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133A -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133A
KR20120135133A KR1020120059806A KR20120059806A KR20120135133A KR 20120135133 A KR20120135133 A KR 20120135133A KR 1020120059806 A KR1020120059806 A KR 1020120059806A KR 20120059806 A KR20120059806 A KR 20120059806A KR 20120135133 A KR20120135133 A KR 20120135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ozone
dioxide gas
solution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6410B1 (ko
Inventor
신동남
김병기
양희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2013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087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01J19/08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64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controll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8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controlling the composition of the reactive mix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에 오존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가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산화염소가스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의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장치가 소개된다.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발생되는 비교적 저농도 영역에서도 이산화염소의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제조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METHOD FOR PRODUCIING CHLORINE DIOXIDE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살균 및 소독에 이용되는 이산화염소를 정량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살균소독제 및 표백제로 사용되던 염소는 트리할로메탄 등의 발암물질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대체할 살균제가 요구되고 있다.
이산화염소는 염소보다 5배 정도의 살균력과 탈취 및 표백력을 가진 물질로서, 발암물질이 생성되지 않으며, 빛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친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염소계 소독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종래 이산화염소의 생산은 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ate)을 염소가스(Cl2), 차아염소산(HOCl) 또는 염산(HCl)과 반응시켜 생산하거나, 차아염소산염 및 아염소산염을 강산과 반응시켜 생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정수장의 수처리 용도 등 대용량에 적합한 것으로, 중대규모의 제조설비를 필요로 한다.
이산화염소는 현재 정수장 수처리에 주로 이용되나, 이외에 식품제조, 가공공장이나 병원, 집단급식소 등의 기구 소독, 룸소독, 농산물의 표면살균 및 저장수명 연장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이들 분야에서의 이용을 위해서는 농도 조절이 가능한 소형의 이산화염소 발생기가 요구되나, 위의 종래기술은 적합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이산화염소 제조기술은 인체에 위험한 산성 용액을 사용하여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며, 인체의 안전성 측면에도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전기화학적 생성법이 있으나 마찬가지로 소형화가 어려우며 이산화염소 생성수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강산이나 염소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산화염소를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인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은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에 오존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가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산화염소가스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인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는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이 저장되는 제1반응부, 이 제1반응부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반응부에 저장된 용액과 상기 오존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1반응부에 공급되는 오존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오존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은 별도의 오존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일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정수장이나 기타 다른 어떤 공정에서 상용되거나 혹은 사용되고 남은, 수집 또는 포집된 오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약품 용액(반응기)만을 사용하여 오존과의 반응을 통해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산화염소 제조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소형의 오존발생기는 이미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염소 제조장치의 설치시 차지하는 면적이 적고, 휴대가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 및 생산 단가가 감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산성 용액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감소되며, 장치 사용자의 안전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는 이산화염소가스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비교적 저농도 영역에서도 목표하는 농도의 이산화염소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어 활용도가 폭넓고 다양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는 하나의 장치로부터 필요에 따라 이산화염소가스와 이산화염소수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제조방법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제조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제조장치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제조장치의 도면이다.
도 6은 오존과 아염소산 용액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물질이 이산화염소가스임을 확인할 수 있는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오존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아염소산 용액의 농도를 변화시킬 때 발생되는 이산화염소가스 농도의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오존 농도를 변화시킬 때 발생되는 이산화염소가스 농도의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오존 농도에 따라 발생되는 이산화염소가스의 농도의 실험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0는 오존 유량을 변화시킬 때 발생되는 이산화염소가스 농도의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NaClO2의 농도에 따른 미반응 오존 농도의 실험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살균 및 세척 등에 사용되는 이산화염소를 정량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깊이 연구한 결과,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에 적정농도의 오존을 투입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농도의 이산화염소를 제조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인체에 무해한 제조방법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목적하고자 하는 농도의 이산화염소를 선택적으로 가스형태 또는 용액형태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측면인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이산화염소는 가스형태 또는 용액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며, 특별히 구분하기 위하여는 이산화염소가스 또는 이산화염소수라고 지칭한다.
