 공급부(130)를 통해 전해질 또는 염(염화물 포함)을 공급하여 고농도의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도 6, 도 7, 도 9, 도 14, 도 15 및 도 19 참조).
한편, 유로관(L1, L2, L3, L4, L5)을 통해 총용존 고형물질의 양이 많은 원수(L1의 경우) 또는 정수(L2, L3의 경우)가 공급되는 경우, 또는 보조탱크(155)를 통해 총용존 고형물질의 양이 많은 물이 공급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전해질 공급부(130)까지 구비하는 경우에는 보다 빠른 속도로 살균세정수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탱크(220)에 수용된 물이 전극부(170)에 유입되는 경우(도 6, 7 참조) 뿐만 아니라, 물에 총용존 고형물질의 양이 많은 물이 전극부(170)에 유입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전해질 공급부(130)를 추가로 구비하면(도 9, 도 14 및 도 15 참조), 저전력으로도 고농도의 살균세정수를 빨리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살균세정수의 농도는 농도센서(120)에서 측정되어 측정농도를 토대로 제어부(C)가 전극부(17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농도의 살균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정은, 도 10,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수처리 기기(200)에 구비되는 유로관(L1, L2, L3; 중공사막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L4 및 L5 포함)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며, 일정시간 경과후 입수 유로전환밸브(150)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연결관(18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처리 기기(200)에 구비되는 (L1, L2, L3; 중공사막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L4 및 L5 포함)으로부터 입수구(151)를 통과하여 공급된 물에는 총용존 고형물질이 많이 포함된 상태이므로 고농도의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데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수처리 기기(200)의 필터부(210)에 역삼투막 필터(213)가 포함된 경우, 상기 역삼투막 필터(213)의 전단에 구비되는 유로관(L1, L2, L3)을 입수구(151)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살균세정수 생성공정은,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사용자가 제공한 물을 수용하는 보조탱크(155)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며, 일정시간 경과후 입수 유로전환밸브(150)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연결관(18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공정은, 살균세정수를 펌프(140)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필터부 유로관(L1, L2, L3, L4),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대기 단계(S130)는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S120)가 수행된 후 일정시간 경과후 또는 상기 전극부(170)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의 농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으나, 살균세정수의 농도가 높다면 대기 단계(S130)를 수행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대기 단계(S130)는 생성된 살균세정수가 일정시간 동안 저장탱크(220) 및 이에 연결된 유로와 출수코크(261, 262)에 유지되면서 살균세정이 이루어지도록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펌프(140)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수처리 기기(200)와 상기 살균세정장치 사이에 물의 흐름이 없도록 하게 되며, 전극부(170)의 구동도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S120), 또는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S120)와 대기 단계(S130)가 종료된 후, 상기 전극살균장치(100)의 배수구(161)를 통하여 살균세정수를 배출하는 살균세정수 배수단계(S140)가 수행된다.
이러한 살균세정수 배수단계(S140)는 배수 유로전환밸브(160)의 유로를 배수구(161) 측으로 전환한 상태에서 펌프(140)를 구동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전극부(170)는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다.
한편, 살균세정수 배수단계(S140)는 일정시간 펌프(140)를 구동하거나, 펌프(140)에 물이 유입되지 않아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살균세정수 배수단계(S140)가 종료된 후 도 2, 도 13 및 도 15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헹굼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수작업에 의한 헹굼이 종료된 후 살균세정장치(100)를 수처리 기기(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S170).
이와는 달리, 살균세정수 배수 단계(S140)가 종료된 후 바로 살균세정장치(100)를 수처리 기기(20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170)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터부(210)를 통해 정수를 저장탱크(220)에 공급하여 헹굼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살균세정방법의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10, 도 14, 도 17 및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200)의 살균세정방법(S10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기기(200)의 살균세정방법(S100)은 도 20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살균세정수 배수단계(S140) 이후에 헹굼수 공급단계(S150)와 헹굼수 배수단계(S160)가 수행되며, 이후에 살균세정장치 분리단계(S170)를 수행하게 된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에 의한 살균세정방법(S1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헹굼수 공급단계(S150)는 상기 살균세정수 배수단계(S140) 이후에, 수처리 기기(200)의 탱크 입수 유로관(L5) 또는 저장탱크(220)에 헹굼수를 공급하게 된다.
