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125A -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125A
KR20120135125A KR1020120059565A KR20120059565A KR20120135125A KR 20120135125 A KR20120135125 A KR 20120135125A KR 1020120059565 A KR1020120059565 A KR 1020120059565A KR 20120059565 A KR20120059565 A KR 20120059565A KR 20120135125 A KR20120135125 A KR 2012013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formation
keyword
book
advert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성
Original Assignee
이해성
(주)내일이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성, (주)내일이비즈 filed Critical 이해성
Priority to PCT/KR2012/0043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65922A2/ko
Publication of KR2012013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책에 내용 기반(키워드 기반)의 광고를 동적으로 구현하고, 광고의 노출빈도에 따라 해당 광고주에게 과금할 수 있는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자 단말기에서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전자책의 소정 페이지에 노출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역과, 해당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선정한다. 그리고, 광고 서버는 광고용 키워드를 제시하여, 광고주가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 정보에 광고용 키워드별로 책정된 가격정보 및 광고주 정보, 광고정보를 맵핑시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저장해둔다. 이후,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광고 서버가 DBMS로부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노출되는 광고의 뷰 정보와, 노출된 광고의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아, 광고 서버는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한다.

Description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ADVERTISEMENT AND ELECTRONIC BOOK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단단 또는 다단의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전자책에 내용 기반(키워드 기반)의 광고를 동적으로 구현하고, 광고의 노출빈도에 따라 해당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자책은 단단 또는 다단으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갖는 전자문서(예컨대, 워드(doc) 문서, 파워포인트(ppt) 문서 또는 pdf 문서 등)를 포함하고, 일단으로 구성된 단단 문서는 글자, 표, 그림, 수식, 화학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함께 수많은 정보들이 디지털화되었으며, 다양한 디지털 입력 장치와 저장 장치의 발달로 인해 많은 양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확산은 멀티미디어의 양적 팽창을 돕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전자책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들어 제품광고, 홍보 등의 목적으로 사업자들이 광고에 많은 비용을 할애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책, 신문, 잡지 등을 활용한 오프라인상의 지면광고와, 온라인 광고 등이 있다.
하지만, 책이나 신문 등을 활용한 오프라인 광고의 경우 광고의 집행시기 및 광고 기간이 정해져 있고, 정확한 광고효과(예를 들어, 광고 노출 횟수(인지도), 전환율(광고주의 특정 의도된 행동) 등)에 대한 정확한 리포트 제공이 불가능하고, 제공되는 정보의 신뢰성이 떨어지며, 광고비에 대한 책정 기준이 모호한 문제점이 있다.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전자책에 광고를 삽입하여 서비스하는 종래의 온라인 광고 방식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전자책의 특정 위치에 광고를 페이지의 일부분으로 구성하여 삽입하는 방식이다. 둘째는, 전자책의 특정 위치에 광고를 삽입하는데, 삽입되는 광고가 웹페이지의 배너 광고와 유사하게 멀티미디어 기능과 하이퍼텍스트 링크 기능을 지원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셋째는, 전자책의 특정 위치에 특정 광고를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가 나타날 영역만을 정해 두는 방식이다.
상기 첫 번째 방식은 광고가 전자책의 내용 일부가 되도록 하는 방식인데, 이를 종이책의 경우와 비교하면, 종이책의 앞뒤 표지의 날개 부분에 책 소개 광고를 넣거나, 또는 잡지책이나 신문에 광고가 나오는 것과 거의 유사한 개념이다. 그런데, 이 방식에 따른 광고는 기존의 종이책, 신문, 잡지 등에 삽입되는 광고들과 마찬가지로, 한 번 삽입된 광고가 특정 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다른 광고로 대체되지 않아서 광고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자책의 내용에 무관하게 정해진 광고만이 노출되어 광고에 대한 신뢰 및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두 번째 방식은 기존의 종이책, 신문, 잡지 등에 삽입되는 광고들과 마찬가지로, 한 번 삽입된 광고가 특정 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다른 광고로 대체되지 않아서 광고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즉, 두 번째 방식 역시 전자책의 내용에 무관하게 정해진 광고만이 노출되어 광고의 주목도 및 인지도를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비록, 두 번째 방식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여 잠시 동안 독서를 하는 사용자의 눈길을 끌 수는 있지만, 이것이 광고효과로 연결되거나 해당 광고의 클릭으로 연결되기는 힘들고, 오히려 독서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세 번째 방식은, 예를 들면 광고가 나타날 영역에 URL만 삽입해 두고, 해당 URL의 내용을 바꿈으로써 광고를 가변적으로 게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비록 한 번 삽입된 광고가 대체되지 않았었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지만, 광고주가 전자책의 내용에 무관하게(동떨어진)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어, 독서자에게 의미있는 효율 높은 광고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2699호(2010.03.0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단 또는 다단의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전자책에 내용 기반(키워드 기반)의 광고를 동적으로 구현하고, 광고의 노출빈도에 따라 해당 광고주에게 과금할 수 있는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전자책에 내용 기반(키워드 기반)의 광고를 동적으로 구현하고, 광고의 노출빈도에 따라 해당 광고주에게 과금할 수 있는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자 단말기에서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전자책의 소정 페이지에 노출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역과, 해당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선정한다. 그리고, 광고 서버는 광고용 키워드를 제시하여, 광고주가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 정보에 광고용 키워드별로 책정된 가격정보 및 광고주 정보, 광고정보를 맵핑시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저장해둔다. 이후,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광고 서버가 DBMS로부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노출되는 광고의 뷰 정보와, 노출된 광고의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아, 광고 서버는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책의 내용에 기반한 키워드 광고를 노출함으로써 광고의 주목도 및 인지도를 높여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책을 통한 광고 수익의 일부를 저작권자에게 지급할 수 있어, 전자책의 가격을 낮출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전자책 사용자들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전자책을 구매할 수 있게 하여 전자책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고 서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변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변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읽기 모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서 광고 영역을 지정하기 이전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서 광고 영역을 지정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에서 광고 영역에 삽입될 키워드를 검색하고 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고 처리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절차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고 서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환경(100)은,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전자책의 소정 페이지에 노출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역과, 해당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선정하는 관리자 단말기(130)와, 각 언어별로 광고용 키워드들을 저장ㆍ관리하고, 광고주가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 정보와, 광고용 키워드별로 책정된 가격정보와, 광고주 정보와, 해당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되는 광고정보를 맵핑시켜 저장ㆍ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150)과, 사용자 단말기(110)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DBMS(150)로부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광고 서버(140)를 포함한다.