상기 용액으로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아염소산 용액이 주로 사용될 것이나, 차아염소산 용액이나, 아염소산 용액과 차아염소산 용액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아염소산 용액으로는 KaClO2, NaClO2 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는 NaClO2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수용액 상태에서 전해시 염소산 음이온을 형성하여, 상술한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종류의 용액도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용액과 반응하는 오존은 시중에 판매되는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오존이거나, 혹은 정수장 등 다른 공정에서 사용되는 오존일 수 있다. 정수장에서는 수처리 후 미반응의 잔류 오존이 상당량 발생되는데, 이러한 미반응 잔류 오존 혹은 또 다른 공정에서 사용되거나 사용되고 남은 오존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저농도의 오존에 의해서도 이산화염소의 생성이 가능하다.
이하, NaClO2 용액과 오존의 반응을 위주로 설명한다. 단, 이러한 설명이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을 NaClO2 용액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아염소산용액에 오존을 반응시킴에 의해 이산화염소가 발생됨을 확인하고, 그 반응메카니즘은 아래의 반응식으로 정리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반응식]
Figure pat00001
NaClO2는 수용액 상태에서, Na 양이온과 ClO2 음이온으로 해리된다. 그 용액에 오존을 투입하면, 상기 반응식과 같이, 상기 ClO2 음이온과 오존이 반응하게 되고, 이 반응을 통하여 본 발명이 의도하고자 하는 이산화염소(ClO2)가 생성된다(도 6 참조).
도 7 내지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lO2 생성은 ClO2 음이온과 오존의 농도에 의존한다(d[ClO2]/dt=k[ClO2 -][O3]). 오존의 농도에 비하여 ClO2 음이온의 농도가 매우 큰 조건에서는 반응이 진행되더라도 ClO2 -의 농도 변화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ClO2 생성은 오존의 농도에만 의존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d[ClO2]/dt=k'[O3], 여기에서 k'=k[ClO2 -]이다). 이와 같은 특성은 오존 농도를 제어함에 의해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NaClO2의 농도는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오존이 용액에 투입되는 유량과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는 무관하다. 예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는, 투입되는 오존 유량에 신경 쓸 필요 없이, 단순히 오존 농도만을 제어함을 통해 손쉽게 이산화염소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험예에 의하면 발생되는 이산화염소 가스 농도와 공급되는 오존 농도 간의 관계는 [ClO2]/[O3] = 1.25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의하면 공급되는 오존 농도의 조절에 의해 일정한 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우 반응이 완료된 후에도 잔류되는 오존이 존재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오존은 버블(bubble)형태로 용액 내에 투입될 수 있다. 버블 형태의 오존을 용액에 투입하여, 오존 기체와 NaClO2 수용액의 접촉을 최대화하고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용액의 사용기간을 확대하고, 오존과 용액이 충분히 반응하여 미반응 오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과포화용액을 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아염소산나트륨의 경우 물 1리터당 390g 정도가 용해될 수 있다. 대체로 이정도의 고농도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이산화염소 가스를 꽤 오랜시간 동안 발생시킬 수 있으나, 용해도가 적은 다른 물질의 경우에는 과포화용액을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미반응 잔류 오존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조장치의 사용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서 보듯이, 오존은 다시 용액에 투입되어, 용액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제조할 수 있다(도 2(a)). 또한, 복수의 반응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 1반응에 의하여 잔존하는 오존은 제 2반응에 투입되어 적용될 수 있다(도 2(b)). 제 2반응에 의하여 잔존하는 오존은 다른 반응에 재투입도 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잔류 오존을 제거할 수 있으며,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물에 투입하여,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목적에 맞게, 선택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 또는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조장치는 상술한 제조방법을 구현하는 하나의 예일뿐, 상기 제조장치로 인하여, 상기 제조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농도'는 액체나 혼합기체와 같은 용액을 구성하는 성분의 질량이나 부피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염소가스(30)의 질량이나 부피에 해당되고, 이산화염소수(50)의 농도는 물(40)에 포함된 이산화염소가스(30)의 질량이나 부피에 해당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제조장치를 살펴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반응부(100)에는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10)이 저장된다. 상기 제1반응부(100)는 오존공급부(200)를 통해 오존발생부(150)에 연결되며, 상기 오존발생부(150)에서 발생된 오존(20)이 상기 오존공급부(200)를 통해 상기 제1반응부(100)에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오존발생부(150)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반응부(100)에 공급된 오존(20)은 상기 제1반응부(100) 내부에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10)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가스(3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반응부(100)의 일측은 제1배출부(2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수(50)를 생성할 때는 상기 제1배출부(250)와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액공급부(300)는 제1반응부(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1반응부(100) 내부로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10)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용액공급부(300)는 상기 제1반응부(100) 내부의 아염소산 용액(10) 또는 차아염소산 용액(10)이 감소하는 경우,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10)을 더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1반응부(100) 내부의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10)과 오존(20)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가스(30)가 