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186A -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186A
KR20120134186A KR1020110052935A KR20110052935A KR20120134186A KR 20120134186 A KR20120134186 A KR 20120134186A KR 1020110052935 A KR1020110052935 A KR 1020110052935A KR 20110052935 A KR20110052935 A KR 20110052935A KR 20120134186 A KR20120134186 A KR 20120134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sterilization
memor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077B1 (ko
Inventor
김종민
최인규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7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5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를 이용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 살균기를 포함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은 기동시 메모리를 참조하여 기동전 상기 수처리기의 상태가 살균 과정 완료 또는 정수 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탱크에 정수를 보충하는 정수 과정; 및 기설정된 주기, 기설정된 시각 또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으면 상기 저장탱크를 살균하는 살균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water treatment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살균 모드 구동 시 단수 또는 단전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 방식에 따라 크게 중공사막 방식과 역삼투막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역삼투막 방식의 정수기는 오염 물질의 제거에 있어서 지금까지 개발된 다른 정수 방식에 비해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역삼투막 방식의 정수기는 수도전 등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5미크론 정도의 미세한 필터를 통해 먼지, 찌꺼기, 각종 부유 물질이 제거되는 세디먼트필터와, 활성탄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THM),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잔류염소 등을 제거하는 프리 카본필터와, 0.0001미크론의 역삼투막으로 이루어져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각종 병원균 등을 걸러주며 농축된 물은 드레인관을 통해 배출하는 역삼투막 필터(RO 멤브레인 필터)와, 상기 역삼투막 필터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을 제거하는 포스트 카본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 방식의 정수기는 상기 역삼투막 필터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한외여과 필터, UF)를 사용한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기공을 가진 기공성 필터로서, 막 표면에 분포하는 무수히 많은 미세기공을 통해 물속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삼투막 방식의 정수기 또는 중공사막 방식의 정수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4개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추가로 항균필터나 기능성 필터가 장착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일부 필터의 기능을 복합시킨 복합필터로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 카본필터의 기능을 하나의 복합필터에 구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수기는 포스트 카본필터 등이 세균에 쉽게 오염되고, 세균이 저장탱크로 유입되기 때문에 그 저장탱크에 미생물이 재증식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저장탱크에 저장된 정수에 외부로부터 세균이나 미생물이 침투하여 번식할 수도 있고, 저장탱크의 내벽에 물때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장탱크에 증식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해 외부에서 별도의 살균 약품을 첨가하여 저장탱크와 정수의 배출 유로를 살균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살균약품 공급 방식은 사용자나 정수기 관리자가 별도의 살균약품 공급작업을 통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살균작업이 번거롭고 살균관리가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살균약품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살균약품의 자동주입이 불가능하거나 자동주입된다고 해도 주기적으로 충진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살균약품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살균약품의 농도가 높을 수 있으며, 사용자나 관리자에 따라 살균약품 투입의 많고 적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세정 작업 후에 정수기 내부에 살균약품이 잔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정작업 후에 복수의 헹굼이 필수적이며 헹굼 작업이 완벽하지 않으면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약품 냄새로 인한 불만이 증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정수기 관리자가 살균약품 공급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정수기의 살균 처리를 위한 비용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서비스 비용에 부담을 느낄 수가 있다.
