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882A -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간 통신을 지원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간 통신을 지원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882A
KR20120134882A KR1020110054088A KR20110054088A KR20120134882A KR 20120134882 A KR20120134882 A KR 20120134882A KR 1020110054088 A KR1020110054088 A KR 1020110054088A KR 20110054088 A KR20110054088 A KR 20110054088A KR 20120134882 A KR20120134882 A KR 2012013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etwork
module
command
information
f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011B1 (ko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01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구축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 네트워크 및 앞으로 구축될 센서 네트워크간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다수의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와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센서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들웨어 없이 다수의 센서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어 센서 네트워크 인프라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 개발을 촉진할 수 있으며,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간 통신을 지원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METHOD AND APPARATUS OF A INTEGRATED SENSER NETWORK GATEWAY COMMUNICATING BETWEEN APPLICATION PROTOCOLS}
본 발명은 현재 구축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 네트워크 및 앞으로 구축될 센서 네트워크간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다수의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와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센서 네트워크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센서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USN)이면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일 수 있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라고 함은 각종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또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라고 함은 센싱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 노드와 그 센서 노드에서 센싱된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싱크 노드(Sink Node)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센서 네트워크는 필요한 모든 사물에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전자태그를 통하여 기본적인 사물의 인식 정보는 물론 주변의 환경 정보(온도, 습도, 오염정보, 균열정보 등)까지 탐지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그 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는 모든 사물에 computing 및 communication 기능을 부여하여 anytime, anywhere, anything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근래 통신기술 분야의 연구는 이런 센서 네트워크를 실생활에 접목시키는데 그 목표를 두고 발전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센서 네트워크 응용 기술에서는 센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응용 서비스)에 특화된 센서 네트워크 및 게이트웨이를 구성하여 센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과 센서 네트워크의 관계가 일 대 일의 관계로 개발되어 오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센서 네트워크와의 통신 담당 모듈(11), 어플리케이션 장치(어플리케이션 또는 미들웨어)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모듈 및 통신을 위한 변환 모듈(12)을 포함한다.
상기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의 통신 담당 모듈은 Ethernet(14), Wifi(15), CDMA(16)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통신 실패를 줄이기 위한 버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네트워크의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어플리케이션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해당 센서네트워크의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해당 센서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해당 센서 네트워크는 상기 해당 센서 네트워크에서 측정되거나 감지된 센서 네트워크 정보 또는 발생된 특정 이벤트 결과를 상기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된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장치로 전달한다.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센서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명령정보, 네트워크 정보 보고 등의 모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기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장치와 해당 센서 네트워크 간에만 의존적으로 관련되게 정의되어 있다. 즉,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단순히 특정 센서 네트워크와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연결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다른 센서 네트워크와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다른 게이트웨이를 사용하거나, 미들웨어를 이용하여야 한다.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를 개념적 데이터베이스로 이용하여 다양한 질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미들웨어는 국내외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에서는 이미 센서 네트워크가 구축된 사이트에서 기존과 다른 새로운 응용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될 경우, 미들웨어를 다시 추가하거나 기존의 센서 노드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도록 업그레이드를 해야하므로 비용 및 시간 면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장치들이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를 공유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이러한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경우,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한 바,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기 곤란하다.
더 나아가,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확장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다양한 이기종 센서네트워크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로 인해 다양한 응용서비스 개발을 촉진하고 센서 네트워크 인프라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미들웨어 없이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일 실시예는,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데이터 통합 처리를 위해 표준화된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이 출력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 전송될 최종 명령을 결정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제2모듈에서 결정된 최종 명령을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최종 명령에 대응하는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모듈로 출력하는 제3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모듈은 상기 제3모듈이 출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최종 응답을 결정하고, 상기 제1모듈로 출력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는,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최종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최종 명령을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최종 명령에 대응하는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최종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최종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장치와 다수의 센서네트워크 간의 통합 게이트웨이를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의 종류와 무관하게 공통 규격에 따라 표준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상세 내용을 공통 규격을 통해서 표준화함으로써, 개발 측면에서는 미들웨어 없이도 하나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듯 사용하게 하여 개발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렇게 표준화된 다양한 센서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해서 다양한 응용 서비스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들웨어 없이도 기존에 설치된 센서 네트워크와 새로 구축되는 센서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및 확장 측면에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다수의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관리를 통합적으로 할 수 있어 추후 기하급수적인 수요가 있을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의 통신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센서 네트워크의 실시간 감시 가능한 기능을 추가하여 그 관리를 스마트폰, 호스트 어플리케이션 등의 여러가지 방법으로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제2모듈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는, 어플리케이션 장치(21)와 통신하는 제1모듈(22), 센서 네트워크(25)와 통신하는 제3모듈(24), 제1모듈(22)및 제3모듈(24)이 취합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최종 명령과 최종 응답을 결정하는 제2모듈(23)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장치(21)와 센서 네트워크(25)를 각각 살펴보면,
어플리케이션 장치(21)는 하나 이상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센서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센싱 데이터 또는 응답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 스마트폰의 앱, 어플리케이션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일 수 있다.