또한, DBMS(150)는 광고의 노출기간정보를 더 저장하고, 광고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노출기간정보와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또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환경(100)은, 전자책을 표시(예컨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전자책을 3차원으로 표시하고, 이렇게 표시된 전자책을 '3차원 코덱스(codex) 형식의 전자책'이라 함)하되, 광고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책 상의 광고 영역에 광고정보를 노출하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광고의 뷰(view) 정보 또는/및 클릭(click) 정보를 광고 서버(140)로 보고하여, 광고 서버(140)가 뷰 정보 또는/및 클릭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광고 서버(140)는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 정산 결과 및 연관 분석 결과를 광고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광고 전송 요청은, 사용자 단말기(110)가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여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열람하는 시점에서 해당 광고 영역에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광고 서버(140)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광고 영역에 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는,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본문 내용에 부합하는 내용 기반의 키워드일 수 있다. 또한, 가격정보는 광고주가 설정한 뷰당 가격, 클릭당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정보는 광고 서버(140)가 DBMS(150)로부터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추출하되, 선형(linear) 비례 또는 기하급수적(exponential) 비례를 적용하거나, 뷰당 가격 및 클릭당 가격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이 가장 높은 광고주의 광고정보일 수 있다. 이 광고정보는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데이터(독서에 방해되지 않도록, 간단한 텍스트, 안내멘트, 그래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또는 광고주의 홈페이지에 링크될 수 있는 광고 유알엘(URL)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대출한 전자책을 '개인화 영역의 전자책'이라 하고, 그외 전자책 도서관의 전자책을 '비개인화 영역의 전자책'이라 한다. DBMS(150)에는 개인화 영역의 전자책 및 비개인화 영역의 전자책이 저장ㆍ관리되는데, 특히 전체 전자책 중에서 사용자가 구매나 대출한, 즉 개인화 영역의 전자책은 DBMS(150)에 사용자별로 저장ㆍ관리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DBMS(150)에는 광고주가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 정보와, 광고용 키워드별로 책정된 가격정보, 광고주 정보, 해당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되는 광고정보, 노출기간정보 등이 맵핑되어 관리된다.
예를 들면, 키워드A를 구매한 광고주1의 정보, 광고주1이 제시한 가격정보1, 광고주1의 광고정보1, 광고정보1의 노출기간 등을 맵핑시켜 관리하고, 또한 키워드A를 구매한 광고주2의 정보, 광고주2가 제시한 가격정보2, 광고주2의 광고정보2, 광고정보2의 노출기간 등을 맵핑시켜 관리한다. 또한, 키워드B를 구매한 광고주3의 정보, 광고주3이 제시한 가격정보3, 광고주3의 광고정보3, 광고정보3의 노출기간 등을 맵핑시켜 관리한다. 또한, 키워드C를 구매한, 광고주4가 제시한 가격정보4, 광고주4의 광고정보4, 광고정보4의 노출기간 등을 맵핑시켜 관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고용 키워드별로 가격정보, 광고주 정보, 광고정보, 노출기간정보 등을 DBMS(150)에서 일대일 맵핑시켜 관리한다.
여기서,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다수의 광고주가 구매할 수 있고, 하나의 광고주가 다수의 광고용 키워드를 구매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동일 키워드(광고용 키워드A)에 대해 서로 다른 광고주(예컨대, 광고주1,2)의 서로 다른 광고정보(예컨대, 광고정보1,2)가 맵핑될 수 있고, 동일 키워드(광고용 키워드A)에 대해 동일한 광고주(예컨대, 광고주1)의 서로 다른 광고정보(예컨대, 광고정보1,1`)가 맵핑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키워드(예컨대, 광고용 키워드A,C)에 대해 동일한 광고주(예컨대, 광고주1)의 동일한 광고정보(예컨대, 광고정보1) 또는 서로 다른 광고정보(예컨대, 광고정보1,1`)가 맵핑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키워드(예컨대, 광고용 키워드A,C)에 대해 서로 다른 광고주(예컨대, 광고주1,2)의 서로 다른 광고정보(예컨대, 광고정보1,2)가 맵핑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6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150)과 연동하여 전자책(개인화 및 비개인화 영역의 전자책)을 검색할 수 있다. DBMS(150)에는 기본적인 서지 정보들(예를 들면, 저자, 출판사, 제목 등)이 저장되어 있어, 검색 요청된 전자책의 서지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3차원 코덱스 형식의 전자책(개인화 영역의 전자책 및 비개인화 영역의 전자책)을 디스플레이한다. 3차원 코덱스 형식의 전자책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110)가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여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열람하는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광고 서버(140)로의 접속을 시도하여 해당 광고 영역에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10)의 종류로는 PC 뿐만 아니라, 노트북, 핸드헬드(Hand-held) PC, PDA,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 인터넷 단말기, 방송 수신기, DMB폰 등으로 대체 가능하며,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전자책 서비스가 가능한 한, 그 종류에 구애받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160)는 LAN 또는 WAN 등의 유선통신매체, WiFi/WiBro, 이동통신 시스템 등의 무선통신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MS Windows 기반 컴퓨터, Mac OS X 기반 컴퓨터, iOS 기반 단말기, Android 기반 단말기 등 모든 종류의 인터넷 지원 기기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광고 서버(140)에 구비되는 광고 처리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광고용 키워드를 제시하여, 광고주가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 정보에 광고용 키워드별로 책정된 가격정보와 광고주 정보를 맵핑시켜 DBMS(150)에 저장하는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141)와, 광고용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정보를 등록받아, DBMS(150)에 맵핑시켜 관리하는 광고 등록부(142)와, 전자책 파일(이때, 전자책 파일은 소정 페이지에 노출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역과 해당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가지고 있음)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DBMS(150)로부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ㆍ제어하는 광고 제어부(144)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노출되는 광고의 뷰 정보와, 노출된 광고의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아,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광고 정산부(145)를 포함한다. 또한, 광고 처리 장치는, 광고 등록부(142)에서 등록받은 광고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광고 검열부(143)를 더 포함한다. 또한, 광고 처리 장치는, 광고 노출에 따른 연관 분석을 수행하는 광고 분석부(146)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광고 제어부(144)는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 정산 결과 및 연관 분석 결과를 광고주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141)는 광고의 노출기간정보를 상기 DBMS(150)에 더 맵핑시켜 관리하고, 광고 제어부(144)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노출기간정보와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ㆍ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우선 3차원 코덱스 형식의 전자책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도 3 ~ 도 8)에 대해 살펴보고, 이후 3차원 코덱스 형식의 전자책에서 광고의 영역에 광고를 노출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저장부(510), 제어부(520), 입력부(530) 및 디스플레이부(54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전자책을 구매하거나 대출하는 경우, 해당 개인화 영역의 전자책은 저장부(510)에 저장ㆍ관리된다.