특히, 정수기 자체로 살균세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주관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정수기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살균약품이 녹거나 용출되는 조건이 정수기 운전조건(예를 들어, 원수압, 유량 등)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일 예로서,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살균농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반대로 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살균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살균 제어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살균약품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악취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약품에 의해 발생하는 살균물질은 pH가 낮거나 매우 높은 OCl- 물질이 주가 되므로 악취가 많이 발생하며, 살균성능 역시 HOCl에 비해 1/70 정도에 불과하므로 동일한 탱크용량의 살균을 위해서는 다량의 살균물질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해조를 이용하여 HOCl 물질이 주가 되는 혼합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경우에 비해 살균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살균약품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정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해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저장탱크의 살균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28785호에 개시된 수처리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처리기(10)는 상수도(15)와 같은 원수공급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수필터(14)를 거쳐 여과하고 저수조(13)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출수요청이 있는 경우 디스펜서(17)를 통하여 정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저수조(13)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13a)를 통하여 저수조(13) 내부에 수용된 정수의 오염이 감지되거나 일정기간이 도과한 경우, 염화물 공급장치(11)과 전기분해장치(12)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하이포아염소산)을 발생시켜 저수조(13)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저수조(13)의 세척작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염도 센서(13a) 등을 통하여 저수조(13)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저수조(13) 내부에 수용된 물을 추출배관(G)와 디스펜서(17)를 이용하거나 배수배관(F)을 통해 하수도(16)로 완전히(또는 저수위 내지 바닥에 인접하도록 대부분) 배수하게 된다. 저수조(13)에 수용된 물의 배수가 종료되면 밸브(Vg 또는 Vf)가 차단된다. 그리고, 염화물 공급장치(11)에서 전기분해장치(12)로 염화나트륨(NaCl) 또는 염화칼륨(KCl) 등의 염화물이 공급되고 염화물 수용액을 생성하기 위하여 정수필터(14)를 거치지 않은 원수공급배관(B)을 통해 원수(상수)가 공급되거나 정수필터(14) 후단의 정수공급배관(C)을 통해 정수필터(14)에서 여과된 정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전기분해장치(12) 내부로 염화물과 원수(상수) 또는 정수가 공급된 후 염화물이 용해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경과된 후, 전기분해장치(12)의 전극(12a)에 전원이 인가되어 염화물 수용액의 전기분해(산화환원반응)를 통해 차아염소산이 포함된 수용액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차아염소산 수용액은 저수조(13)가 만수위가 될 때까지 저수조(13)에 채워지고 저수조(13)의 살균 및 세척에 필요한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차아염소산 수용액은 저수조(13)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차아염소산 수용액의 제거를 위하여 정수필터(14)를 거친 물을 정수공급배관(D)을 통하여 또는 정수필터(14)를 거치지 않은 상수를 헹굼용 배관(H)을 통해 저수조(13)에 만수위까지 공급하고, 일정시간 경과후 저수조(13)에 수용된 헹굼수를 배수하는 헹굼작업을 복수회 수행하면 저수조(13)의 세척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사용자의 취수가 가능하도록 정수필터(14)를 통하여 원수를 여과시켜 저수조(13)에 정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살균 기능을 이용해서 살균하는 도중에 단수나 단전과 같은 돌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살균이 완전히 되지 않는 것은 물론 살균수가 저수조(13)에 남게 되어 사용자가 살균수를 먹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은 단수나 단전의 발생 여부를 안정적으로 확인하고 살균수가 사용자에게 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를 이용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 살균기를 포함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은 기동시 메모리를 참조하여 기동전 상기 수처리기의 상태가 살균 과정 완료 또는 정수 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탱크에 정수를 보충하는 정수 과정; 및 기설정된 주기, 기설정된 시각 또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으면 상기 저장탱크를 살균하는 살균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 과정은 기동시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기동전 상기 수처리기의 상태가 살균 과정 미완료인 경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고 세척한다.