발생되면, 상기 제1반응부(100) 내부의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10)이 줄어들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액공급부(300)를 통해 상기 제1반응부(100) 내부로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10)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산화염소가스(30)를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반응부(100)는 교체 가능한 키트 혹은 카트리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투입된 오존량을 기초로 소진된 아염소산 등의 양을 추정 내지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용액 카트리지의 교체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반응부(100)가 카트리지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교체가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아염소산나트륨과 같은 유독성 물질에 사용자가 직접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안전에 우수하다.
또한, 오존발생부(150)는 오존공급부(200)에 연결되어 제1반응부(100)에 오존(20)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존발생부(150)로는 공지기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오존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자외선 조사방식, 방사선 조사방식, 유전체 장벽 방전 방식 또는 전기 분해 방식의 오존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존공급부(200)는 상기 제1반응부(100)에 연결되는 단부에 복수의 개구(210)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오존은 용액 중으로 버블링될 수 있다. 이 개구(210)는 용액과의 오존 접촉시간, 면적을 증가시켜, 이산화염소 생성반응을 촉진하고 미반응의 잔류 오존이 발생되기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오존공급부(200)는 상기 오존발생부(150)에서 발생된 오존(20)의 압력에 의해 상기 오존발생부(150)로부터 상기 오존공급부(200)를 거쳐 상기 제1반응부(100)에 오존(20)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조장치에 펌프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오존공급부(200)에는 오존(20)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오존조절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오존조절부(220)는 오존공급부(200)에 설치되며, 오존조절부(220)의 작동에 의해 오존발생부(150)에서 발생된 오존(20)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생되는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는 공급되는 오존의 농도에 비례하기에, 제조장치에 오존조절부(220)를 두어 이산화염소가스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오존조절부(220)는 제1제어부(2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제어부(230)에 의해 상기 오존조절부(22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오존(20)의 농도를 설정하면, 상기 제1제어부(230)는 설정된 오존(20)의 농도에 맞게 상기 오존조절부(2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를 설정 후,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설정된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를 입력하면, 상기 제1제어부(230)는 상기 설정된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오존조절부(2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발생되는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가 공급되는 오존(20)의 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제 2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제조장치는 위 제1 실시예에서의 오존발생부(150)는 자체적으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아닐 수 있다. 이미 설명되었듯이, 다른 공정에서 사용되는 오존 혹은 사용되고 남은 미반응 오존을 포집하여 제1 실시예의 오전공급부(200)를 통해 제1반응부(1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제조장치를 살펴본다. 앞서 제1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동일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반응부(400)에는 물(40)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반응부(400)는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를 통해서 이산화염소가스 제조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제조장치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가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를 통해서 상기 제2반응부(400)로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이산화염소수가 생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제조장치를 살펴본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를 통해서 공급되는 이산화염소가스(30)는 상기 제2반응부(400) 내부에 저장된 물(40)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수(5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반응부(400)의 일측은 제2배출부(5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반응부(4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수(50)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부(600)는 제2반응부(4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2반응부(400) 내부로 물(40)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600)는 상기 제2반응부(400) 내부의 물(40)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2반응부(400) 내부로 물(40)을 더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상기 제2반응부(400) 내부의 물(40)과 이산화염소가스(30)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수(50)가 발생되면, 상기 제2반응부(400) 내부의 물(40)이 줄어들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600)를 통해 상기 제2반응부(400) 내부로 물(40)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산화염소수(50)를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는 이산화염소가스 제조장치와 제2반응부(400)에 연결되며, 이산화염소 제조장치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를 제2반응부(400)에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에는 이산화염소가스(30)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이산화염소가스조절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산화염소수(50)의 발생량은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에 