도 10, 도 14 및 도 17을 참조하면, 도 10, 도 14 및 도 17의 살균세정장치(100)는 입수구(151)에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관(L1, L2, L3; 중공사막 필터의 경우 L4 및 L5 포함)이 연결되므로, 살균세정장치(100)가 수처리 기기(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입수 유로전환밸브(150)를 통해 입수구(151)와 전극부(170)가 연결된 상태로 유로를 전환하고, 전극부(170)를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펌프(140)를 구동하면 입수구(151)를 통해 수처리 기기(200)의 유로관(L1, L2, L3; 중공사막 필터의 경우 L4 및 L5 포함)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출수구(171)을 거쳐 저장탱크(220)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때 제공되는 물이 헹굼수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헹굼수 공급단계(S150)는 저장탱크(220)의 수위를 충분한 정도로 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저장탱크(22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될때까지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만수위 감지는 사용자의 확인 또는 저장탱크(220)의 만수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헹굼수 공급단계(S150)가 종료된 후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S120)와 유사하게 대기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헹굼수 배수 단계(S1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헹굼수 배수단계(S160)는 배수 유로전환밸브(160)의 유로를 배수구(161) 측으로 전환한 상태에서 펌프(140)를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헹굼수 배수단계(S160)는 일정시간 펌프(140)를 구동하거나, 펌프(140)에 물이 유입되지 않아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100a... 전극 살균모듈
110... 유로전환수단 110'... 매니폴드
111, 112, 113, 114... 유입구 120... 농도센서
130... 전해질 공급부 140... 펌프
150... 입수 유로전환밸브 151... 입수구
155... 보조탱크 160... 배수 유로전환밸브
161... 배수구 170... 전극부
171... 출수구 180, 181, 182, 183, 184... 연결관
190... 연결부재 191... 살균수 공급관
195... 배수관 200... 수처리 기기
210... 필터부 220... 저장탱크
220'... 온도변화부 230... 정수탱크
240... 냉수탱크 250... 온수탱크
260... 출수부 261, 262... 출수코크
263, 264... 드레인관 265... 커넥터
270... 상온공급부 280... 냉수공급부
290... 온수공급부 B... 조작부
C... 제어부 D... 디스플레이부
DL... 드레인관 L1, L2, L3, L4, L5... 유로관
V... 원수차단밸브 V1... 유로전환밸브

Claims (8)

  1. 전극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을 포함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 살균모듈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를 살균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상기 전극 살균모듈의 유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전극 살균모듈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여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는,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정과, 상기 살균수 생성공정을 통하여 생성된 살균세정수를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공급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정은, 초기에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유로관 또는 탱크 입수 유로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며, 일정시간 경과후 수처리 기기의 출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2. 전극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살균물질 또는 세정물질을 포함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 살균모듈을 통하여 수처리 기기를 살균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상기 전극 살균모듈의 유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전극 살균모듈에서 살균세정수를 생성하여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는,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살균세정수 생성공정과, 상기 살균수 생성공정을 통하여 생성된 살균세정수를 수처리 기기에 공급하는 공급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정은, 초기에 사용자가 제공한 물을 수용하는 보조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며, 일정시간 경과후 수처리 기기의 출수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살균세정수를 생성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는,
    수처리 기기의 출수부에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연결하는 공정과,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유로관, 탱크 입수 유로관, 또는 저장탱크에 살균수 공급관을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정장치 설치단계는,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유로관 또는 탱크 입수 유로관에 입수관을 연결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살균수 공급관은 상기 입수관의 후단에 위치하는,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유로관, 탱크 입수 유로관 또는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출수부를 구성하는 출수코크와 드레인관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을 연결하는 공정은 상기 연결관의 연결 후에 상기 출수코크 및 드레인관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는,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상기 전극 살균모듈에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정수 생성/공급단계는,
    상기 연결관 또는 입수관으로부터 상기 전극 살균모듈에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1020120078569A 2011-06-02 2012-07-19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101308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94 2011-06-02
KR20110053494 2011-06-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632A Division KR101181329B1 (ko) 2011-06-02 2011-11-15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141A true KR20120135141A (ko) 2012-12-12
KR101308123B1 KR101308123B1 (ko) 2013-09-26

Family