상기 살균 과정은 상기 살균 과정이 완료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살균 과정 완료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살균 과정은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 상기 저장탱크에 살균수를 만수위로 보충하여 살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탱크를 배수하고 정수를 보충해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상기 살균수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만수위로 보충되지 않으면 상기 세척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살균 과정은 상기 각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각 단계 완료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수 과정은 기동시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기동전 상기 수처리기의 상태가 상기 살균 과정의 배수하는 단계 완료 또는 살균하는 단계 완료인 경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고 세척한다.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수 또는 단전의 돌발 상황 시 본 발명의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을 적용하면 돌발 상황에 의해 저장탱크에 잔류하게 되는 살균수를 배수하고 세척하여 사용자게 살균수를 취수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탱크에 살균수가 잔류하여 저장탱크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장치가 적용된 수처리기의 구성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처리기(100)의 제어 방법의 정수 과정(400)의 상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처리기(100)의 제어 방법의 살균 과정(500)의 상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의 수처리기의 동작 상태 저장을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수처리기는 오폐수나 상수를 처리하거나 초순수를 제조하는 등 산업용이나 가정용(업소용을 포함)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음용을 위해 사용되는 수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음용을 위한 수처리기는 원수(상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음용을 위한 정수를 생성하므로 좁은 의미에서 정수기로 통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상수)를 공급받아 필터부에서 여과한 상온의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온의 정수를 가열/냉각하여 온수 및/또는 냉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음용을 위한 수처리기 중에는 정수뿐만 아니라, 이온수, 탄산수, 산소수와 같은 각종 기능수를 공급하는 기능수기도 있다. 이외에도, 물통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거나 얼음을 생성하는 온수기, 냉수기, 제빙기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처리기라 함은 전술한, 정수기, 기능수기, 온수기, 냉수기, 제빙수기 등과 이들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지닌 기기를 총칭하는 의미로서 사용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수기를 예로 들기도 하지만 이러한 정수기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기의 일 예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처리기는 원수 공급부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 대상수로서의 원수를 각종 필터들을 통과시켜 정화하고, 그 정화된 정수수(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정수' 라고 한다)를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저수식 수처리기(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처리기는 수도수 또는 자연수 등의 원수를 필터부에 구비되는 필터들을 통해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입자성 불순물,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처리기는 별도의 '살균약품'이나 '염화물'을 첨가하지 않고, 필터부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만을 전기분해(본 명세서에서는 전기분해라는 용어가 '산화환원반응'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하여 산화성 혼합물질(MO: Mixed Oxidant)과 같이 살균기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하여 저장탱크로 공급한 후 배출함으로써, 저장탱크 및 살균수가 흐르는 유로를 살균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더 이룰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처리기는 염화물 공급장치와 같은 별도의 염화물을 첨가하지 않고도 정수만을 전기분해함으로써 고농도의 산화성 혼합물질 등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수처리기의 구성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수처리기는 필터부(110)와, 저장탱크(170) 및 전해 살균기(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10)는 원수를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세디먼트 필터(111)와, 프리 카본필터(112)와, 역삼투막 필터(113){또는 중공사막(한외여과) 필터}와, 포스트 카본필터(114)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수처리 장치(정수기)의 여과방식 또는 수처리 장치(정수기)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삼투막 필터(113)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공사막 필터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기공을 가진 기공성 필터로서, 막 표면에 분포하는 무수히 많은 미세기공을 통해 물속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포스트 카본필터(114)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전술한 필터를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마이크로 필터(MF)나 다른 기능성 필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탱크(170)는 필터부(110)를 통과하며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며 그 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해 살균기(130)에서 유입되는 살균수를 수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탱크(170)는 필터부(110)를 통과하며 정화된 상온의 정수 및 이 중 일부를 냉각시킨 냉정수를 저장하는바, 상온의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저장부(171)와, 냉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저장부(17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저장탱크(170)가 상온의 정수만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제1 저장부(171)와 제2 저장부(172)가 독립적인 탱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171, 172)는 상호 연결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각각 구획 형성되는데, 제1 저장부(171)는 상측에 위치하고, 제2 저장부(172)는 제1 저장부(171)의 하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171, 172)는 격벽(세퍼레이터)(미도시)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각각 구획 형성되며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저장부(171)에는 정수의 레벨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부(190)로 출력하는 수위센서(175a, 175b, 175c)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위센서(175a, 175b, 175c)는 제1 저장부(171)에서 정수의 하한 레벨, 즉 정수의 재공급이 이루어지는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175a)와, 중간 레벨을 감지하는 중수위센서(175b)와, 상한 레벨, 즉 정수의 추가 유입이 차단되는 만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센서(175c)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센서의 개수 및 설치위치는 수처리 장치(정수기)의 구체적인 제어방식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저장부(172)에는 제1 저장부(171)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닛(173)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냉각유닛(173)은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냉각 코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으로, 제1 저장부(171) 및 제2 저장부(172)는 별도의 탱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저장부(171)에 저장된 정수는 별도의 급수 라인을 통해서 제2 저장부로 전달되거나, 얼음 트레이 등으로 이동되어 얼음이 된 후 제2 저장부(172)로 전달될 수 있다.