저장부(510)는 개인화 영역의 전자책들과 이들 중 임의의 전자책에 노출 및 처리된 광고의 뷰(view) 정보 및 클릭(click) 정보를 저장ㆍ관리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책의 고유번호, 해당 전자책에서 소정 페이지의 광고 영역 정보, 광고 영역에 대응되는 광고용 키워드 정보, 해당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되는 광고정보, 광고정보의 노출정보(즉, 뷰 정보, 클릭 정보 등)를 맵핑시켜 관리한다.
저장부(510)에 저장되는 개인화 영역의 전자책은, 소정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전자책 파일을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전자책 파일은 각 페이지의 전체 이미지를 보여주는 이미지 영역(전자책 영상 정보), 각 페이지에 존재하는 글자들의 코드값의 영역과 내부 글자 영역을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의 이미지 영역(전자책 영상 정보)은 실제 각 페이지의 이미지, 사진 또는 컴퓨터가 각 페이지의 이미지를 즉시 생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들이 집합된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글자 영역은 논리적 영역으로 전자 문서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글자", "이미지", "테이블 글자" 등을 포함하는 객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글자는 의미가 있는 문자이며, 이미지는 사진, 그림, 이미지로 표현된 수식, 표 등을 포함한다. 테이블 글자는 이미지를 설명하는 글자로 일반적으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숨은 글자를 의미한다. 전자책 파일의 각 객체는 "글자 코드," "글자 속성"과 "화면에서의 좌표" 정보를 포함한다. 글자 코드는 해당 글자를 디스플레이부(540)의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코드이고, 글자 속성은 글자의 폰트 정보, 예를 들어, 볼드, 언더라인, 이탤릭체 등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화면에서의 좌표 정보는 전자책 파일의 원본에서 각 글자의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들을 활용하여 글자나 이미지가 해당 페이지의 전체 이미지 영역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어떤 영역을 점유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 글자를 활용하여 전자문서 등의 전자책에서 이미지 형식으로 표현되는 표, 사진, 수식 등에 대해서도 문자 검색을 할 수 있으며, 테이블 글자도 객체로서 화면에서의 좌표값을 가지므로 해당 그림이 해당 페이지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글자 영역은 객체들의 집합인 라인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책 파일의 내부 글자 영역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는 객체이며, 이 객체들 가운데 동일한 수평 직선(가로쓰기 책의 경우), 또는 수직 직선(세로쓰기 책의 경우) 상에 존재하는 객체들을 모으면 라인이 된다. 즉, 라인은 동일선 상에 있는 객체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내부 글자 영역은 소정 라인들의 집합인 그룹을 포함한다. 전자책에서 각각의 페이지에서 본문 내용이 적절히 연결되는 라인들을 묶어서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그룹은 해당 내용을 읽어 나갈 때 내용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각 라인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예컨대,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객체들의 좌표값들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의 군집 분포를 획득하고 군집 별로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은 문단과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글자 영역은 그룹들의 집합인 페이지를 포함한다. 그룹은 여러 페이지로 구성할 수 있지만, 하나의 페이지를 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페이지와 그룹이 같을 수도 있다. 그런데, 페이지와 그룹이 같기 위해서 해당 페이지는 반드시 문단이 하나인 문서이어야만 한다. 만약에 페이지가 복수 개의 문단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해당 페이지는 여러 개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밖에 없다. 복수 개의 문단으로 구성된 문서에서는 동일선 상에 존재하지만 그대로 따라 읽으면 내용의 연결이 안 되는 라인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룹 내부의 라인을 순차적으로 읽어 나가면 반드시 내용이 정확하게 연결되어야만 한다는 제약을 만족해야만 한다. 내부 글자 영역은 페이지의 집합인 책을 포함한다. 즉, 전자책 파일은 "책 > 페이지 > 그룹 > 라인 > 객체"로, 즉 책, 페이지, 그룹, 라인, 객체의 순서로 계층화된 구조로 구성되어 저장부(510)에 저장된다.