그리고 응용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센서 네트워크(25)는 다양한 센싱 타입을 지원하는 센서들과 구동기를 포함한다. 센서 네트워크(25)에서의 센서와 구동기는 제3모듈(24)이 해당 센서 네트워크(25)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한 최종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장치(21)와 센서 네트워크(25)는 일대일의 관계 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통신 프로토콜이 다른 복수 대 복수의 구성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25)는 각각의 통신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며, 어플리케이션 장치(21)는 상기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중 자신의 목적에 맞는 센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목적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게이트웨이의 구성 및 각각의 기능을 살펴본다.
제1모듈(22)은 어플리케이션 장치(21)의 명령이 입력되면 데이터의 통합 관리를 위해 표준화된 공통 규격에 따라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제2모듈(23)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2모듈(23)은 제1모듈(22)이 출력한 어플리케이션 장치(21)의 명령과 센서 네트워크(25)의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명령을 결정하고, 제3모듈(24)로 출력한다.
또한, 제2모듈(23)은 상기 최종 명령에 대응하는 센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 응답을 결정하고, 제1모듈(22)로 출력한다.
제1모듈(22)은 상기 최종 응답을 상기 명령을 입력한 어플리케이션 장치(21)가 인식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21)로 전송한다.
한편, 제3모듈(24)은 상기 제2모듈(23)이 출력한 최종 명령을 상기 센서 네트워크(25)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최종 명령에 대응하는 센서 네트워크 정보(센싱 데이터 또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공통 규격에 따라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제2모듈(23)로 출력한다.
즉, 제2모듈(23)은 어플리케이션 장치(21)와 센서 네트워크(25)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명령 정보와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및 센싱 데이터를 정리 및 분석하여 최종 명령과 최종 응답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모듈(23)은 제1모듈이 어플리케이션 장치(21)의 명령을 변환하여 출력하면, 센서 네트워크의 존재 여부와 명령 데이터의 유효성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한 후, 최종 명령을 결정하여 제3모듈(24)을 통해 해당 센서 네트워크(25)로 전송한다.
또한, 제2모듈(23)은, 상기 최종 명령에 대응하는 센서 네트워크(25)의 정보가 제3모듈(24)로부터 출력되면, 상기 센서 네트워크(25)의 정보에 대한 유효성 및 명령을 내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대응하는 필요한 처리를 거쳐 최종 응답을 결정하여 제1모듈(22)로 출력한다.
한편, 제3모듈(24)은 다양한 하나 이상의 센서 네트워크와 제2모듈(23)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제3모듈(24)은 제2모듈(23)로부터 전달된 최종 명령을 해당 센서 네트워크(25)의 특성 정보(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정보, 구동기 정보를 비롯하여 통신 프로토콜, 버퍼링 파라미터 등)에 맞게 변환하여 해당 센서 네트워크(25)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3모듈(24)은 상기 전송한 최종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센서 네트워크(25)로부터의 센싱 데이터 또는 응답 정보 등을 수신하여 상기 공통 규격에 따라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제2모듈(23)로 출력한다.
도 3은 상기 제2모듈(23)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듈(23)은 제1모듈(22)로부터 변환된 명령을 저장, 관리 및 수정하고, 최종 명령을 결정하여 제3모듈(24)로 출력하는 명령 처리 모듈(31), 제3모듈(24)이 출력한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 및 수정하며, 최종 응답을 결정하고, 이를 제1모듈(22)로 출력하는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33), 센서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전반적인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센서 정보, 통신 프로토콜, 동작 상태 등)를 저장,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모듈(32)을 포함한다.
이하, 제2모듈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네트워크 관리 모듈(32)은 연결관계 테이블(35), 명령 테이블(36) 및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34)을 포함한다.
연결관계 테이블(35)은 어플리케이션 장치(21)와 해당 센서 네트워크(25)간의 연결관계를 저장하는 테이블로써, 네트워크 관리 모듈(32)은 어느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어느 센서 네트워크에 명령을 내렸는지에 대한 연결관계 정보를 명령 처리 모듈(31)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연결관계 테이블(35)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 모듈(32)은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33)에 상기 연결관계 테이블(35)에 저장된 연결관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연결관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최종 명령에 대응하는 최종 응답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명령 테이블(36)은 어플리케이션 장치(21)의 명령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장치(21)로부터 어떠한 명령이 내려졌는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테이블이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모듈(32)은 상기 명령 처리 모듈(31)로부터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 테이블(36)에 저장하고, 상기 명령 테이블(36)의 명령 데이터를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33)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33)은 상기 네트워크 관리 모듈(32)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응답을 결정한다.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34)은 제3모듈(24)로부터 취득한 각 센서 네트워크의 접근 및 관리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USN info)의 메타데이터를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34)에 저장하는 테이블이다.