비례하므로 상기 이산화염소가스조절부(520)의 조절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염소수(50)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는 상기 제2반응부(400)에 연결되는 단부에 복수의 개구(5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2반응부(400) 내부의 물(40)로 이산화염소가스(30)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는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제조장치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 제조장치로부터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를 거쳐 상기 제2반응부(400)에 이산화염소가스(30)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수(50)를 생성할 때는 상기 제1배출부(250)와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를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를 통해 상기 제2반응부(400)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염소가스조절부(520)는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에 설치되며, 이산화염소가스조절부(520)의 작동에 의해 이산화염소가스 제조장치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조절부(520)는 제2제어부(5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제어부(530)에 의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조절부(52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를 설정하면, 상기 제2제어부(530)는 설정된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에 맞게 상기 이산화염소가스조절부(5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이산화염소수(50)의 농도를 설정 후,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설정된 이산화염소수(50)의 농도를 입력하면, 상기 제2제어부(530)는 상기 설정된 이산화염소수(50)의 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산화염소가스조절부(5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제어부(530)는 상기 제1제어부(23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제어부에 상기 제1제어부(230)와 상기 제2제어부(53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발생되는 이산화염소수(50)의 농도가 공급되는 이산화염소가스(30)의 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가스배출부(800)는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이산화염소가스배출부(800)는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밸브(7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7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의 이동방향이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700)는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와 이산화염소가스배출부(800)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는 상기 제1배출부(2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700)는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700)가 a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는 상기 이산화염소가스배출부(8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700)가 b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는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500)를 통해 상기 제2반응부(40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700)가 b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반응부(10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30)가 상기 제2반응부(400)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반응부(400) 내부에 저장된 물(40)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수(50)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이산화염소수(50)는 상기 제2배출부(550)를 통해 배출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상기 밸브(700)를 a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상기 이산화염소가스배출부(800)를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염소가스(30)를 얻을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밸브(700)를 b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상기 제2배출부(550)를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염소수(50)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산화염소가스(30)와 이산화염소수(50)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이산화염소가스(30)와 이산화염소수(50)를 선택적으로 얻는 이유는 살균, 소독 등의 용도로 이산화염소가스(30)와 이산화염소수(50)를 사용시, 원하는 장소에 따라 이산화염소가스(30)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이산화염소수(50)가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라 약품 용액과 오존을 반응시켜 생성된 가스가 이산화염소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NaClO2 용액(32wt%)에 192~194ppm의 오존을 반응시켰다, 그리고, 상기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가스의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결과에 대한 그래프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응에 의해 발생된 물질은 1000 cm-1과 1200 cm-1사이인 1100cm-1 정도의 파수(Wave Number)를 가지는 물질로 나타나고 있다. 