전술한 이미지 영역, 즉 전자책 영상 정보는, 전자책의 좌측 측면 영상, 우측 측면 영상, 좌측 전자책 영상 및 우측 전자책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측면 영상은 전자책의 좌,우측 측면을 나타내기 위한 영상을 나타내고, 좌측 및 우측 전자책 영상은 전자책의 본문 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좌,우측의 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520)는 읽기 모드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읽기 모드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전자책을 읽을 경우에 사용되는 모드를 나타낸다. 제어부(520)는 저장부(510)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 영상 정보가 포함하는 좌측 측면 영상과 우측 측면 영상의 디스플레이 변환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변환된 좌측 및 우측 측면 영상과 좌측 및 우측 전자책 영상을 합성하여 읽기 모드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20)는 저장부(510)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 영상 정보가 포함하는 2차원의 좌측 측면 영상과 우측 측면 영상의 시점 변환(perspective transform), 즉 디스플레이 변환을 수행하여 읽기 모드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110)가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여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열람하는 시점에서, 제어부(520)는 광고 서버(140)로의 접속을 시도하여 해당 광고 영역에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전송한다(광고 전송 요청에 해당함). 그리고, 제어부(520)는 광고 서버(140)로부터 전달받은 광고정보를 전자책 상의 광고 영역에 노출하여 디스플레이부(540)로 출력한다. 이후, 제어부(520)는 노출되는 광고의 뷰 정보와, 노출된 광고의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광고 서버(140)로 보고하여, 광고 서버(140)가 뷰 정보 및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530)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서 광고의 클릭 정보를 형성한다. 예로서, 입력부(530)는 마우스(mouse), 터치 패드(touch pad)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540)는 제어부(520)에서 광고정보를 전자책 상의 광고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540)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53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40)는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 Diode)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변환을 수행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하나는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2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3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MS-Windows) 운영체제에서는 2차원 그래픽 함수와 3차원 그래픽 함수를 혼합하여 사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2차원 그래픽 함수만을 사용하여 좌측 측면 영상과 우측 측면 영상의 디스플레이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Mac OS X나 iOS와 같은 운영체제에서는 2차원 그래픽 함수와 3차원 그래픽 함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2차원 그래픽 함수를 바탕으로 좌측 측면 영상과 우측 측면 영상의 디스플레이 변환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3차원 그래픽 함수만을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 측면 영상을 표현하는 것이 화면 출력 속도 면에서 유리하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2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3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변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2차원 그래픽 함수와 3차원 그래픽 함수에서 이용되는 변수들 사이의 관계식에 대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변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왼쪽 직사각형 형태의 2차원 영상(2D)의 (X, U)라는 특정 위치를 디스플레이 변환하면 오른쪽 사다리꼴 형태의 3차원 영상(3D)의 (Y, V)라는 위치로 변환된다고 가정하면, 3차원 영상(3D)에서의 가로 좌표 Y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W는 직사각형 형태의 2차원 영상(2D)에서 가로 방향의 길이를 나타내고, L1은 직사각형 형태의 2차원 영상(2D)에서 세로 방향의 길이 및 사다리꼴 3차원 영상(3D)에서 밑변의 길이를 나타내며, L2는 사다리꼴 3차원 영상(3D)에서 윗변의 길이를 나타낸다.
한편, 3차원 영상(3D)에서의 세로 좌표 V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3차원 영상(3D)에서 (Y, V) 위치에 해당되는 영상의 픽셀 정보를 얻어 오려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가로 좌표 X 값을 구하고,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세로 좌표 U 값을 구하여 해당되는 2차원 영상(2D)의 (X, U) 위치에 해당하는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3D)의 대응 위치 (Y, V)의 픽셀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2차원 영상(2D)의 원점(O)은 직사각형의 가운데 점을 통과하는 위치라고 가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변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하여 2차원 영상(2D')을 3차원 영상(3D')으로 디스플레이 변환하려면 2차원 영상(2D')의 한쪽 세로변을 축으로 삼아서 회전을 해야 한다. 도 5는 2차원 영상(2D')을 왼쪽 세로변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회전시켜 오른쪽의 사다리꼴 3차원 영상(3D')을 얻은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원점의 위치는 2차원 영상(2D') 왼쪽 세로변 가운데(O')에 위치하고, 3차원 그래픽 함수를 적용하기 위해서 관측점인 눈(Eye)은 원점(O')으로부터 E만큼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고, 눈과 사영평면(Projection Plane) 사이의 거리는 D, 회전하는 각도를 세타(Theta, θ), 2차원 영상(2D')의 가로 길이를 A, 세로 길이를 B라고 가정하면, 2차원 영상(2D')의 회전축인 왼쪽 세로변 맞은 편 모서리 좌표들은 각각 (A, B/2)와 (A, - B/2)가 된다. 이와 같이, 2차원 영상(2D')의 왼쪽 세로변을 축으로 삼아서 회전을 하면 디스플레이 변환된 3차원 영상(3D')을 얻을 수 있다. 2차원 영상(2D')과 3차원 영상(3D') 사이에는 다음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2차원 영상(2D')의 가로 좌표값을 Q, 세로 좌표값을 R이라고 하면 대응하는 3차원 영상(3D')의 가로 좌표 S, 세로 좌표 T는 다음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한편, 도 4 및 도 5의 π는 다음의 수학식 5에서와 같이 2차원 그래픽 함수의 변수와 3차원 그래픽 함수의 변수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5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읽기 모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현재 읽고 있는 전자책의 페이지 위치에 따라서 전자책 좌,우측 측면 영상의 좌우 배분과 모양이 달라진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520)에서 전자책의 좌측 측면 영상을 형성하는데 사다리꼴의 방향은 도 4 및 도 5의 3차원 영상(3D, 3D') 사다리꼴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와는 반대로 왼쪽 세로변의 길이가 오른쪽 세로변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태를 나타낸다. 좌측 측면 영상의 폭(W')은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W는 전자책의 전체 두께를 나타낸다.
이후, 제어부(520)는 전자책의 우측 측면 영상을 형성하는데 사다리꼴의 방향은 도 4 및 도 5의 3차원 영상(3D, 3D') 사다리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처럼 오른쪽 세로변의 길이가 왼쪽 세로변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태를 나타낸다. 우측 측면 영상의 폭(W'')은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W는 전자책의 전체 두께를 나타낸다.
제어부(520)는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한 좌측 측면 영상을 좌측 전자책 영상의 왼쪽에 합성하고, 우측 측면 영상을 우측 전자책 영상의 오른쪽에 합성하여 읽기 모드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종이책과 가로-세로-두께의 배판 비율, 페이지 레이아웃 등이 동일한(심지어는 글자체까지 일치시킴) 3차원 코덱스(codex) 형식의 전자책을 구현(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제, 사용자 단말기(11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직관성을 갖는 전자책에서, 광고의 영역에 광고를 노출하는 과정을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광고주는 광고주 단말기(120)를 통해 광고 서버(140)의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141)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광고용 키워드를 구매(구입)할 수 있다(S121). 이때, 광고주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단어(이 단어에 매칭되는 표제어가 광고용 키워드가 됨)를 검색어를 입력하고,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는 광고의 노출기간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DBMS(150)에는 언어별로 사전(dictionary) 표제어를 저장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한국어의 경우에는 국어 사전에 나오는 표제어를, 영어의 경우에는 영어 사전에 나오는 표제어를 저장하고 있다. 이들 각각의 표제어들에는 모두 고유의 번호가 할당되어 있어서, 해당 언어의 종류와 번호가 지정되면 하나의 표제어가 선택될 수 있다. 이 표제어가 광고용 키워드에 해당한다.