네트워크 관리 모듈(32)은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34)에 저장된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명령 처리 모듈(31)에 제공한다.
한편, 상기 명령 처리 모듈(31)은 제1모듈(22)로부터 공통 규격으로 변환된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명령을 분석(명령 데이터의 유효성과 어떤 어플리케이션 장치에서 명령을 내렸는지 등의 정보에 대한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와 일치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관리 모듈(32)의 명령 테이블(36)과 연결관계 테이블(35)을 갱신한다.
또한, 상기 명령 처리 모듈(31)은 상기 네트워크 관리 모듈(32)로부터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해당 센서 네트워크의 존재 여부 또는 현재 상태 등)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어떤 센서 네트워크에 어떤 명령을 전송할지에 대한 최종 명령을 결정하여 제3모듈(24)로 출력한다.
이후, 제3모듈(24)은 상기 최종명령에 따른 해당 센서 네트워크의 정보 데이터(센싱 데이터 또는 응답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공통 규격에 따라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33)로 출력한다.
여기서,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33)은 상기 공통 규격으로 변환된 센서 네트워크의 응답 데이터와, 명령 테이블(36) 및 연결관계 테이블(35)로부터 어떠한 어플리케이션 장치에서 어떤 명령이 내려졌었는지를 참조하여 최종 응답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33)은 상기 결정된 최종 응답을 제1모듈(22)로 출력하며, 네트워크 관리 모듈(32)에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및 연결관계 테이블(35)의 갱신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제1모듈(22)은 명령을 내린 어플리케이션 장치(21)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33)로부터 전송되는 최종 응답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최종 응답을 해당 명령을 내린 어플리케이션 장치(21)에 전송한다.
한편, 제1모듈(22) 및 제3모듈(24)은 표준화된 공통 규격을 정의하여 제2모듈이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를 하나의 규격을 통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공통 규격은 데이터의 통합적 처리 및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TA표준 규격을 따른다.
한편, 제1모듈(22)은 어플리케이션 장치(21)와의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Ethernet, CDMA, Wifi, 광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3모듈(24)은 센서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Zigbee, 6LowPAN, TinyOS등을 이용한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모듈(24)은 각 센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2모듈(23)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센서 네트워크의 상태 관리를 위함이며, 어플리케이션 장치(21)의 주기적인 각 센서 네트워크의 상태 모니터링과 실시간 통합 센서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장치(21)는 웹 서버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하여 상기 웹 서버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센서 네트워크(25)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3모듈(24)은 자신과 통신이 가능한 센서 네트워크를 찾아 접속을 시도하고, 센서 네트워크(25)는 이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 정보 등의 데이터 구축을 위한 등록 또는 접속 정보로서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USN info, 센서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로서 센서 네트워크의 존재, 통신 프로토콜, 등록정보, 연결 정보 등)를 제3모듈(24)로 전송한다.(S405)
이어서, 제3모듈(24)은 상기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고(S410), 이를 제2모듈(23)로 전송한다(S415). 그리고 제2모듈(23)은 상기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34)로 통합 관리한다.
이후, 제1모듈(22)은 어플리케이션 장치(21)로부터 명령이 입력되면(S420), 이를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고(S425) 이를 제2모듈(23)로 전송한다(S430).
그러면, 제2모듈(23)은 상기 변환된 명령과 저장되어 있던 상기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센서 네트워크로 입력될 최종 명령을 결정하고(S435), 이를 제3모듈로 전송한다(S440).
이어서, 제3모듈(24)은 상기 최종 명령을 상기 해당 센서 네트워크가 인식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고(S445), 이를 센서 네트워크로 전송한다(S450).
이때, 상기 해당 센서 네트워크(25)는 변환된 최종 명령에 따라 센싱 데이터 수집 등의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최종 명령에 대한 응답(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 센싱 데이터 또는 응답 정보)을 제3모듈(24)로 전송한다(S455).
그러면, 제3모듈(24)은 상기 응답을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고(S460), 이를 제2모듈(23)로 전송한다(S470).
이후, 제2모듈(23)은 상기 공통 규격으로 변환된 응답을 해석하여 상기 공통 규격으로 변환된 명령을 토대로 어플리케이션 장치로 전송할 최종 응답을 결정하고(S470), 이를 제1모듈(22)로 전송한다(S475).