배수 장치(150)는 저장탱크(170)에 저장된 정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탱크(170) 하부에 구비되는 또는 별도의 탱크로 구비되는 제2 저장부(17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수 장치(150)는 배수라인(151), 배수밸브(155), 배수밸브(153) 및 제어부(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라인(151)은 저장탱크(170)에 저장된 물 또는 살균수를 생활용수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저장부(172)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배출 관로로서 구비된다.
배수밸브(153)는 배수라인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고, 배수펌프(151)는 배수라인(151)에 설치될 수 있고, 저장탱크의 저수를 보다 원활하게 배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배수밸브(153)를 열더라도 배수라인의 단면적이 좁을 경우에는 빠른 배수가 되지 않아, 완전 배수가 되지 못해서 오래된 정수 또는 살균시 사용된 살균수가 저장탱크(170)내에 잔류할 수 있게 된다.
근래의 수처리기(100)들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실내 공간에 구비되기 위해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기 때문에 배수라인의 단면적이 좁아질 우려가 크다. 따라서 밸수밸브(153)을 여는 것만으로는 완전 배수가 힘드므로, 배수펌프(155)를 같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펌프(155)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모터는 입력전압을 이용하여 동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직류 모터 또는 주파수 조절을 통해서 동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교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배수밸브(153)는 일반적으로 래치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해 살균기(130)는 살균수 라인(142)에 설치되며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적어도 일부의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만을 이용하여 전기분해를 통해 산화성 혼합물질(MO: Mixed Oxidant) 등 살균기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해 살균기(13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사이로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물속에 잔류된 미생물이나 세균을 살균 또는 소멸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기분해를 통한 정수의 살균은 양극에서 미생물을 직접 산화시키는 직접산화반응과, 양극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산화성 혼합물질(MO:Mixed Oxidant), 예를 들면 잔류염소, 오존, OH 라디칼, 산소 라디칼 등이 미생물을 산화시키게 되는 간접산화반응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의 상세한 흐름은 도 3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수처리기(100)가 사용되는 환경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는 원수 공급 및 전력 공급이 원활하다. 하지만, 돌발적으로 전력 공급 또는 원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는데, 수처리기(100)가 정수를 제공하는 정수 모드일 때는 문제가 없으나, 저장탱크(130)를 살균하는 살균 모드일 경우에는 살균수가 저장탱크(130)에 남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단수 또는 단전 시에 돌발 상황에 대해서 즉시 대처하거나, 상황을 기억하고 있다가 단수 또는 단전에서 복귀되면 대처하는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만약, 돌발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탱크(130)를 배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저장탱크(130)에 저장된 살균수를 취수하여 먹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특히, 수처리기(100) 내의 단수 및 단전 상황을 사용자가 항시 주시하고 있는 것은 아닌 바 단수 또는 단전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살균수를 취수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에, 본 발명의 수처리기(100)의 제어 방법은 단수 또는 단전과 같은 돌발 상황에 수처리기(100)가 자동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처리기(100)의 제어 방법의 정수 과정(400)의 상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수처리기(100)의 제어 방법의 살균 과정(500)의 상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수 과정(400)에서는 메모리 참조 단계(410), 동작 결정 단계(420)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 참조 단계(410)에서는 기동 시 메모리를 참조하여 기동 전 수처리기(100)의 최종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메모리에 기동 전 수처리기(100)의 최종 동작 상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기동 시에 메모리를 참조하여 기동 전 수처리기(100)의 최종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결정 단계(420)에서는 기동 전 수처리기(100)의 최종 동작 상태에 따라서 이후 수처리기(1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기동 전 수처리기(100)의 최종 동작 상태가 정상적인 수처리기(100)의 동작 중단 또는 전력 차단이었는지에 따라 이후에 정수를 보충(430)해서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하거나, 돌발 상황에 대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는, 동작 결정 단계(420)에서는 기동 전 수처리기(100)의 최종 동작 상태가 살균 과정 완료 또는 정수 모드인 경우 수처리기(100)가 정상적인 동작에 따라서 중단되었거나 전력이 차단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동 전 수처리기(100)의 최종 동작 상태가 살균 과정 완료 또는 정수 모드인 경우정수를 보충(430)해서 사용자에게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기동전 상기 수처리기(100)의 상태가 살균 과정 미완료인 경우에는 돌발 상황에 의한 수처리기(100)의 동작 중단으로 판정하고 후술하는 제2 배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하는 돌발 상황은 단전이 되는 상황을 예로 들 수 있다. 