이산화염소가스의 고유 파수(Wave Number)가 대략 1100 cm-1 정도이므로, 상기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물질은 이산화염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라 약품 용액의 농도와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무관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NaClO2 용액의 농도를 중량%로 0.76%, 3.8%, 7.6%, 15.2% 및 19%로 변화시켜, 192~194ppm의 오존과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에 의하여 각각 생성된 가스의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결과에 대한 그래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액의 농도가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생성된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는 바, NaClO2 용액의 농도에 무관하게 이산화염소가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오존의 농도에 따라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변화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NaClO2 용액(3.8wt%)과 오존의 농도(0ppm, 98.5ppm, 117ppm, 176ppm, 251ppm 및 357ppm) 변화시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에 의하여 각각 생성된 이산화염소의 농도의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결과를 도 8에 나타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존의 농도가 증가함에 비례하여, 이산화염소도 증가하여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오존의 농도에 따라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변화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NaClO2 용액(3.8wt%)과 오존의 농도(0ppm, 90ppm, 100ppm, 140ppm, 200ppm, 270ppm 및 320ppm) 변화시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에 의하여 각각 생성된 이산화염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도 9에 나타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존의 농도가 증가함에 비례하여, 이산화염소의 농도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비교적 저농도인 오존 농도 10ppm에서도 이산화염소는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투입되는 오존의 유량에 따라 생성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변화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NaClO2 용액(32wt%)과 오존(192~194ppm)을 반응시켰으며, 이 때, 오존의 유량을 2.7L/min, 5.2L/min 및 7.9L/min으로 변화시켰다. 이 때, 발생되는 이산화염소가스 농도의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결과에 대한 그래프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존의 유량과 관계없이 이산화염소가 일정하게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앞서 실험한 실시예 등에서는 오존의 농도에 비례하여 이산화염소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실사용시 잔류오존이 생성되는 것은 본 발명에 악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미반응 잔류오존과 오존의 공급유량 및 NaClO2 농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미반응 잔류오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NaClO2 농도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100~20,000mg/L 범위의 NaClO2과 오존(농도: 225ppm±14)을 반응시켰다. 이 때, 오존의 유량을 각각 3 L/min, 4L/min 및 5L/min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하였다. 반응 후, NaClO2 농도에 대한 미반응 오존 농도를 측정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X축의 NaClO2 농도는 로그 스케일(log scale)로 표현하였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존의 유량과 관계없이, NaClO2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반응 오존이 줄어듬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L/min 이하의 유량에서 NaClO2(농도: 20,000mg/L)를 오존과 반응시킨 결과, 오존 농도를 10% 이하로 저감시킬 수 있었다. 도 11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5 L/min 이하의 오존 유량에서, NaClO2 30,000 mg/L 이상을 사용하여, 미반응 오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 아염소산 용액 또는 차아염소산 용액 20 : 오존
30 : 이산화염소가스 40 : 물
50 : 이산화염소수 100 : 제1반응부
150 : 오존발생부 200 : 오존공급부
210 : 개구 220 : 오존조절부
230 : 제1제어부 250 : 제1배출부
300 : 용액공급부 400 : 제2반응부
500 :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 510 : 개구
520 : 이산화염소가스조절부 530 : 제2제어부
550 : 제2배출부 600 : 물공급부
700 : 밸브 800 : 이산화염소가스배출부

Claims (11)

  1.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에, 오존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가스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산화염소가스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용액은 NaClO2 또는 KClO2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적어도 반응초기 과포화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존은 버블(bubble)형태로 용액 내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이산화염소가스를 물에 투입하여, 이산화염소수를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6. 오존발생부; 아염소산 용액, 차아염소산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용액이 저장되는 제1반응부; 상기 제1반응부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액과 상기 오존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1반응부에 공급되는 오존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가스를 발생시키는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부에 연결되는 상기 오존공급부의 단부에는 복수의 개구가 포함되는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부에는 오존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오존조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오존조절부에 의하여, 조절된 오존농도에 의하여 이산화염소가스의 농도가 제어되는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제2반응부; 상기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가스를 상기 제2반응부에 공급하는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반응부에 저장된 물과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2반응부에 공급되는 이산화염소가스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수를 발생시키는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반응부에 연결되는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의 단부에는 복수의 개구가 포함되는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는,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와 상기 이산화염소가스배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산화염소가스배출부로 이산화염소가스가 배출되는 것 또는 상기 제2반응부로 이산화염소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2반응부에 저장된 물과 상기 이산화염소가스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2반응부에 공급되는 이산화염소가스가 반응하여 이산화염소수가 발생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의 제조장치.