그런데, 광고주가 검색어로 입력하는 단어(이하 '검색 단어'라 함)는 표제어일 수도 있지만, 표제어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141)는 검색 단어를 포함하는 표제어들을 광고주에게 제시하고, 만약 일치하는 표제어가 없으면 유사한 표제어들을 제시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141)는 광고주의 검색 단어에 해당하는 표제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거나, SQL 구문의 Like와 같은 연산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주가 검색 단어로 '사랑'을 입력한 경우,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141)는 도 11에서와 같이 표제어 "사랑"과 함께, 표제어 "사랑"을 포함하는 "깊은사랑", "내리사랑", "사랑놀이", "사랑니", "사랑문", "사랑방", "사랑스럽다", "사랑싸움", "사랑양반" 등을 표제어 검색 결과로서 제공한다. 또한, 광고주가 검색 단어로 입력한 단어를 포함하는 표제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141)는 유사한 표제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한다. 만약 광고주가 "내리사랑"을 광고용 키워드로 선정하면,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141)는 해당 광고용 키워드(예컨대 "내리사랑")를 구매한 다른 광고주의 가격정보(즉, 사용자의 뷰(view) 한 번에 해당하는 가격, 사용자의 클릭(click) 한 번에 해당하는 가격 등)를 광고주 단말기(120)로 제공하여, 해당 광고주가 가격 결정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광고주의 가격정보는, "내리사랑"이라는 광고용 키워드를 구매한 다른 광고주들의 평균값과 최대값을 보여준다. 이러한 값들(다른 광고주의 평균값과 최대값)을 바탕으로, 광고주는 자신이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에 대한 가격정보를 결정(즉, 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이라는 광고주가 '내리사랑'이라는 단어를 클릭당 단가 1000원과 뷰당 단가 10원에 구매하였고 이들 광고의 노출기간을 2011년 4월 10일부터 2011년 5월 30일까지로 설정했다면, 이들 정보가 [광고주=갑 : 표제어=내리사랑(실제로는 이 단어에 해당되는 고유번호) : 클릭단가=1000원 : 뷰단가=10원 : 광고시작일=20120410 : 광고종료일=20120530]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DBMS(150)에 저장ㆍ관리된다. 이때, 클릭당 단가와 뷰당 단가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클릭당 단가 = 특정 상수 * 뷰당 단가"와 같이 구성하여 서로 연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광고주는 광고용 키워드를 구매할 때, '클릭당 단가' 또는 '뷰당 단가' 중에서 어느 하나만 입력해도 무방하다.
광고용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가 많아질수록 참조정보로 제공되는 다른 광고주의 가격정보(중간값, 최대값)는 보다 유용해질 수 있다.
그리고, 광고용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는 미리 설정해 놓은 금액 이상을 결제함으로써, 자신의 광고계좌를 충전시켜 놓는다. 예를 들어, 최저 충전금액을 100만원으로 가정하면, 광고주는 최저 충전금액 이상을 결제하여 자신의 광고계좌를 충전시킨다. 따라서, 이 광고주가 "내리사랑"이라는 광고용 키워드(DBMS(150) 상에서는 표제어의 고유번호)에 대해서 클릭당 1000원, 뷰당 1원을 설정한 경우, 광고 정산부(145)는 전자책의 특정 영역에 이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될 때마다 1원씩의 금액을 해당 광고주의 광고계좌에서 정산하고, 임의의 사용자가 그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1000원의 금액을 광고계좌에서 정산한다. 만약, 해당 광고주의 광고계좌에 남아있는 금액이 클릭당 단가에 미치지 못하면, 광고 제어부(144)는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클릭하더라도 클릭 기능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뷰당 단가에 미치지 못하면 광고 자체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즉, 해당 광고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 또한, 광고 제어부(144)는 광고용 키워드에 노출시킬 광고를 선정하기 전에, 각 광고주가 설정해 놓은 광고의 노출기간정보를 사전에 확인하여, 이 기간에 해당되지 않는 광고를 제외하고 나머지 광고 중에서 결정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141)는 광고용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에게 광고계좌 충전용 가격 패키지 구매를 제안하고, 이 가운데 하나를 광고주가 선택하면, 광고 정산부(145)에서 해당 광고주가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의 클릭당 단가와 뷰당 단가를 고려하여 실제 광고의 클릭 및 뷰가 발생할 때 미리 결제한 광고계좌에서 차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특정 전자책의 소정 페이지에 광고가 노출되기 위해서는, 해당 전자책이 제작될 당시에 광고가 노출될 영역(광고의 위치와 크기)과 광고용 키워드가 미리 정해져야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30)의 전자책 퍼블리셔를 통해 전자책 상에서 소정 페이지의 특정 위치에 광고 영역을 삽입할 수 있고, 해당 광고 영역에 삽입될 광고용 키워드를 선정한다. 이때, 하나의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고, 광고 영역별로 선정되는 광고용 키워드는 출판사의 의사를 반영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광고 영역을 지정하기 이전의 화면이고, 도 10은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광고 영역을 지정한 화면을 보여준다. 또한, 도 11은 관리자 단말기(130)에서 광고 영역에 삽입될 키워드를 검색하고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때, 관리자가 검색어로 입력하는 단어(검색 단어)에 대해 표제어를 검색하고 해당 표제어를 광고용 키워드로 선정하는 과정은, 광고주가 광고용 키워드를 선정하는 상기의 과정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의 광고 영역에 도 11과 같이 "내리사랑", "사랑문", "사랑스럽다", "사랑싸움", "사랑양반"과 같이 5개의 광고용 키워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광고 영역A에 "내리사랑", "사랑문", "사랑스럽다", "사랑싸움", "사랑양반"과 같이 5개의 광고용 키워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만약 "내리사랑"이란 광고용 키워드를 광고주1,2,3이 구매하고, "사랑문"이란 광고용 키워드를 광고주4,5가 구매하고, "사랑스럽다"라는 광고용 키워드를 광고주6이 구매하고, "사랑싸움"이란 광고용 키워드를 광고주7이 구매하고, "사랑양반"이라는 광고용 키워드를 광고주8이 구매한 경우, "내리사랑"과 "사랑문" 각각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주를 결정한 후(예컨대, "내리사랑"에 대해서는 광고주1을, "사랑문"에 대해서는 광고주5를 우선순위가 높은 광고주로 결정함), 광고주1,5,6,7,8의 광고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광고주를 다시 결정하여 해당 광고주의 광고를 광고 영역A의 노출 대상으로 결정한다.