정수 모드였던 경우에는 전력이 재공급되면 다시 정수를 공급하면 문제가 없고, 살균 과정이 완료된 경우에는 저장 탱크에 살균수가 없으므로 문제가 없다. 하지만, 살균 과정 중간에 단전이 되면 전력이 재공급된 시점에 저장 탱크에 살균수가 잔존하므로 이를 배수하고 세척할 필요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살균 과정(500)에서는 제1 배수 단계(510), 살균수 보충 단계(520), 제2 배수 단계(550), 세척수 보충 단계(560) 및 세척수 배수 단계(570)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배수 단계(510)에서는 저장탱크(130) 내의 정수를 배수하여 살균 준비를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저장탱크(130) 내의 정수를 완전 배수하지 않고 부분 배수할 수도 있다.
살균수 보충 단계(520)에서는 전해 살균기(130)에서 생성할 살균수를 저장탱크(130)에 보충하여 저장탱크(130)를 살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탱크(130)의 내부 전체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수를 보충하여 저장탱크(130) 내에 만수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배수 단계(550)에서는 살균수를 보충해서 만수가 되거나 만수가 되고 일정 시간이 도과하면 살균수를 배수하여 저장탱크(130)를 비워 세척을 준비할 수 있다.
세척수 보충 단계(560) 및 세척수 배수 단계(570)에서는 저장탱크(130)에 정수를 보충하여 세척을 하고 세척에 사용된 정수를 배수하여 정수를 보충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준비할 수 있다.
그런데, 살균 과정(500) 중 단수가 되면 살균 과정(500)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잘못하면, 저장 탱크의 물을 사용자가 취수하거나, 살균력이 강한 이온수가 저장 탱크 내에 오래 잔류하게 되어 저장탱크(130)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단수가 되는 경우에는 저장탱크(130)내의 살균수를 배수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살균수 보충 단계(520) 중 살균수를 보충하여 만수 여부를 확인(530)할 수 있는데, 만수에 도달하는 시간이 기설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540)로 단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수의 보충 시 60분 동안 살균수가 만수위까지 보충되지 않으면 단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단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살균수 보충을 중단하고 제2 배수 단계(55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수에서 회복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세척수 보충 단계(560) 및 세척수 배수 단계(570)를 수행하여 정수 탱크 내에 미량이지만 남을 수 있는 살균수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수 또는 단전의 돌발 상황 시 본 발명의 수처리기(100)의 제어 방법을 적용하면 돌발 상황에 의해 저장탱크(130)에 잔류하게 되는 살균수를 배수하고 세척하여 사용자게 살균수를 취수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저장탱크(130)에 살균수가 잔류하여 저장탱크(130)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의 수처리기의 동작 상태 저장을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수 시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단전이 발생하게 되면 휘발성 메모리의 정보는 사라지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수처리기(100)의 전자 제어 장치들은 정보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므로, 단전이 발생하면 이전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그렇다고, 비휘발성 메모리만을 이용해서 전자 제어 장치들의 정보를 관리하게 되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상대적으로 고가인 점, 비휘발성 메모리의 정보 입출력 속도가 느린 점등에 비추어 정보 및 데이터 관리가 비효율적으로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정보의 보존 범위와 정보의 업데이트 시점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기(100)의 동작 상태 저장을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플래그 메모리로 이용하는 방법(a) 및 동작 상태를 코드로 저장하는 방법(b)이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를 플래그 메모리로 이용하는 방법은 상기 살균 과정(500)의 각 수행 단계가 종료되면 해당 단계에 대응하는 플래그 메모리의 주소에 데이터를 기재하는 방법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배수 단계(510)이 종료되면, 플래그 메모리의 0 번지에 '1'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1 배수 단계(510)를 완료하였음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수 모드로 동작 중이었을 때는 모든 플래그 메모리에 '0'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살균 과정이 모두 완료된 경우에는 '1' 데이터를 4 번지에 저장할 수 있다.