KR1020120059806A 2011-06-02 2012-06-04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386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51 2011-06-02
KR20110053251 2011-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133A true KR20120135133A (ko) 2012-12-12
KR101386410B1 KR101386410B1 (ko) 2014-04-21

Family

ID=4790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806A KR101386410B1 (ko) 2011-06-02 2012-06-04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41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506A1 (ko) * 2015-12-09 2017-06-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산화염소 가스 및 이산화염소수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2000731B1 (ko) 2019-04-26 2019-07-16 김진태 단일 반응조로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002506B1 (ko) 2019-05-23 2019-07-22 김재우 연속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223009B1 (ko) * 2020-10-12 2021-03-03 장재욱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축사 탈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91292B1 (ko) 2021-03-08 2021-08-20 (주)새롬환경기술 이산화염소 제조시 발생되는 처리수를 재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WO2022075451A1 (ja) * 2020-10-09 2022-04-14 株式会社エースネット 抗病原体薬剤、抗菌剤、抗ウイルス剤、病原体処理装置、抗病原体薬剤の製造方法、抗菌方法、ウイルス不活性化方法、及び病原体処理方法
WO2023136192A1 (ja) * 2022-01-13 2023-07-20 大幸薬品株式会社 二酸化塩素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696B1 (ko) * 1994-04-25 1996-12-20 최형석 이산화염소 발생방법 및 장치
PL2099710T3 (pl) * 2007-01-12 2011-12-30 Akzo Nobel Chemicals Int Bv Sposób wytwarzania di tlenku chloru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506A1 (ko) * 2015-12-09 2017-06-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이산화염소 가스 및 이산화염소수 발생 장치 및 방법
CN108367918A (zh) * 2015-12-09 2018-08-03 浦项产业科学研究院 二氧化氯气体和二氧化氯水的发生装置及方法
KR102000731B1 (ko) 2019-04-26 2019-07-16 김진태 단일 반응조로 이산화염소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002506B1 (ko) 2019-05-23 2019-07-22 김재우 연속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WO2022075451A1 (ja) * 2020-10-09 2022-04-14 株式会社エースネット 抗病原体薬剤、抗菌剤、抗ウイルス剤、病原体処理装置、抗病原体薬剤の製造方法、抗菌方法、ウイルス不活性化方法、及び病原体処理方法
KR102223009B1 (ko) * 2020-10-12 2021-03-03 장재욱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축사 탈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91292B1 (ko) 2021-03-08 2021-08-20 (주)새롬환경기술 이산화염소 제조시 발생되는 처리수를 재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WO2023136192A1 (ja) * 2022-01-13 2023-07-20 大幸薬品株式会社 二酸化塩素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410B1 (ko)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410B1 (ko) 이산화염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U2008337695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 using chlorine dioxide
US7261821B2 (en) Process for treating an aqueous system with chlorine dioxide
US200701839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Gaseous Chlorine Dioxide-Chlorine Mixtures
US20060226023A1 (en) Neutralization system for electrochemical chlorine dioxide generators
JP5764572B2 (ja) 二酸化塩素発生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26198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high purity gaseous chlorine dioxide
CA2851380A1 (en) Improved method of treating water with chlorine dioxide
US2008015258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Chlorine Dioxide
KR102026157B1 (ko) 무격막 중공 전극으로 구성된 전기분해조와 이를 이용한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그리고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를 이용한 자가생성 약액 세정식 탈취장치
EP2639204B1 (en) Process and device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for the disinfection of water
JP2002220207A (ja) 二酸化塩素水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093907B1 (ko) 상온 장기 농도 유지 이산화염소 수용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001423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lectro-chemical activation of water
JP2021080140A (ja) 常温長期濃度保持二酸化塩素水溶液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064850A2 (en) Chlorine dioxide generator
Palmer Optimisation of chlorine dioxide generators and investigation into an ultra-pure chlorine dioxide generation method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CN117980254A (zh) 化学组合物、用于获得所述化学组合物的次氯酸的制备方法和用于执行所述方法的装置
vel Leitner Photodecomposition of Chlorine Dioxide and Chloride by U. V. Irradiation--Part I. Photo-Products(Photodecomposition du Bioxyde de Chlore et des Ions Chlorite par Irradiation U. V. en Milieu Aqueux--Partie I. Sous-Produits de Reaction)
Simpson Recent Advancements in Small-Scale Chlorine Dioxide Generator Technology
WO2011025808A1 (en) Uv-based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with electric current to increase y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