관리자 단말기(130)의 전자책 퍼블리셔에는 전자책의 임의 페이지, 임의 위치에, 임의 크기로 광고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하고, 또한 광고 위치를 선택하면서 해당 광고 위치에 노출되어야 할 광고에 대한 키워드들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이 광고용 키워드는 DBMS(150) 내부의 표제어를 의미하며, 여러 개를 삽입할 수도 있다.
전자책 퍼블리셔는 관리자가 입력한 단어로 검색한 표제어 결과들과 이에 해당되는 고유번호를 DBMS(150)로부터 전송받아서 사용한다. 이 전자책 퍼블리셔를 통하여 제작된 전자책 파일에는 광고가 들어갈 페이지 번호, 해당 광고 영역의 기하학적 정보, 해당 광고 영역에 삽입될 광고용 키워드(표제어)들과 이의 고유번호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130)에서는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전자책의 소정 페이지에 노출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역과, 해당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다시 광고주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광고용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는 자신이 구매한 키워드에 대해서 자신이 원하는 광고정보를 광고주 단말기(120)를 통하여 광고 등록부(142)에 등록한다(S122). 이때, 광고정보는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데이터(독서에 방해되지 않도록, 간단한 텍스트, 안내멘트, 그래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또는 광고주의 홈페이지에 링크될 수 있는 광고 유알엘(URL) 정보일 수 있다. 그러면, 광고 등록부(142)는 광고용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정보를 등록받아, DBMS(150)에 저장된 광고용 키워드 정보, 가격정보, 광고주 정보, 노출기간정보 등에 해당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되는 광고정보를 맵핑시켜 관리한다. 이때, 등록되는 광고는 시스템의 과부하 및 전자책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일정한 규격이 요구되고, 이 형식적 규격에 맞는 광고정보만을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록된 광고주의 광고정보는 모니터링이 필요한데, 사회적인 통념 및 미풍양속을 해칠만한 저질 광고를 사전에 차단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광고주가 등록한 광고는 곧바로 전자책 사용자들에게 노출되지는 않는다. 즉, 광고주가 등록한 광고가 전자책 사용자들에게 노출되기 위해서는, 광고 검열부(143)에서 등록되는 광고를 모니터링한다(S123). 광고 검열부(143)의 검열 결과가 광고주에게 통보되고, 검열을 통과한 광고만이 실제로 전자책에 노출될 수 있다. 즉, 검열을 통과한 광고주의 광고는 DBMS(150) 상에서 유지되고, 검열을 통과하지 못한 광고주의 광고는 DBMS(150) 상에서 삭제된다.
이후,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S124), 광고 제어부(144)는 DBMS(150)로부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제공한다(S125).
사용자 단말기(110)에서는 '소정 페이지에 노출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역과 해당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가지고 있는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고,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열람하는 시점에서 해당 광고 영역에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광고 서버(140)로 광고의 전송을 요청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전송 요청은, 오프셋 페이지 번호에 의거하여 발생된다. 만약 오프셋 페이지 번호가 M이고 특정 키워드 광고가 삽입된 페이지 번호가 N이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페이지 영역 [N-M, N+M]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해당 광고 영역에 뿌릴 광고정보를 광고 서버(140)로부터 받아온다. 여기서, N-M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가는 전자책을 감안한 것이고, N+M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가는 전자책을 감안한 것이다. 여기서, 광고 전송 요청시, 사용자 단말기(110)는 해당 광고에 할당된 광고용 키워드(광고 서버에 있는 표제어 고유번호), 해당 전자책의 고유번호, 해당 사용자의 고유번호, 현재 시각, 해당 전자책 사용 기기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IP주소, MAC 주소, OS 종류 및 버전, CPU, RAM, HardDisk, Graphics Card 등) 등을 광고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후, 광고 서버(140)의 광고 제어부(144)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전송해준 정보들 가운데서 광고용 키워드를 찾고, 이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들과 해당 광고주들이 설정한 클릭당 단가와 뷰당 단가를 검색한다. 물론, 이때 광고 제어부(144)는 광고주들이 미리 설정해 놓은 광고의 노출기간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광고 노출이 가능한 광고주들만 추출한다. 또한, 각 광고주별로 현재 남아있는 광고계좌 잔액이 그 자신이 보장한 뷰당 단가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탈락시킨다. 그리고, 해당 키워드에 걸린 각 단가들의 총합에서 각각의 광고주들이 설정한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사랑"이라는 광고용 키워드에 세 명의 광고주1,2,3이 각각 500원, 300원, 200원의 클릭당 단가를 설정해 두었다면, 이 키워드들의 클릭당 광고단가 총액은 1000원이 되고 광고주1은 50%, 광고주2는 30%, 광고주3은 20%의 비율을 차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광고 제어부(144)는 난수(random number)의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를 구하여 난수들의 전체 영역 크기를 구하고, 이 영역들을 각 광고주들의 단가 비용 비율만큼씩 할당(partitioning)한다. 이렇게 하면 클릭당 단가나 뷰당 단가를 높게 책정한 광고주들이 더 큰 영역을 할당받게 된다. 이 상태에서 광고 제어부(144)는 난수를 발생시키고 해당 난수의 값이 위치하는 영역이 어떤 광고주의 영역인지를 확인하여 그 광고주가 미리 입력해 놓은 광고정보(URL 등)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때, 해당 광고주의 광고계좌 잔액이 그 광고주가 설정한 클릭당 단가에 미치지 못하면 이 정보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해당 광고의 클릭시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활성화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는, 애초부터 광고주의 광고계좌 잔액이 그 광고주가 설정한 클릭당 단가에 미치지 못하면, 이 광고주의 광고정보는 노출대상에서 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더 높은 광고 단가를 설정한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책의 특정 영역에 삽입된 광고용 키워드가 여러 개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삽입된 키워드들의 일련번호 순서를 우선순위로 판단하여 순서가 앞설수록 높은 가중치를 대입하여 준다. 예를 들어, 광고주1이 '사랑'에 200원을 클릭당 단가로 설정하고, 광고주2가 '우정'에 300원을 클릭당 단가로 설정하였을 때, 만약 관리자가 특정 광고 영역에 1순위 키워드로 '사랑'을 입력하고, 2순위 키워드로 '우정'을 입력했다고 가정하면, 광고주1,2에 대한 중요 비율은 각각 "(200원 / '사랑'의 총액) * 1순위 가중치", "(300원 / '우정'의 총액) * 2순위 가중치"와 같은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값이 높은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다만, 보다 높은 광고 단가를 설정한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될 확률이 높게 나타나지만, 광고 노출 확률분포는 선형(linear) 비례나 기하급수적(exponential) 비례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단가가 낮은 광고주의 광고 역시 노출 대상에서 배제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독서를 진행하다가 광고가 삽입된 영역에 다다르게 되면 광고 서버(140)의 광고 제어부(144)에서 전송한 광고정보를 디스플레이부(540)에 노출한다(S126).