플래그 메모리의 주소 수는 살균 과정의 수행 단계의 수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살균수가 저장탱크(130)에 잔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단계의 완료만을 저장할 수 있는 수가 되어도 된다.
플래그 메모리의 각 주소는 1비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동작 상태를 코드로 저장하는 방법(b)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각 단계의 종료에 해당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방법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0 내지 5 코드에 정수 모드 또는 살균 과정의 각 단계가 대응되어 있다. 이에, 수처리기(100)의 살균 과정의 각 단계를 변경할 때 비휘발성 메모리에 변경 전 단계에 대한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수처리기 110: 필터부
120: 유로전환밸브 130: 전해 살균기
141: 정수 라인 142: 살균수 라인
150: 배수 장치
151: 배수라인 153: 배수 밸브
155: 배수펌프 190: 제어부
157: 유로전환밸브
170: 저장탱크 171: 제1 저장부
172: 제2 저장부 175a: 저수위 센서
175b: 중수위 센서 175c: 만수위 센서
274: 온수탱크 178a: 제1 취수라인
178b: 제2 취수라인 159: 밸브연결구
180: 연결부재 181: 제1 연결캡
182: 제2 연결캡 183: 연결 호스
dL: 드레인관 dV: 드레인 밸브
P: 가압 펌프 PS: 유량감지유닛
W: 원수 공급부 WV: 원수차단밸브

Claims (7)

  1.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를 이용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 살균기를 포함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동 시 메모리를 참조하여 기동전 상기 수처리기의 상태가 살균 과정 완료 또는 정수 모드인 경우 상기 저장탱크에 정수를 보충하는 정수 과정; 및
    기설정된 주기, 기설정된 시각 또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으면 상기 저장탱크를 살균하는 살균 과정을 포함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과정은
    기동 시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기동전 상기 수처리기의 상태가 살균 과정 미완료인 경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고 세척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과정은
    상기 살균 과정이 완료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살균 과정 완료 정보를 저장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과정은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
    상기 저장탱크에 살균수를 만수위로 보충하여 살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탱크를 배수하고 정수를 보충해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상기 살균수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만수위로 보충되지 않으면 상기 세척 단계를 수행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과정은
    상기 각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각 단계 완료 정보를 저장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과정은 기동 시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기동전 상기 수처리기의 상태가 상기 살균 과정의 배수하는 단계 완료 또는 살균하는 단계 완료인 경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고 세척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는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KR1020110052935A 2011-06-01 2011-06-01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KR101849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935A KR101849077B1 (ko) 2011-06-01 2011-06-01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935A KR101849077B1 (ko) 2011-06-01 2011-06-01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148A Division KR20130045294A (ko) 2013-03-19 2013-03-19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30029146A Division KR101351275B1 (ko) 2013-03-19 2013-03-19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30029147A Division KR101308125B1 (ko) 2013-03-19 2013-03-19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186A true KR20120134186A (ko) 2012-12-12
KR101849077B1 KR101849077B1 (ko) 2018-04-16

Family

ID=4790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935A KR101849077B1 (ko) 2011-06-01 2011-06-01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0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077B1 (ko)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882B1 (ko) 수처리 장치의 살균세척방법
EP2571594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KR101308123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US10071402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20130045294A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35783A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20130069973A (ko)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
KR101696215B1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7684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1351275B1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31720A (ko) 수처리기의 배수 장치
KR101897563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1308125B1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16551A (ko) 수처리기의 얼음 탱크의 살균 방법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20120134186A (ko) 살균 모드를 가진 수처리기의 제어 방법
KR20120008442U (ko) 살균 세척 수처리 장치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101897573B1 (ko) 정수기 및 그 세정방법
KR20170018145A (ko) 저장탱크의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KR20170087843A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