ID=4711338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102A KR101181328B1 (ko) 2011-06-02 2011-08-19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KR1020110118632A KR101181329B1 (ko) 2011-06-02 2011-11-15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1020120078568A KR101734194B1 (ko) 2011-06-02 2012-07-19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1020120078569A KR101308123B1 (ko) 2011-06-02 2012-07-19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102A KR101181328B1 (ko) 2011-06-02 2011-08-19 수처리 기기용 살균세정장치
KR1020110118632A KR101181329B1 (ko) 2011-06-02 2011-11-15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1020120078568A KR101734194B1 (ko) 2011-06-02 2012-07-19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4) KR101181328B1 (ko)
CN (1) CN103562141B (ko)
MY (1) MY175377A (ko)
WO (1) WO201216569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244A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WO2015099320A1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70125686A (ko) * 2016-05-04 2017-11-15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기의 살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792B1 (ko) * 2012-11-22 2019-06-1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2170139B1 (ko) * 2013-04-12 2020-10-26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제빙기 및 제빙방법
KR101772527B1 (ko) * 2015-02-10 201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시스템
KR101717109B1 (ko) 2015-02-10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공급장치 살균 방법
CN104843904A (zh) * 2015-05-22 2015-08-19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设备、过滤系统及其水过滤方法
CN106565039B (zh) * 2015-10-08 2021-02-12 福库好希士株式会社 水处理系统、水处理系统的杀菌方法以及杀菌杯
KR102442479B1 (ko) * 2017-06-30 2022-09-13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CN110963604A (zh) * 2019-12-05 2020-04-07 王�华 一种便于移动的医疗废水处理装置
CN111470678A (zh) * 2020-05-27 2020-07-31 宁波蓝野医疗器械有限公司 前端进水消毒系统
KR20230036676A (ko) 2021-09-08 2023-03-1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관 세척용 살균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세척방법
FR3141457A1 (fr) * 2022-10-31 2024-05-03 Pool Technologie dispositif de production d’hypochlorite de sodiu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1460U (zh) * 1991-08-02 1992-11-11 韩洪军 小型次氯酸钠发生器
CN2130093Y (zh) * 1992-07-07 1993-04-21 韩洪军 小型家用消毒器
US5944978A (en) * 1997-08-21 1999-08-31 Omco Co., Ltd. Cleaning method of an electrolyzed water forming apparatus and an electrolyzed water forming apparatus having mechanism for conducting the method
KR100531667B1 (ko) * 2005-05-31 2005-11-29 이근섭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KR20090047585A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웰테크놀러지 저수조 및 수 라인을 자동으로 소독하는 정수기 및 그정수기의 소독방법
KR20100062596A (ko) * 2008-12-02 2010-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순환 전해살균가능한 정수기
KR20100131241A (ko) * 2009-06-05 2010-12-1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101906339B1 (ko) * 2009-06-29 2018-10-11 코웨이 주식회사 전해살균장치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244A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WO2015099320A1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EP3088366A4 (en) * 2013-12-23 2016-11-23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DEVICE OF CONTINUOUS ELECTRICAL DENSIZING (CDI) TYPE
US11084740B2 (en) 2013-12-23 2021-08-10 Coway Co., Ltd. CDI-type water treatment method
KR20170125686A (ko) * 2016-05-04 2017-11-15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기의 살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5377A (en) 2020-06-23
CN103562141B (zh) 2015-12-09
KR101181329B1 (ko) 2012-09-13
KR101181328B1 (ko) 2012-09-11
CN103562141A (zh) 2014-02-05
KR101308123B1 (ko) 2013-09-26
WO2012165694A1 (en) 2012-12-06
KR101734194B1 (ko) 2017-05-24
KR20120135140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123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101916882B1 (ko) 수처리 장치의 살균세척방법
US10266441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US10723642B2 (en) Water treatment device
KR20120079002A (ko) 전해살균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101876214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2037684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1897563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20130069973A (ko)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
WO2012063583A1 (ja) 浄水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消毒殺菌方法
KR20130045294A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31720A (ko) 수처리기의 배수 장치
KR102605654B1 (ko) 수처리장치
KR101886237B1 (ko)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 방법
KR20140009088A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16551A (ko) 수처리기의 얼음 탱크의 살균 방법
KR101351275B1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20120008442U (ko) 살균 세척 수처리 장치
JP3132048U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130080111A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KR101308125B1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KR20120134186A (ko)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