사용자 단말기(110)에서는 사용자가 전자책을 읽어 나갈 때 해당 사용자가 현재 읽을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가이드를 해준다. 즉, 사용자가 독서하도록 가이드 해주는 화면 영역에는 객체들(그림과 글자들)이 존재한다. 가이드 영역의 일 예로, 전자책에서 사용자가 읽을 부분을 하이라이트하여 보여주고, 가이드 영역은 라인 단위, 그룹 단위, 페이지 단위 등이 될 수 있다.
만약, 해당 광고가 가이드 영역 내부로 들어온다면 전자책 사용자는 그 광고를 보았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이 순간에 사용자 단말기(110)는 광고 서버(140)에 해당 광고(전자책 고유번호, 페이지 번호, 광고 고유번호 등에 의하여 특정됨)의 뷰(view)에 성공하였음을 시간정보와 함께 보고하고, 광고 서버(140)는 뷰 정보를 기록해둔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클릭했다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클릭(click) 정보를 광고 서버(140)에게 보고하고, 광고 서버(140)는 클릭 정보를 기록해둔다. 물론, 광고 서버(140)로부터 광고정보 가운데 해당 광고주의 광고계좌 잔액이 클릭당 단가보다 작은 경우라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해당 광고의 클릭 기능을 정지시키고, 광고 서버(140)에도 클릭이 발생했다는 보고를 전송하지 않는다. 또는, 애초부터 광고주의 광고계좌 잔액이 그 광고주가 설정한 클릭당 단가에 미치지 못하면, 이 광고주의 광고정보를 노출대상에서 배제할 수도 있다. 이 광고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후, 광고 서버(140)의 광고 정산부(145)는 광고의 뷰에 대한 보고와 클릭에 대한 보고가 올 때마다 해당 광고주의 광고계좌에서 그 광고주가 미리 설정해 놓은 클릭당 단가나 뷰당 단가 만큼의 금액을 삭감한다(S127,S128).
광고 분석부(146)는 키워드 광고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각 광고주별로 자신이 게시한 광고의 뷰당 클릭률, 뷰당 매출연계율, 클릭당 매출연계율 등을 분석한다(S129). 분석 대상으로, 해당 광고와 전자책의 서지정보, 키워드,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독서 시각 및 시간, IP에 기반한 지역적 정보, 사용되는 전자책 기기 정보 등을 연계한 연관(correlation) 분석도 가능한데, 일예로 OLAP(On-Line Analytic Processor)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분석부(146)는 각 광고주들에게 자신들이 구매한 광고의 효율성을 점검할 수 있도록 분석된 결과물을 제공한다(S130). 따라서, 각 광고주는 자신이 게재한 광고가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에게 노출되었는지, 그리고 해당 광고를 클릭하여 광고주가 원하는 링크로 이동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게재한 광고들에 대한 여러 관점에서의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받아 볼 수 있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저자와 출판사와 같은 저작권자들이 자신들의 전자책에 대한 광고 전략(어디에 광고를 위치시킬 것인지, 어떤 키워드를 삽입할 것인지 등)을 정밀하게 도출할 수 있음은 물론, 자신들의 새로운 신간 서적을 준비할 때에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기 120: 광고주 단말기
130: 관리자 단말기 140: 광고 서버
150: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510: 저장부
520: 제어부 530: 입력부
540: 디스플레이부

Claims (27)

  1.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전자책의 소정 페이지에 노출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역과, 해당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선정하는 관리자 단말기;
    각 언어별로 광고용 키워드들을 저장ㆍ관리하고, 광고주가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 정보와, 광고주 정보와, 광고용 키워드별로 책정된 가격정보와, 해당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되는 광고정보를 맵핑시켜 저장ㆍ관리하는 DBMS; 및
    사용자 단말기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DBMS로부터 상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광고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전자책을 표시하되, 상기 광고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책 상의 광고 영역에 상기 광고정보를 노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노출되는 광고의 뷰 정보와, 노출된 광고의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광고 서버로 보고하여, 상기 광고 서버가 뷰 정보 및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는,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 정산 결과 및 연관 분석 결과를 광고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광고 영역에 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는,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본문 내용에 부합하는 내용 기반의 키워드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MS는, 광고의 노출기간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노출기간정보와 상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전송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여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열람하는 시점에서 해당 광고 영역에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상기 광고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정보는, 광고주가 설정한 뷰당 가격, 클릭당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는,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DBMS로부터 상기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추출하되, 선형(linear) 비례 또는 기하급수적(exponential) 비례를 적용하거나, 뷰당 가격 및 클릭당 가격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이 가장 높은 광고주의 광고정보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는,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데이터, 또는 광고주의 홈페이지에 링크될 수 있는 광고 유알엘(URL) 정보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은, 직사각형 형태의 2차원 측면 영상을 2차원 그래픽 함수를 이용하여 사다리꼴 형태의 3차원 측면 영상으로 변환된 3차원 코덱스(codex) 형식의 전자책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12. 광고 처리 장치로서,
    광고용 키워드를 제시하여, 광고주가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 정보에 광고용 키워드별로 책정된 가격정보와 광고주 정보를 맵핑시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저장하는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
    상기 광고용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DBMS에 맵핑시켜 관리하는 광고 등록부;
    전자책 파일 - 이때, 전자책 파일은 소정 페이지에 노출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역과 해당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가지고 있음 - 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DBMS로부터 상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ㆍ제어하는 광고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노출되는 광고의 뷰 정보와, 노출된 광고의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아,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광고 정산부를 포함하는 광고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등록부에서 등록받은 상기 광고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광고 검열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광고 노출에 따른 연관 분석을 수행하는 광고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제어부는,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 정산 결과 및 연관 분석 결과를 광고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광고 처리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자책을 표시하되, 상기 광고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책 상의 광고 영역에 상기 광고정보를 노출하며, 노출되는 광고의 뷰 정보와, 노출된 광고의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광고 처리 장치로 보고하여, 상기 광고 처리 장치가 뷰 정보 및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처리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영역에 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는,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본문 내용에 부합하는 내용 기반의 키워드인, 광고 처리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용 키워드 구매 처리부는, 광고의 노출기간정보를 상기 DBMS에 더 맵핑시켜 관리하고,
    상기 광고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노출기간정보와 상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ㆍ제어하는, 광고 처리 장치.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전송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여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열람하는 시점에서 해당 광고 영역에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상기 광고 처리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광고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정보는, 광고주가 설정한 뷰당 가격, 클릭당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정보는,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DBMS로부터 상기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추출하되, 선형(linear) 비례 또는 기하급수적(exponential) 비례를 적용하거나, 뷰당 가격 및 클릭당 가격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이 가장 높은 광고주의 광고정보인, 광고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는, 광고주로부터 의뢰된 광고 데이터, 또는 광고주의 홈페이지에 링크될 수 있는 광고 유알엘(URL) 정보인, 광고 처리 장치.