그리고, 제1모듈(22)은 상기 최종 응답을 명령을 입력한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인식 가능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여(S480) 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로 전달함으로써(S485), 상기 명령에 따른 해당 센서 네트워크의 응답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 롬,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 센서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12: 프로토콜 변환 장치
13: 메모리 14: Ethernet 인터페이스
15: Wifi 인터페이스 16: CDMA 인터페이스
21: 어플리케이션 장치 22: 제1모듈
23: 제2모듈 24: 제3모듈
25: 센서 네트워크 31: 명령 처리 모듈
32: 네트워크 관리 모듈 33: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
34: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 35: 연결관계 테이블
36: 명령 테이블

Claims (14)

  1.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데이터 통합 처리를 위해 표준화된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이 출력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 전송될 최종 명령을 결정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제2모듈에서 결정된 최종 명령을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최종 명령에 대응하는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모듈은 상기 제3모듈이 출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최종 응답을 결정하고, 상기 제1모듈로 출력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상기 제2모듈이 출력한 최종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로 출력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하나 이상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은,
    상기 제1모듈이 출력한 명령을 처리하는 명령 처리 모듈;
    상기 제3모듈이 출력한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어플리케이션 장치와 센서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모듈은,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간의 연결 관계를 저장하는 연결관계 테이블;및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명령 테이블
    을 포함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처리 모듈은
    상기 제1모듈이 출력한 명령을 분석하여 상기 명령 테이블과 상기 연결관계 테이블을 갱신하며, 상기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명령을 결정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 모듈은
    상기 제3모듈이 출력한 센서 네트워크 정보와 상기 명령 테이블 및 연결관계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응답을 결정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모듈은
    상기 센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2모듈로 전달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
  9.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최종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최종 명령을 상기 센서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최종 명령에 대응하는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최종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최종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명령을 상기 센서 네트워크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데이터의 통합 관리를 위해 표준화된 공통 규격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응답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명령을 분석하여 연결관계 테이블 및 명령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명령과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최종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취득한 정보를 분석하여 센서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정보와 연결관계 테이블 및 명령 테이블에 기초하여 최종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통신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2모듈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 통합 관리 방법.
KR1020110054088A 2011-06-03 2011-06-03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간 통신을 지원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1277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088A KR101277011B1 (ko) 2011-06-03 2011-06-03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간 통신을 지원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088A KR101277011B1 (ko) 2011-06-03 2011-06-03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간 통신을 지원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882A true KR20120134882A (ko) 2012-12-12
KR101277011B1 KR101277011B1 (ko) 2013-06-24

Family

ID=4790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088A KR101277011B1 (ko) 2011-06-03 2011-06-03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간 통신을 지원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28B1 (ko) * 2012-12-28 2014-06-27 주식회사 효성 디바이스 에이전트와 그것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423B1 (ko) * 2014-03-28 2015-08-17 전자부품연구원 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혼합한 센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025B1 (ko) 2006-12-05 2008-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이질적인 센서 데이터통합방법 및 장치
KR100874652B1 (ko) * 2007-06-26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KR100894910B1 (ko) 2007-11-09 2009-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중 질의 처리 장치 및방법
KR101055552B1 (ko) * 2009-03-31 2011-08-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합 센서 네트워크 미들웨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28B1 (ko) * 2012-12-28 2014-06-27 주식회사 효성 디바이스 에이전트와 그것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011B1 (ko) 201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652B1 (ko) 이기종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Chong et al. The research and implement of smart hom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0933146B (zh) 一种数据转换方法、装置和服务器
KR101504182B1 (ko) 소셜 미디어 연동을 기반으로 m2m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3428627A (zh) 物联网系统中数据的传送方法、物联网系统及相应装置
CN103297306B (zh) 一种农业物联网系统
CN101977167A (zh) 无线传感器网络接入Modbus总线的网关通信协议转换方法
WO2006121161A1 (ja) 通信機器の検索システム
CN102932431A (zh) 一种基于消息路由的状态监测数据接口配置方法
KR101894389B1 (ko) 기기간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100878031B1 (ko) 센서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동한 센싱 데이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12566A (zh) 用于处理资源的地址的方法和节点
CN102983885A (zh) 用于增强蓝牙设备名称可读性的系统及方法
KR101277011B1 (ko)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간 통신을 지원하는 통합 센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N105324728B (zh) 用于监控自动化工厂的工业控制系统
KR20110066001A (ko) 센서 노드의 리소스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JP7107046B2 (ja) 制御システム、検索装置および検索プログラム
KR100976874B1 (ko) Rfid/usn 통합 미들웨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94298A (ko) 게이트웨이 기반의 m2m 디바이스들 기능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536350B1 (ko) 유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 생산자원 자율 관리시스템
CN103281199B (zh) 基于id的感知层设备在网络层的统一识别方法
US20160282139A1 (en) Data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to Support Multiple Profiles in a Utility Meter System
KR20110024320A (ko) U-시티에 있어서 u-게이트 웨이, 이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2438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trology
KR20210128096A (ko) 사물인터넷 플랫폼 간 연동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