  21. 전자책 서비스 방법으로서,
    관리자 단말기에서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각 전자책의 소정 페이지에 노출될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역과, 해당 광고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광고 서버가 광고용 키워드를 제시하여, 광고주가 구매한 광고용 키워드 정보에 광고용 키워드별로 책정된 가격정보 및 광고주 정보, 광고정보를 맵핑시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DBMS로부터 상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노출되는 광고의 뷰 정보와, 노출된 광고의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받아, 상기 광고 서버가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책 서비스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광고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책 서비스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광고 노출에 따른 연관 분석을 수행하고,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 정산 결과 및 연관 분석 결과를 광고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책 서비스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자책을 표시하되, 상기 광고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책 상의 광고 영역에 상기 광고정보를 노출하며, 노출되는 광고의 뷰 정보와, 노출된 광고의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광고 서버로 보고하여, 상기 광고 서버가 뷰 정보 및 클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광고 노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서비스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영역에 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는,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본문 내용에 부합하는 내용 기반의 키워드인, 전자책 서비스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는, 광고의 노출기간정보를 상기 DBMS에 더 맵핑시켜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광고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노출기간정보와 상기 가격정보를 토대로 광고용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자책 서비스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전송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자책 파일을 실행하여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열람하는 시점에서 해당 광고 영역에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용 키워드를 상기 광고 처리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전자책 서비스 방법.
KR1020120059565A 2011-06-03 2012-06-04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5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4385 WO2012165922A2 (ko) 2011-06-03 2012-06-04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108 2011-06-03
KR20110054108 2011-06-03
KR1020120045503 2012-04-30
KR20120045503 2012-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125A true KR20120135125A (ko) 2012-12-12

Family

ID=4790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565A KR20120135125A (ko) 2011-06-03 2012-06-04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51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965B1 (ko) * 2013-05-23 2015-04-02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전자책을 이용한 광고 제공 서버
KR20150102812A (ko) * 2014-02-28 2015-09-08 엠플레어 주식회사 사용자 나레이션 기반의 e-book 대여 서비스 시스템
CN111353803A (zh) * 2018-12-24 2020-06-3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广告主分类方法及装置、计算设备
WO2021210753A1 (ko)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펍플 전자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39741A (ko) *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서감도 문장의 시각적처리를 통한 전자책의 문해력 향상 장치 및 전자책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965B1 (ko) * 2013-05-23 2015-04-02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전자책을 이용한 광고 제공 서버
KR20150102812A (ko) * 2014-02-28 2015-09-08 엠플레어 주식회사 사용자 나레이션 기반의 e-book 대여 서비스 시스템
CN111353803A (zh) * 2018-12-24 2020-06-3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广告主分类方法及装置、计算设备
CN111353803B (zh) * 2018-12-24 2024-04-05 三六零科技集团有限公司 广告主分类方法及装置、计算设备
WO2021210753A1 (ko)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펍플 전자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39741A (ko) * 2022-03-28 2023-10-05 주식회사 서감도 문장의 시각적처리를 통한 전자책의 문해력 향상 장치 및 전자책을 거래하기 위한 플랫폼 운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9219B2 (ja) 広告主ウェブ情報の検索を用いた広告提供
US7987194B1 (en) Targeting advertisements based on cached contents
KR100510950B1 (ko)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광고를 삽입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AU2006326661B2 (en) Determining advertisements using user interest information and map-based location information
CA2499807C (en) Serving content-relevant advertisements with client-side device support
KR100510953B1 (ko) 책 모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는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8355949B1 (en) Enhanced hyperlink feature for web pages
CA2682037C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promotional offer
US8306858B2 (en) Consolidated content item request for multiple environments
US8311875B1 (en) Content item location arrangement
US20140067526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Analyzing and Comparing Return on Investment Performance of Marketing Channels in Integrated Marketing Campaigns
US10402852B2 (en) Content item slot location suggestions
KR20070004077A (ko) 과거 검색 질의들을 이용하는 광고 타겟팅 정보 및/또는광고 크리에이티브 정보 결정
CA2530488A1 (en) Promoting and/or demoting an advertisement from an advertising spot of one type to an advertising spot of another type
JP2010079911A (ja) 話題に対するユーザーの関心情報を用いて、1つ以上の話題を有するドキュメントとともに広告を提供すること
JP2010039600A (ja) 広告配信装置、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制御プログラム
KR20120135125A (ko) 광고 처리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0062A (ko) 마케팅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012937A (zh) 用于将广告发布在超文本文档中的图像上的方法和系统
US110425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distribution of online content
US10452772B1 (en) Increasing comment visibility
US20100114698A1 (en) Advertising meta-keywords
US9092463B2 (en) Keyword generation
JP4902200B2 (ja) クライアント側デバイスサポートでコンテンツ関連広告を供給すること
KR20100022688A (ko) 전자책을 이용한 키워드 방식의 광고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